KR900001915B1 -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915B1
KR900001915B1 KR1019870008978A KR870008978A KR900001915B1 KR 900001915 B1 KR900001915 B1 KR 900001915B1 KR 1019870008978 A KR1019870008978 A KR 1019870008978A KR 870008978 A KR870008978 A KR 870008978A KR 900001915 B1 KR900001915 B1 KR 90000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bric
cloth
burn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023A (ko
Inventor
요시가즈 산도오
히로시 이시도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산도오 요시테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도오뎃고오쇼
Publication of KR89000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제1도는 본 발명으로 된 드라이어의 사용 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2도는 그 요부 확대 설명도.
제3도는 그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프레임 2 : 가이드로울
3 : 포백 4, 4' : 버어너
5 : 철망 6 : 가스공급구
7 : 에어공급덕트 8 : 에어분사노즐
9 : 에어취출구 10 : 에어공급구
11 : 흡기덕트 12 : 흡기구
13 : 진공구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섬유제품, 특히 포백의 건조열처리 등에 사용되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공업적으로 생산하는 장척포백의 예를 들면, 사전처리, 염색처리, 머어서리제이션(mercerization), 세정처리 등의 처리가공시에는 함액처리가 필수로 되고, 이들의 함액처리 후에 있어서는 이 함액포백을 건조 등의 열처리를 하기 위한 드라이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함액된 장척포백을 연속적으로 예를 들면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전기적 히이터에 의한 건조수단이 채용되고 있으나, 상기 전기적 히이터에 의한 건조열 에너지는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포백에 대한 장시간의 열부여가 필요하게 되어 대규모의 설비로 되고, 게다가 건조완료까지에 장시간을 요하여, 건조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그 히이터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히이터의 절단에 의한 부분적 불발열부가 발생하고, 이것이 원인으로 열처리 불균일(건조 불균일, 염색얼룩 등)이 발생하여, 처리 불량으로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 종류의 드라이어에서는, 이송되는 포백이 이송이 중단 또는 정지된 때에 그 히이터의 여열로, 히이터에 대향하는 포백부분이 소손(燒損)되는 까닭으로, 포백의 주행정지시에는, 그 히이터를 포백으로부터 멀리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이것이 원인으로 장치가 대형화, 복잡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서는 연소가스를 가열매체로 하는 촉매연소버어너가 개발된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는 고열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이 촉매연소버어너를 응용하여 이송하는 장척포백의 연속 열처리를 신속 또한 효과적으로 더우기 이송포백의 정지시에는 포백에 대한 열부여를 곧 차단하여 포백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어를 개발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베이스프레임, (2)는 이 베이스프레임(1)에 의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로서, 이 가이드로울(2)에 의하여 처리해야 할 포백(3)이 상하로 사행(蛇行)하면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로울(2), 특히 상단의 가이드로울(2)은, 후술하는 버어너에 의한 복사열로 이상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냉(水冷)로울로 한다. (4)는 상하방향으로 사행되는 포백(3)의 표면에, 원(遠)적외선인 열에너지를 부여시키기 위하여, 상하 다단(본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착설한 가스버어너이나 이 가스버어너(4)는, 예를 들면 일본국 오오사까 가스엔지니어링(주)에서 개발되어, 공지로 되어 있는 촉매연소버어너(이하 이것을 단지 버어너로 칭함)를 응용한다. 버어너(4), 포백(3)의 한쪽에만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구조이나, 양쪽의 포백(3) 사이에 위치하는 버어너(4')는 2매의 버어너(4)를 등을 맞대어 양면으로부터 원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각 버어너(4)(4')의 원적외선 조사면에는, 보호용철망(5)이 격설(隔設)되어 있다. (6)은 버어너(4)(4')내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구(6)를 표시한다. (7)은 각 버어너(4)(4')의 하부에 접근하여 배설시킨 에어공급덕트로서, 이 에어공급덕트(7)의 상면에는, 각 버어너의 원적외선 조사면과 철망(5)과의 사이에 에어를 보내기 위한 에어분사노즐(8)이 착설되어 있으며, 또한 에어공급덕트(7)의 아래쪽 각부(角部)에는, 포백(3)에 향하여 에어가 취출(吹出)되는 에어취출구(9)가 착설되어 있다. (10)은 에어공급덕트(7)에 착설되고 또한 고저의 회전으로 바꿀 수 있는 인버어터모우터 부착송풍기에 의한 에어 공급원에 통하는 에어공급구이다. (11)은 각 에어공급덕트(7)의 아래쪽에 착설되어 있는 흡기덕트로서, 이 흡기덕트(11)의 양쪽에는 흡기구(12)가 착설되어 있다. (13)은 도시하지 않은 진공기구에 통하는 진공구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구성이나,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기술하면 처리해야 할 포백(3)을, 가이드로울(2)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동시에 각 버어너(4)(4')를 연소시킴으로서, 포백(3)에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포백의 열처리가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를 저속회전하여, 각 에어공급덕트(7)의 에어분사노즐(8)로부터 소량의 에어를 버어너의 원적외선조사면과 철망(5)과의 사이에 공급함으로서 버어너(4)(4')에 있어서는, 가스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효한 연소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연소운전시에 있어서 흡기덕트를 부압(負壓)으로 하므로서, 하단의 버어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기화된 다습에어는, 그 흡기구로부터흡기되기 때문에, 상승되어서 포백에 재부착되는 일이 없으며, 드라이효과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각 에어덕트(7)의 에어취출구(9)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에 의하여도 기화된 다습에어의 상승이 차단되어 다습에어가 흡기구(12)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건조 등의 열처리가 효율 좋게 행해지는 효과가 있다.
포백(3)의 이송이 중단되었을 때, 또는 포백의 열처리가 완료하여 포백(3)의 주행이 정지되었을 때는, 포백(3)에 접근되어 있는 버어너(4)(4')의 여열에 의하여, 포백(3)이 소손될 위험이 있음으로, 그 포백의 주행이 정지한 것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이 검지출력과, 도시하지 않은 제어구성에 의하여 송풍기의 회전이 고속으로 바꾸어져서 에어분사노즐(8)로부터 강력한 에어가 분사됨으로서, 버어너(4)(4')의 여열이 날아가게 되는 동시에, 버어너(4)(4')가 냉각되어서 포백(3)에 대한 복사열이 소거되기 때문에, 주행이 정지된 포백의 소손이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주행이 정지된 포백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백의 정지와 동시에 버어너를 포백으로부터 멀리하는 기구 및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버어너를 이동할 필요가 없음으로, 구성의 간소화 및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주행되는 포백의 양면에 평행하게 접근하여 위치되는 원적외선 조사면과, 이 조사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격설되는 철망을 가진 촉매연소버어너를, 포백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상하 다단으로 착설하는 동시에, 각 촉매연소버어너의 아래쪽에, 상기 원적외선 조사면과 철망과의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노즐 및 경사된 아래쪽의 포백면에 향하여 에어를 불어붙이는 에어취출구를 가진 에어공급 덕트와, 이 공급덕트의 아래쪽에 착설되어, 포백으로부터 발생하여 상승코져하는 기화열을 포착 흡인하는 흡기덕트와, 포백의 정지시에, 상기 에어분사 노즐로부터의 에어분사력을 높이는 팬의 제어기구를 구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용 연속 드라이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백용 연속 드라이어에 의하면, 그 에어공급덕트를 착설하므로서, 버어너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하고, 에너지의 성력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포백의 주행정지시에는, 여열을 날려버리고, 포백의 소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주행이 정지된 포백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백의 정지와 동시에 버어너를 포백으로부터 멀리하는 기구 및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버어너를 이동할 필요가 없음으로, 구성의 간소화 및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흡기덕트를 착설하였음으로, 하단의 버어너에 의하여 가열되어 기화된 다습에어는, 그 흡기구로부터 흡기되기 때문에, 상승되어 포백에 재부착되는 일이 없으며, 드라이 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각 에어덕트(7)의 에어취출구(9)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에 의해서도 기화된 다습에어의 상승이 차단되어 다습에어가 흡기구(12)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건조 등의 열처리가 효율 좋게 행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속적으로 주행되는 포백의 양면에 평행하게 접근하여 위치하게 되는 원적외선 조사면과, 이 조사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격설되는 철망을 가진 촉매연소버어너를, 포백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상하 다단으로 착설하는 동시에, 각 촉매연소버어너의 아래쪽에, 상기 원적외선 조사면과 철망과의 사이에 에어공급을 하는 에어분사노즐 및 비스듬한 아래쪽의 포백면으로 향하여 에어를 불어붙이는 에어취출구를 가진 에어공급덕트와, 이 에어공급덕트의 아래쪽에 착설되어, 포백으로부터 발생하여 상승할려고 하는 기화열을 포착흡인하는 흡기덕트와, 포백의 정지시에, 상기 에어분사노즐로부터의 에어분사력을 높이는 팬의 제어기구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KR1019870008978A 1986-08-18 1987-08-17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KR900001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264 1986-08-18
JP61-192264 1986-08-18
JP61192264A JPS6349687A (ja) 1986-08-18 1986-08-18 布帛用連続ドラ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23A KR890004023A (ko) 1989-04-19
KR900001915B1 true KR900001915B1 (ko) 1990-03-26

Family

ID=1628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978A KR900001915B1 (ko) 1986-08-18 1987-08-17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49687A (ko)
KR (1) KR900001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067Y2 (ko) * 1986-11-06 1993-12-20
JPH0396391U (ko) * 1990-01-18 1991-1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9687A (ja) 1988-03-02
JPH0554033B2 (ko) 1993-08-11
KR890004023A (ko) 198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1069B1 (en) A channel assembly adapted to be inserted into an air bar and a method of setting the air flow in the channel assembly.
US31519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thin coatings on metallic sheets
US277331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JP4291091B2 (ja) 編織物の乾燥装置。
US4378207A (en) Infra-red treatment
US5276978A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veyor dryer
JPH07111038B2 (ja) 紙等のシート状物の乾燥方法
KR100272749B1 (ko) 직물 피륙용 송풍장치
JP5129249B2 (ja) ハイブリッド型熱処理機及びその方法
JPWO2019059159A1 (ja) 過熱水蒸気を用いた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
KR900001915B1 (ko) 포백용 연속드라이어
US5390428A (en) Film transport means for use in a film dryer
US5396716A (en) Jet tube dry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modules
US4726124A (en) Textile machine having continuous convective heat treatment
US3235973A (en) Heat treating apparatus for sheet or web like material
US4474552A (en) Infra-red combinations
KR101005097B1 (ko) 직물가공 라인용 급속건조장치
KR20180044539A (ko) 건조장치
WO2003029546A1 (en) A stenter machine
JP3461187B2 (ja) 塗装乾燥炉
US20140150283A1 (en) Infrared quartz conveyor drye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0755340A (ja) 熱風式乾燥装置
US3521375A (en) Dryer
KR101243751B1 (ko) 인쇄원단 건조기
JPH01210076A (ja) 塗装乾燥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