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461Y1 -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461Y1
KR900000461Y1 KR2019870017036U KR870017036U KR900000461Y1 KR 900000461 Y1 KR900000461 Y1 KR 900000461Y1 KR 2019870017036 U KR2019870017036 U KR 2019870017036U KR 870017036 U KR870017036 U KR 870017036U KR 900000461 Y1 KR900000461 Y1 KR 900000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ole
connecting piece
cas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771U (ko
Inventor
김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7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461Y1/ko
Publication of KR890007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7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몸체와 덮개의 부분절개 사시도.
제3도는 소켓의 도전성 접속편이 수납된 상태 종단면도.
제4도는 소켓의 도전성 금속편이 돌출된 상태 종단면도.
제5도는 동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소켓록크손잡이안내공
3 : 걸림공 4 : 전원접속부출몰공
5 : 도전성고정접속부 6 : 걸림요홈
7 : 소켓안내절곡부 8 : 소켓
9 : 소켓본체 11 : 도전성가동접속부
12 : 접촉부 12' : 걸림돌기
13 : 전원접속부 15 : 소켓록크손잡이
16 : 걸림턱 17 : 스프링
본 고안은 충전용 밧데리를 일체로 사용하는 소형 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에 충전용 밧데리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에 충전용 밧데리를 삽입하여 소정시간 동안 충전시킨 다음 충전용 밧데리를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밧데리 수납부에 끼워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사용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이 소진되면 다시 충전장치로써 재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소형카셋트 플레이어내에 충전회로를 일체로 내장하여 자체 충전토록 한 것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에 내장된 충전회로에 전원(AC 110V)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 즉, 전원콘센트에 끼워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를 돌출 및 몰입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나, 그 소켓을 콘센트에 삽입할 때 소켓과 콘센트간의 접촉에 따라 소켓이 밀려들어가서 콘센트의 전원에 완전하게 연결되지 않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폐단을 패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에 일체로 내장된 충전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켓의 전원접속부를 돌출시켜 전원콘센트에 삽입함에 있어서 소켓을 록킹시킴으로써 소켓이 밀려 들어가지 않고 전원콘센트의 전원에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한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케이스로서 몸체부(A)와 뚜껑부(B)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구조와 외부의 구조 및 모양을 도시하지 않았다.
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소켓록크 손잡이안내공(2)과 걸림공(3)을 천공하며, 그 인접하는 측면에는 한쌍의 전원 접속부출몰공(4)을 천공하고, 케이스(1)의 내측면에는 걸림요홈(6)과 소켓안내절곡부(7)를 보유하는 도전성고정접속편(5)을 양측에 각각 고정하여 내장된 충전회로(미도시)에 연결한다.
소켓안내절곡부(7)는 도전성고정접속편(5)의 하부에 일체로 절곡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여기서 케이스(1)는 몸체부(A)와 뚜겅부(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공(2)과 걸림공(3)은 몸체부(A)와 뚜껑부(B)에 걸쳐서 하나의 구멍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출몰공(4)은 몸체부(A)와 뚜껑부(B)의 내측면에 각각 하나씩 부착하는 것이다.
소켓(8)은 절연성 재질로 된 소켓본체(9)와, 소켓본체(9)의 양측면에 압착고정구(10)로 고정되는 도전성가동접속편(11)으로 구성되며, 그 상면에는 소켓록킹손잡이(15)가 설치된 것이다.
도전성가동접속편(11)은 상기 케이스(1)내에서 도전성 고정접속편(5)에 접촉되는 접촉부(12)와 전방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돌출되는 전원접속부(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접촉부(12)에는 상기 걸림요홈(6)에 걸리는 걸림돌기(12')를 형성한 것으로 접촉부(12)의 선단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간격이 좁아지면서 전원접속부(13)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접속부(13)와 접촉부(12)를 연결하는 절곡부(14)는 소켓본체(9)에 홈을 파서 끼워 넣는다.
소켓본체(9)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공(3)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16)이 형성된 소켓록크손잡이(15)를 상히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프링(17)으로써 항시 걸림턱(16)이 내측으로 탄압하게 설치한다.
소켓록크손잡이(15)는 그 저면에 형성된 힌지편(19)을 소켓본체(9) 상면에 형성된 힌지편(20)에 힌지핀(18)으로 연결 지지하는 것이다.
소켓(8)을 케이스(1)에 조립함에 있어서는 본체부(A)와 뚜껑부(B)를 분리하여 전원접속부 출몰공(4)에 전원접속부(13)를 삽입하며 소켓본체(9)의 양측저면이 소켓안내절곡부(7)상에 접하게 하고 소켓록크손잡이(15)가 그 안내공(2)를 통해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본체부(A)와 뚜껑부(B)를 결합하면 상기 도전성고정접속편(5)에 도전성 가동접속편(11)의 접촉부(12)가 접촉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는, 소형카셋트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이 소켓(8)이 케이스(1)내부로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한다.
사용에 따라 내장된 충전용 밧데리(미도시)의 전원이 소진되어 충전을 하는 경우에는, 제3도의 상태에서 소켓록크손잡이안내공(2)에서 돌출된 소켓록크손잡이(15)를 손가락으로 밀면 소켓(8)은 소켓안내절곡부(7)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전지하게 된다.
이때 소켓록크손잡이(15)는 그 후단부분을 눌러서 걸림턱(16)이 소켓록크손잡이안내공(2)에 걸리지 않도록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전진시킨다.
소켓(8)이 전진함에 따라 도전성 가동접속편(11)의 전원접속부(13)가 출몰공(4)을 통해 돌출되어 나오게 되며 소켓(8)이 완전히 전지된 상태에서는 도전성고정접속편(5)의 걸림요홈(6)에 도전성가동접속편(11)의 접촉부(15)는 스프링(17)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되면서 걸림턱(16)이 케이스(1)에 천공된 걸림공(3)에 들어가서 걸리게 된다(제4도 및 제5도 참조).
이 상태에서 도전성가동접속편(11)의 전원접속부(13)를 콘센트(미도시)에 삽입함에 있어서는 전원접속부(13)에 밀어 넣으려 하는 힘이 걸리더라도 소켓(8)은 상술한 바와같이 걸림요홈(6)과 걸림돌기(12'), 걸림공(3)과 걸림턱(16)에 의해 케이스(1)에 대하여 록킹되어 있으므로 소켓(8)이 케이스(1)내로 밀려들어가지 않고 전원접속부(130가 콘센트(미도시)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것이다.
전원접속부(13)가 콘센트에 삽입되면 전원은 전원접속부(13)와 일체로 된 접촉부(12)와, 이에 항상 접촉되고 있는 도전성 고정접속편(5)을 통해 내장된 충전회로에 인가되어 충전용밧데리를 충전하게 된다.
충전이 완료되어 다시 카셋트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4도 및 제5도의 상태에서 소켓록크손잡이(15)의 후단부를 눌러서 걸림부(16)를 들어올려 걸림공(3)에서 해지시킴과 아울러 후방으로 밀면 소켓(8)은 후퇴하게 되고 전원접속부(13)이 출몰공(4)에서 케이스(1)내로 몰입되며, 완전히 몰입되면 소켓본체(9)와 소켓록크손잡이(15)의 힌지편(19), (20)이 안내공(2)에 걸려서 정지하게 되는 바 이때 소켓록크손잡이(15)를 누르던 손을 때면 그 손잡이915)는 스프링(17)에 의해 회동되어 제3도의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충전을 위하여 소켓의 전원접속부를 돌출시키면 소켓은 케이스에 대하여 완전히 록킹되어 소켓의 전원접속부를 콘센트에 삽입할 때 전원접속부에 케이스내로 밀어 넣으려는 힘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소켓이 밀려들어가는 일이 없게되므로 항상 완전하게 전원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소형카셋트 프레이어의 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소켓록크 손잡이 안내공(2)과 걸림공(3)을, 그 인접하는 측면에는 한쌍의 전원 접속부 출몰공(4)을 각각 천공하고, 케이스(1)의 내측면에는 걸림요홈(6)과 소켓안내절곡부(7)가 형성된 도전성 고정 접속편(5)을 고정부착하며, 절연성 재질의 소켓본체(9)에 상기 걸림요홈(6)에 걸리는 걸림돌기(12')를 보유하며, 도전성 고정 접속편(5)에 접촉되는 접촉부(120가 전방으로 절곡연장되어 돌출되는 전원접속부(13)가 일체로 형성된 도전성 가동 접속편(11)을 고정한 소켓(8)을 소켓안내절곡부(7)에서 안내되게 케이스(1)내에 설치하고, 소켓본체(9)의 상면에는 걸림공(3)에 걸리는 걸림턱(16)이 형성된 소켓록크 손잡이(15)를 그 안내공(2)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걸림턱(16)을 상시 하향 탄압하는 스프링(17)을 설치하여서 된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KR2019870017036U 1987-09-30 1987-09-30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KR900000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036U KR900000461Y1 (ko) 1987-09-30 1987-09-30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036U KR900000461Y1 (ko) 1987-09-30 1987-09-30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771U KR890007771U (ko) 1989-05-17
KR900000461Y1 true KR900000461Y1 (ko) 1990-01-30

Family

ID=1926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036U KR900000461Y1 (ko) 1987-09-30 1987-09-30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771U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1618A (en) Battery pack charging device
KR960002919A (ko)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수납장치
KR900000461Y1 (ko) 소형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용 소켓장치
JP3591016B2 (ja) 電池収納装置
JPS647565Y2 (ko)
KR980009797U (ko) 콘센트 안전덮개
JPS6338527Y2 (ko)
JP2671668B2 (ja) 電池収容装置
JP2583858Y2 (ja) 電池等の収納装置
KR19980036169U (ko) 전자제품 작동용 리모콘의 건전지 케이스 결합구조
KR910003812Y1 (ko) 누전 방지용 건전지 케이스 덮개 장치
JPS6028383Y2 (ja) 携帯用電気機器
KR20010000803U (ko)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JPH0112777Y2 (ko)
KR900000869Y1 (ko) 카메라 일체형 vcr용 건전지 케이스
JPS6344944Y2 (ko)
US2585452A (en) Lighted compact
JP2583859Y2 (ja) 電池等の収納装置
JPH062211Y2 (ja) コンタクトピンの押圧装置
JPS625003Y2 (ko)
JPH0139395Y2 (ko)
JPH07222371A (ja) 折りたたみ式のプラグイン充電器
JPH0542616Y2 (ko)
KR940004282Y1 (ko) 휴대용 장비의 밧데리 교환장치
JP2583857Y2 (ja) 電池等の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