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2440A -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2440A
KR890012440A KR1019890000009A KR890000009A KR890012440A KR 890012440 A KR890012440 A KR 890012440A KR 1019890000009 A KR1019890000009 A KR 1019890000009A KR 890000009 A KR890000009 A KR 890000009A KR 890012440 A KR890012440 A KR 89001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phase leg
phas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머린 잔스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아더 엠.킹
제네럴 일렉트릭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더 엠.킹, 제네럴 일렉트릭 컴패니 filed Critical 아더 엠.킹
Publication of KR89001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4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a도는 상부 및 하부 위상 레그 스위치 및 다이오드 양자로 구성된 전류 감지부를 구비한 직류대 교류 변환기 회로의 위상 레그에 대한 개략도.
제1도는 하부위상 레그 스위치 및 다이오드로 구성된 전류 감지부를 포함하느 3상 전파 브리지 변환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 변환기중 하나의 위상 레그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 제어기의 개략도.
제4도는 유동 중심점을 가진 3상 Y 결합부하에 전류를 제공하는 변환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Claims (15)

  1. 안정된 AC 전류를 다상부하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대향극성을 가진 한쌍의 DC 버스와, 각 부하위상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안정된 AC 전류의 각각의 위상을 상기 부하에 제공하는 위상 레그를 추가로 포함하는 변환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각각의 위상 레그는 하나의 극성을 가진 DC 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접속된 상부 스위치 및 상부 플라이백 다이오드와, 대향 극성을 가진 DC 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접속된 하부 스위치 및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를 포항하고 ;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내의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전류와 기준 전류에 응답하는 위상 레그궤환신호를 상기 결합된 DC 버스에 제공하기 위한 각 위상 레그내의 감지수단과 ; 상기 위상 레그의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논리역 신호를 갖도록 순간동작 조건에 의해서 결정왼 가변구파수로 바이너리 상태를 변화시켜서 제1및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온 및 오프로 토글되는 각각의 대응 위상 레그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스위치 상기 제1및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의한 수단과,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 신호의 각 주기동안 대응 위상 레그의 전체 전류에 해당하는 합성신호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상기 위상 레그 궤환신호 및 상기 제1바이너리 신호에 응답하는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류 제어기와 ; 상기 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합성신호 및 각각에 인가된 명령신호에 응답하는 회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각 전류 제어기에 각각의 아날로그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위상 레그내의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 각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며, 인가된 비례 감지 전류를 상기 결합된 DC원 버스에 제공하는 제1 및 제 2전류 감지부와 ; 상기 감지 전류로부터 위상 레그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전류 감지부에 결합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수단은 상기 전류에러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명령신호로부터 상기 합성신호를 감산하는 수단과 ;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소정의 크기 및 주파수를 가진 기준 파형과 상기 전류 에러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기는 상기 제1바이너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NOT 케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신호는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의 각 주기동안에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제1및 제2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의 로우 및 하이 상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신호를 제공하는 샘플-앤드-흘드장치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신호는 상기 각 주기내에서 상기 위상 레그 궤환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2신호는 상기 제1제어신호가 로우 상태로부터 하이상태로 변환되는 순간에 즉 유효한 전류 궤환신호를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낼 때 각 주기 내에서 제1신호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각 제어기내의 상기 회로는 상기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결합되고, 상기 변환기의 나머지 위상 레그에 대응하는 나머지 전류 제어기의 각각에 추가로 결합되어 상기 나머지 전류 제어기 각각으로 부터 각가그이 제1바이너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결합되는 OR 게이트와, 상기 OR 게이트의 출력에 결합된 하나의 입력 및 상기 제 1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결합된 다른 입력을 가진 AND 게이트와 ; 최종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각 나머지 위상 레그로부터 각각 구동된 위상 레그 궤환신호를 가합하는 수단과 ; 상기 최종신호 혹은 상기 제1의 지정 위상레그 궤환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OR 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합성신호의 제1 및 제 2 신호 각각을 제공하는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로우 및 하이 상태에 응답하는 샘플-앤드-흘드장치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 합성신호는 상기 각 주기내에서 상기 지정된 제1의 위상 레그 궤환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 2 합성신호는 상기 AND 게이트, 출력신호 상태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변화는 순간 즉, 유효한 전류 궤환 신호를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낼때에 상기 각 주기내에서 상기 제1합성 신호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합수단에 의해 발생된 출력신호의 극성을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상기 각 제어기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한쌍의 포지티브 및 네가터브 DC 입력버스와, 각 부하 위상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안정된 전류의 각각의 위상을 상기 부하에 체공하는 위상 레그를 포함하는 변환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각각의 위상 레그가 상기 하나의 극성을 가진 DC 입력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결합된 상부 스위치 및 상부 플라이백 다이오드와 상기 대향 극성을 가진 DC 입력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결합된 하부 스위치 및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Y 결합다상 부하에 안정된 AC 전류를 제공하도록 외부 구동식 아날로그 신호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제어식 PWM 변환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레그의 각각은 순간 동작 조건에 의해서 결정된 가변주파수로 바이너리 상태를 변환시켜서 상기 제어신호 주파수에서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로 토글시키는 서로 논리역 신호를 갖는 제1 및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위치 각각에 인가하는 단계와 ; 상기 하부 스위치가 도통 상태일때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의 결합된 감지 전류에 비례하는 위상 레그 궤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상기 제 1바이너리 제어신호가 로우상태일 때, 즉 유효한 전류 궤환신호를 얻을 수 없는 시간 간격에 대응할때는 상기 위상 레그 궤환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합성 신호의 제1부를 제1시간 간격내에 발생시키는 단계와 ;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가 하이상태 일때, 즉 유효한 전류 궤환신호를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낼때는 상기 합성신호의 제2부를 제2시간 간격내에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합성신호의 제 2부가 상기 제 1바이너리 제어신호가 로우상태로부터 하이상태로 변화되기 이전에 상기 합성신호의 상기 제1부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일정한 크기를 갖으며 ; 전류 에러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아날로그 명령신호로부터 상기 합성신호를 감산하는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는 소정의 크기 및 주파수로 구성된 외부 구동식 기준파형과 상기 전류 에러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발생되고, 상기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는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를 논리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위상 레그 궤환신호의 발생단계는 상기 ;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 각각의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있어서, 상기 기준파형은 양극성 3각형 펄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시간 간격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한쌍의 포지티브 및 네가티브 입럭버스와, 각 부하 위상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안정된 전류의 각각의 위상을 상기 부하에 제공하는 의상 레그를 포함하는 변환기를 구비하는데, 상기 각각의 위상 레그가 상기 하나의 극성을 가진 DC 입력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결합된 상부 스위치 및 상부 플라이백 다이오드와 상기 대향 극성을 가진 DC 입력버스와 상기 부하간에 각각 결합된 하부 스위치 및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유동 중심점을 가진 Y 결합다상 부하에 안정된 AC 전류를 제공하도록 외부 구동식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 제어식 PWM 변환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상레그의 각각은 순간 동작 조건에 의해서 결정된 가변주파수로 바이너리 상대를 변환시켜서 상기 제어신호 주파수에서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로 토글시키는 서로 논리역 신호를 갖는 체1 및 제2바이너리 신호를 상기 상부 및 하부 스위치 각각에 인가하는 단계와 ; 상기 하부 스위치가 도통 상태일때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의 결합된 감지 전류에 비례하는 위상레그 궤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지정 위상레그에 대응하는 상기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를 OR 게이트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나머지 위상레그로부터 각각 구동된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와 OR 게이팅하는 단계와 ; AND 게이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OR 게이트 출력신호를 상기 지정 위상레그로부터 구동된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와 AND 게이팅하는 단계와 ; 최종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나머지 위상 레그로부터 각각 구동된 위상 레그 궤환신호를 가합하는 단계와 ; OR 게이트 출력신호의 로우 또는 하이상태 각각에 따라, 상기 대응 위상 레그로부터의 상기 위상레그 궤환신호 또는 상기 최종신호와 동등한 스위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 AND 게이트 출력신호가 각각 로우 또는 하이상태에 따라서, 제1부 또는 제2부를 가진 합성 신호를 상기 최종신호로부터 발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데, 상기 합성신호의 상기 제l부는 상기 최종 수신된 위상레그 궤환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합성신호의 상기 제 2부는 로우로부터 하이로 AND 게이트 출력신호가 변환되기 직전에는 상기 제1부의 크기와 동일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 전류 에러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명령신호로부터 상기 합성신호를 감산하는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는 소정의 크기 및 주파수를 가진 외부 구동식 기준 파형과 상기 전류 에러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발생되고, 상기 제2바이너리 제어신호 상기 제1바이너리 제어신호와 논리역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위상 레그 궤환신호를 가합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신호가 발생되드록 가합신호의 극성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l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파형은 양극성 3각형 펄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위상레그 궤환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하부 스위치 및 상기 하부 플라이백 다이오드 각각의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0009A 1988-01-04 1989-01-04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KR890012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685 1988-01-04
US07/140,685 US4777578A (en) 1988-01-04 1988-01-04 Integrated current sensor torque control for ac motor dr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440A true KR890012440A (ko) 1989-08-26

Family

ID=224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009A KR890012440A (ko) 1988-01-04 1989-01-04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77578A (ko)
JP (1) JPH01214267A (ko)
KR (1) KR890012440A (ko)
CA (1) CA1290391C (ko)
DE (1) DE3844234A1 (ko)
FR (1) FR2626728B1 (ko)
IT (1) IT1228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080A (en) * 1987-03-20 1992-06-16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Compressor drive system
IT1228755B (it) * 1989-03-28 1991-07-0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o elettronico per la misura ed il controllo della corrente circolante su un carico elettrico induttivo.
EP0688077B1 (en) * 1989-05-09 1999-08-11 UT Automotive Dearborn, Inc. Power delivery circuit with current sensing
US4926104A (en) * 1989-10-18 1990-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speed AC drive system control for operation in pulse width modulation and quasi-square wave modes
US4965710A (en) * 1989-11-16 1990-10-23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power module
DE69025045T2 (de) * 1989-12-04 1996-05-30 Toshiba Kawasaki Kk Leistungswandler vom Brückentyp mit verbessertem Wirkungsgrad
US5180964A (en) * 1990-03-28 1993-01-19 Ewing Gerald D Zero-voltage switched FM-PWM converter
JPH04150767A (ja) * 1990-10-08 1992-05-25 Fuj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5126642A (en) * 1991-01-31 1992-06-30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Variable speed motor control
FR2674403B1 (fr) * 1991-03-18 1993-07-16 Morice Cie Traitogaz Ets Generateur pour l'alimentation d'un appareil de chauffage par induction.
US5315498A (en) * 1992-12-23 1994-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providing leading leg current sensing for control of full bridge power supply
US5343382A (en) * 1993-04-05 1994-08-30 Delco Electronics Corp. Adaptive current control
US5440218A (en) * 1994-07-13 1995-08-08 General Electric Company Reversible switched reluctance motor operating without a shaft position sensor
US5757636A (en) * 1994-12-08 1998-05-26 Pwm Drives Limited Multi-phase inverters utilizing discontinuous PWM with dead bands
US5719519A (en) * 1995-11-20 1998-02-17 Motorola, Inc. Circuit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a phase current
JP3984775B2 (ja) * 2000-04-27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装置
WO2005045654A2 (en) * 2003-11-07 2005-05-19 Asetek A/S Cooling system for a computer system
WO2006009145A1 (ja) * 2004-07-20 2006-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US7859217B2 (en) * 2004-09-03 2010-12-28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ft starter in conjunction with a single to three phase static converter
DE202005021675U1 (de) 2005-05-06 2009-10-01 Asetek A/S Kühlsystem für ein Computersystem
JP5230068B2 (ja) * 2006-01-13 2013-07-1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DE102009002903A1 (de) * 2008-12-19 2010-06-24 Robert Bosch Gmbh Belastungsverteilung für Wechselrichter
US9138818B2 (en) * 2010-08-16 2015-09-22 Emerson Electric Co. Systems and devices for performing powered threading operations
JP5170208B2 (ja) * 2010-10-22 2013-03-27 富士電機株式会社 パワー半導体デバイスの電流検出回路
US8920132B2 (en) 2010-12-30 2014-12-30 Lennox Industries Inc. Automatic blower control
US10365667B2 (en) 2011-08-11 2019-07-30 Coolit Systems, Inc. Flow-path controllers and related systems
WO2014141162A1 (en) 2013-03-15 2014-09-18 Coolit Systems, Inc. Sensors, multiplexe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related systems
US8934274B2 (en) 2012-09-20 2015-01-13 Fuji Electric Co., Ltd.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9052252B2 (en) 2013-03-15 2015-06-09 Coolit Systems, Inc. Sensors,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related systems
DE102014214840A1 (de) * 2014-07-29 2016-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Hochvolt-Bordnetzes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auf das Vorliegen einer Überlastung
US11452243B2 (en) 2017-10-12 2022-09-20 Coolit Systems, Inc. Cooling system, controllers and methods
US11662037B2 (en) 2019-01-18 2023-05-30 Coolit Systems, Inc. Fluid flow control valve for fluid flow systems, and methods
US11473860B2 (en) 2019-04-25 2022-10-18 Coolit Systems, Inc. Cooling module with leak detector and related systems
EP4150216A4 (en) 2020-05-11 2023-11-01 Coolit Systems, Inc. LIQUID PUMPING UNI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943A (en) * 1972-08-17 1975-03-11 Bell Telephone Labor Inc Converter circuit with correction circuitry to maintain signal symmetry in the switching devices
IT1074198B (it) * 1976-12-23 1985-04-17 Sits Soc It Telecom Siemens Invertitore transistorizzato a presa centrale
US4126819A (en) * 1977-07-01 1978-11-21 Kearney & Trecker Corporation Interlock circuit for complementary electronic switches
JPS56117577A (en) * 1980-02-19 1981-09-16 Toshiba Corp Controller for inverter
IT8020996A0 (it) * 1980-03-28 1980-03-28 Sits Soc It Telecom Siemens Dispositivo circuitale per rendere simmetrico il ciclo di isteresi in un alimentatore di tipo "pushpull".
DE3370107D1 (en) * 1982-09-07 1987-04-09 Hitachi Ltd Control apparatus for ac motors
US4533836A (en) * 1983-01-12 1985-08-06 Pacific Electro Dynamics, Inc. Multiple 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output voltage limiting
GB2190754A (en) * 1986-04-11 1987-11-25 Hitachi Ltd Load current detecting device for pulse width modulation inverter
US4710686A (en) * 1986-08-04 1987-12-01 Guzik Technical Enterpris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current in a motor wi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14267A (ja) 1989-08-28
FR2626728A1 (fr) 1989-08-04
US4777578A (en) 1988-10-11
IT8919012A0 (it) 1989-01-04
CA1290391C (en) 1991-10-08
DE3844234A1 (de) 1989-07-13
IT1228280B (it) 1991-06-07
FR2626728B1 (fr) 199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2440A (ko) Ac 전동기 구동 장치용 통합전류 감지 토오크 제어장치
KR920013869A (ko) 교류출력변환기의 병렬운전 제어장치
US4354223A (en) Step-up/step down chopper
KR890012439A (ko) Ac 전동기 구동장치용 집적전류 감지기
EP0420628A3 (en) Ac to dc to ac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few active switches and input and output control
KR920019053A (ko) 펄스폭 변조(pwm)콘버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880014727A (ko) Pwm 인버터 장치
KR910005545A (ko) Ac/ac 직변환기 시스템
KR930018824A (ko) 전력변환기의 제어장치
KR19990082458A (ko) 고전압 교류 대 저전압 직류 컨버터
KR100629300B1 (ko) Igbt-제어 사이리스터 ac/dc 변환기
KR870003002A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512720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및 모터전원공급방법
KR840004631A (ko) 전력 변환장치의 전류 제어방법
US6218853B1 (en) Circuit arrangement for simulating alternating current load
JPH049036B2 (ko)
WO1997050162A1 (fr) Appareil de commande de moteur
KR860007147A (ko) 교류 에레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9331684A (ja) 非絶縁形無停電電源装置
US5343379A (en) Control method for inverters having dwell times between switch conduction periods
KR870004563A (ko) 유도모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S60200770A (ja) 正弦波インバ−タ
JPH06351261A (ja) インバータ出力電流の位相検出方法
JP2681883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910000096B1 (ko) 유도 전동기의 역률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