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084Y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084Y1
KR890006084Y1 KR2019850010571U KR850010571U KR890006084Y1 KR 890006084 Y1 KR890006084 Y1 KR 890006084Y1 KR 2019850010571 U KR2019850010571 U KR 2019850010571U KR 850010571 U KR850010571 U KR 850010571U KR 890006084 Y1 KR890006084 Y1 KR 890006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lip
wafer
switch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371U (ko
Inventor
히로끼 오오바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4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24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the contact forming a part of a coi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comprising a successive blank-stamping, insert-moulding and severing opera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웨이퍼를 삽입 성형하는 후 프제의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웨이퍼 3a, 3b : 고정 리이드 단자
4 : 클립 5 : 비틀림 코일스프링
5c : 가동 접점부 6 : 슬라이드
7 : 케이스 7a : 뚫린 구멍
본 고안은 스위치, 특히 소형이고 가벼운 토크의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 종류의 스위치는 그 구성 부품으로서 고정 단자를 설치한 웨이퍼와, 이 웨이퍼의 고정단자와 이접(離接)하는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을 작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와, 이 슬라이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및 이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그리고 웨이퍼와 걸어맞추는 스위치 케이싱을 형성하는 케이스 등에 필요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그 구성 부품의 점수가 많고, 소형화가 어려우며, 또 조립작업이 복잡하여 가격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구성부품 점수를 대폭적으로 감소하며, 소형화 및 자동조립기등에 의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가격의 저렴화를 꾀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프재로 형성한 평판형상의 고정리이드 단자에 접혀서 다시 세워서 직립시켜 일체적으로 형성한 클립을 상자체의 저면에 삽입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웨이퍼와 이 웨이퍼내에 유지되어 그 권회부의 일단에 직선상의 연신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연신부와 각도차를 가지고 굴곡되고 그 자유단이 상기 클립에 협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상기 자유단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드와, 이 슬라이드의 선단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뚫린 구멍과 상기 웨이퍼와 걸어 맞추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1은 웨이퍼이며, 이 웨이퍼(1)는 제2도에 나타낸 후프재(2)로 성형되는 고정리이드 단자(3a), (3b)를 절연체로 성형된 상자체의 저면에 삽입 성형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며, 한쪽의 고정 리이드 단자(3a)에는 180도로 접고 다시 90도로 세워서 직립시킨 클립(4)이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결과적으로 웨이퍼(1)에는 당초부터 고정리이드 단자(3a), (3b) 및 클립(4)이 포함되어서 갖추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면중 5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이며,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5)의 전체 표면에 온도금이 되어 있고, 그 권회부의 일단에 직선형태의 연신부(5a)가 형성되고, 이 연신부(6a)의 선단이 권회부의 축선방향으로 굴곡되어서 후술하는 슬라이드의 억압력을 받는 받침부(5b)로 되고, 이 받침부(5b)의 선단부로 부터 권회부 방향으로 굴곡되고 또 상기 연신부(5a)와 α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 가동 접점부(5c)가 갖추어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6은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5)의 받침부(5b)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6a)를 구비한 슬라이드이며, 이 슬라이드(6)는 후술하는 케이스보다 바깥쪽상부에 선단이 돌출된다.
종래의 레버를 겸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또 이 슬라이드(6)에 의하여 받침부(5b)가 눌려져사 작동하는 가동접점부(5c)를 가진 비틀림 코일스프링(5)이 이 슬라이드(6)를 윗쪽으로 힘을 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겸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7은 상기 웨이퍼(1)와 걸어맞추서 스위치 케이싱을 구성한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7)에는 슬라이드(6)의 선단이 뚫린 구멍(7a)이 설치되며, 또 뒷면에는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5)을 누르기 위한 팽출부(7b)가 형성되고, 또 도면상에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나 비틀림 코일스프링(5)의 안내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6)를 윗쪽에서 누르면 제3(a)도 내지 제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6)의 걸어맞춤부(6a)는 축(8)에 지시된 비틀림 코일스프링(5)의 받침부(5b)와 걸어맞춰서 이것을 눌러 내린다. 이 눌러내림에 의하여 가동 접점부(5c)가 클립(4)의 협지 접점부(4a)에 삽입되어 협지된다. 이때에 비틀림코일 스프링(5)의 가동접점부(5c)는 연신부(5a)와 각도α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6)를 풀 스트로우크로 눌러내려도 그 이행거리에 비하여 클립(4)의 협지 접점부(4a)와의 접촉점 위치의 움직임이 적고, 따라서 클립(4)의 협지 접점부(4a)에 대한 면적은 작아도 족한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웨이퍼(1)에 당초부터 고정 리이드단자(3a)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클립(4)이 구비되고,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5)이 가동 접점과 복귀 수단을 겸하고 슬라이드(6)가 레버를 겸하게끔 되어 있으므로, 구성부품수가 대폭으로 감소되고 자동조립기의 사용도 가능하게 되어 조립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제품가격의 저렴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후프재로 형성된 평판형의 고정리이드 단자에 접어서 다시 일으켜서 직립시켜 일체적으로 형성된 클립(4)을 상자체의 저면의 삽입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웨이퍼(1)와, 이 웨이퍼(1)내에 유지되고 권회부의 일단에 직선형상의 연신부가 형성되고, 이 연신부와 각도차를 가지고 굴곡되어, 그 자유단이 가동접점부로 되고, 상기 클립(4)에 협지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과,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5)의 상기 자유단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드(6)와, 이 슬라이드(6)의 선단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뚫린 구멍(7a)과 상기 웨이퍼(1)와 걸어맞추는 케이스(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2019850010571U 1984-12-25 1985-08-19 스위치 KR8900060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00036 1984-12-25
JP1984200036U JPH0351868Y2 (ko) 1984-12-25 1984-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371U KR870004371U (ko) 1987-07-31
KR890006084Y1 true KR890006084Y1 (ko) 1989-09-11

Family

ID=1641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571U KR890006084Y1 (ko) 1984-12-25 1985-08-19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84775A (ko)
JP (1) JPH0351868Y2 (ko)
KR (1) KR890006084Y1 (ko)
DE (1) DE3545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29Y2 (ko) * 1985-04-22 1990-04-24
JPH0526652Y2 (ko) * 1985-08-30 1993-07-06
DK163391C (da) * 1988-01-28 1992-08-03 Mec As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tryktastomkobler og en saadan tryktastomkobler
US5199557A (en) * 1988-01-28 1993-04-06 Mec A/S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 a method of producing a key and a key
US4916284A (en) * 1989-05-08 1990-04-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hemmed joints utilizing laser welding
JP2882557B2 (ja) * 1992-02-24 1999-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19540536A1 (de) * 1995-10-31 1997-05-07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Kontaktschalter
DE10237207B3 (de) * 2002-08-14 2004-02-05 Braun Gmbh Tastschalter
US6762379B1 (en) * 2003-04-08 2004-07-13 Shin Jiuh Corp. Micro switch
US6768069B1 (en) *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CN206379297U (zh) * 2016-10-13 2017-08-04 余正明 一种带扭簧的薄型开关
CN106356233B (zh) * 2016-10-27 2018-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薄型机械式键盘开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35864A (de) * 1926-07-27 1929-10-15 Polivka Ladislav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EP0024922B1 (en) * 1979-08-31 1984-01-25 Unimax Switch Limited Snap action switches
DE2938491A1 (de) * 1979-09-24 1981-04-09 Tele Master Gmbh, 7701 Aach Federkontakt
JPS5988835U (ja) * 1982-12-06 1984-06-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イ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371U (ko) 1987-07-31
US4684775A (en) 1987-08-04
JPS61112535U (ko) 1986-07-16
JPH0351868Y2 (ko) 1991-11-08
DE3545798A1 (de) 198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084Y1 (ko) 스위치
EP0232653B1 (en) Electrical test probe
JP3202515B2 (ja)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
KR890002184B1 (ko) 스위치 웨이퍼의 제법 및 그 웨이퍼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KR940017054A (ko) 전기모터의 브러시 어셈블리
JPH05101741A (ja) プツシユスイツチ
US6162103A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nnector
US4218598A (en) Switch-latching mechanism
US4150272A (en) Push button contact mechanism for use at printed circuit cards
US3487184A (en) Overtravel mechanism for snap-action switch
US3880530A (en) Writing utensil
JPH0322827Y2 (ko)
JPH0719124Y2 (ja) 可変低抗器
JPH0343640Y2 (ko)
KR880004033Y1 (ko) 로타리 구동 슬라이드 스위치의 스톱퍼
KR890003148Y1 (ko) 스위치
KR890000051Y1 (ko) 자동 복귀형 스위치
KR920004661Y1 (ko) 콤팩트 스위치 장치
JPS6339094Y2 (ko)
KR200220227Y1 (ko) 제상용 바이-메탈 써모 스탯
JPH0112727Y2 (ko)
KR920008502B1 (ko) 코일스프링 쟉크
JPS6343698Y2 (ko)
JPS6368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