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07B1 -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07B1
KR890005307B1 KR1019860007574A KR860007574A KR890005307B1 KR 890005307 B1 KR890005307 B1 KR 890005307B1 KR 1019860007574 A KR1019860007574 A KR 1019860007574A KR 860007574 A KR860007574 A KR 860007574A KR 890005307 B1 KR890005307 B1 KR 89000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ynthetic resin
flange
tub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392A (ko
Inventor
시로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시로오 가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오 가나오 filed Critical 시로오 가나오
Publication of KR87000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시도로서, 제1도는 합성수지관의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
제2도는 연결직전의 자세를 도시한 요부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3도는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요도.
제4도는 제2압출기의 압출구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다른 합성수지관의 연결자세를 도시한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종래의 관끝부분의 이음구조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본 발명의 합성수지재료제의 관으로서, 관이 절단끝부분의 외주면상에 합성수지제의 연결용 플랜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합성수지제관에 있어서, 그 관끝부분에 연결용의 합성수지제 플랜지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양관단부의 내부에 소케트를 끼워서 연결한 다음 그 외부에 별도로 제작한 양 플랜지를 체결하는 일본 실개소50-106120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제관을 접속연결하기 위해서는 예를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수지관(01)의 끝면 개구부내에 별도로 형성한 금속제 캡링(03)의 작은 구경의 통부(03a)를 끼워넣고 이 작은 구경의 통부(03a)위에 위치하는 합성수지관(01)부분의 외주부를 금속제체결구(02)로 한곳 또는 여러곳을 체결하여 나사부(03b)를 이용하여 죄어맞추어 왔다. 이와같이 별도로 형성한 캡링(03)을 관끝부분에 끼워 연결하고 캡링(03)으로 끼워맞추는 것에 의하여 관을 연결하는 수단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연결수단은 캡링(03)의 작은 구경의 통부(03a)를 합성수지관내에 끼워넣어 연결하기 때문에 관의 내경이 작아지며 내부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 합성수지관을 전선이나 전화선등의케이블보호관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 캡링(03)의 작은 구경의 통부(03a)의 존재에 의하여 케이블을 집어넣는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문제로 되는 것은 합성수지관을 내부에 물, 약액, 공기, 가스등의 유체를 고압으로 수송하는 고압유체 수송관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캡링(03)의 작은 구경의 통부(03a)와 관(01)사이로 유체가 새어나와서 점차 분출하게 되어 완전한 밀봉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 일본 실개소50-106120이나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끝부분의 접속측에 나사부(03b)를 가진 캡링(03)을 사용할 경우에는 관을 접속시킬때 긴 합성수지관의 한쪽을 여러번에 걸쳐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캡링이용이라는 발상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접속이 극히 용이하고 접속이 용이하면서 유체가 새어나오는 등의 우려가 없는 확실한 접속이 되는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합성수지관의 구성을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도 및 제2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관벽(2)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관(1)에 있어서, 관끝부분 위치의 관벽(2) 외주면상에 합성수지재료의 엷은 대재가 여러겹으로 권회되어서 융착일체화시킨 큰 구경의 플랜지부(6)가 관벽(2)과 일체적 결합상태로 융착되어 있는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이다. 또 본 발명에서의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관벽(2)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관(1)의 절단예정위치(a)의 관축방향 양측에 걸쳐져서 플랜지부(6)의 소요폭(W)의 2배폭(2W)의 플랜지형성 예정역에 합성수지재료제의 엷은 대재(61)를 여러겹으로 권회융착하여 이 플랜지형성 예정역(2W)의 전폭에 걸쳐서 소정플랜지폭(W)의 2배폭(2W)을 갖는 수지플랜지재(6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벽(2)과 융착 일체화 시킨 다음 이 수지플랜지재(60)와 관벽(2)을 절단예정위치(a)에 따라서 동시에 절단분리한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합성수지관을 지상에서 배관하고 또는 지중에 매설하고 배관함에 있어서, 관과 관을 접속하는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6), (6)를 대향배치하고 양 플랜지부 사이에 가스킷(8)을 끼워넣는 자세로하여 플랜지부(6), (6)의 폭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보울트를 끼워넣는 연결구멍(61)…에 보울트(7)…를 끼워넣고 너트(71)…를 채워체결한다. 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쪽으로 되는 로크체결구(9)로 양 플랜지부(6), (6)를 외주부에서 강하게 눌러잡아주는 수단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도면에 의하여 먼저 제조방법의 설명을 한다. 제3도중 10은 합성수지관(1)을 제조하기 위한 축체(실시예도에서는 맨드릴)로 그 측쪽에 기단측에서 유단측으로 향하여 합성수지관(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대재(21)를 압출하는 제1압출기(11)와 소요폭(W)의 플랜지(6)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플랜지재(60) 형성용 엷은 대재(61)를 압출하는 제2압출기(12)를 순차로 배설하고 관형성대재용의 제1압출기(11)에서 압출된 대재(21)를 맨드릴(10)위로 안내하여 순차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벽이 직관상이며 외벽(2)은 나선상의 완만한 요철파형을 가지는 합성수지관(1)을 형성한다. 이 합성수지관(1)이 소정길이에 이르렀을때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로폭이 넓고 상하는 엷은 압출구(13a)가 붙는 다이(13)를 가지는 다음의 수지플랜지재 형성용 제2압출기(12)에서 소요플랜지폭(W)의 2배에 상당하는 폭(2W)보다도 약간 작은 폭을 가진 엷은 합성수지재(61)를 압출하여 관(1)의 주면위에 안내하여 합성수지관(1)의 형성이동속도와 같은 속도로 압출기(12)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관벽에 융착일체화시키는 동시에 압압로울러(14)로 그 상면을 누르면서 소요두께에 이를때까지 권회하여 수지플랜지재(6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수지플랜지재(60)의 경화후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수지플랜지재(60)의 중심선(절단예정위치)(a)에 따라서 수지플랜지재(60)와 합성수지관(1)을 동시에 절단한다. 이 절단은 상기 제2압출기(12)와 같이 절단기(도시하지 않음)를 합성수지관(1)의 형성속도에 맞추어 관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두면 관의 형성에 지장을 주지않고 절단할 수가 있다.
그 다음 필요하다면(제5도, 제6도에 도시한 플랜지부(6), (6)는 필요가 없음)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랜지부(6), (6)의 주방향 여러곳에 플랜지폭 방향으로 평행한 보울트 연결용 구멍(61)…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플랜지가 붙는 합성수지관은 이와같이 하여 형성된 구조의 관으로서, 관끝부분(4)과 플랜지부(6)의 외단면(62)이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재료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오레핀계의 합성수지, 염화비닐계의 합성수지 기타의 수지로도 좋고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관의 형성재료 및 수지플랜지재의 형성재는 모두 동질계의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융착일체화가 용이하며 확실한 점에서 유리하다.
이와같은 구조로된 관과 접속수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2도에 도시한 보울트(7)와 너트(71)에 의한 체결수단과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두쪽으로 되는 로크체결구(9)에 의한 체결수단을 대표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의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주지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합성수지관(1) 그 자체의 구조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벽을 가지지 않는 일중관이라도 좋고, 직관이어도 좋다. 또 내벽의 형상도 직관상인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요철파형의 형상도 다각형파형뿐만 아니라 반원호형파형, 삼각형파형, 사다리꼴형파형등 기타의 파형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지플랜지재(60)의 형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합성수지관(1)의형성축위에서 행하는 것이 관의 형태가 이그러지는 일이 적고 또한 수지플랜재의 형성도 용이하나 경화후의 합성수지관(1)에 대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의 수지플랜지재(60)의 형성용 수지대의 두께는 관경과 형성되는 플랜지 두께에 의하여 적의의 두께로 설정되는 것이나 2-5㎜정도 최대일지라도 10㎜정도의 엷은 것이 좋다. 이것은 방사방향으로 상당한 두께를 필요로 하는 수지플랜지재(60)를 예를들면 두꺼운 대재를 사용하여 한번 권회하는 것으로 형성하려고 하면 이음새부분을 미려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나 엷은 대상으로 여러겹을 권회형성하면 진원형상의 수지플랜지재(60)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관벽(2)의 요입부(3)와 돌출부(5)에 대한 융착도 외주부에서의 압착이 용이하여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으로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 구조 및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구비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다음에 설명되는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서 적의 개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 분명한 바와같이 물건의 발명에 있어서는 합성수지관 그 자체에 합성수지제 플랜지부가 일체적으로 융착되어 있으므로 관과 관의 접속작업을 종래에 비하여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접속부에서 관내유체등의 외부로 유출 또는 분출되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저지되므로 유체의 외부유출 혹은 분출이 없는 상태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플랜지부가 엷은 대재의 여러겹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와 관의 융착이 매우 확실하게 되어 있어 관내 대압력에 의해서도 플랜지부가 관과 분리되는 일이 없는 확실히 일체화된 구조의 플랜지가 붙은 관을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제조방법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플랜지형성 예정위치의 양측에 걸쳐져서 소정플랜지폭의 2배폭을 가진 수지플랜지재을 형성하여 이것을 관벽과 함께 절단하여 절단분리된 양 관끝부분에 플랜지부를 단번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극히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2)

  1. 관벽(2)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관(1)에 있어서, 관끝부분 위치의 관벽(2) 외주면상에 합성수지재료제의 엷은 대재가 여러겹으로 권회되어 융착일체화시킨 큰 구경의 플랜지부(6)가 관벽(2)과 일체적 결합상태로 융착되어 있는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2. 플랜지부(6)의 외단면(62)과 관(1)의 관끝부분(4)이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3. 플랜지부(6)가 폭(W)방향에 따라 보울트를 끼워넣은 연결구멍(61)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4. 관벽(2)이 요철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1)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5. 관벽(2)의 나선상 요철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1)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4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6. 관벽(2)이 직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1)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7. 관(1)과 플랜지부(6)의 형성수지재료가 동질의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
  8. 관벽(2)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있는 관(1)의 절단예정위치(a)의 관축방향 양측에 걸쳐져서 플랜지(6)의 소요폭(W)의 2배폭(2W)의 플랜지형성 예정역(2W)에 합성수지재료제의 엷은 대재(61)를 여러겹 권회 융착하여 이 플랜지형성 예정역(2W)의 전폭에 걸쳐서 소정플랜지폭(W)의 2배폭(2W)을 갖는 수지플랜지재(6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벽(2)과 융착일체화시킨 다음 이 수지플랜지재(60)와 관벽(2)을 절단예정위치(a)에 따라서 동시에 절단분리하는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9. 관(1)의 제조공정중에 플랜지형성용 수지플랜지재(60)를 동시에 형성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10. 플랜지형성용 수지플랜지재(60)를 관(1)의 제조공정중의 관형성용 축체(10)위에서 형성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 또는 제9항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11. 엷은 대재(61)의 폭이 소정플랜지폭(W)의 2배폭(2W)보다 약간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엷은 대재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12. 엷은 대재(61)의 두께가 2㎜-5㎜두께의 대재인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 기재의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9860007574A 1986-01-14 1986-09-10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KR890005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366 1986-01-14
JP61005366A JPS62165090A (ja) 1986-01-14 1986-01-14 フランジ付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JP5366 1986-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392A KR870007392A (ko) 1987-08-19
KR890005307B1 true KR890005307B1 (ko) 1989-12-20

Family

ID=1160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574A KR890005307B1 (ko) 1986-01-14 1986-09-10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2165090A (ko)
KR (1) KR890005307B1 (ko)
BR (1) BR86048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232B2 (ja) * 1988-01-30 1996-10-09 タキロン株式会社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
KR100488219B1 (ko) * 2002-01-09 2005-05-11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40045670A (ko) * 2002-11-25 2004-06-02 김학건 합성수지관 연결용 플랜지의 성형장치 및 그 구조
CN109084110A (zh) * 2017-06-13 2018-12-25 北京航天凯撒国际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管路系统快速连接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460A (en) * 1980-07-10 1982-02-04 Sumitomo Chem Co Ltd Production of disazo yellow pig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59311B2 (ko) 1991-09-10
BR8604850A (pt) 1987-03-24
JPS62165090A (ja) 1987-07-21
KR870007392A (ko) 198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3122A (en) Composite flexible conduit assembly
EP0491737B1 (en) Hose construction
US5430929A (en) Hose construction, coupling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90096372A (ko) 파형 합성수지관의 접속구조 및 상기 접속구조에 사용하는 파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AU2006288699A1 (en) Irrigation pipe comprising a multilayered pipe wall
CN1150626A (zh) 用于不同直径管的管接头和连接不同直径管的方法
KR890005307B1 (ko)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US5096528A (en) Method of forming chamfered spigot end on pipe
KR890005305B1 (ko) 합성수지제 플랜지가 붙은 코러게이트관과 그 제조방법
KR890005306B1 (ko) 합성수지제 플랜지가 붙은 코러게이트관과 그 제조방법
US4509911A (en)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JPH11210946A (ja) 可撓性ホースおよびその端部接続構造
MX2010013129A (es) Junta de tubo y metodo relacionado.
EP2390546B1 (en) Cut profile of the end of a double-walled corrugated pipe and method of and device for forming said profile
MX2011004884A (es) Aparato y metodo para sellar un canal de ventilacion de una tuberia.
JP2849640B2 (ja) 継手付波形管とその製造方法
EP0051419B1 (en) Pipe joint
KR0177851B1 (ko) 파형관의 관이음구
JPH1163353A (ja) コルゲート管の分岐管接続継手
JP2006083909A (ja) 合成樹脂製管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H0363947B2 (ko)
EP0205350A2 (en) Hose
US83989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orming an outer wall of pipe
WO2016170599A1 (ja) 可撓性ホース
JPH0727262A (ja) 波付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