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67B1 -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67B1
KR910008067B1 KR1019890002482A KR890002482A KR910008067B1 KR 910008067 B1 KR910008067 B1 KR 910008067B1 KR 1019890002482 A KR1019890002482 A KR 1019890002482A KR 890002482 A KR890002482 A KR 890002482A KR 910008067 B1 KR910008067 B1 KR 91000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sette
copying
copy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353A (ko
Inventor
황낙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067B1/ko
Publication of KR90001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제1도는 종래 복사기 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 복사기 시스템의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중 A-A선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복사장치에 사용되는 용지카세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배지트레이 36 : 배지안내판
37 : 보조로울러 40 : 스프링
41 : 솔레노이드 40 : 용지카세트
51 : 모터 52 : 이송용 로울러
53 : 용지받침판
본 발명은 복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착기에서 정착된 용지의 뒷면에 다른 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양면에 복사가 가능토록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어온 복사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기(25)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Photoconductor)(28)의 표면을 골고루 대전하고 감광드럼(28)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램프(exposure lamp)(22)의 광원에 의해 원고대(Platen glass)(21)상의 원고(Original)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해 노광된다. 이 노광에 의해 4개의 반사경(23)과 렌즈(24)에 의해 축배율 등이 처리되어진 후 원고의 상(Image)과 같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감광드럼(28) 위에 생성되며, 이때 이 생성된 잠상이 현상기(27)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로 현상(develope)하여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롤러(roller)(20)에 의해서 일측에 설치된 용지카세트(26,26')에서 급지된 복사용지 위에 전사기(32)의 작용으로 감광드럼(28)상의 가시상을 복사용지(31)로 전사되게 한다.
이때 복사용지는 정전기력에 의해 감광드럼(28)에 밀착되어지며 분리기(33)는 이 밀착된 복사용지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후 불리된 복사용지를 정착부(35)의 히트롤러(heat roller) 압착로울러(pressure roller) 사이로 통과시켜면 열과 압력에 의해 복사지면에 원고의 상이 정착되어 원하는 복사가 이루어져서 배지안내판(36)을 지나 보조로울러(37)를 통과하여 배지트레이(30)에 쌓이게 된다. 한편 전사기(32)를 지난 드럼상에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토너는 청소기(clearning blade)(29)에 의해 제거되며, 잠상은 잠상제거 램프(pre-erase lamp array)(25')에 의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기에 있어서는 복사기의 양면에 복사하고저 할 때 일차로 일면에 복사를 완료하여 배지트레이(30)에 쌓인 용지를 다시 용지카세트(26, 26')에 장입하거나 수동급지판으로 삽입하여 최초 복사할시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야 했었다.
이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사기 내부의 정착부(35)와 배지트레이(30)쪽으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보조로울러(37) 사이에 상측으로 스프링(40)에 탄지되고 하측에 솔레노이드(41)에 연결된 배지안내판(36)이 솔레노이드(41)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배지트레이측과 하단에 설치된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로 복사된 용지를 선택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면 복사장치는 최초 복사를 하기 위하여 인입되는 선단부의 반대편에서부터 복사가 진행되므로 복사한 원고를 철하여 보관하고자 할 경우 선단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문서로 보관하기 위한 품위가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출된 것으로서 일차 복사되어 이송되어온 복사용지를 회전시켜 최초 인입되는 선단부터 복사를 시작할 수 있도록하여 복사되는 선단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복사기 내부의 정착부(35)와 보조로울러(37) 사이에 스프링(40)으로 탄지되는 용지안내판(36)이 솔레노이드(41)의 작동에 따라 배지트레이(30) 또는 용지이송통로(65)로 선택적으로 복사용지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지이송통로(65)의 막혀있는 끝단에 양면 복사용 센서(60)를 설치하며 상면에 용지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용지를 이송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상면에는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로울러(62)를 설치하여 복사용지를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에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로울러(62)는 용지이송통로를 막지 않도록 반달형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우선 복사용지의 일면만을 복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에 설치되는 용지카세트중 원고의 크기에 맞는 용지를 선택하여 복사키를 누르면 노광램프(22)의 광원에 의해 원고대(21)상의 원고로부터 반사된 빛으로 노광된 후 반사경(23)과 렌즈(24)에 의해 축배율이 처리되어진 원고의 상을 정전잠상이 감광드럼(28) 위에 생성되며 이때 생성된 잠상이 현상기(27)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 급지로울러(20)에 의해서 급지된 복사용지(31) 위에 전사기(32)의 작용으로 감광드럼(28)상의 가시상을 복사용지(31)로 전사하게 된다.
이후 분리기(33)에 의해 감광드럼(28)에서 분리된 복사용지(31)는 반송기(34)에 의해 이동되어 정착부(35)의 히팅로울러와 압착로울러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복사지면에 원고의 상이 정착되어진 후 배지안내판(36)을 지나 보조로울러(37)에 의해 배지트레이(30)에 쌓이게 된다.
그러나 사용도중 복사지에 양면에 복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를 작동하여 솔레노이드(41)를 작동시키면 배지안내판(36)이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최초 용지카세트에서 인입된 용지가 복사를 완료한 후 정착기(35)에서 정착되어진 용지가 배지안내판(36)에 안내되어 용지통로(65)로 인입되어지며 이때 배지로울러는 회전하여 인입되는 용지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며 배지로울러(63)의 위치는 복사기능 용지의 최단길이보다 작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며 배지로울러(63)의 구동에 의해 인입되는 복사용지(64)가 통로의 끝단에 닿을 경우 통로끝단에 설치된 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여 이후 배지로울러(63)의 구동을 중지하고 용지통로 상면에 설치된 U턴(Turn)용 픽업로울러(62)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은 회로적으로 이루어져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즉 모터(61)의 구동에 의하여 용지를 이송시킬 때에는 상측에 로울러(6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62a)에 설치된 기어(61a)와 하측로울러(62')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61b) 사이에 핀치기어(61c)를 성치하여 상기 각 로울러(62,62')의 회전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하며 상기 로울러(62,62')를 구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지이송통로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반원형의 로울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일차로 복사된 용지(64)가 최초 진행방향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U턴하여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에 이송된다.
이때 사용되는 용지카세트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반대편에는 밑면에 형성된 홈(51) 부위에 용지감지용 센서(52)가 부착된 용지스톱파(53)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최초 복사되어진 용지의 규격에 맞추어 2차로 전사하기 위하여 송출될 때 중심점을 성확히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정을 거쳐 양면 복사용 카세트에 인입된 용지는 스톱파(53)에 설치된 감지센서(52)에서 감지하게 되면 양면 복사용 픽업로울러(62)를 구동시켜 용지를 이송시켜 최초 복사된 용지의 이면이 감광드럼(20)과 맞닿게 되어 이면에 복사가 행해지게 되는데 이 때에 이루어지는 복사과정은 최초 복사한 방법과 동일한 수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복사가 완료되어 정착부(35)를 통과한 양면에 복사된 용지는 배지안내판(36)에 안내되어져 보조로울러(37)를 지나 배지트레이(30)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하여 양면 복사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지의 양면을 복사할 경우에도 최초 인입된 선단부가 맞추어진 상태에서 용지가 이송되어 복사가 되므로 복사완료된 후에 제본 또는 보관시 일측을 묶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문서로 보관시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4)

  1. 복사기의 양측에서 용지를 인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사장치에 있어서, 정착부(35)를 통과한 용지가 배지트레이(30)와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쪽으로 용지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양면 복사용 카세트(50)측으로 이송되는 용지통로(65)를 구비하며 상기 용지통로(65)의 끝단에는 인입되는 용지감시용 센서(60)를 선치하며 인입된 용지를 체크하며, 일차로 복사완료하며 인입된 복사용지를 용지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U턴하여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복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차로 복사된 용지를 양면 복사용 카세트측으로 U턴시켜 이송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로울러가 반달형상으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복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양면 복사용 용지카세트(50)는 복사가능한 용지의 최대폭 보다 크며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에는 용지의 규격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는 스톱파(5)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복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양면 복사용지 카세트(50)에 용지크기를 맞추기 위한 스톱파(53)에 용지 감지용 센서(52)를 부착하여 용지가 인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복사장치.
KR1019890002482A 1989-02-28 1989-02-28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KR910008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482A KR910008067B1 (ko) 1989-02-28 1989-02-28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2482A KR910008067B1 (ko) 1989-02-28 1989-02-28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353A KR900013353A (ko) 1990-09-05
KR910008067B1 true KR910008067B1 (ko) 1991-10-07

Family

ID=1928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482A KR910008067B1 (ko) 1989-02-28 1989-02-28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353A (ko) 199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36842A (ja) 原稿自動送り装置
US576156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jam detection for permitting completion of a copy operation
EP008430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499813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910008067B1 (ko)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KR900001469B1 (ko) 복사기
JPS6111865B2 (ko)
JPH0616194B2 (ja) 電子写真装置
KR910008068B1 (ko) 복사기의 양면 복사장치
JP3667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26832B2 (ko)
JP2780804B2 (ja) 画像形成装置
JP2758195B2 (ja) ステープラ付きソータ
JPS6017777A (ja) 転写式静電記録装置
JPH0145063B2 (ko)
JP2747377B2 (ja) 原稿供給装置
JP2004077973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16071A (ja) 原稿給送方法
JPH0413263B2 (ko)
KR920005080Y1 (ko) 복사기 급지장치
JPH022140B2 (ko)
KR0122615Y1 (ko) 전자 복사기의 복사용지 분류장치
KR920003687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급지조정장치
KR920008470B1 (ko) 원고대 이동형 복사기에서 원고 자동배출 장치
JPH032314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