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702364A - 호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호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702364A
KR890702364A KR1019890701245A KR890701245A KR890702364A KR 890702364 A KR890702364 A KR 890702364A KR 1019890701245 A KR1019890701245 A KR 1019890701245A KR 890701245 A KR890701245 A KR 890701245A KR 890702364 A KR890702364 A KR 89070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coming
appearances
priority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538B1 (ko
Inventor
알코트 프레치 드웨이
Original Assignee
엘리 와이스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리 와이스,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filed Critical 엘리 와이스
Publication of KR89070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n exchang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의 호출 예비 설비를 충족시키는 관련 단자와 도식적인 스위칭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 제 2 도는 제 1 도의 단자 중 하나의 보다 상세한 도시도이며 ; 제 3 도는 제 1 도의 스위칭 시스템에 사용된 일정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Claims (33)

  1. 목록수를 가진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에 또는 하나로부터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다수의 예비 형태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발신 호출에 대해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발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착신호출에 대해,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발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착신호출에 대해,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형태가 발신 및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는, 착신호출에 대해,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형태가 우선 착신만일 경우에 상기 착신,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N개의 호출출현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N개의 호출 출현이 1 내지 N개의 연속정수로 열거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N개의 호출 출현 중 R개의 크게 - 열거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R이 커야 N과 동일한 양의 정수이며,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8. 다수의 호출 출현을 가진 목록수를 위해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다수의 예비형태 중 하나를 결정하며,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가,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 중 가장 낮게 열거된 한가한 호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발신만인 경우에 상기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발신 및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2. 모든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단자 그룹에 인입한 호출이 우선 호출로서 규정되며, 상기 단자 그룹이 상기 목록수를 가진 단자를 구비하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상기단계는,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지 않았는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가를 결정 후, 상기 결정된 예비형태가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4. 모든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단자 그룹에 인입한 호출이 우선 호출로서 규명되며, 상기 단자 그룹이 상기 목록수를 가진 단자를 구비하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지 않았는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N개의 호출 출현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N개의 호출 출현이 1 내지 N의 연속적이 정수로 열거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N개의 호출 출현 중 R개의 높게 열거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R은 기껏해야 N과 동일한 양의 정수이고, 상기 선택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7. 목록수를 가진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에 또는 하나로부터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N개의 호출 출현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N개의 호출 출현이 1 내지 N의 연속적인 정수로 열거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N개의 호출 출현 중 R개의 높게 열거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R은 기껏해야 N과 동일한 양의 정수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호출을 응답하여,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 후, 주어진 에비 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발신 호출에 대해, 상기 주어진 예비 형태가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발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상기 호출에 대해, 상기 주어진 예비 형태로 발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착신 호출에 대해,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가를 결정 후, 상기 주어진 예비 형태가 발신 및 우선 착신 호출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착신 호출에 대해, B1)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 후, B2) 상기 주어진 예비 형태가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비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22. 단자 그룹의 다수의 단자 중 하나에 호출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지 않았는지를 결정 후, 상기 호출을 취소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였는지를 결정 후, 상기 호출을 계속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방법.
  23. 목록수를 가진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에 또는 하나로부터 호출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예비 형태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반응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반응하는 제 2 수단 및 상기 하나의 호출이 예비되는 상기 제 2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수단에 의해 결정된 예비 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제 3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결정된 예비형태가 착신만인 경우에 발신 호출을 취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발신만인 경우에 착신 호출을 취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제 4 수단 및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 상기 제 4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발신 및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제 5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지를 결정하는 제 4 수단 및 상기 착신 호출이 비 - 우선 호출인 상지 제 4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예비 형태가 우선 착신만인 경우에 상기 착신, 비 - 우선 호출을 취소하는 제 5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8. 제 2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예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29.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N개의 호출 출현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N개의 호출 출현이 1 내지 N의 연속적인 정수로 열거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N개의 호출 출현 중 R개의 높게 열거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R은 기껏해야 N과 동일한 양의 정수이고,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30. 다수의 호출 출현을 가진 목록수에 호출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예비 형태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2 수단에 의해 선택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제 3 수단 및, 상기 선택된 호출 출현이 예비된 상기 제 3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수단에 의해 결정된 예비 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제 4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 중 가장 낮게 열거된 한가한 호출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32. 목록수를 가진 다수의 호출 출현 중 하나에 또는 하나로부터 호출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출 출현이 N개의 호출 출현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며, 상기 N개의 호출 출현이 1 내지 N의 연속적인 정수로 열거되어지며, 동시에 상기 N개의 호출 출현 중 R개의 높게 열거된 호출 출현이 예비되며, R은 기껏해야 N과 동일한 양의 정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의 호출 출현이 (N-R)보다 크게 열거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주어진 예비형태에 따라 상기 호출을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33. 단자 그룹의 다수의 단자 중 하나에 호출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수단과,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하지 않은 상기 결정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을 취소시키는 수단 및 상기 호출이 상기 단자 그룹에 인입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한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호출을 계속하여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처리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701245A 1987-11-06 1988-02-22 호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960001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18,105 US4907259A (en) 1987-11-06 1987-11-06 Call appearance reservation arrangement
US118,105 1987-11-06
PCT/US1988/000513 WO1989004573A1 (en) 1987-11-06 1988-02-22 Call appearance reservation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364A true KR890702364A (ko) 1989-12-23
KR960001538B1 KR960001538B1 (ko) 1996-02-01

Family

ID=2237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245A KR960001538B1 (ko) 1987-11-06 1988-02-22 호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07259A (ko)
EP (1) EP0385986B1 (ko)
JP (1) JP2812969B2 (ko)
KR (1) KR960001538B1 (ko)
CA (1) CA1331397C (ko)
DE (1) DE3851150T2 (ko)
WO (1) WO1989004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1525A (en) * 1990-04-20 1995-11-28 Hitachi Telecom Technologies, Ltd. Line status display system for telephone exchange system
CA2058814C (en) * 1991-02-27 1996-04-09 David Glenn Car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and optimal telephone call acceptance and routing
DE69332632T2 (de) * 1992-06-30 2003-06-26 Siemens Inf & Comm Networks Anrufverarbeitungssystem
TW282608B (ko) * 1993-03-05 1996-08-01 At & T Corp
US5600654A (en) * 1993-07-29 1997-02-04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call offering method for use with an analog station and an ISDN station that share a directory number
US5937049A (en) 1995-12-29 1999-08-10 Apropos Technology Service bureau caller ID collection with ISDN BRI
US5883944A (en) * 1997-02-28 1999-03-16 Lucent Technologies Inc. "Plug and play" telephone system
US5887054A (en) * 1997-02-28 1999-03-23 Lucent Technologies Inc. Play and plug telephone system
US6912273B2 (en) * 2000-12-28 2005-06-28 Siemens Communications, Inc. PBX switch incorporat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call appearance values for each primary directory number on a basic rate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358A (en) * 1976-05-24 1978-06-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Key telephone system signal priority arrangement
US4278844A (en) * 1979-03-26 1981-07-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selective call screening arrangement
JPS5970351A (ja) * 1982-10-15 1984-04-20 Fujitsu Ltd 相手話中遭遇時の通話方式
JPS59226551A (ja) * 1983-06-08 1984-12-19 Hitachi Ltd キヤツチホン着信拒否サ−ビス方式
JPS6081954A (ja) * 1983-10-11 1985-05-10 Nec Corp 割込規制方式
US4631364A (en) * 1984-02-23 1986-12-23 At&T Information Systems In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ynamically assigned station set buttons
US4646347A (en) * 1985-05-02 1987-02-2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Ringing signal reformatting circuit
JPS6259496A (ja) * 1985-09-10 1987-03-16 Fujitsu Ltd 接続規制方式
JPS62249548A (ja) * 1986-04-23 1987-10-30 Fujitsu Ltd Isdnにおける閉域ユ−ザ・グル−プのサ−ビス実現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1150T2 (de) 1995-03-30
WO1989004573A1 (en) 1989-05-18
US4907259A (en) 1990-03-06
KR960001538B1 (ko) 1996-02-01
JPH03502030A (ja) 1991-05-09
EP0385986A1 (en) 1990-09-12
JP2812969B2 (ja) 1998-10-22
CA1331397C (en) 1994-08-09
DE3851150D1 (de) 1994-09-22
EP0385986B1 (en) 199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8461A (ko) 전화 스위칭 시스템 및 전화 호 분배방법
US4048452A (en) Automatic call distribution system
KR930003779A (ko) 호출 서비스 방법 및 호출 배분기
CA2191158A1 (en) Screening of Incoming Telephone Calls Prior to Call Completion to the Destination Party
CA2150063A1 (en) Completion of Intelligent Network Telephone Calls
KR890702364A (ko) 호출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910021107A (ko) 통신장치
KR870002708A (ko) 분산제어 스위칭 시스템
KR890702399A (ko) 교환경로 보유방법 및 장치
KR930015917A (ko) 실시간으로 특정 출중계 루트의 트래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JPS6485456A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KR920015833A (ko) 자동 착신호 분배방법
JPS5610770A (en) Automatic dialing device
KR900001197A (ko) 키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인 방법 및 장치
JPS6473852A (en) Automatic voice mail switching system
KR980007376A (ko) 교환시스템의 우선통화 가입자의 호처리 서비스 방법
JPS5757075A (en) Call order control system
JP3563426B2 (ja) 電話装置における着信制御装置並びに着信制御方法
KR970019715A (ko) 자동전화교환기에서의 우선순위통화방법
KR940027430A (ko) 전자교환기에서 디지폰을 이용한 일제지령 통화방법
KR920014315A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 및 사설교환 시스템에서의 비상중계 방법
KR970031680A (ko) 자동응답기에서 원격지 알람 콜 서비스 방법
KR920011181A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내선 재다이알 방법
KR900002612A (ko) 착신 자동 외부 전환방법
KR960032943A (ko) 셀룰라 단말기의 음성정보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