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69B1 - 복사기 - Google Patents

복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469B1
KR900001469B1 KR1019850002111A KR850002111A KR900001469B1 KR 900001469 B1 KR900001469 B1 KR 900001469B1 KR 1019850002111 A KR1019850002111 A KR 1019850002111A KR 850002111 A KR850002111 A KR 850002111A KR 900001469 B1 KR900001469 B1 KR 90000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paper
toner image
stop time
paper
copy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622A (ko
Inventor
마사히꼬 히사지마
유다까 시게무라
요시노리 마끼우라
미쓰야 이시도
Original Assignee
미타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미타 요시 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미타 요시 히로 filed Critical 미타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47Plural types handl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
제1도는 복사기의 내부 기구를 명시하는 개략도이다.
제2도는 구동력 전달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3도는 블럭도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사기 2 : 광학계
3 : 반송부 4 : 복사처리부
6 : 검출수단 11 : 구획판
12 : 상부실 13 : 하부실
14 : 콘택트글라스 16, 17 : 급지카세트
18 : 받음대(Tray) 22, 23, 24 : 평면반사경
25 : 렌즈 26 : 평면반사경
31, 32 : 급지로울러 33, 34 : 급지로
35a, 35b : 레지스트로울러 36 : 반송로울러
37 : 반송벨트 38 : 가열정착로울러
39 : 배출구로울러 41 : 감광체드럼
42 : 대전챠아저 43 : 현상장치
44 : 전사챠아저 45 : 분리챠아저
46 : 클리너 50 : 메인모우터
50' : 더블 스프로킷 51 : 급지제 1체인
52 : 급지제 2체인 53 : 리턴클러치
54 : 드럼체인 55 : 클러치
31', 32', 35a', 35b' : 스프링 클러치
SOL1, SOL2, SOL3, SOL4 : 솔레노이드
56 : 클러치체인 57 : 노광체인
58 : 미터구동아암 P : 복사지
PS1, PS2, PS8, PS9 : 스윗치
본 발명은 복사기에 관계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고상(orignal image)에 대응하는 토우너상(toner image)을 복사지위에 전사(transfer)시킨후, 가열정착장치에 의해서 토우너상을 가열, 정착시키는 복사기에 관한 것이다.
원고를 주사노광(scanning and exposing)하여 원고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을 형성하며 이어서 토우너상으로 현상화 하여서 복사지 상에 전사시키며 그후에 가열하는 것에 의해 토우너상을 정착시키는 형식의 복사기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형식의 복사기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복사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요4 3
이러한 고속의 복사기라면 A3판 원고의 등배복사를 매분 25매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A4판 원고로 환산하면 매분 50매가 되고 정착장치로서는 A4판의 복사지를 매분 50매를 가열정착시키는데 충분한 능력을 필요로하고, 필연적으로 정착장치의 가열원에 대 전류를 유입시키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축소복사를 실시할 경우에는 원고의 주사노광 속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통상적으로 복사지를 세로로 통하게 해서(길이방향으로 반송하는 상태)사용하는 것이기때문에 정착장치의 능력으로서 가로로 통하게 해서 (짧은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태) A4판으로 환산하여 매분 40매 이상을 가열, 정착시키는데에 충분한 능력을 필요로 하고 이 경우에는 정착장치의 가열원에 대 전류를 유입시키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가정용 콘센트(plug socker)는 통상 전류용량이 작은 것이기 때문에 복사기 전체로서의 소요전류가 많으면 일반가정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게되고, 혹은 일반가정에서의 사용을 가능케하기 위하여는 정착장치의 가열원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고, 정착장치에 대응하는 복사매수로까지 복사속도를 감소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복사빈도가 높은 비교적 소판의 복사기의 복사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사기의 구성으로는 원고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토우너상에 현상화하며 토우너상을 복사지 위에 전사하고 그후에 가열하여 정착장치에 의하여 토우너상을 정착시키는 복사기에 있어서 복사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광학계에 의한 원고의 주사 노광동작 종료후로부터 복귀동작개시까지의 동안에, 가열정착장치에 복사지가 공급되지 않는 제1의 정지시간을 부여하며, 광학계의 복귀동작종료후 다음의 원고에 대한 주사노광동작개시까지의 동안에 가열정착장치에 복사지가 공급되지 않는 제2의 정지시간을 부여하는 정지시간 설정수단을 설치하며, 다시 복사지가 대판임을 표시하는 검출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정지시간설정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있다.
이하 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복사기의 내부기구를 명시하는 개략도이다. (1)은 복사기 본체이고, 구획판(11)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실(12)과 하부실(13)로 구획되어 있고, 상부실(12)안에 원고의 주사노광용의 광학계(2)가 설치되고 하부실(13)안에 복사지 반송부(3), 복사지(p)상에 복사장(copied image)을 형성하는 복사처리부(4) 및 복사지(p)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광학계(2)로서는 발광체 및 곡면반사경(concave reflector)로 구성되는 광원(light source)(21) 및 평면반사경(22)(23)(24), 렌즈(25) 및 평면반사경(26)을 가지며, 광원(21) 및 평면반사경(22)(23)(24)을 화살표 방향 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
또한 복사처리부(4)로서는 도면중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photoreceptor durm)(41)의 주위에 대전 챠아저(corona charger)(42), 현상장치(43), 전사 챠아저(tranafer charger)(44), 분리챠아저(sepasation charger)(45) 및 클리너(46)를 이 순서대로 배설하여 있고, 대전챠아저(42)에 의하여 균일하게 대전시킨 감광체드럼(41)의 외면에 원고상을 결상시켜서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에 현상장치(43)에 의하여 토우너상으로 현상화시키고 잔사 챠아저(44)에 의하여 토우너상을 복사지(P)상에 전사하고 잔류 토우너를 클리너(46)로 회수하도록 한 구성이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벨트상의 감광체를 사용한 것 등 종래부터 공지되어 온 다른 구성의 복사처리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수단(6)으로서는 복사기본체(1)의 급지 카세트(16)(17)삽입용 공간의 안쪽부분에 리이드스윗치를 복수개 부착하고 있는 동시게 각 급지 카세트(16)(17)의 선단부 소정위치에 리이드스윗치 구동용의 마그넷을 부착한 구성이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급지 카세트에 의하여 직접 마이크로스윗치등을 구동시키는 등 다른 구성인 검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도는 구동력 전달로를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메인모우터(50)의 더블 스프로킷(50')에 급지 제1체인(51) 및 드림체인(54)을 걸고 다시 급지 제1체인(51)에 추종하여 작동하는 급지 제2체인(5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급지 제2체인(52)를 각각 스프링 클러치(31')(32')(35a')(35b')를 끼워지게 하여서 급지 로울러(31)(32), 레지스트로울러(35a)(35b)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리턴클러치(53)에 걸어맞추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스프링 클러치(31')(32')(35a')(35b')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OL1)(SOL2)(SOL3)(SOL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드럼체인(54)을 감광체드럼 스프로킥(41')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주사 노광용의 클러치(55)에 걸어맞춤시키고, 나아가서 클러치(55)를 클러치 체인(56)을 개재시켜서 노광체인(57)과 걸어맞춤 시키고 있다. 그리고 노광체인(57)과 걸어맞춤되는 미러구동아암(mirror driving aem)(58)에 광원(21) 및 평면 반사경(22)(제1도 참조)를 부착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미러구동아암(58)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소정거리를 격리시켜서 스윗치(PS1)(PS2)를 설치하고, 스윗치(PS1)의 작동에 의해 광학계(2)(이하, 광원(21), 평면반사경(22)(23)(24)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가 호옴포지션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 스윗치(PS2)의 작동에 의하여 급지타이밍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제3도는 블록도이며, 프린트 키이 입력신호, 축소복사 선택신호, 상단 또는 하단
이상의 구성인 복사기의 동작에 관하여 제4도 및 제5도의 플로우챠아트(flow chart)를 참조하면서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복사기 전체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이며, 전원투입 후에 스텝 ①에 있어서 복사기의 조작패널에 부착된 프린트 키이(도시하지 않음)가 "ON"이 되면 스텝 ②에서 광원(21)을 점등시키고, 스텝 ③에서 복사지(P)가 레지스트로울러(35a)에 송달되어 스윗치(PS8)가 "ON"이 되는 것을 기다린다.(즉 제1차 급지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그리고 스윗치(PS8)가 "ON"이 되면 스텝 ④에서 클러치(55)를 "ON"으로 만들어 광학계(2)를 구동시키고, 스텝 ⑤에서 대전챠아저(42)에 통전하고, 스텝 ⑥에서 스윗치(PS2)가 "ON"이 되는 타이밍(급지 타이밍)을 기다린다. 그리고 스윗치(PS2)가 "ON"이 되면 스텝 ⑦에서 솔레노이드(SOL4)를 작동시킨 것으로서 레지스트로울러(35a)를 회정시켜서 2차 급지를 시작하고, 스텝 ⑧에서 전사챠아저(44)에 통전하기까지의 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이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사챠아저(44)에 통전하고, 스텝 ⑨에서 스윗치(PS8)가 "OFF"로 된다. 즉 복사지(P)가 레지스트로울러(35a)를 다 통과할때까지 기다리고, 스윗치(PS8)가 "OFF"가 되면 스텝 ⑩에서 솔레노이드(SOL4)를 정지시키고, 스텝 ⑪에서 대전챠아저(42)에 대한 통전을 차단하고, 스텝 ⑫에서 광원(21)을 소동하고, 스텝 ⑬에서 클러치(55)를 "OFF"로3
Figure kpo00001
에 있어서 타이머로 제1의 정지시간을 설정하고, 스텝
Figure kpo00002
에서 설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만, 어느 한쪽도 아니라면 스텝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의 판별, 처리를 생략한다.
이동안 솔레노이드(SOL4)는 작동하지 않고 레지스트 로울러(35a)도 회전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복사지에 대한 25차 급지는 중단된다. 따라서 가열정착장치(38)에 대한 복사지의 공급도 중지된다.
그리고 스텝
Figure kpo00005
에 있어서 리턴클러치(53)를 "ON"으로하여 광학계(2)를 복귀시키고, 스텝
Figure kpo00006
에서 스윗치(PS1)이 "ON"이 된다.
즉, 광학계(2)가 호옴포지션에 복귀할 때까지 기다리고, 스윗치(PS1)가 "ON"이 되면 스텝
Figure kpo00007
에서 리턴클러치(53)를 "OFF"로 하여 광학계(2)를 정지시키고, 스텝
Figure kpo00008
에서 급지신호가 있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고, 없으면 그대로 복사동작이 끝나지만 급지신호가 있으면 스텝
Figure kpo00009
에서 다시 A3판의 등배복사인가 축소복사중의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고, 아무것도 아니라면 그대로 스텝 ②이하의 판별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그중의 어느 하나라면 스텝
Figure kpo00010
에서 타이머로 제2의 정지시간을 설정하고, 스텝
Figure kpo00011
에서 설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리고, 설정시간이 경가한 후에 스텝
Figure kpo00012
이하의 판별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제5도는 급지제어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 챠아트이고, 전원 투입 후 스텝 ①에서 프린트 키이가 "ON"이 되기까지 기다리고, 프린트 키이가 "ON"이 되면 스텝 ②에서 급지신호를 설정하고, 스텝 ③에서 상단의 카세트(16)를 선택했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하단의 카세트(17)를 선택하고 있으면 스텝 ④에서 급지로울러(32)용의 솔레노이드(SOL2)를 "ON"으로하여 카세트(17)로부터 복사지(P)를 송출하고 스텝 ⑨에서 스윗치(PS8)가 "ON"이 될때까지, 즉 복사지(P)가 레지스트로울러(35a)에 맞닿을때까지의 소위 1차 급지가 끝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단의 카세트(16)를 선택하고 있으면 스텝 ⑤에서 급지로울러(31)용의 솔레노이드(SOL1)를 "ON"으로하여 카세트(16)로부터 복사지(P)를 송출하고, 스텝 ⑥에서 스윗치(PS9)가 "ON"이 될때까지, 즉 복사지(P)가 레지스트로울러(35b)에 맞닿을 때까지 기다리고 그후는 스텝 ⑦에서 솔레노이드(SOL1)를 "OFF"로 하고, 스텝 ⑧에서 솔레노이드(SOL3)를 "ON"으로 함으로써 레지스트로울러(35b)에 의한 급지를 실시하고, 스텝 ⑨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소위 1차 급지가 끝나는 것을 기다린다. 그후는 스텝 ⑩에서 솔레노이드(SOL3)를 "OFF"로 하고, 스텝 ⑪에서 솔레노이드(SOL2)를 "OFF"로하고, 이어서 제4도에 표시하는 플로우챠아트에서 명백한 것처럼 솔레노이드(SOL4)를 "ON"으로하여 2차 급지를 실시한다. 그후에 스텝 ⑫에서 스윗치(PS8)가 "OFF"로 된다.
즉 복사기(P)의 뒤쪽 가장자리가 레지스트로울러(35a)로부터 송출되는 것을 기다리고, 송출되면 스텝 ⑬에서 프린트 키이가 "ON"인가 아닌가 즉, 연속 복사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연속복사이면 다시 스텝 ③이하의 판별처리를 실시하지만, 연속 복사가 아니면 스텝 ⑪에서 급지 신호를 리세트하여 급지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A3판의 등배복사 또는 축소복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A방향으로의 주사노광 후에 제1의 약간 정지 시간을 두어서 복귀 동작을 실시하고, 복귀동작후에 제2의 약간 정지시간을 두고 화살표 방향으로의 주사노광을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많은 매수의 복사동작을 실시하더라도 정착장치에 있어서의 소정시간마다 복사지가 공급되지 않는 시간, 즉 복사지 위의 토우너상을 하등에 가열장착시키지 않아도 되는 시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정착장치의 능력을 특히 높이지 않아도 양호한 가열정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A4판 등 소판의 등배복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정착 장치의 능력 그대로 매분 40매의 복사속도에 대하여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주사노광 후 복귀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동안에 제1의 정지시간만을 가지게 하는점, 혹은 복귀동작후에 주사노광을 개시하기 까지의 사이의 제2의 정지시간만을 가지게 할 수 있는 외에, A4판의 크기로 한정되는 일이 없으며 소정의 크기보다 큰 용지의 복사동작을 실시할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시간을 가지게 해도 좋고 그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판의 복사동작 또는 축소복사동작을 연속하여 실시하는 경우에 주사노광 동작과 복귀동작과의 사이에 소정의 정지시간을 가지게 함으로써 대판의 복사동작 또는 축소복사동작을 연속적으로 실시해도 정착작용의 능력을 특히 크게할 필요가 없고,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소판의 등배복사동작을 가능한 고속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원고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토우너 상으로 현상화하고, 토우너상을 복사지 위에 전사하고, 그후에 가열정착장치에 의하며 토우너상을 정착하는 복사기(1)에 있어서, 복사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광학계(2)에 의한 원고의 주사노광동작종료 후로부터 복귀동작개시까지의 동안에 가열장착장치에 복사지가 공급되지 않는 제1의 정지시간을 부여하며 광학계의 복귀동작 종료 후 다음의 원고에 대한 주사노광동작 개시까지의 동안에 가열정착장치에 복사지가 공급되지 않는 제2의 정지시간을 부여하는 동안 정지시간 설정수단과, 복사지가 대판임을 표시하는 검출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정지시간 설정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수단이 복사지의 종류를 A4판 이하의 크기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검출수단이 급지 카세트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마그넷과, 그 마그넷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리이드스윗치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기.
KR1019850002111A 1984-03-30 1985-03-29 복사기 KR900001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64986A JPS60207155A (ja) 1984-03-30 1984-03-30 複写機
JP59-64986 1984-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22A KR850006622A (ko) 1985-10-14
KR900001469B1 true KR900001469B1 (ko) 1990-03-12

Family

ID=1327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111A KR900001469B1 (ko) 1984-03-30 1985-03-29 복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73283A (ko)
EP (1) EP0159569B1 (ko)
JP (1) JPS60207155A (ko)
KR (1) KR900001469B1 (ko)
DE (1) DE357093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5138B1 (en) * 1986-07-31 1991-03-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plural types of recording sheets
JPS63210858A (ja) * 1987-02-27 1988-09-0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4825242A (en) * 1988-03-28 1989-04-25 Xerox Corporation Fusing apparatus control system
US5063415A (en) * 1989-10-13 1991-11-05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727899B2 (ja) * 1992-11-13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253046B1 (en) 2000-04-19 2001-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al fuser backup roll release mechanism
US6466751B2 (en) * 2001-03-30 2002-10-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paper feed interva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591A (en) * 1971-12-30 1974-06-28 Xerox Corp Apparatus for sensing a dimension of sheets of material to be transported through an electrostatic reproduction machine
US3926519A (en) * 1974-06-03 1975-12-16 Xerox Corp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achine
JPS5267345U (ko) * 1975-11-13 1977-05-18
JPS56132350A (en) * 1980-03-19 1981-10-16 Minolta Camera Co Ltd Copying machine
US4318612A (en) * 1980-07-10 1982-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t roll fuser temperature control
JPS5779966A (en) * 1980-11-06 1982-05-19 Ricoh Co Ltd Control device for number of copying sheet
JPS584155A (ja) * 1981-07-01 1983-01-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S5814873A (ja) * 1981-07-21 1983-01-27 Mita Ind Co Ltd 静電複写機
JPS6051518B2 (ja) * 1981-08-19 1985-11-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有機系調圧油の再生方法
JPS58217948A (ja) * 1982-06-12 1983-12-1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複写装置
JPS595233A (ja) * 1982-06-30 1984-01-12 Fuji Xerox Co Ltd 複写機用走査機構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70933D1 (en) 1989-07-13
JPS60207155A (ja) 1985-10-18
US4673283A (en) 1987-06-16
EP0159569B1 (en) 1989-06-07
EP0159569A1 (en) 1985-10-30
KR850006622A (ko) 1985-10-14
JPH0452949B2 (ko) 199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887B2 (en) Image forming device
JPH05155464A (ja) スイッチ、スイッチ付き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JPS62230539A (ja) 特定給紙容器選択装置
JP2537559Y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5162B1 (ko) 화상형성장치
US5374045A (en) Printing apparatus with deferred jam clearance
KR900001469B1 (ko) 복사기
US4652111A (e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JP3279798B2 (ja) 消色性トナー画像処理装置
EP008430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17793B2 (ja) 電子写真装置の転写装置
US4462679A (en) Electronic copying machine
JP2723543B2 (ja) 画像形成装置
JP4027260B2 (ja) 排紙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4029616A (ja) 画像形成装置
US4666286A (en) Apparatus for scanning an original
JPH0326832B2 (ko)
KR920007715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양면 복사 장치
KR910008067B1 (ko)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KR920005080Y1 (ko) 복사기 급지장치
JPH0667481A (ja) 画像形成装置
JP3002279B2 (ja) 原稿送り装置
JPH02108073A (ja) プリンタ
JP2596922B2 (ja) 複写機
JP3501696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