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813Y1 -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 Google Patents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813Y1
KR890008813Y1 KR2019850009136U KR850009136U KR890008813Y1 KR 890008813 Y1 KR890008813 Y1 KR 890008813Y1 KR 2019850009136 U KR2019850009136 U KR 2019850009136U KR 850009136 U KR850009136 U KR 850009136U KR 890008813 Y1 KR890008813 Y1 KR 890008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excavator
fixing
wire rop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879U (ko
Inventor
김민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9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813Y1/ko
Publication of KR870001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엑스커베이터 2 : 암
6 : 고정고리 7 : 축공
7' : 구멍8 : 고정공
8' : 구멍 9 : 회동고리
10 : 지지대 11 : 회동핀
12 : 너트 13 : 고정핀
본 고안은 땅을 굴삭하는 기계인 엑스커베이터(Excavator)에 관한 것으로서, 버켓이(Bucket) 설치된 암(Arm)의 일측에 고리를 설치하여 이에 와이어 로우프를 걸고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커베이터는 암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킷으로서 땅을 파는 이외에도 자체 기동력과 암의 링크운동을 이용하여 비교적 가벼운 물체를 와이어로우프로 묶은 상태에서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역할도 수행해 오고 있는데, 종래에는 물체를 묶은 와이어로우프를 걸어 맬 수 있도록한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이를 바킷(4)의 치(Tooth) (5)에 걸어매는 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이 불안전하고 운반도중 치(5)에서 와이어로우프가 이탈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암이 펼쳐진 상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약간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경우에는 엑스커베이터의 전방부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되는 점과 중심이 안맞아 본체가 흔들리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위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바킷을 설치한 상단부 일측에 고리를 고정설치하여 이에 와이어로우프를 걸어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구체화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 제3도, 제4도에서와 같이 하단부에 바킷(4)를 설치하고, 실린더(3)에 의하여 펴지거나 접혀지는 암(2)을 가진 통상의 엑스커베이터(1)에 이어서, 도면 제1도,제2도에서와 같이 암(2)의 상부전면 일측에 일정한 길이를 가진 원호형 고정고리(6)와 상단부에 축공(7)및 고정공(8)을 천공하여 상기 고정고리(6)를 개폐하는 회동고리(9)를 설치함에 있어서, 회동고리(9)의 축공(7)과 고정공(8)에 각각 일치되는 구멍(7')(8')을 천공한 한쌍의 지지대(10)를 상호 대향되게 고정 접합시켜 그 사이에 회동고리(9)를 설치하면서, 회동핀(11)으로, 지지대(10)이 구멍(7')및 축공(7)을 관통하여 이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돌출된 전단부에 너트(12)로 끼워 이탈을 방지하였고, 고정핀(13)은 상기 지지대(10)의 구멍(8')및 고정공(8)을 관통하도록 하여 회동고리(9)의 회동을 방지하는 록크작용을 하도록 하는 한편, 고정고리(6)는 그 하단부를 상기 지지대(10)의 하방에 고정 접합시켜 고정고리(6)와 회동고리(9)가 서로 접점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암(2)의 전면 상부에 회동고리(9)와 고정고리(6)를 설치해 놓으므로서, 어떠한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할 때에는 먼저 와이어로우프(도시하지않음)로서 물체를 엮은 다음, 고정핀(13)을 빼내서 회동고리(9)의 잠김을 해제 개방시키고 이에 와이어 로우프를 걸면서 이를 다시 고정핀(13)으로 끼워 록크시켜 놓으면 와이어로우프가 고정고리(6)내에 위치하여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실린더(3)를 이용하여 암(2)을 최대로 접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약간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려도 종래와 같이 몸체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예를 당사의 엑스커베이터 모델 DH 07-3으로 실험한 결과 지상으로부터 최저 및 최대 사용 높이는 0.95m-5.68m이고, 바킷(4)의 치(5)에 매달을 경우 3.3톤에서 과부하가 걸리던 것이 본 고안의 고리(6)에 매달을 경우 7.6톤 까지도 거뜬하게 들어올리므로서 2배가 넘는 하중에 견딜 수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방식보다 인양능력과 인양높이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등 엑스커베이터(1)를 필요에 따라 크레인의 역할도 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암(2)의 전면 상단부 일측에 와이어로우프를 걸어 맬 수 있는 고리를 고정 부착하여서 된 물품인양고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고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원호형인 고정고리(6)와 상단부에 축공(7)및 고정공(8)을 천공한 회동고리(9)로 구성되며, 상기 축공(7)및 고정공(8)와 일치되는 구멍(7')(8')을 각각 형성한 지지대(10)를 상호 대향 설치하여 그 사이를 회동고리(9)를 설치하고, 구멍(7')(8')을 통해 회동핀(11)과 고정핀(13)을 각각 삽입하여 고정고리(6)를 개폐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KR2019850009136U 1985-07-19 1985-07-19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KR890008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136U KR890008813Y1 (ko) 1985-07-19 1985-07-19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136U KR890008813Y1 (ko) 1985-07-19 1985-07-19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879U KR870001879U (ko) 1987-03-13
KR890008813Y1 true KR890008813Y1 (ko) 1989-12-05

Family

ID=1924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136U KR890008813Y1 (ko) 1985-07-19 1985-07-19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8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879U (ko) 198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8813Y1 (ko) 물품 인양 고리를 설치한 엑스 커베이터
US3741599A (en) Grab hook
FI79075B (fi) Kran foer tunga laster, speciellt en havskran och foerfarande foer foerankrande av denna.
JPH08277086A (ja) 自動フック
JPS6022048Y2 (ja) クランクスロ−吊り具
CN212269208U (zh) 一种高安全防脱钩的起重机吊钩
JP2981429B2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
KR200200195Y1 (ko) 크레인용 걸고리
JPH048151Y2 (ko)
JP2511805Y2 (ja) クレ―ン等に使用するフックの外れ防止装置
JPH0225830Y2 (ko)
JPH0522640Y2 (ko)
JPH02300092A (ja) 消波ブロックの吊下げ具
KR100733372B1 (ko) 스크랩 버킷의 코일리프터 연결 장치
JPH0344783Y2 (ko)
JPH07488Y2 (ja) 防風雪柵展開格納装置
JPS5925839Y2 (ja) 作業機クレ−ンにおける過巻防止装置
KR200294094Y1 (ko) 크레인의 후크 고정장치
JPH0542939Y2 (ko)
JPH03200692A (ja) U字溝の吊下げ方法
JP2000145348A (ja) 掘削ロッドの吊り金具
SU1178682A1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делий с отверстием
JPS6116180Y2 (ko)
SU1402544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а траверса
JPH0116247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