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609Y1 - 어소 블록(魚巢 block) - Google Patents

어소 블록(魚巢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609Y1
KR890008609Y1 KR2019860006371U KR860006371U KR890008609Y1 KR 890008609 Y1 KR890008609 Y1 KR 890008609Y1 KR 2019860006371 U KR2019860006371 U KR 2019860006371U KR 860006371 U KR860006371 U KR 860006371U KR 890008609 Y1 KR890008609 Y1 KR 890008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
fish
present
side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690U (ko
Inventor
바 마사시 오오
Original Assignee
교와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구 도오 사까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구 도오 사까에 filed Critical 교와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06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609Y1/ko
Publication of KR8700176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6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소 블록(魚巢 BLOCK)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5도는 제3도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 B-B선 단면도.
제7도는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8도는 제7도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면부 5 : 상판부
6 : 측면부 7 : 관통공
본 고안은 해안, 하천의 완만한 경사의 법면(法面)에 쌓아올려서 사용하는 것이고, 내부에 그늘진 부분이 형성되고, 물고기의 은신처로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어소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것으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존재하고 있지만 그 일예로서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정방형상(正方形狀)으로 되어 있고, 평면으로부터보면 방형중공상(方形中空狀)이고, 그 배부의 양측으로부터 배면과 동일평면상으로 돌조(突)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블록과 인접하는 블록은 서로 돌조를 돌합(突合)시켜 병열하고, 제2단은, 하단 2개의 블록에 걸쳐서 쌓아올린다.
그래서 인접 블록은, 하단과 동일모양 돌조를 서로 돌합시키는 것처럼 쌓아올려서 차례로 상방으로 쌓아올리는 것이다.
상술한 것을, 완만한 경사의 법면으로 쌓아올리면 개구부가 상향으로 되고, 그늘이 되는 부분이 없어져서 물고기의 서식 장소로서 적당하지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불편을 해결하기위하여 제안된 것이고, 저판부에 대하여 약간 폭이 좁은 상판부를 일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설하고, 더욱 상판부를 저판부에 대하여 약간 전후방향으로 섭동한 상태에서 양측을 폐쇄하여 능형의 측면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측면부에 관통공을 천설한 것으로 인하여 이를 시공하면 법면에 대하여 상판부와 저면부가 평행상으로되고, 내부에 음부가 형성되고, 물고기의 은신처가 될수 있게되고, 서식에 꼭 알맞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 구성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1)은 저판부이고, 그 양측에는, 홈부(2)를 설치하고, 그의 상방을, 상부돌조(3)로, 하방을 하부돌조(4)로 하고, 상부돌조(3)을 하부돌조(4)보다 약간 짧게 형성하고 있다.
(5)는 상판부이고, 저판부(1)와 약간간격을 두어 대향설치하는 동시에 약간 전후방향으로 섭동한 상태에서 양측을 능형의 측면부(6) (6)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7)은 측면부(6)에 천설한 관통형이고, 도면에는 타원형으로 되어 있지만, 원형, 방형(方形)이라도 되는 것이다.
(8)은 상판부(5)의 상면에 형성된부, (9)는 기초, 10은 이음새 모르라르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시공함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블록의 저판부(1) (1)의 측부를 서로 돌합시켜서 기초(9)를 법면상에 병열하고 제1층계를 구성하고,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층계는 제1층계의 2개의 블록에 걸쳐서 제2층계의 블록이 재치되도록 하여 차례로 쌓아올리고, 홈부(2) (2)사이에 이음새 모르타르(10)를 충전하여 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는 본 고안을 상술한 바와같이 시공되기 때문에, 좌우 상하의 인접블록이 측면부(6) (6), 상판부(5) (5)에 의해서 둘러싸여진 부분은함부가 형성되고, 그함부의 상하는, 블록의 중공부(상판부(5)의 하부)가 있기때문에, 태양빛이 차탄되어서, 음부로되고, 또한 내부는 파도를 직접 받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블록의 상하 또는 관통공(7)으로부터 물고기는 자유로히 내부에 출입하고 내부는 물고기의 서식장소로 되고, 물고기의 번식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파도는 블록의 상하, 또는 관통공(7)으로부터 중공부의 내부로 들어가고 인접하는 것부터의 해수와 충돌하여 파도가 가라앉게되고, 류속이 빠른 하천에 있어서는 류속을 완화할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단의 블록에 비하여, 하단은 블록을 압압(押壓)하는 상태로 되고, 부력에 대하여도 잘 저항하여 함부로 뛰쳐나가는 일이 없고, 잘 법면을 보호하여 호안목적을 완수하는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저판부(1)의 양측에 홈부(2)를 설치하고, 그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부 돌조(3)을 약간 짧게하고, 시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부(2) (2), 상부돌조(3) (3)사이에 이음세 모르타르(10)을 충전하면, 한층 더 강고히 시공되고, 토사의 흡출도 방지하여 보다 양호한 호안으로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판부(1)에 대하여 약간 폭이 좁은 상판부(5)를 일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하고, 또한 상판부(5)를 저판부(1)에 대하여 약간 전후 방향으로 섭동한 상태에 있어서 양측을 폐쇄하고 능형의 측면부(6)을 일체로 형성하고, 측면부(6)에 관통공(7)을 천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 어소 블록.
KR2019860006371U 1986-05-08 1986-05-08 어소 블록(魚巢 block) KR890008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371U KR890008609Y1 (ko) 1986-05-08 1986-05-08 어소 블록(魚巢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371U KR890008609Y1 (ko) 1986-05-08 1986-05-08 어소 블록(魚巢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690U KR870017690U (ko) 1987-12-21
KR890008609Y1 true KR890008609Y1 (ko) 1989-11-30

Family

ID=1925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371U KR890008609Y1 (ko) 1986-05-08 1986-05-08 어소 블록(魚巢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690U (ko) 198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1402A (en) Artificial refuge reef for fish
GB1395228A (en) Buoyant element and assembly
US4776724A (en) Floating wave dissipation structure
SE453207B (sv) Ram till lock- och ramanordning for gatu- eller nedstigningsbrunn
US20040120768A1 (en) Frame type breakwater
KR890008609Y1 (ko) 어소 블록(魚巢 block)
US6561730B2 (en) Covering block for decreasing wave forces
JP2763151B2 (ja) 魚礁ブロック
JP4386553B2 (ja) 魚巣選択型人工魚礁
JPS5925944Y2 (ja) 浮消波堤
US4596103A (en) Stone set for vertical wall assemblies
JPS602256Y2 (ja) 護岸用ブロツク
KR100666117B1 (ko) 육각별 강제 인공어초
KR200409967Y1 (ko) 육각별 강제 인공어초
SU1687709A1 (ru) Сборна морска буна
KR200324511Y1 (ko) 소파블럭
JPS645491Y2 (ko)
JP3370820B2 (ja) 魚道ゲート
JPS59646B2 (ja) 浮消波堤
JPS632499Y2 (ko)
JPS6172117A (ja) 浮防波堤
JPS6042103Y2 (ja) 階段兼用魚巣ブロツク
KR910000074Y1 (ko) 관개수로용 조립식 낙수받이
SU707876A1 (ru) Лесосплавный лоток
JPS602254Y2 (ja) 護岸用ブロ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