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01Y1 -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001Y1
KR920001001Y1 KR2019860016894U KR860016894U KR920001001Y1 KR 920001001 Y1 KR920001001 Y1 KR 920001001Y1 KR 2019860016894 U KR2019860016894 U KR 2019860016894U KR 860016894 U KR860016894 U KR 860016894U KR 920001001 Y1 KR920001001 Y1 KR 920001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al amplifier
deceleration
speed
inpu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949U (ko
Inventor
송승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6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001Y1/ko
Publication of KR880007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66B1/3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with AC powered eleva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제2도의 (a), (b)는 본 고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a)-(e)는 종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일반적인 교류형 승강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OP1, OP2 : 연산증폭기 VPG : 속도검출전압
VK : 부하검출 기준전압 C1 : 콘덴서
본 고안은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부하 감속시에 발생하는 속도 과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감속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에 사용되는 교류모터의 동기속도는 인가되는 AC전원의 주파수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실제의 교류모터의 회전속도는 모터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변환된다.
따라서 제4도와 같이 구성된 교류형 승강기에 있어서, 평형추(52)의 무게는 케이지(51)의 무게와 케이지(51)내에 수용하려는 승객수 정원의 1/2에 해당되는 무게와 합이 일치되도록 설정하기 때문에 케이지(51)에 정원수의 승객이 탑승한 경우에 하강운전을 하게 되면 모터(55)에는 모터의 운전방향과 같은 방향의 부하토크가 걸리게 된다.
이런 상태를 경부하 상태라고 하고 케이지(51)에 승객이 정원의 1/2이 탑승하여 케이지(51)의 총무게와 평형추(52)의 무게가 동일한 경우를 평형부와, 경부하의 반대조적인 경우를 중부하 상태라고 한다.
여기서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제어 방식을 설명하면, 가속시에는 전력제어부 (57)를 제3도의 (b)와 같이 구성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3상 전원중 S상을 SCR(TH1, TH2)에 의하여 제어하여 공급하므로서 요구하는 속도로 가속되게 하고 감소기는 제3도의 (c)와 같이 구성되도록 절환하여 전원의 S, T상을 SCR(TH1, TH2)과 다이오드 (D1, D2)로 구성한 정류회로에 의하여 전파 정류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므로서 교류 모터를 직류 제동시켜서 감속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SCR(TH1, TH2)에 의하여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제어하므로서 요구하는 속도로 감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중부하 운전시에는 감속시 직류제동 전류를 인가하지 않아도 지연감속이 되므로 적은 직류제동 전류로서 감속이 되지만 경부하 운전시에는 직류제동 전류를 인가하지 않으면(중력가속도에 의하여)제3도의 (d)에서 곡선(B)과 같이 승강기의 속도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모터속도 곡선(A)으로 감속시키려면 많은 직류제동 전류를 흘려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직류제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3도의 (d)에서와 같이 감속개시점(TS)에서 가속에서 감속으로 절환되면 기준속도지령(VS)을 계단상으로 감소시키고 그때의 실제속도를 검출한 속도검출전압(VPG)과의 차이에 해당하는 감속전류 지령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감속 개시점에서는 승강기의 부하상태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감속지령이 발생된다.
여기서 감속지령은 감속개시지령 계전기에 의하여 발생 제어되는 것이다.
감속지령 계전기는 계전기 제어반에 구성되는 계전기로서 케이지(51)가 주행중 목적층(정차등록층)에 도달하기까지의 감속거리를 감안한 시점(감속 개시점)에서 동작하여 제3도의 (d)와 같이 기준속도 지령의 단계적 감소 및 이에 따른 감속지령(직류제동 전류)제어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전기이다.
이 감속개시 지령 계전기는 상기 제어를 위하여 케이지 주행중에는 온상태로 유지하여 폐쇄되고 감속개시점(TS)에서 계전기가 감속개시 지령제어를 위해 동작됨에 따라 오프되어 개방되는 a접점을 포함한다.
따라서 평형부하시를 기준으로 감속지령이 발생되도록 하여 두면 경부하시에는 승강기의 속도가 곡선(B)을 따라서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속도검출전압(VPG)도 증가하여 기준속도지령(VS)과의 차이가 커져서 그 증가분에 해당하는 감속지령을 더 발생시켜서 승강기를 제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승강기가 일단 곡선(B)을 따라서 증가한 후에 감속지령도 증가 때문에 제3도의 (e)와 같은 과도부분이 발생하여 감속특성이 나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구성의 연산장치는 제3도(a)와 같이 연산증폭기(OP1)를 저항 (R1-R5)으로서 차동증폭기로 구성하고, 입력단자(-)에는 기준속도 지령전압 (VS)을 입력하고 입력단자(+)에는 속도발전기(56)에서 발생되는 실제 승강기의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검출전압(VPG)과 감속 바이어스 전압(VD)을 입력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감속 바이어스 전압(VD)은 일정하게 설정하여 두며, 연산증폭기 (OP1)의 출력전압(VPBS)은 감속지령을 사용한다.
이 감속지령전압(VPBS)이 클수록 직류제동 전류가 크게 된다.
이러한 차동증폭기 회로는 연산증폭기(OP1)의 입력(+)과 입력(-)의 전압차이를 저항(R1-R5)에 의하여 결정되는 차동증폭 회로의 이득으로 증폭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행중인 승강기를 제동하여 감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는 실제 승강기의 속도를 검출한 속도검출전압(VPG)을 인가하고 입력(-)에는 기준속도 지령전압(VS)을 인가하고 제3도의 (d)와 같이 기준속도 지령전압(VS)을 계단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감속개시점(TS)이후에는 승강기가 경부하 운전인 경우에 속도가 방향 (B)으로 진행하고 기준속도 지령전압(VS)은 계단상으로 낮아져서 그 차이 전압만큼이 연산증폭기(OP1)에서 증폭되어 감속지령전압(VPBS)이 출력되고 이 지령전압에 해당하는 직류제동 전류가 승강기 모터에 인가되게 하여 제3도 (d)에서 곡선(B)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승강기의 속도를 곡선(A)방향으로 진행하게 한다.
그러나 승강기의 모터에 인가되는 직류제동 전류를 조정하는 감곡지령전압 (VPBS)이 적으면 충분히 승강기를 제동하지 못하여 승강기의 속도곡선에 과도현상이 발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경부하의 감속시에는 과도현상이 발생되어 승강기의 승객이 목적층에 정지할 때에는 케이지가 덜컹하는 느낌을 받게 되어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더우기 과도현상에 의한 기계적 구조에 피로를 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부하시에 부하정도에 따른 감속지령을 감속개시점에서부터 인가되도록 하므로서 감속시 과도현상을 해소하므로서 승강기의 승객이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기계적 구조의 피로를 배제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는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 장치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은, 기준속도 지령전압(VS)입력단자를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 연결하고, 속도검출전압(VPG)입력단자는 연산증폭기 (OP1)의 입력(+)에 연결하되,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는 감속 바이어스 전압(VD)입력단자가 연결된 속도제어용 연산장치에 있어, 속도검출전압(VPG)입력단자를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에 연결하되, 부하검출 기준전압(VK)단자를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감속개시 지령 계전기의 a접점(S1)을 통해서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 연결하되, 콘덴서(C1)로 접지하여 된 구성으로서, 상기 감속개시 지령 계전기는 통상의 계전기 제어반에 구성되는 계전기로서 케이지(51)가 주행중에 목적층(정차 등록층)에 도달하기까지의 감속거리를 감안한 시점(감속 개시점 : TS)에서 동작하여 케이지(51)의 감속개시를 지령하는 계전기이다.
이 감속개시지령 계전기는 다수의 상시 폐쇄 또는 개방접점을 포함하는바, 이들 접점중 케이지 주행중에는 온상태를 유지하여 폐쇄되고 감속개시점(TS)에서 케이지 (51)를 감속시키기 위한 지령을 위하여 감속개시 지령 계전기가 동작하면 오프되어 개방되는 a접점(S1)을 본 고안 회로구성에서 연산증폭기(OP2)출력과 콘덴서(C1)사이에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는, 승강기가 경부하 운전을 하면 평부하 운전시보다 속도가 증가된 상태로 운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도에서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인 속도검출전압(VPG)이 입력(-)인 부하검출 기준전압(VK)보다 크므로 그 차이 전압이 연산증폭기(OP2)에 의하여 증폭되어 출력단에 나타난다. 주행중에는 접점(S1)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콘덴서 (C1)에는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전압이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감속개시점에 이르러 접점(S1)이 개방되면 콘덴서(C1)는 제2도와 같은 곡선으로 방전되고, 이 전압이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 출력인 감속지령전압(VBDS)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것보다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만큼 더 큰 전압이 출력되게 한다.
따라서 제3도의 (d)에서 승강기의 속도가 방향(B)으로 진행하기전에 부하정도에 따라서 그에 해당하는 만큼의 직류제동 전류를 더 증가시켜서 제동하기 때문에 승강기 속도의 과도현상을 훨씬 제거할수가 있다.
따라서 경부하시 직류제동 전류는 제2도의 (a)와 같이 과도현상이 생기지 않는 평형부하시 보다도 더 많은 직류제동 전류가 감소개시점에서 인가되기 때문에 승강기의 감속시 과도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일수가 있다.
한편, 평형부하시나 중부하시에는 제1도에서 속도검출전압(VPG)이 부하검출 기준전압(VK)보다 낮아서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이 OV가 되어 콘덴서(C1)에는 전압이 충전되지 않으므로 과도현상 보상을 행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경부하 감속시 발생하는 과도현상을 감속개시시점에서 부하상태에 맞도록 직류제동 전류를 더욱 증가시켜 제거하므로서 감속특성을 양호하게 하므로서 승강기 승차감이 좋고 승강기의 기계적 구조에 충격발생을 감소시켜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1)

  1. 기준신호(VS)입력단자를 연산증폭기(OP1)에 입력(-)에 연결하고, 속도검출전압(VPG)입력단자는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 연결하되,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는 감속바이어스 전압(VD)입력단자가 연결된 속도제어용 연산장치에 있어서, 속도검출전압(VPG)입력단자를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에 연결하되, 부하검출 기준전압(VK)단자를 연산증폭기(OP2)의 입력(-)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은 감속개시 지령 계전기의 a접점(S1)을 통해서 연산증폭기(OP1)의 입력(+)에 연결하되, 콘덴서(C1)로 접지하여 된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KR2019860016894U 1986-10-31 1986-10-31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KR920001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894U KR920001001Y1 (ko) 1986-10-31 1986-10-31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894U KR920001001Y1 (ko) 1986-10-31 1986-10-31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49U KR880007949U (ko) 1988-06-29
KR920001001Y1 true KR920001001Y1 (ko) 1992-02-08

Family

ID=1925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894U KR920001001Y1 (ko) 1986-10-31 1986-10-31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0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949U (ko) 198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09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비상 운전 방법 및 장치
US4713595A (e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GB2111251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n ac powered lift
US4094385A (en) Levelling apparatus for AC elevator
JPS6054227B2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KR900008057B1 (ko)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00001580B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자동착상 장치
US4779708A (en)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KR920001001Y1 (ko) 교류형 승강기의 속도 제어장치
US3599754A (en) Motor control system
US4661757A (en) Controller for AC elevator
JPS6246474B2 (ko)
US4238005A (en) Decel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vator
US3948357A (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decelerating control
JPH0664853A (ja) エレベーターのレベル制御装置
JPH0550435B2 (ko)
JPH0930745A (ja) ロープ式リニア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KR9300099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259510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H05213543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570047A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5932388B2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750384Y2 (ja) 交流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KR820000151B1 (ko) 교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S64139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