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790B1 -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790B1
KR900000790B1 KR1019860003277A KR860003277A KR900000790B1 KR 900000790 B1 KR900000790 B1 KR 900000790B1 KR 1019860003277 A KR1019860003277 A KR 1019860003277A KR 860003277 A KR860003277 A KR 860003277A KR 900000790 B1 KR900000790 B1 KR 90000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lass vessel
glass
vessel
join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961A (ko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Priority to KR101986000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790B1/ko
Publication of KR87000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4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로서의 용기소재와 바닥소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2도는 용기소재에 바닥소재를 접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용기소재에 바닥소재가 접합된 양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바닥소재 가공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5도는 제1도의 용기소재에 제4도의 바닥소재를 접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에서의 용기소재에 바닥소재가 접합된 양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소재 2 : 오목홈
3 : 플랜지 4 : 바닥소재
5 : 실리콘패킹 6 : 홀더
7 : 받침대 8 : 가압로울
8' : 볼록부 9 : 만곡홈
10 : 교축금형
본 발명은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몸체는 유리이고 바닥이 금속재로 된 용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보 제347호 공고번호 77-62호의 "내열성 유리 주전자"를 통하여 제안된 바 있다.
이 종류 용기는 유리의 특성으로 인한 청결함을 얻을 수 있고, 금속재 바닥으로 인하여 파열이 방지되고, 열전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어서 주전자, 약탕기, 커피포트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종류 용기는 유리로 된 용기 소재와 금속재 바닥사이에 내열성 합성수지를 충전시켜 접합하는 이른바 접착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접착제의 열변형에 의해 누수된다거나 접합면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등 수명이 길지 못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와는 달리 새로운 방식으로 용기소재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유리제의 용기소재(1)은 그 하단부에 오목홈(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 하방 가장자리를 플랜지(3)을 이루게 된다.
바닥소재(4)는 알미늄이나 스텐레이스로 된 것으로 레이스(Race) 모양이 되도록 편칭하여 만들어진다.
용기소재(1)는 하측에 실리콘패킹(5)를 끼운 채로 바닥소재(4)에 그 하단을 삽입한다.
상기 공정이 끝나면 바닥소재(4)를 용기소재(1)에 접합하는 공정이 시행되는 바, 이때 바닥소재(4)의 재질에 따라 공정상의 변화가 생긴다.
제2도 내지 제3도는 알미늄제의 바닥소재(4)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접합방법을 나타내는 실시예로서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소재(1)은 홀더(6)에 의해 보전되고, 바닥소재(4)는 받침대(7)상에 놓여진다.
홀더(6)과 받침대(7)은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용기소재(1)와 바닥소재(4)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속도는 1,000-2,000R.P.M이 양호하다.
이어서 바닥소재(4)의 외부면 측으로 가압로울(8)이 접근한다.
가압로울(8)은 용기소재(1)의 오목형(2)에 대응하는 볼록부(8')를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 볼록부(8')는 오목홈(2)를 피복하고 있는 바닥소재(4)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가압시켜 주게 된다.
이 가압로울(8)에 의해 바닥소재(4)의 외주면은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되어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용기소재(1)의 하단 외주에 바닥소재(4)가 일체로 접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닥소재(4)는 알미늄이므로 연신성이 우수하여 가압로울(8)의 가압력은 100-150Kg/㎠ 정도로 충분히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닥소재(4)의 재질이 스텐레이스인 경우에는 연신성이 낮으므로 접합공정에 변화가 생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바닥소재(4)가 스텐레이스제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바닥소재(4)는 내주에 만곡홈(9)를 갖는 교축금형(10)에 의해 가압되어 제5도의 도시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만곡되는 공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상단 가장자리를 일차로 만곡시켜 줌으로써 이후의 딥 드로잉 가공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딥 드로잉 가공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해지고 단지 가압로울(8)에 있어서 볼록부(8')의 성형위치가 달라지고, 가압력은 200-250Kg/㎠으로 높아지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딥 드로잉 가공이 끝나면 제6도의 도시와 같이 바닥소재(4)의 상단 가장자리는 용기소재(1)의 오목형(2)측으로 말려 들어가서 양소재(1)(4)는 일체로 완벽하게 접합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소재(1)의 바닥소재(4)를 접합함에 있어서 용기소재(1)의 하단 외주에 오목형(2)를 성형하여 그 하측에 플랜지(3)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용기소재(1)의 오목형(2)에 바닥소재(4)의 외주면을 딥 드로잉하여 접합시키는 것이므로 접착제 등이 필요없고,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이 생기지 않으므로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이 붙여진 용기를 실용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함에 있어서 하단 외주에 오목형(2)가 성형되고 그 하측에 플랜지(3)을 이루는 용기소재(1)에, 바닥소재(4)를 끼운 다음, 바닥소재(4)에서 용기소재(1)의 오목형(2)에 해당하는 외주면을 딥 드로잉하여 일체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KR1019860003277A 1986-04-28 1986-04-28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KR90000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277A KR900000790B1 (ko) 1986-04-28 1986-04-28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277A KR900000790B1 (ko) 1986-04-28 1986-04-28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961A KR870009961A (ko) 1987-11-30
KR900000790B1 true KR900000790B1 (ko) 1990-02-16

Family

ID=1924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277A KR900000790B1 (ko) 1986-04-28 1986-04-28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961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1196A1 (en) Plastic beverage closure
KR850003010Y1 (ko) 단추
US3257024A (en) Convertible tableware
RU93048163A (ru) Пластмассовое средство закрывания
USD262267S (en) Plastic container for liquids
KR900000790B1 (ko) 유리용기에 금속재 바닥을 접합시키는 방법
US3877139A (en) Glassless mirror
KR930701322A (ko) 밀봉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25260A (ko) 단열컵
JP3961151B2 (ja) 動圧軸受
CA2212287A1 (en) A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ile-up lids, and lids obtained thereby
JPH03148429A (ja) 缶の蓋部の封緘方法
JPH0622847A (ja) やかん及び注ぎ口固定方法
JPH0335457Y2 (ko)
JPH0761434A (ja) 合成樹脂製カップ並びにその口元処理方法及び装置
JPH0336730U (ko)
JPH0341627Y2 (ko)
JPH03148492A (ja) 缶の蓋部の封緘方法
CN207202684U (zh) 一种烹饪装置
JPS5827967Y2 (ja) スキンパツケ−ジ
JPH0414176Y2 (ko)
US4742930A (en) Closure for containers
JP2003144519A (ja) 洗眼容器
JPS62200503U (ko)
JPS6220050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