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033Y1 -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033Y1
KR890007033Y1 KR2019860021115U KR860021115U KR890007033Y1 KR 890007033 Y1 KR890007033 Y1 KR 890007033Y1 KR 2019860021115 U KR2019860021115 U KR 2019860021115U KR 860021115 U KR860021115 U KR 860021115U KR 890007033 Y1 KR890007033 Y1 KR 890007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ing
pin
lever
vt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436U (ko
Inventor
강인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033Y1/ko
Publication of KR880014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밧데리 삽입상태를 나타낸 일예시 단면도.
제3(a)도,제3(b)도의 는 밧데리 인출시 작동상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작동상태 일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1 : 힌지핀
12 : 가이드핀 2 : 가동레버
21 : 노브 22 : 슬라이드공
23 : 장공 3 : 인장스프링체
4 : 걸림레버 41 : 경사턱
42 : 작동핀 43 : 절곡부
431 : 브래킷
본 고안은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내에 밧데리를 끼워 넣거나 빼낼때 그 걸림과 방출기능을 갖는 작동부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안출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선단에 밧데리(200)의 록크홈(201)내로 삽입될 돌출부(301)를 구비한 걸림편(300)과 노브(4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체(500)가 탄설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 자재토록 설치되므로서, 삽입된 밧데리(200)를 빼낼때에는 반드시 밧데리를 약간 내측으로 밀어넣고 노브(200)를 당기면 돌출부(301)가 록크홈(201)내의 걸림턱(202)에서 빠져 나오면서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 밧데리(200)를 놓으면 스프링체(600)의 탄성에 의해 인출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런데, 밧데리(200)의 걸림턱(202)에 미쳐 걸림편(300)의 돌출부(301)가 빠져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노브(400)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밧데리를 인출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밧데리의 빠지는 방향과 노브의 작동방향이 상호 직교되어 작동부위 전면에 걸쳐 무리한 힘이 직접 가해져서 걸림편(300)이 망실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는 것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그 작동감도 매끄럽지 못했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밧데리가 빠지는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와 이에 연동되는 걸림레버를 설치하여 작동부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작동부위에 안정을 기하며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VTR의 밧데리 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밧데리 록킹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케이스(1)의 내측벽 상부에 힌지핀(11)과 그 하방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12)이 돌출 형성됨과 동시, 상부에 노브(21)와, 측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 삽입용 슬라이드공(22) 및 그 사이에는 상하로 신장된 장공(23)을 구비한 가동레버(2)의 슬라이딩공 각각에 상기 가이드핀(12)이 결합되면서 전방에 인장스프링체(3)가 탄설되었으며, 하부에 걸림용 경사턱(41)을 구비한 걸림레버(4)의 내측면에 후방 돌출된 작동핀(42)을 상기 장공(23)내에 삽입시키고 상측 절곡부(43)의 브래킷(431)을 상기 힌지핀(11)과 회동 자재토록 결합설치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20은 밧데리, 20'는 록킹홈이고, 60은 케이스 일측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내에 밧데리(20)를 삽입할시에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밧데리(20)를 삽입하면 그 전단이 걸림레버(4)의 경사턱(41)에 닿음과 동시 힌지핀(11)을 중심으로 걸림레버가 회동하면서 경사턱(41)면이 밧데리(20)의 몸체에서 슬라이딩 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핀(42)이 장공(23)을 우측방으로 밀치면서 가동레버가 우측으로 약간 이동되면서 인장스프링체(3)는 인장된 상태이며, 이후 밧데리(20)의 록킹홈(20')상에 위치될때 가동레버(2)의 장공(23)이 인장스프링체(3)의 복귀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레버(4)가 작동핀(42)에 의해 회동되면서 도면 제3(a)도의 상태로 록킹되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밧데리(20)의 인출시에는 도면 제3(a)도에서와 같이 밧데리(20)를 내측으로 약간 밀어 록킹홈(20')내에서의 걸림레버(4)의 회동공간을 확보토록하여 노브(21)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인장스프링체(3)가 인장되면서 가동레버(2)가 가이드핀(12)의 지지 가이드로 우측방으로 회동됨과 동시 걸림레버(4)의 작동핀(42)이 가동레버의 장공(23)에 구속을 받으면서 힌지핀(1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작동핀(42)은 장공(23)의 상부에 위치케 되는 것이며, 이때 경사턱(41)이 밧데리의 록킹홈(20')으로 부터 해제되어 압축스프링체(60)의 탄성으로 밧데리(20)가 인출되도록 되는 것이며, 가동레버(2)는 인장된 인장스프링체(3)의 복귀력으로 원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노브의 작동방향과 밧데리 삽입 및 인출진행방향이 같아 작동부위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작동되어 기기에 안정을 부여하므로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휴대용 VTR의 밧데리 케이스(1)의 내부 일측에 밧데리 록킹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케이스(1)의 내측벽 상부에 힌지핀(11)과 그 하방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핀(12)이 돌출형성됨과 동시, 상부에 노브(21)와, 측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핀 삽입용 슬라이드공(22) 및, 그 사이에는 상하로 신장된 장공(23)을 구비한 가동레버(2)가 상기 가이드핀(12)과 결합되면서 전방에 인장스프링체(3)가 탄설되었으며, 하부에 걸림용 경사턱(41)을 구비한 걸림레버(4) 내측의 작동핀(42)을 상기 장공(23)내에 삽입시키고 상측절곡부(43)의 브래킷(431)을 상기 힌지핀(11)과 회동자재토록 결합 설치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KR2019860021115U 1986-12-24 1986-12-24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KR890007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115U KR890007033Y1 (ko) 1986-12-24 1986-12-24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115U KR890007033Y1 (ko) 1986-12-24 1986-12-24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36U KR880014436U (ko) 1988-08-31
KR890007033Y1 true KR890007033Y1 (ko) 1989-10-14

Family

ID=1925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115U KR890007033Y1 (ko) 1986-12-24 1986-12-24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0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436U (ko) 198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033Y1 (ko) 휴대용 vtr의 밧데리 고정장치
EP1452947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latch to hold two units in a closed position and to be operated for release
KR97000198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프리 오픈(pre-open)장치
KR0128001Y1 (ko) 평면핸들장치
KR900008689B1 (ko) 전기전자기기의 도어 고정용 래치
KR19980018021A (ko) 차량용 컵홀더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JP4209020B2 (ja) プリント基板の固定方法及び固定装置
KR930005465Y1 (ko) 비데오 칼라 프린터의 리본 카트리지 장착장치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920004383Y1 (ko)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KR900003126Y1 (ko) 전자 기기의 핸들 이동 장치
JPS6240374Y2 (ko)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JPH10179214A (ja) ベルト用バックル
KR0121384Y1 (ko) 비디오 테이프의 커버록크 해제장치
KR950008521Y1 (ko) 카세트 출입문 잠금 장치
KR940008128Y1 (ko) 소형 테이프 카세트 아답타
KR850000701Y1 (ko) 가방용 다이얼 괘정장치
JPS6031512B2 (ja) 電工用ナイフの鞘
KR900003214Y1 (ko) 서류함의 해정장치
KR940000729Y1 (ko) 단말기의 키보드 록킹장치
JP2532425Y2 (ja) 小型電子機器の蓋体
KR960006919Y1 (ko) 정보검색 단말기의 키보드 로킹장치
KR890002536Y1 (ko) Fpc콘넥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