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80B1 -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 Google Patents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80B1
KR900001580B1 KR1019850003072A KR850003072A KR900001580B1 KR 900001580 B1 KR900001580 B1 KR 900001580B1 KR 1019850003072 A KR1019850003072 A KR 1019850003072A KR 850003072 A KR850003072 A KR 850003072A KR 900001580 B1 KR900001580 B1 KR 90000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elevator
time
driving directio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209A (ko
Inventor
히데오 우찌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00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제1도는 제1의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정전시의 제어회로 블럭도.
제2도는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정전시의 제어회로 블럭도.
제3도는 제1도 혹은 제2도의 제어회로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전체 블럭도.
제4도는 제1도 혹은 제2도의 동작플로차트.
제5도는 고정전압·고정주파수제어(CVCF)형 인버터를 사용한 종래장치의 전체회로블럭도.
제6도는 주파수고정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카속도-토크곡선 및 부하토크와의 관계도.
제7도는 엘리베이터카안의 부하를 파라미터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속도-시간의 관계도.
제8도는 슬립주파수제어의 전체회로블럭도.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의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도.
제10도는 카속도-시간의 관계를 표시한다.
또 도면중 동일 혹은 상당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류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에 의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에 있어서의 자동착상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정전시 층간에 정지한 엘리베이터를 자동착상시키는 것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직류전원(일반적으로는 배터리전원)의 출력전류를 작게하고 그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경제적인 장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무슨 방법이라도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라약칭함)안의 부하를 검출하고 카쪽중량과 균형추쪽중량을 비교하여 어느 쪽이든 무거운 쪽을 하강시키는 방향(이하, 하학방향, 반대를 인상 방향이라함)으로 운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카안의 부하를 저울장치로 검출할 경우, 카안의 승객의 위치, 경 년변화, 기계적인 기구 등의 여러조건에 의하여 이 검출정밀도는 일반적으로 나쁘고, 반드시 하락방향으로 운전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를 부가하도록 개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저울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매우 곤란하며 또 개조에 다액의 비용이 든다.
상기 점을 감안하여 저울장치를 하지않고 하락방향으로 운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또 그 한예로서 일본국특개소 54-3748호에 개시된 것이었다.
이 종래의 고정전압·고정주파수제어(CVCF)형 인버터를 사용할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를 제5도 내지 제7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5도는 종래장치의 블럭회로도.
제6도는 주파수고정시에 있어서의 카속도-토크곡선 및 부하토크와의 관계도(인상방향으로 기동지령이 발신된 경우), 제7도는 카안부하를 파라미터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카속도-시간이 관계도이다.
상기 제5도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장치는 구동장력이 전력을 공급하는 교류전원(1)과, 교류전원(1)의 정전을 검출하는 정전검출릴레이(2)와, 상기 교류전원(1)의 평상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3)와, 이 제어장치(3)에 따라 운전되는 유도전동기(4)와, 이 유도전동기(4)의 회전에 의하여 주행하는 카(8)의 카속도를 전동기의 회전속도로서 검출하는 속도검출기(5)와, 상기 유도전동기(4)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는 활차(6)와 이 활차(6)에 감긴 로프(7)과, 이 로프(7)의 일단에 고착된 카(8)와, 상기 로프(7)의 다른 끝에 고착된 균형추(9)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는, 상기 교류전원(1)이 정전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전원(10)과, 상기 정전검출릴레이(2)가 동작한 다음 소정시간이 경과한 뒤에 폐로동작(閉路動作)하는 상개접점(常開接點)으로 이루어진 기동접촉기(11)와, 상기 직류전원(10)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주파수고정인버터(12)와, 정전시에 있어서 하락방향 혹은 인상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운전방향을 결정하여 절환하는 운전방향 절환회로(13)와, 상기 속도검출기(5)의 검출결과에 의하여 정전시에 있어서의 운전을 제어하는 정전시의 제어회로(14)를 갖춘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를 정전시에 자동적으로 착상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종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장치 교류전원(1)이 통선상태에 있는 평상시에 있어서는, 상기 정전검출릴레이(2)가 동작하지 않고, 상기 교류전원(1)을 전원으로 하여 유도전동기(4)가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으며, 상기 유도전동기(4)의 회전에 의하여 카(8)를 운전하게 된다.
또, 상기 교류전원(1)의 정전시에 있어서는 정전검출릴레이(2)가 동작하고 이 동작 후는, 소정이 시간이 경과하면 기동접촉기(11)가 동작함으로써 운전방향 절환회로(13)는 소정방향으로 운전을 지령한다.(이 경우, 상승방향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직류전원(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주파수고정인버터(12)에 의하여 3상교류로 변환하고, 이 3상 교류가 유도전동기(4)에 입력되고, 상기 운전방향 절환회로(13)의 지령에 따라 상승방향으로 카(8)가 이동하게 된다. 또, 종래 장치의 토크특성을 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지금, 카(8)안의 부하가 무부하이며, 하강방향으로 운전한다고 가정하면 그때의 유도전동기(4)에서 본 부하 토크는 마이너스의 값인 무부하시 부하토크(TN)가 된다.
따라서, 기동시의 가속토크(TAN)은 기동토크(TS) 무부하시 부하토크(TN)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평형시의 가속토크(TAB)는, 기동토크(TS)-평형시 부하토크(TB)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카(8)안의 부하가 균형추(9)보다 약간 무거울 경우(가령 70%부하)의 가속토크(TAH)는, 기동토크(TS)-(부하>균형추)시의 (부하토크(TH))로써 나타낼 수가 있다.
또, 정격부하시의 가속토크(TAF)는 기동토크(TS)-정격부하시 부하토크(TF)로써 나타낼 수가 있다.
상기 각 가속도토크를 비교하면,
TAN(=TS-TN)>TAB(=TS-TB)>
TAH(=TS-TH)>TAF(=TS-TF)
가 된다. 따라서, 속도지령 Vc에 대하여는 유도전동기(4)에서 본 경우의 부하토크가 큰만큼 소정속도 Vs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필요로 하게 된다(제7도에 도시한다).
상기 제7도에 있어서 VNL은 무부하시의 가속곡선, VBL는 평형시의 가속곡선, VHL은 (부하>균형추)시의 가속곡선, VFL은 정격부하시의 가속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또, 시간 T1, T2, T3는 각각 VNL, VBL,VHL가 소정속도 Vs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속도검출기(5)는 카(8)의 이동속도(카속도)를 검출하고, 정전시제어회로(14)에 속도신호로서 송출한다.
상기 카(8)이 이동속도가 가동후 소정시간(제7도에 보인 시간 T2에 상당함)까지 소정속도 Vs에 도달한 경우에는 유도전동기(4)에 대하여 경부하(즉 하락방향)로 판정하고 하락방향의 운전을 계속시켜서 가장 가까운 층으로 착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카(8)의 이동속도가 기동후 소정시간 T2경과시까지 소정 속도 Vs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도전동기(4)에 대하여 중부하(인상 방향)로 판정하고, 최초의 기동지령의 운전방향(이 경우는 상승 방향)을 바꾸어서 하락방향으로 운전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고정전압·고정주파수제어(CVCF)형 인버어터를 사용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 이 운전은 매우 유효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극년, 전력반도체의 제어기술의 진보가 눈부시고, 정전시에도 엘리베이터를 효과적으로 운전하여 승차감, 착상정밀도의 향상을 위하여 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의 인버터를 사용하여, 슬립주파수제어를 하는 교류엘리베이터가 출현하고 있다.
이상 슬립 주파수제어를 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의 기본구성 및 특성을 제8도 내지 제10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슬립주파수 제어의 전체회로블럭도, 제9도는 제8도의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도, 제10도는 카의 운전속도-시간의 관계도이다.
상기 제8도에 있어서 슬립주파수제어를 하는 교류엘리베이터는 슬립주파수 제어회로(20)에 의하여 유도전동기(4)의 회전이 제어된다.
상기 슬립주파수제어회로(20)은 외부입력에 의한 속도지령 ωp를 출력하는 속도지령회로(21)와, 그 속도지령 ωp및 상기 속도검출기(5)의 카속도 ωr을 입력하여 비교연산하는 가산기(22)와, 이 가산기(22)의 연산 결과가 입력되어 토크전류지령 Tc를 출력하는 속도제어증폭기(23)와, 이 토크전류지령 Tc에 의하여 1차전류 Ii의 값을 결정하여 지령하는 전류 진폭지령회로(24)와, 상기 토크전류지령 Tc에 의하여 슬립주파수지령 ωs를 출력하는 슬립주파수연산기(25)와, 이 슬립주파수지령ωs및 상기 속도 검출기(5)의 카속도 ωr을 입력하여 비교연산함으로써 주파수지령 ω1을 출력하는 가산기(26)와, 이 주파수지령 ω1및 상기 1차전류 Ii의 값에 따라 3상교류의 값을 결정하는 전류지령 iu', iv', iw',를 각각 출력하는 전류지령발생회로(27)와, 상기 각 전류지령 iu', iv', iw' 및 전류 검출기(31h), (31h), (31h)로 검출된 귀환전류시(모터전류치)iu,iv,iw를 각각 입력시켜서 1차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증폭기(28)와, 이 전류 제어증폭기(28)의 출력에 의하여 전력을 유도전동기(4)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29)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a, b는 배터리 등의 직류전원의 접속단자를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슬립주파수제어회로(20)의 동작을 유도전동기(4)의 등가회로를 보인 제9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V1은 1차 전압, R1은 1차권선저항, l1은 1차측리액턴스, I1은 1차측전류, R2는 2차권선저항, 2는 2차측리액턴스, I2는 2차측전류, L은 동손(銅損), IN은 여자전류, E1은 1차유기전압,
Figure kpo00001
는 부하저항이다.
제9도에 보인 등가회로에 있어서 기계출력 PM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Figure kpo00002
따라서 출력 토크 TM
Figure kpo00003
단, ω0: 전동기의 입력각주파수
s : 슬립
ωS: 슬립각주파수
한편 ω0l2<<R2/S이라고 하면,
Figure kpo00004
(4)식을 (2)식에 대입하면,
Figure kpo00005
가 된다.
이 (5)식에서 분명하듯이,
Figure kpo00006
(전동기의 갭자속(gap 磁束)에 상당한다)를 일정하게 제어하면 토크 TM은 슬립각 주파수(슬립각속도) ωs에 비례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8도의 회로구성에서도 분명하듯이, 슬립주파수제어로 운전되는 교류엘리베이터는, 유도전동기(4)의 부하토크가 큰 경우에는, 슬립주파수지령 ωs이 커지고, 전류지령발생회로(27)에서 출력되는 전류지령 iu', iv', iw'가 증대하여 유도전동기(4)로의 공급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고로, 유도전동기(4)의 부하토크의 대소에 불구하고 정전시에 있어서의 비상 구출운전의 속도지령에 대한 추종성이 매우 양호한 것이 된다.
이 관계를 제10도에 보인다.
즉 상기 슬립주파수제어로 운전되는 교류엘리베이터는 정전시에 비상구출 운전을 하게되면, 가속시에는 다소의 속도차가 생기기는 하나, 인상방향, 하락방향공히 큰 차이없이 속도제어에 추종하여 부하토크의 대소에 따라서 카의 속도차가 나타나지 않게 되고, 종래처럼 기동 후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의 속도가 소정치이상여부에 따라서 카안의 부하를 검출하고 하락방향으로 운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게 되는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립 주파수제어에 의한 교류엘리베이터가 정전시에 비상구출운전을 할 경우에 있어서 슬립주파수에서 부하토크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검출함으로써 하락방향으로 운전시킬 수가 있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또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점 및 슬립주파수의 리플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행해진것이며, 슬립주파수제어에 의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에 비상구출운전을 할 경우에 있어서, 슬립주파수의 적산치로부터 부하토크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므로써 하락방향으로 더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를 제안하는데에 있다.
다음에는, 제1의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제3도 및 제4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5도 내지 제10도에 보인 종래장치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1도에 본 실시예의 정전시에 있어서의 제어회로블럭도, 제3도에 제1도의 제어회로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전체블럭도, 제4도에 본 실시예의 동작플로차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각 도에 있어서의 본 실시예에 관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의 자동착상장치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갖추고 있다.
즉 가변전압, 가변주파수제어장치로 운전되는 교류엘리베이터장치는, 통상시에 사용되는 교류전원(1)이 정전시에, 정전검출릴레이(2)에 따라 동작하는 기동접촉기(11)를 거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10)과, 이 직류전원(10)의 출력을 전압 및 주파수에 관하여 가변제어하는 전압·주파수제어회로(20)와, 상기 교류전원(1)이 정전시에 직류전원(10)을 사용하여 전압·주파수 제어회로(20)에 기동주행지령을 출력하는 기동주행지령회로(32)와, 상기 기동주행지령이 출력된 뒤 시한회로(35)에서 설정되는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전압·주파수제어회로(20)에서 출력되는 슬립주파수의 값에 따라 운전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지령으로서 출력하는 운전방향 절환회로(33)와, 이 절환지령에 따라 상기 전압·주파수제어회로(31)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상(相)을 절환하는 상절환회로(34)를 갖추고, 상기 절환지령에 따라서 가장 가까운 층에 자동착상시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시한회로(35)는 자동주행지령회로(32)에서 기동주행지령이 전압·주파수제어회로(10)로 출력되며, 이 전압·주파수제어회로(20)의 제어에 의하여 유도전동기(4)가 회전을 개시한 뒤 가속상태에 있는 시간을 소정시간으로 하고, 그 뒤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전방향 절환회로(33)는 속도검출기(5)의 검출치 및 슬립주파수연산기(25)의 지령치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시한회로(35)의 출력이 입력되고, 상기 각 입력에 따라 상기 기동주행지령회로(32)에 기동·정지지령을 송출하고, 다시 상절환회로(34)에 절환지령을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로(34)로서는 상기 일본국 특개소 54-3748호의 접촉기(11), (12)와 같은 절환회로를 쓸 수가 있다.
운전방향 절환회로(33)는 전자계산기 등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3개의 신호를 입력합과 아울러 제4도에 보인 것 같은 연산처리를 함으로써 절환지령의 출력동작을 한다.
다음에는 상기 제1의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전시에는 교류전원(1)의 출력이 없어지고 정전검출릴레이(2)가 작동하고, 이 동작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기동접촉기(11)가 동작함으로써 직류전원(10)을 정전시의 제어회로(30)에 접속한다.
이제, 운전방향 절환회로(33)가 최초로 상승방향으로의 지령을 출력하기로 되어 있다고 하면, 이 상승방향지령을 받은 기동주행지령회로(32)는 기동지령을 속도지령장치(21)에 출력한다.
이 기동지령이 입력된 속도지령장치(21)는 속도지령 ωp를 속도제어증폭기(23)에 출력함으로써 전류진폭지령장치(24) 내지 전력변환기(29)를 통하여 상승방향으로 카(8)를 주행시킨다.
이때의 상기 속도제어증폭기(23)의 토크전류지령 Tc가 슬립주파수연산기(25)에 입력되고, 이 슬립주파수연산기(25)가 출력하는 슬립주파수 ωs는 부하토크에 거의 비례하고, 가속도중에 있어서는 거의 일정하게 제어된다. 또 운전방향 절환회로(33), 유도전동기(4)가 가동한다음 소정시간 경과후(가속도중)에 상기의 슬립주파수의 ωs가 소정치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소정치 이하인 때는 하락방향으로 판정하여 상승방향 주행을 계속하여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킨다. 한편 소정치 이상인 때는 인상방향으로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상절환회로(34)에 절환지령을 출력함으로써 하강방향으로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바꾼다.
이 하강방향 주행으로 절환된 뒤의 재기등은 속도지령장치(21)의 속도지령 ωp에 따라 하강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의 슬립주파수 ωs는 상기 절환하기전의 기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속중에 있어서는 거의 일정하다.
또 운전방향 절환회로(33)는 상기 재기동후(가속도중)에 슬립주파수치 ωs가 소정치에 도달했느냐 또는 카속도 ωr이 소정치에 도달하지 않았는가를 각각 판정하고, 슬립주파수치 ωs가 소정치 이상 또는 카속도 ωr이 소정치이하의 경우에는 비상구출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명령을 전압주파수제어회로(20)에서 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슬립주파수치 ωs가 소정치 이하 혹은 카속도 ωr이 소정치이상인 경우에는 하방주행을 계속시켜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킨다.
상기 재기동 후에 운전방향 절환회로(33)에 있어서 슬립주파수치 ωs외에 카속도 ωr을 고려하여 비상구출운전의 정지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은, 가령, 브레이크(도시생략)의 고장 혹은 속도검출기(5)의 고장 등이 생긴 경우 속도의 이상을 검출함으로써 더욱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2도, 제3도,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또, 상기 제1의 발명과 동일 또는 서로다른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정전시에 있어서의 제어회로블럭도,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 제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전체블럭도, 동작플로챠트를 나타내며,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는 상기 제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부가하여, 기동주행지령회로(32)의 기동주행지령이 출력된 뒤 시한회로(35)로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의 슬립 주파수치 ωs를 적산하는 슬립주파수적산회로(36)를 갖추며, 이 슬립주파수 적산회로(36)의 슬립주파수적산치 Ωs에 따라 운전방향의 절환지령을 운전 방향절환회로(33)에서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슬립주파수적산회로(36)는 슬립주파수치 ωs가 전동기의 가속중에 변동하여 리플분을 포함하게 되고 이 리플분에 의하여 부하판정을 틀리지않도록 기동후 일정시간(가속시) 상기 슬립주파수치 ωs를 적산하는 것이다.
즉, 이 슬립주파수적산치 Ωs를 운전방향 절환회로(33)에 입력하여 운전방향 또는 운전정지를 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체가 되는 슬립주파수제어는 카의 속도 ωr를 전동기의 회전속도(펄스출력)로서 귀환시킴으로써 제어할 경우에 생기는 슬립주파수 ωs의 리플분에 의한 영향을 극력 작게하는 것이다.
상기 제2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동작은, 상기 제1의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립주파수치 ωs에 대신하여 슬립주파수적산치 Ωs에 따라 상승방향, 혹은 하강방향의 주행 또는 비상구출운전의 속행 혹은 정지를 운전 방향절환회로(33)로 판단하는 것이며, 그 외의 동작에 관하여는 제1의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또 상기 제어방식을 슬립주파수제어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보다도 더 제어성능이 좋은 슬립주파수형 백터제어를 할 경우에 있어서도 기본원리는 같으므로 마찬가지 효과가 있게된다.
이상 설명 하듯이 제1의 발명은 가속시의 슬립주파수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하락방향으로 판정하고, 주행방향을 바꾸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교류엘리베이터가 정전시에 비상구출운전을 할 경우에 있어서, 슬립주파수치에서 부하토크를 간단 또는 확실히 검출할 수 있게되고, 하락방향으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슬립주파수치에서 부하토크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저울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되고, 자동차 상장치자체의 구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2의 발명은 가속시의 슬립주파수치를 적산하고, 이 슬립주파수적산치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하락방향으로 판정하고 주행방향을 바꾸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교류엘리베이터가 정전시에 비상구출운전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속시의 슬립주파수에 포함되는 리플분의 영향을 극력작게하고 부하토크를 보다 간단 또는 확실히 검출할 수 있게 되고 하락방향으로 더욱 정확하게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평상시에 사용되는 교류전원이 정전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과, 이 직류전원의 출력을 전압 및 주파수에 관하여 가변제어하는 전압·주파수 제어수단과, 상기 교류전원이 정전시에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전압·주파수 제어 수단에 기동주행지령을 출력하는 기동주행지령수단과, 상기 기동 주행지령이 출력된 뒤 소정시간내에 상기 전압·주파수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슬립주파수의 값에 따라 운전방향을 바꾸기 위한 절환지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운전방향 절환수단과, 이 절환지령에 따라 상기 전압·주파수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상(相)을 바꾸는 상절환수단을 갖추고, 상기 절환지령에 따라 가장 가까운층에 자동착상시킴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주행지령수단과 상기 운전방향 절환수단 사이에 시한수단을 설치하고, 이 시한수단은 상기 기동주행지령이 입력되면 시간계산동작을 개시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운전방향절환수단으로 출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방향절환수단은, 상기 시한수단에서 출력이 공급되면 그때의 슬립주파수지령치를 미리 정해진 소정치와 비교하여, 소정치보다 지령치폭이 작으면 그대로 엘리베이터를 계속 주행시키기 위한 동작을 하고, 소정치보다 지령치 쪽이 크면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정지시키며, 그후 엘리베이터의 주행방향을 바꾸기 위한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자동착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방향 절환수단은, 상기 계속주행의 동작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주행지령수단 및 상절환수단에 대하여 이제까지의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절환동작에 있어서는 상기 기동주행지령수단에 대하여 정지지령을 출력하고, 역방향의 주행지령을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상절환수단에 대하여 절환지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방향 절환수단은, 상기 절환동작을 한 후 소정시간 이내의 슬립주파수가 소정치 이상에 도달하든가 혹은 상기 절환동작 후 소정시간 경과후에 운전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을 전압·주파수 제어회로에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수단이 추가설치되어 있으며, 이 속도 검출수단의 출력이 상기 운전방향 절환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엘리베이터가 가속동작 중에 그 시간이 종료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8. 평상시에 사용되는 교류전원의 정전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과 이 직류전원의 출력을 전압 및 주파수에 관하여 가변제어하는 전압·주파수제어수단과, 상기 교류전원의 정전시에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전압·주파수제어수단에 기동주행지령을 출력하는 기동주행지령수단과, 상기 기동주행지령이 출력된 뒤 소정시간 이내의 슬립주파수치를 적산하는 슬립주파수적산수단과, 슬립주파수적산치에 따라 운전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지령으로서 출력하는 운전방향 절환수단과, 이 절환지령에 따라 상기 전압·주파수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의 상을 바꾸는 상절환회로를 갖추고, 상기 절환지령에 따라 소정층으로 자동착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주행지령수단과 상기 슬립주파수 적산수단사이에 시한수단을 설치하고, 이 시한수단은 상기 기동주행지령이 입력되면 시간계산동작을 개시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슬립주파수 적산수단으로 출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방향 절환수단은 상기 절환지령을 출력한 뒤 소정시간 이내의 상기 슬립주파수의 적산치가 소정치이상으로 도달하든가, 혹은 상기 지령 출력 후 소정시간 경과후에 운전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정지지령을 전압·주파수제어회로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KR1019850003072A 1984-06-12 1985-05-06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KR900001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20444 1984-06-12
JP59120444A JPS60262783A (ja) 1984-06-12 1984-06-12 交流エレベ−タの停電時自動着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209A KR860000209A (ko) 1986-01-27
KR900001580B1 true KR900001580B1 (ko) 1990-03-15

Family

ID=1478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072A KR900001580B1 (ko) 1984-06-12 1985-05-06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62478A (ko)
JP (1) JPS60262783A (ko)
KR (1) KR900001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772B2 (ja) * 1988-08-11 1995-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US5390765A (en) * 1989-04-27 1995-02-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FI86784C (fi) * 1990-03-13 1992-10-12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romsning av en av en frekvenskonverter matad kortsluten asynkronmotor i en hiss i en felsituation
JP2656684B2 (ja) * 1991-06-12 1997-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US6196355B1 (en) * 1999-03-26 2001-03-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rescue system
US6516922B2 (en) * 2001-05-04 2003-02-11 Gregory Shadkin Self-generating elevator emergency power source
CN1213938C (zh) * 2001-10-17 2005-08-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EP2141108B1 (en) * 2007-03-27 2016-1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ake device for elevator
JP5547866B2 (ja) * 2007-06-19 2014-07-1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誘導電動機駆動装置、電動機駆動システム、及び昇降システム
US8191689B2 (en) * 2009-06-19 2012-06-05 Tower Elevator Systems, Inc. Elevator safety rescue system
US8714312B2 (en) * 2009-06-19 2014-05-06 James L. Tiner Elevator safety rescue system
JP6237474B2 (ja) * 2014-05-30 2017-11-29 株式会社明電舎 エレベータのかご移動制御装置およびかご移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9657A (en) * 1966-05-09 1969-09-30 Salvatore Sgroi Automatic emergency relevelling device for lifts
JPS6027626B2 (ja) * 1977-06-10 1985-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停電時の交流エレベ−タの運転制御装置
US4220222A (en) * 1977-07-18 1980-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landing apparatus in service interruption
JPS5878975A (ja) * 1981-11-02 1983-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JPS5889572A (ja) * 1981-11-16 1983-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4995B2 (ko) 1992-10-16
US4662478A (en) 1987-05-05
JPS60262783A (ja) 1985-12-26
KR860000209A (ko) 198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771B1 (ko) 엘리베이터의정전운전제어장치및방법
JP49865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42014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9456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operation in elevator system
KR10094769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860000666B1 (ko) 교류에레베이터의 운전장치
KR900001580B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US4787021A (en) Current-type converter apparatus
JPH07157211A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EP0303717A1 (en) DRIV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TOR.
US4713595A (e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US4441584A (en) AC Elevator control system
US4133413A (en) Elevator safety device
JPH0724467B2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US4661757A (en) Controller for AC elevator
JPS6246474B2 (ko)
JPS5844592B2 (ja) エレベ−タセイギヨホウシキ
JP200617625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669761B2 (ja) エレベータ運転装置
JPH0631138B2 (ja) 交流エレベータ用停電時自動着床制御装置
US3448364A (en) Elevator motor control system including dynamic braking with motor field excitation
US1611091A (en) Elevator-control system
KR920001001Y1 (ko)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JPH0132127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22128144A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