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953B1 - 오 븐 - Google Patents

오 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953B1
KR900000953B1 KR1019840006740A KR840006740A KR900000953B1 KR 900000953 B1 KR900000953 B1 KR 900000953B1 KR 1019840006740 A KR1019840006740 A KR 1019840006740A KR 840006740 A KR840006740 A KR 840006740A KR 900000953 B1 KR900000953 B1 KR 90000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oor
racks
arm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18A (ko
Inventor
요시나리 시라이
쓰도무 구라나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야마노덴끼 세이조우 가부시기가이샤
후지 가와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7667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83806U/ja
Priority claimed from JP8321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52830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야마노덴끼 세이조우 가부시기가이샤, 후지 가와 야스오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2Co-operating with a door, e.g. operated by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 븐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전체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에 있어서 문이 열린 상태를 표시하는 전체사시도이다.
제3도는, 이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요부사시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제3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측면도이고, 제4도는 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제5도는 문이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제6도는 문을 다 연상태를 표시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요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븐 12 : 바깥케이스
14 : 안케이스 16 : 배소실
18 : 문 18a : 핀
20 : 하단랙 22 : 상단랙
24 : 스위치 26 : 타이머꼭지
28, 30, 40, 42 : 긴 구멍 32, 34 : 지지부재
36, 60 : 연결간 38, 50, 58 : 축
44 : 코일스프링 46, 56 : 부착부
48, 66 : 아암 52 : 앞아암
54 : 뒷아암 62, 63 : 이동공
62a, 64a : 수평공 62b, 62b : 수직공
68, 70, 72, 74 : 전기히이터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하여, 특히 배소실내에 랙(RACK)을 전면으로 끌어내기가 가능하게 수납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오븐이 예를 들면 1974년 8월 20일자로 특허된 미국특허 제3,830,2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배소실의 전면개구를 덮는 문에 그 하단부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문이 열림동작을 연동하여 랙이 전면개구측으로 끌어내어진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이와 같은 랙의 인출기구에서는 문이 열리기 시작할때에 있어서 하단랙의 전단이 문에 접촉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 염려를 피하기 위하여 이 선행기술에서는 문의 축지위치와 하단랙의 지지위치와의 간격을 크게하고 있다.
문의 축지위치와 하단랙과의 사이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이고, 그곳의 간격이 크면 클수록 그 데드 스페이스가 커지고, 배소실의 유효용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필요한 배소실의 유효용적을 확보할려고 하면, 오븐 그 자체가 대형화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충분한 실내유효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오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간단히 말하자면 배소실 내에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랙이 지지되고, 이 랙의 문의 열림동작에 연동하여 전면개구측으로 끌려나오는 오븐이고, 문이 열리기 시작할때에는 랙의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지연하도록한 오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이 열리기 시작할때에 랙이 문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랙과 문이 축지위치와의 사이의 간격을 종래에 비하여 축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배소실의 유효용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본체는 소형일지라도 충분한 배소실의 유효용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전체로서 아담한 오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배소실내에 복수개의 랙이 수납된 오븐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면 한층 유효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이동개시수단은 문부재의 축지위치에 가장 가까운, 예를 들면, 제일 하단의 랙에만 관련시켜서 설치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문이 열리기 시작할때에는. 예를 들면 제1하단의 랙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지연 내지 금지하기 때문에 절첩가능한 아암이 이용된다.
즉, 오븐은 안케이스의 양측 측면에 그 상단 또는 하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된 연결간을 포함하고, 이 연결간에는 하단랙 및 상단랙의 각각의 측단부가 연결된다.
연결간은 또한 상술한 절첩 가능한 아암에 의하여 문에 연결된다.
문이 닫힌 상태에서 그 아암은 절첩된 상태이고, 문을 여는데 따라서 이 아암은 절첩된 상태에서 직선상태로 변화된다.
이 상태 변화의 기간에는 문에 열림동작에 의한 연결간에는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그 기간에서는 랙의 전면개구 방향으로의 이동 내지 미끄러짐이 일시적으로 금지 내지 지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문이 열리기 시작할때에 제일 하단의 랙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지연 내지 금지하기 때문에 연결간에 형성된 이동공을 이용한다.
즉, 연결간에 그 긴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그 후단 이 하단랙 및 상단랙의 각각의 측단에 고착된 지지부재의 선단이 느슨하게 넣음이 가능한, 예를 들자면, L자 모양의 이동공이 형성된다.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지지부재는 연결간의 이동공의 L자의 수평공 일단에 접촉하고 있다.
문을 열어감에 따라 그 지지부재가 이동공의 L자의 수평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고, 지지부재가 그 하단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문이 열리는 힘이 연결간에 전달된다.
따라서, 지지부재 이동공의 L자와 수평공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이는 기간에서는 적어도 하단랙의 전면개구 방향으로의 이동 내지 미끄러짐이 일시적으로 금지된다.
본 발명의 한 구성은, 배소실의 전면개구를 그 양측 하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문으로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전술한 배소실 내에 하부히이터, 중간히이터 및 하부히이터를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함과 동시에, 전술한 하부히이터와 중간 히이터간에, 그리고 중간 히이터와 상부히이터간에, 전술한 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상단랙과 하단랙을 각각 설치하고, 적어도 하부랙은 전술한 문의 개방동작으로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지연을 유지하며,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구성은, 랙을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하는 연동기구를 상부가 배소실의 측면 위쪽부분에 축지하여 하부를 수평공과 수직공을 가지는 이동공을 통하여 배소실의 미끄러짐 홈으로부터 돌출한 랙의 측단부와 이동가능 하도록 걸어맞춘 연결간과, 일단부를 전술한 연결간에 축지하고, 타단부를 전술한 문에 축지한 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이 실시예의 문이 열린 상태를 표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오븐(10)은 그 앞면에 개구를 가지는 대체로 구형 모양의 바깥케이스(12)를 포함한다.
바깥케이스(12)내에는 제2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소실(16)을 규정하는 안케이스(14)가 수납된다.
배소실(16) 즉, 안케이스(14)의 전면개구는 그 하단에서 회동가능으로 지지된 문(18)에 의하여 개방되고, 혹은 폐쇄된다.
이 배소실(16)에는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이 각각 수직방향(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납된다. 그리고 바깥케이스(12)의 전면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 및 히터절환스위치로서 작용하는 스위치(24)와, 타이머 기구에 연결된 타이머 꼭지(26)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이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표시하고 요부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소실(16)은 전면에 기구를 가지는 안케이스(14)에 의하여 규정되고, 이 배소실(16)에는 하단랙(20) 및 상단 랙(22)이 수납된다.
즉 안케이스(14)의 양쪽 측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수평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28) 및 (30)이 형성된다.
하방의 긴 구멍(28)에는 그 후단이 하단랙(20)의 측단 고정된 U자 모양의 지지부재(32)의 선단이 삽통된다.
마찬가지로 상방의 긴 구멍(30)에는 그 후단이 상단랙(22)의 측단에 고착된 U자 모양의 지지부재(34)의 선단이 삽통된다.
따라서 이 긴 구멍(28),(30) 및 지지부재(32) 및 (34)에 의하여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동 내지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긴 구멍(28)은 긴 구멍(30)에 비하여 길고 또한 안케이스(14)의 전면 개구측에 뻗어있기 때문에 하단랙(20)의 이동거리는 상단랙(22)의 이동거리에 비하여 길고, 또한 하단랙(20)은 상단랙(22)에 대하여 보다 전방으로 끌어낼 수 있다.
안케이스(14)의 양측 측면에는 각각 긴쪽의 연결간(36)이, 그 상단이 축(38)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붙어있다.
연결간(36) 상부이고, 전술한 긴 구멍(28) 및 (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이 연결간(36)의 긴쪽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40) 및 (42)가 형성된다.
긴 구멍(40)에는 긴 구멍(28)을 삽통한 상술한 U자 모양의 지지부재(32)의 한쪽변의 선단이 삽통되고, 긴 구멍(42)에는 긴 구멍(30)을 삽통한 다른 U자 모양의 지지부재(34)의 다른쪽 변의 선단이 삽통된다.
그 때문에 연결간(36)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인하여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이 각각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 내지 미끄러져 움직이게 된다.
연결간(36)이 긴쪽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코일 스프링(44)의 일단이 계지되고, 이 코일스프링(44)의 타단에는 안케이스(14)의 측면에 고착된 부착부(46)에 계지된다.
따라서 연결간(36)은 이 코일스프링(44)에 의하여 정상적으로는 후방(즉 전면계구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져 있다.
연결간(36)의 긴 구멍(42)을 삽통한 지지부재(34)의 선단 및 문(18)에 형성된 부착부(56)에는 각각 아암(48)의 한쪽단 및 다른쪽단이 연결된다.
이 아암(48) 는 축(50)에 의하여 절첩가능으로 연결된 앞 아암(52)과 뒷아암(54)을 포함하고, 앞아암(52)의 일단이 축(58)에 의하여 회동 가능으로 상술한 부착부(56)에 부착되고, 뒷아암(54)의 일단이 회동 가능으로 전술한 지지부재(34)의 선단에 계지된다.
또한 이 문(18)은 그 하단에서 안케이스(14)의 양측 측면에 핀(18a)에 의하여 회동가능으로 축지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의 각부의 움직임에 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제4도에 표시하는 상태에서는 문(18)은 배소실(16)의 전면개구를 덮도록 닫혀있다.
이 상태에서는 연결간(36)이 코일스프링(44)(제3도)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져 있는 동시에 아암(48)의 앞아암(52) 및 뒷아암(54)가 축(50)의 부분에서 대략 L자 모양으로 절첩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각각의 선단이 긴 구멍(28) 및 (30)에 삽통된 지지부재(32) 및 (34)는 다같이 각각의 긴 구멍(28) 및 (30)의 최후단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재(32) 및 (34)에 의하여 지지된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은 최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5도는 문(18)이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문(18)의 열림동작에 따라서, 이 문(18)에 연결된 아암(48)의 일단이 전면개구측에 당기게 된다.
그러나 문(18)을 어느 정도 열려지더라도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L자 모양으로 절첩되어 있었던 아암(42)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신장될 뿐이고, 문(18)의 열림동작에 의한 힘은 연결간(36)에 까지 전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문(18) 열리기 시작할때에 문(18)이 일정한 열린 정도에 도달하기 까지는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은 다같이 최후방에 위치한대로이다.
그후에 문을 더 열어서 그것을 완전히 열었을 때에는 제6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변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선장된 아암(48)에 의하여 문(18)의 열림 방향의 힘이 코일스프링(44) (제3도)의 당겨지는 힘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회동된다.
이 연결간(36)의 움직임에 따라서 연결간(36)의 긴 구멍(40) 및 (42)에 삽통된 저지부재(32) 및 (34) 즉,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의 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끌어내려진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하단랙(20)이 상단랙(22)에 비하여 보다 더 전방으로 끌어 내어져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단랙(20)으로의 피조리물의 출납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문(18)이 열리기 시작할때에서는 적어도 하단랙(20) (이 실시예에서는 하단랙(20) 및 상단랙(22)의 양쪽)의 전면개구측으로 이동 내지 미끄러짐이 일시적으로 금지되거나 혹은 지연된다.
이 점에 의하여 문(18)의 축지위치(18a)과 하단랙(20)의 위치와의 간격C가 비교적 작더라도 문(18)이 열리기 시작할때에 하단랙(20)의 전단이 문(18)에 접촉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간격(C)를 종래에 비교하여 작게 만들 수 있고, 배소실(16) (제3도)내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표시하는 요부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는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간(60)과 아암(66)이 앞서 실시예의 연결간(36) 및 아암(48)로부터 변경되어져 있다.
즉, 연결간(60) 상부이고, 안케이스(14)의 긴 구멍(28) 및 (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L자 모양의 이동공(62) 및 (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간(60)의 긴쪽 방향의 어떤 위치에는 그 일단이 문(18)에 연결된 아암(66)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아암(66)은 첫 번째 실시예와는 달리 한 장의 판자모양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간(60)의 선단이 코일스프링(44)에 의하여 후방으로 잡아당겨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8도를 참조하여 특히 하단랙(20)의 움직임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문(18)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느 연결간(60)은 제8도의 실험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4)(제7도)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져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2)의 선단은 L자 모양의 이동공(62)의 수평방향의 수평공(62a)의 전단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하단랙(20)의 선단은 제8도의 "P1"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문(18)을 화살표 D 방향으로 개방해 가면 아암(66)의 일단이 그에 따라서 전방으로 당겨지고, 따라서 그 타단이 아암(66)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간(60)이 축(38)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된다.
그런데 문(18)이 열리기 시작할 때부터 제8도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문(18)의 위치까지의 사이에 아암(66) 및 연결간(60)만이 움직이고, 지지부재(32) 즉, 하단랙(20) 전단은 "P1"로 표시하는 위치에 정지한 채로 있다.
그 이유는 문(18)의 열림동작에 연동하여 연결간(60)이 전방으로 회동 되기는 하지만 연결간(60)의 L자 모양의 이동공(62)의 수평공(62a)에 삽통되어 있는 지지부재(32)는 그 초기위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18)이 열리기 시작할때에는 하단랙(20)의 선단은 또한 "P1"으로 표시하는 초기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된다.
그후에 문(18)에 제8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를 넘어서 계속 화살표 E 방향으로 열리면 연결간(60)의 선단도 제8도의 점선으로 표시하는 연결간(60)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32)는 비로소 L자 모양의 이동공(62)의 수평공(62a)의 후단에 맞닿게 된다. 문(18)이 더욱 화살표 E 방향으로 개방되면 아암(66)의 움직임에 따라서 연결간(60)이 더욱 전방으로 회동되고, 수평공(62a)의 후단에 접촉한 지지부재(32)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하단랙(20)도 그에 따라서 전방으로 끌어내어진다.
그리고 제8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문(18)의 위치까지 문(18)이 개방되면 연결간(60)도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연결간(60)의 위치까지 회동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하단랙(둘째 )의 선단은 배소실(16) (제7도)의 전면개구를 넘어서 제8도에서 "P2"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문(18)을 완전 개방한 상태 즉, 문(18)이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하단랙(20)을 위한 지지부재(32)는 연결간(60)의 L자 모양의 이동공(62)의 수직공(62b)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연결간(60)과 지지부재(32)는 이 상태에서 안정되고, 그 때문에 하단랙(20) "P2"로 표시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보호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8도에서는 상단랙(22)에 관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상단랙(22)의 움직임은 상술한 하단랙(20)의 움직임으로부터 쉽게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단랙(22)에 비하여 하단랙(20)이 보다 더 전방으로 끌어내어져 있는 점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랙(20) 및 (22)를 기지하기 위하여 랙과는 별체인 U자 모양의 지지부재(32) 및 (34)를 사용했다.
그러나 지지부재는 랙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랙을 가지는 오븐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단지 한 개의 랙이 수납된 오븐에 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랙이 하나뿐인 경우에는 연결관(36) (제3도) 또는 (60) (제7도)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아암(48) (제3도) 또는 (66) (제7도) 이 랙에 연결되면 된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은 절첩가능한 아암(48)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암(48)의 일단을 직접 지지부재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면 된다.
제7도와 같은 아암(66)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아암(66)의 일단과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유동끼움부를 형성하면 된다. 그와 같은 유동끼움부는 지지부재 혹은 아암의 일단에 L자 모양 혹은 활모양의 요부를 형성하고, 거기에 아암의 일단 혹은 지지부재의 선단을 느슨하게 넣음으로서 실현될 것이다.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히이터를 위한 전기회로의 일예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특히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오븐에서는 상단랙(22)의 상방에 한 개의 전기 히이터(68)가, 상단랙(22)와 하단랙(20)과의 사이에 2개의 전기 히이터(70) 및 (72)가 그리고 하단랙(20)의 하방에 한 개의 전기 히이터(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히이터(68)(70)(72) 및 (74)는 제9도 혹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속된다.
제9도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상부히이터(68), 중간히이터(70) 및 (72)의 직렬접속, 그리고 하부히이터(74)와 제1도의 스위치(24)의 접점(24a)과의 직렬접속이 병렬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 병렬접속이 양단에는 제1도의 타이머 꼭지(26)에 연결된 타이머 접점(26a)을 중개하여 교류전류(76)가 인가된다.
따라서 타이머 스위치에 의하여 설정시간 경과를 검출하면, 이 접점(26a)이 열리고 전체의 히이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타이머 스위치의 접점(26a)이 온(ON) 상태에서 절환스위치의 접점(24a)이 오프(OFF)되어 있을 때 즉, 상단랙(22)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부히이터(74)로의 전원이 공급은 차단된다.
환언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개의 랙만을 사용하여 배소하는 경우에는 상단랙(22)이 우선적으로 유효화 된다.
하부히이터(74)는 두 개의 랙(20)(22)을 동시에 사용할 때만 유효화 된다.
제10도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상부히이터(68), 중간히이터(70) 및 (72)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 직렬 접속은 절환 스위치의 접점(24a)와 하부히이터(74)와의 직렬접속으로 병렬적으로 접속된다.
이 제10도에 표시하는 예에서도 하부히이터(74)는 두 개의 랙(20) 및 (22)을 동시에 사용할 때만 유효화된다. 또한 배소실내에 단 하나 뿐인 랙이 수납된 오븐에서는 히이터는 그 랙의 상방의 하나뿐인 히이터, 혹은 랙을 사이에 끼고 상하 두 개의 히이터가 설치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전기히이터를 사용하는 전기 오븐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밖의 가스오븐 등 임의의 형의 오븐에 이용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문의 개방시에 이 문이 어느 정도 개방되지 않고서는 랙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문의 개방시에 랙이 문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랙이 배소실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문의 개방개시 때에는 랙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어느 정도의 문의 개방후에 랙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문의 개방개지때에 랙의 선단부가 문의 내면에 충돌하기도 하고, 개방불능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랙과 문의 축지위치와의 사이의 간격을 종래에 비하여 축소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비교적 소형이면서 충분한 실내유효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면에 개구를 가지는 동시에 내부에 배소실(16)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재(12,14)와, 전술한 배소실(16)내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랙(20,22)과, 전술한 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회동이 가능하게 하단부를 축지한 문부재(18,18a)와, 전술한 문부재의 개폐에 연동되어서 전술한 랙(20,2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 이동수단과, 전술한 문부재가 일정한 각도로 개방되고 나서, 전술한 랙 이동수단을 동작시키며, 전술한 랙(20,22)를 외부에 이동시키도록한 이동 개시 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랙(20,22)과 전술한 문부재(18,18a)와를 연결하는 아암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이동개수 수단은 전술한 아암부재와 전술한 랙(20,22)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문부재가 일정한 각도로 개방될 때 까지는 전술한 문부재의 동작을 전술한 랙 이동수단에 전달되지 않게한 전달저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19840006740A 1983-11-16 1984-10-29 오 븐 KR900000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66783U JPS6083806U (ja) 1983-11-16 1983-11-16 オ−ブント−スタ−
JP58-177667 1983-11-16
JP??58-177667 1983-11-16
JP832184A JPS60152830A (ja) 1984-01-19 1984-01-19 オ−ブント−スタ−
JP??59-8321 1984-01-19
JP59-8321 1984-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18A KR850004018A (ko) 1985-07-01
KR900000953B1 true KR900000953B1 (ko) 1990-02-19

Family

ID=2634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740A KR900000953B1 (ko) 1983-11-16 1984-10-29 오 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37373A (ko)
KR (1) KR900000953B1 (ko)
CA (1) CA12711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26749S (en) * 1999-08-24 2000-06-20 Maytag Corporation Oven rack
US6112916A (en) * 1999-08-24 2000-09-05 Maytag Corporation Oven rack
BR0203687B1 (pt) * 2002-08-27 2011-10-18 arranjo de prateleira para forno.
ITMI20040715A1 (it) * 2004-04-08 2004-07-09 De Longhi Spa Forno ad alimentazione elettrica in particolare per la cottura o il riscaldamento di cibi
KR100641432B1 (ko) * 2005-07-25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의 도어 개폐 구조
US7954424B2 (en) * 2005-10-28 2011-06-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ull depth rack
KR101512512B1 (ko) 2007-11-15 2015-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EP2060852A1 (en) * 2007-11-19 2009-05-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abinet apparatus having a magnetic connection between a door and an inner movable receptacle
KR101437981B1 (ko) * 2008-01-02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의 랙 자동 이동 장치
BRMU8801927Y1 (pt) * 2008-09-01 2017-04-18 Electrolux Do Brasil S/A estrutura de articulação de haste de prateleira deslizante
DE102009000654A1 (de) * 2009-02-06 2010-08-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vorrichtung
US8308250B2 (en) * 2009-05-11 2012-11-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ack system for an appliance
BRPI1104204A2 (pt) 2011-08-15 2013-08-06 Electrolux Do Brasil Sa sistemas de prateleiras deslizantes para um forno
US20130167830A1 (en) * 2012-01-04 2013-07-04 Uni-Splendor Corp. Grill Moving Mechanism for Oven
BR102013001676B1 (pt) * 2013-01-23 2021-08-10 Electrolux Do Brasil S.A Mancal de tração e articulação da haste do conjunto de prateleiras deslizantes
DE102015211495B4 (de) * 2015-06-22 2017-12-14 BSH Hausgeräte GmbH Hebevorrichtung und Geschirrspülmaschine
US10712018B2 (en) * 2016-07-15 2020-07-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wer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KR102572684B1 (ko) 2019-01-11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681250B1 (en) 2019-01-11 2021-08-1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0145767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680555B1 (en) 2019-01-11 2022-08-1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N110793323A (zh) * 2019-11-15 2020-02-14 陈晓生 升降式固化箱
BE1029035B1 (de) * 2021-01-21 2022-08-22 Miele & Cie Gargerät mit einer aus einem Garraum des Gargeräts ausfahrbaren Gargutträgeraufnahme
US12035845B1 (en) 2023-04-26 2024-07-16 Sharkninja Operat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oking pizz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4227A (en) * 1930-02-11 1935-03-12 Moray Virgil Willis Mechanical movement device for ovens and the like
US1958348A (en) * 1932-07-15 1934-05-08 Raley Odis Automatic projecting means for oven trays
US2319651A (en) * 1939-10-13 1943-05-18 Cribben And Sexton Company Oven drawer and door mechanism
US2263473A (en) * 1941-03-24 1941-11-18 Crown Stove Works Broiler oven
GB562323A (en) * 1943-01-29 1944-06-27 Ernest Strother Davi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oking stoves
US2576252A (en) * 1947-06-04 1951-11-27 Conner Leon Oven
US2806463A (en) * 1954-12-30 1957-09-17 Stainless Metal Products Inc Barbecue grill and oven
US2943497A (en) * 1956-03-07 1960-07-05 Dixie Products Inc Toggle linkage
US2987363A (en) * 1957-12-13 1961-06-06 Charles L Morse Cooking oven
US3106202A (en) * 1959-01-16 1963-10-08 Arthur A Arduna Oven with rack operating mechanism
US3024344A (en) * 1960-10-03 1962-03-06 Gen Electric Oven thermostat protector
US3830220A (en) * 1973-07-16 1974-08-20 J Demetreon Oven rack opera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71100A (en) 1990-07-03
US4637373A (en) 1987-01-20
KR850004018A (ko) 198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953B1 (ko) 오 븐
EP2940411B1 (en) Refrigerator
US20090294441A1 (en) Cylindrical Microwave Oven
KR900006622B1 (ko) 토스터 오븐
KR100753731B1 (ko) 냉장고
CN114076472B (zh) 冰箱
US11808516B2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4497513A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EP3441679B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KR100498116B1 (ko) 그릴
KR100804272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US6104001A (en) Springless adjustable bread guard, and heating appliance including same
US20230251019A1 (en) Refrigerator with dual swing door
WO2019166358A1 (en) An oven comprising french style doors
KR100420350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실 개폐장치
EP2370735B1 (en) Oven with illumation switch integrated in a door hinge
KR100420351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그릴실 개폐장치
JP2005098558A (ja) 冷蔵庫
KR100783174B1 (ko) 김치냉장고
US11585540B2 (en) Cooking device
KR100294457B1 (ko) 조리용 그릴
WO2023232107A1 (zh) 微波炉的联锁装置和微波炉
JPH0674468A (ja) 加熱庫の扉開閉装置
KR0142007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18224796A (zh) 制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