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153B1 -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 Google Patents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153B1
KR890005153B1 KR8205603A KR820005603A KR890005153B1 KR 890005153 B1 KR890005153 B1 KR 890005153B1 KR 8205603 A KR8205603 A KR 8205603A KR 820005603 A KR820005603 A KR 820005603A KR 890005153 B1 KR890005153 B1 KR 89000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ard
data
transmission line
actuators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714A (ko
Inventor
세들러 칼-오토
슈미트 윌리
Original Assignee
알버트뉴만 죠아침 뭘러
블롬+보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버트뉴만 죠아침 뭘러, 블롬+보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알버트뉴만 죠아침 뭘러
Publication of KR84000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00Arrangements of guns or missile launch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 F41G5/14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for vehicle-borne guns
    • F41G5/2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for vehicle-borne guns for guns on ship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표준 플래트 폼에 장착된 장치 및 전함에 포함되어 있는 장치와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표준 정보전송선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중앙지휘통제장치, 항해장치, 전송장치 및 표준 플래트폼에 의해서 상단이 폐쇄되어 있는 콘테이너를포함하고 있는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로 구성된 다수의 표준 작동장치를 갖고, 전력공급선과 정보전송선이 구성된 다수의 표준 작동장치를 갖고, 전력공급선과 정보전송선이 중앙지휘 통제장치 및 다른 표준 작동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는 전함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타 프로세서가 표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표준 작동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관련 표준 작동장치가 다른 작동장치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데이타 프로세서는 관련 작동장치에 대한 특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호함하고 있는 다수의 데이타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및 피제어 표준 작동장치들은 기능별 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동일한 기능별 그룹에 속한표준 작동장치의 상기 데이타프로세서는 단지 디지탈된 원 정보만을 교환하고 표준 정보전송선이 여러 표준 작동장치들의 성질과는 무관하게 기능별 그룹의 표준 작동장치의 데이타프로세서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 데이타프로세서가 동일한 접속점들 및 소켓들로 장비된 표준 전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록 되어있는 전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전함(독일특허 제 2,056,069호)에 있어서, 제작공정은 무기장치, 발사제어장치, 투광조명장치, 및 /또는 위치탐지장치가 특정공장에서 함선외부에서 표준 플래트폼에 조립된 후,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표준 플래트폼이 함선의 선체에 제공된 표준 토대위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준 작동 장치의 공지된 시스템은 전함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구형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 플래트폼을 표준토대로부터 제거하여, 이것을 현대화된 장치 또는 신형장치를 구비한 플래트폼으로 교체하므로써 구형장치를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교체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대단히 짧은 수일 정도이면되나, 종래에는 교체하는데 수개월이 필요하였다. 또한 현대화된 신형장치는 특정 공장에서 적당한 표준 플래트폼에 미리 제작되어 질 수도 있다. 콘테이너의 외측에 위치한 장치, 예를들어 함선의 갑판보다 비교적 높게 장치되어야 하는 마스트(mast)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콘테이너도 전함의 적당한 위치에 하우징되어 질수 있고, 선을 통하여 원격위치에 장착된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지휘통제 장치는 함선의 내부에 있는 콘테이너에 적당히 하우징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모든 장치는 표준 작동장치이며,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체소자들은 가능한한 장치내에 간결하게 내장되므로서 많은 분해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장치의 완전교체가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표준 작동 장치는 콘테이너들 내에 하우징되며-특히 함선의 내부에 위치되지 않는 장치(예를들어 대포)가 장착되는 콘테이너는 표준 플래트폼에 의하여 상단이 각각 폐쇄되어야 한다. 또한 두개 이상의 표준토대/표준 플래트폼(예컨대, 상이한 크기를 갖는)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장치의 공지된 시스템에서 있어서는 함선 각각의 장치사이와 이 장치 및 지휘통제 장치사이에 정보전송이 대단히 많이 있어야만 하는데, 예컨대. 모든 정보를 장치와 지휘통제장치 사이에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함선내에는 약 200km의 데이타 전송 케이블이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케이블 트랙(track)이 필히 구성되어야만 하고, 케이블은 격벽(bulk head)에 고정되며, 케이블에는 플러그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상당히 많은 작업을 요할뿐만 아니라, 함선의 중량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된다. 특히, 구형 장치를 현대화된 신형장치로 교체할시에는 전류공급원에서부터 이격된 모든 케이블을 새로히 설치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표준 작동 장치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상당한 단점이되며, 몇몇의 표준 작동장치는 정보를 다른장치 또는 지휘통제 장치와 교환하기 위해서 40개 이상의 플러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와 지휘통제장치 사이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노력 및 경비를 상당히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표준 작동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준 콘테이너 특히, 표준 플래트폼에 장착된 신형의 현대화된 표준 작동자치로 교체할때에 새로운 배선을 할 필요가 없는 전기배선 표준화에 의하여 표준 작동장치, 특히 표준 토대 및 작동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 플래트 폼의 전반에 걸친 기계적 표준화가 제공된 상기의 전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준 정보전송선을 표준 플래트폼상에 배치된 작동장치의 성질과 무관하게 기능별 작동장치들 사이에 가설시키고, 전송시킬 정보를 표준 정보전송선을 통해 적당한 형태로 전송시키고, 표준 정보전송선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표준 작동장치에서 처리하기 위해 적당한 형태로 변경하도록 하기위해서 데이터프로세서를 각각의 표준 작동장치의 내측에 설치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함선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표준 토대는 표준 토대와 동일한 방법으로 함선내에 설치되고 표준 플래트폼에 의하여 표준 토대에 설치된 모든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에 의하여 보충된다.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은 예를들어서 단지 발사제어 장치만이 특정 표준 토대내에 설치시키고, 단지 수상(水上) 또는 수중(水中)무기장치만이 또 다른 표준 토대내에 설치하며 지휘통제장치, 발사제어 장치와 같은 것이 함선내의 특정위치에만 장착시키도록 개별화 되어 있다.
환언하면, 무기장치 또는 위치추적장치와 같은 단지 하나의 특정형태의 장치가 각각의 표준 토대에 설치될 수 있지만 다른 관점에 비추어보면, 장치의 형태나 특정구조는 본 발명의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 때문에 중요시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장치내에 설치된 데이타 프로세서가 모든 데이타를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에 적당한 형태로 제고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새로운 케이블을 배선할 필요가 없이 표준 플래트폼에 장치된 구형의 대포 및 발사제어장치를 신형의 것으로 교체할 수가 있다. 또한, 콘테이너내에 포함된 지휘통제 장치는 어느때라도 새로운 장치로 교체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에 제공된 데이타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공될 수 없는 원(crude)정보만이 장치들 사이에서 교환된다는 사실은 배선의 복잡성을 감축시키는 데에 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장치들 사아와 장치 및 지휘통제소 사이에서 피할 수 있는 모든 정보와 데이타의 전송은 필요없게 된다. 예를들어 무기의 경우에서 원정보는 조준, 탄도, 탄약의 특성 데이타 또는 무기의 유효사정 거리의 제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장치의 제어의 분산은 각각의 장치가 전투시 발생되는 작동센터의 파괴시에도 제한적으로 작동되는 큰 장점을 갖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수동제어용 키이보드(key-board)가 각각의 피제어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무기는 이러한 키이보드를 사용함으로써 수동작동될 수 있는 바, 이는 특정의 무기에 대한 데이타는 데이타 프로세서내에 분산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무기의 제어는 표준 정보전송선을 통해 방향 및 유효사정 거리와 같은 원정보를 전송하는 발사제어 장치에서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공지된 표준 작동장치 시스템에 비해 케이블의 복잡성을 1/3 또는 1/4감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장치에 개별 데이타 프로세스를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에는 30개의 정보 케이블이 필요하였던 반면에 이것을 하나의 케이블로 대체할 수 가 있다. 그러나 여분 으로서 대개 2개 내지 5개의 정보 케이블을 설치한다. 종래의 케이블과 동축케이블 특히, 고속 데이타 속도를 수용할 수 있는 유리섬유 케이블이 본 발명의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용 케이블로 사용될 수 있다. 여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기능별 그룹에 속하는 장치들 사이에 있는 여러 표준 정보전송선 각각이 전체의 정보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타 프로세서가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만약 두개의 장치 사이에 설치된 표준정보전송선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다른 전송선이 전체 정보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어느정도 시간이 더디지만 연속적으로 완전한 정보가 전송된다. 만약 표준 정보전송선으로서 하나의 링이 되게 기능별 그룹의 장치 전부를 연결하면 더욱더 유리하다. 이러한 장치에서, 정보는 두개의 경로를 통해 한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까지, 또는 지휘통제 장치로부터 한 장치까지 전송되므로써 한 곳에서 링이 파손될지라도 정보의 전체흐름은 연속되어진다. 그러나, 여분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 부가적인 표준 정보전송선이 전체 시스템에 대한 장치의 중요성에 따라 기능별 그룹의 특정장치 및/또는 지휘통제장치 사이에 가설될 수 있다.
전술한 여러 표준 정보전송선이 전기적으로 병렬로 설치될 수 있지만 손상시에 정보전송을 더욱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에 관한 매우 중요한 특징은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를 기능별 그룹으로 세분하는 것이다. 제어장치(감지기) 및 피제어장치(이행기)는 기능별 그룹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들자면, 로켓트 제어장치는 로켓트 발사장치와 조합되어 하나의 기능 그룹을 형성하거나, 어뢰 제어장치는 어뢰 발사장치와 조합되어 하나의 기능그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수상무기 장치용 발사제어장치와, 지휘통제장치가 제1기능그룹을 형서하는데, 여러개, 특히 4개의 발사 제어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준 정보전송선이 이들장치중 2개의 장치로부터 지휘통제 장치까지 연결되어 있고, 여러개의 수상무기 장치 특허, 7개의 수상무기 자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준 정보전송선이 2개의 장치로부터 지휘통제 장치까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중 무기용 발사제어장치와 지휘 통제장치가 제2기능그룹을 형성한다.
또한, 통신장치와 지휘통제장치가 제 3기능그룹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발사제어장치, 지휘통제장치 및 항해장치가 함선에서 특히 중요한 제4기능그룹을 형성하고 로켓트 및/또는 어뢰장치와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가 제4기능그룹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점은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식 선박 계기장치가 데이타 프로세스에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 의해서 표준 정보전송 시스템에 적합하게 제조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에 맞게 디지탈 방식으로 작동되는 장치가 처음부터 사용될 수도 있다. 접지를 함선에 설치하여,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그룹이 외부 모의실험(simulation), 진담 및 평가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일특허 제 2,056,069호의 기능장치가 데이타를 처리하거나 조작하고, 급송하거나 분배하기 위한 자체정보를 구비한 것과 같은 상태로 기술될 수 있다. 표준 플래트폼에 장착된 장치들 사이의 정보변환(데이타 프로세서에 의한 디지탈화)에 대한 매우 높은 전송속도와 작동장치를 통하여 시간간격당 매우 많은 데이타가 전송되는 바, 이는 케이블이 간단하게 축소될 뿐만아니라 더욱더 많은 모사 정보교환을 이루게 한다. 각 장치에 제공된 각각의 정보는 데이타 버스(bus)내에서 디지탈 정보를 장치내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탈 정보로 변환한다.
표준 플래트폼에 부착된 장치는 플래트폼 바로밑에 있는 장방형의 콘테이너에 하우징되며, 플래트폼의 상단에는 무기, 위치 감지장치와 같은 것이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기능그룹에 속하는 장치의 링 결합에 의하여, 발생된 모든 정보는 기능그룹의 각 장치에 도달된다. 조작이나 처리는 이 정보가 각각의 시스템에 필요한 것인가 아닌가에 상관없이 발생된다.
표준 플래트폼상에 장착된 각 장치에 대한 표준 데이타 프로세서는 정보를 장치와 교환하고, 처리를 통해 다수의 장치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종래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장치사이의 케이블 배선의 복잡성은 극소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준 정보전송선 시스템은 종래의 데이타 전송시스템과 전체적으로 비교했을때 상당히 많은 여분을 갖고 있다.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스 내부의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결함탐지, 작동연습, 시스템 정함(matching) 및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이는 민감하고 신속히 작동됨으로서 전체적으로 시간을 절약시킨다.
필요한 모든 외부 정보는 각 장치의 데이터프로세서 내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의 기능별 테스트가 또 다른 부수적인 장치와 이용장치가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무기장치나 발사제어장치와 같은 것을 포함하고 있는 표준 플래트폼을 교체하거나 현대화하는 것은 동일한 표준 정보전송선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장치내에 표준 데이타프로세서를 적당히 설치시키기만하면 된다.
각 장치의 데이타프로세서는 교체가능한 구조로 된 정보, 계산 및 기억장치로 형성된다.
이들 모듀율은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장치를 상호 연결시키며, 장치들과 지휘통제장치를 연결시키기 위한 컴퓨터 장치, 메모리장치, 전력공급장치 및 인터페이스 모듀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시험하기 위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필요한만큼의 장치에 대한 작동방법을 시뮬레이트 할수 있다.
특정의 장치가, 잔여시스템과 연락이 불가능할지라도,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은 특히 중요한 것이다.
시간조절이 내장 시계에 의해서 제어되면서, 여러데이타가 정해진 시간동안의 외삽법(外揷法)에 의해서 제공된다. 또한 데이타프로세서는 기능자치를 수리할때 조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자면, 데이타프로세서는 반자동측정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해 특정속도에서 제어 펄스를 발생시킨다. 전체 시스템은 표준 하드웨어 및 소프느웨어 모듀율로 구성된다. 이것은 병참술(兵站術)에 대한 유리한 선결조건을 제공하며, 하드웨어를 쉽게 수리하고 소프트웨어를 보호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표준화는 프로그램의 단일호 뿐만 아니라, 전송된 정보의 평준화 즉, 데이타셋트에 대한 일정 포메트(format)가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에는 부가적인 가청채널(audio channel)이 장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한 장치(작동장치)로부터 나온 구도정보(oral information)는 A/D변환기와 정보망의 채널을 통하여 요망하는 소정의 다른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전함이 취역중이고 시험하는 동안에는 상당한 가치가 있다. 또다른 중요한 시험보조는 데이타프로세서와 전체 시스템을 검사하기 위한 조합된 입력/출력장치로서 포켓 단자에 대한 접속이다. 정보망의 소급 변화는 함선의 취역후 일지라도, 시스템의 모듀율 구조를 통하여 언제라도 가능하다. 정보망은 자율적으로 작동한다. 정보망 내에는 다른 데이타프로세서에 걸친 강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서가 없다.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는 관련데이타를 모든 다른 데이타프로세서에 전송하고, 모든 다른 데이타프로세서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한다. 데이타프로세서와 결합된 관련장치는 공통 기능그룹에 속하게 된다.
관련데이타가 모든 데이타프로세서에 대하여 적시(適時)에 이용될 수 있고, 고속 데이타가 저속 데이타보다 우선권을 가지며, 분배된 전송채널들이 인지되고 표시되며, 또 다른 경로가 채널들이 과부하되거나 또는 비작동될때 탐색되어질 수 있도록 적당한 연산이 취해진다.
데이타 전송시 하나의 채널이 비작동되면, 이러한 사실은 인지되고 이미 전송된 부분은 거절된다. 소저의 지정영역에서는 정보의 되돌림(back up)이 발견됨에 따라 전송이 새로이 시작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독일공개공보 제2,056,069호에 의한 전함(표준 토대)과 장치들 사이에는 표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자장치용 표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장치와 연관된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가 표준정보전송선 시스템에 접속된다.
전송시스템은 어드레스된 데이타와 더불어 작동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비동시성 데이타 전송, 다중통신(multiplex)법 또는 병렬데이타 전송용으로 사용된다. 예를들어 16리드를 갖는 특정 케이블은 후자에 적합하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데이타프로세서(11',11")가 제공된지휘통제장치(11)는 함선의 중앙위치 예컨대 함고(bridge)(합장이 지휘하는 곳)에 위치되어 있다. 지휘통제장치에는 표적을 추적하여 전투할 수 있도록 1명 이상의 사람이 위치한다. 지휘통제장치(11)는 나침판, 항해속력측정기, 풍속측정기, 갑판항법기, 오메가(omega)항법기, 위성항법기등으로 구성된 항해장치(31)로부터 함선의 방향신호, 함선의 속도신호, 풍속신호를 수신하다. 이에 해당하는 값은 지휘통제장치(11)내의 적당한 스렐이브(slave) 표시장치에서 해독될 수 있다.
함선의 표준토대(도시되지 않음)에 장치된 표준플레트폼 또는 표준 콘테이너상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로케트 발사장치(ASPIDE)(12)
로켓트 발사장치(OTOMAT)(13)
40mm 대포(14)
40mm 대포(15)
40mm 대포(16)
40mm 대포(17)
127mm 소형대포(18)
발사제어장치(STIR)(19)
발사제어장치(LIOD)(20)(우현)
발사제어장치(LIOD)(21)(좌현)
발사제어장치(WM25)(22)
레이다장치(DA08)(23)
로켓트 제어장치(ECM/ESM)(24)
어뢰 제어장치(SNAR)(25)
수중 로켓트 발사장치(26)
어뢰 발사장치(27)
통신 센터 콘테이너(28,29)
원격 신호장치 콘테이너(30)
감지기 시스템(33)은 함선 엔진에서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항해장치(31)로 전송한다.
대지접속부(32)는 전체의 시스템을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시뮬레이션 진단 및/또는 평가 콤퓨터에 연결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12',13',14'.....26',27,28' 및 30' )가 각각의 장치 콘테이너, 또는 표준 플래트폼에 장착된 각각의 장치에 배치된다.
데이타프로세서에는 관련장치 자체에 대한 모든 특정 데이타가 기억된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다. 무기장치(12 내지 18, 및 26,27)에 대한 이러한 데이타는 예를들어, 조준, 탄도, 탄약의 특성 데이타, 무기의 유효사정거리에 관한 데이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무기장치에는 비교적 간단하게 전송되며, 방향신호와 사정거리신호로 구성된 원정보만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을 위하여, 수상무기장치(12, 13, 14, 15, 16, 17 및 18)는 후속장치의 데이터프로세서가 실선으로 도시한 표준정보전송선(3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링 시스템(ring system)에 대한 표준 기능그룹으로서 관련 발사 제어장치(19, 20, 21, 22)와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데이타프로세서(12', 13', 14', 15', 16', 17', 18', 22', 21', 20', 19')는 표준 정보전송선(34)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휘통제장치(11)는 이러한 링 시스템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경우에 있어서, 지휘통제장치(11)는 전송선(34´)에 의해 발사 제어장치(19)의 데이타 프로세서(19´)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표준 정보전송선(34")에 의해 데이타프로세서(22")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전송선(34")에 의해 대포(15)의 데이타 프로세서(15')와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표준 정보전송선(34"")을 경유하여 대포(16)의 데이타프로세서(16')와 연결되어 있다.
발사 제어장치(19 내지 22)는 표적이 표준 정보전송선들을 통하여 지휘통제장치(11)에서부터 디지탈화된 신호에 의하여 추적됨을 나타낸다. 어드레스된 데이타가 전송선(34',34")을 통하여 전송되므로, 데이타프로세서(19',20',21',22')는 전송된 신호의 전체로부터의 이들에 대한 신호를 추적한다. 또한 이들은 제어신호는 수상무기(12,18)의 신호가 발사 제어장치(19,22)의 신호와 연관되었음을 나타낸다.
발사 제어장치(19 내지 22)의 데이타프로세서(19' 내지 22')는 필요로 하는 제어신호를 수상무기(12 내지 18)의 데이타프로세서(12' 내지 18')에 전송한다. 각각의 발사 제어장치에서 시작하는 두가지 경로는 전송선(34)을 통해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서 유용하므로 만약 전송선이 어떤방법, 예컨대 포탄에 명중되어 차단된 경우, 신호전송용 제2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당한 여분의 전송선(34' 내지 34"")이 제공된다.
비동시성(asynchronous) 데이타 전송, 병렬 데이타 전송, 또는 멀티프렉서 장치용 마아크로프로세서가 적합하고 종래의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유리섬유 케이블이 표준 정보전송선(34,34',34",34"' 및 34"")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휘통제장치(11)와 각각의 작동장치, 또는 각각의 장치에 데이타프로세서를 배치하므로써, 지휘통제장치(11)에서 장치 또는 장치들 사이에 전송되는 정보는 항상 하나가 한가지만을 사용하며 각각 장치의 특성에 무관하게 동일한 표준 정보전송선(34,34',34",34"',34"")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된다. 이것은 장치들중의 하나를 현대화된 신형장치로 대체할 때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기술된 바와같이, 발사 제어장치(19 내지 22)는 수상무기(12 내지 18)와 함께 제1기능그룹을 형성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장치에 개별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몇몇 장치를 교환할지라도 함선내의 표준 배선이 유지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전체 필요량, 예컨대, 종래의 시스템에 필요로 하는 배선 경비의 1/3 또는 1/4로서 가능하다.
수중무기[수중 로켓트 발사장치(26)와 어뢰 발사장치(27)]에 대한 발사 제어장치(23,24,2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2기능 그룹을 형성하는데, 그의 표준 정보전송선(35)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전송선(35)은 지휘통제장치(11)에서 나와서 발사 제어장치(2)의 데이타 프로세서(24')를 경유하여 데이타프로세서(25')와 연결된 뒤, 어뢰발사장치(27)의 데이터프로세서(27')를 거쳐 수중 로켓트 발사장치(26)의 데이타프로세서(26')와 연결된뒤, 지휘통제장치(11)로 접속되므로서, 전송선(34)에 의하여 연결된 시스템의 상기 설명과 동일한 장점을 갖는, 표준 정보전송선(35)에 의하여 연결된 기능그룹이 형성되게 된다.
모든 감지기들을 위하여 제공된 레이다장치(23)는 내장 데이타프로세서(23')에 의하여 전송선(35')을 통해서 발사제어장치(24)의 데이타프로세서(24')에 연결된다.
디지탈 형태인 무기 제어 데이타는 단지 원정보로서만 구성된 신호와 함께 표준 정보전송선(35,35')을 통하여 무기장치(26',27)에 전송되는 반면에 무기(26,27)에 관한 특별한 모든 것들은 데이타프로세서(26',27')내에 기억된다.
제3기능그룹은 통신센터장치(28,29)와 통신장치를 구비한 콘테이너(30)로 구성된다. 장치(28)의 데이터프로세서(28')는 표준 정보전송선(36)을 통해 지휘통제장치(11)와 연결되어 있고, 통신장치(30)의 데이터프로세서(30')는 표준 정보전송선(36')을 통해 장치 (28)의 데이터프로세서(28')와 연결되어 있다. 함선의 외측 및 내측에서의 텔레타이프 데이타, 명령 전송과 같은 통신데이타를 링전송성을 형성할 수 있는전송선(36,36')을 통하여 전송된다.
디지탈 형태인 방향 신호, 함선 속도 신호, 풍속 신호등을 전송하는 항해장치(31)는 함선에서는 특히 중요한 것이다. 항해장치(31)에 의해서 정보가 공급되는 장치는 파선으로 도시한 표준 정보전송선(37)에 의하여 제 4기능그룹을 형성한다. 항해장치(31)로부터 정보가 공급되는 전송선(37)은 항해장치(31)에서의 신호 또는 정보에 종속된 모든 장치 또는 내부에 장치된 데이타프로세서에 연결된다. 이것은 주로 지휘통제장치(11)를 포함하고 있지만 발사 제어장치(19 내지 25), 통신 센터 장치(29,28) 및 로켓트 무기장치(12,13,26 및 27)를 또한 포함한다. 항해장치(31)에서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장치는 표준 정보전송선(37)에 의하여 단일 링으로 연결되는 반면에, 지휘통제장치(11)는 분리된 표준 정보전송선(37')에 의하여 항해장치(31)에 접속된다.
로켓트 무기(12,13,26 및 27)는 로켓트 발사에 대한 기준으로서 항해신호를 필요로 한다.
상술된 설명으로부터, 각각의 기능그룹은 부분적으로 중첩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무기장치(12,13)와 발사제어장치(19 내지 22)는 전송선(34)에 의해 연결된 제1기능그룹과, 전송선(37)에 의해 연결된 제4기능그룹에도 속하게 된다.
비록 단지 하나의 표준 정보전송선이 인접 장치 예를들어 장치(19,20)의 데이타프로세서 사이에 필요할지라도, 두개의 전송선(34,37)을 필요로 하는 기능그룹 예컨대, 장치(19,20)의 조합은 두개의 전송선(34,37)중 하나가 고장났을 경우, 남아있는 나머지 하나의 전송선이 저속이긴하나 전체 시스템을 손상시키지 않고 데이타 전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데이타프로세서는 하나의 전송선이 고장났을때, 잔여 전송선(들)이 정보의 전송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스타형의 부가적인 표준 정보전송선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여러개의 표준 정보전송선을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므로써 여유도가 달성된다.
간결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한 전류공급선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들은 종래의 방법으로 장치배설된다.
예를들어 키이브도(38)는 무기장치(13)의 콘테이너에 장치되며, 모든 다른 무기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키이보드는 지휘통제장치 및/또는 발사 제어장치가 고장났을 경우에 무기를 수동으로 작동토록 하는데 쓰인다.
이것은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가 각각의 무기에 제공되고 예컨대, 데이터프로세서(13')가 무기(13)에 제공되고, 그 데이터프로세서가 연관된 무기에 대한 필수적인 보정과 제한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센터가 파괴되더라도 무기는 여전히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무기장치는 예를들자면 플러그-인(plug -in card)를 사용하여 언제라도 시험될 수 있다.
전력공급원 및 음성 연결장치에 대한 플러그 접촉만이 표준정보전송선에 대한 케이블 접속에 부가하여 각각의 장치에 제공되어 진다.
각각의 무기장치에 데이타프로세서를 장치하였으므로, 각각의 아날로그 라인으로 작동하는가 또는 디지탈 라인으로 작동하는가는 무시되어 진다. 왜냐하면 A/D변환기가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내에 용이하게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향해신호를 각각의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전송선(35)은 예를들어 종래에는 80개 이상의 케이블들이 함선의 나침반에서 각각의 장치에까지 배선되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것이 단지 하나의 전송선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큰 장점이 된다.
장치 콘테이너를 새로운 장치 콘테이너로 대체할경우 구형 콘테이너의 플러그 접속만을 해체함으로써 구형 콘테이너가 제거되어 신형 장치를 구비한 콘테이너가 삽입된다. 이러한 신형 콘테이너는 구형 콘테이너와 동일한 소켓와 접속접점을 가지므로, 장착후에 단지 플러그 접속을 복구시키기만 하면된다. 그러면 전체 시스템이 일제히 작동을 하게된다. 즉, 구형장치와 신형장치와의 차이점을 신형장치의 데이타 프로세서를 적당하게 배치시키므로서 참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된 데이타프로세서는 표준 정보전송선으로부터 디지탈신호를 수신하고 표준 정보전송선에 디지탈 신호를 전송한다.

Claims (9)

  1. 중앙지휘통제장치, 하향장치 전송장치, 및 표준플래트폼에 의해서 상단이 폐쇄되어 있는 콘테이너를 포한하는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로 구성된 다수의 표준 작동장치를 갖고, 전력공급선과 정보전송선이 중앙지휘통제장치 및 다른 표준 작동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는 전함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가 표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쥴을 포함하고 표준 작동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관련 장동장치가 다른 작동장치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데이타프로세서는 관련 작동장치에 대한 특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데이타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및 피제어 표준 작동장치들은 기능별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동일한 기능별 그룹에 속한 표준 작동장치의 상기 데이타프로세서는 단지 디지탈된 원(crude)정보만을 교환하고, 표준 정보전송선이 여러 표준 작동장치들의 성질과는 무관하게 기능별 그룹의 표준 작동장치의 데이타프로세서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 데이타프로세서가 동일한 접속점들 및 소켓들로 장비된 표준 전자 인테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제어용 키보드가 각 피제어 표준 작동장치에 제공되어 있는전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여분 표준 정보전송선이 표준 작동장치들 사이에 병렬로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전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해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표준 정보전송선이 모든 표준 작동장치 및 링으로서 신호가 공급되는 전달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전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앙지휘 통제장치가 표준 정보전송선을 통해 표준 작동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는 전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달장치들이 표준 정보전송선을 통해 중앙지휘통제장치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지부를 설치하여 이를 통해 최소한 기능별 장치 그룹중 하나가 외부 시뮬레이션, 진단 및 처리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전함.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준 정보전송선이 링으로서 한 기능별 그룹내의 모든 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는 전함.
  9. 중앙지휘통제장치, 항해장치, 전송장치, 및 표준 플래트폼에 의해서 상단이 폐쇄되어 있는 콘테이너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및 피제어장치로 구성된 다수의 표준 작동장치를 갖고, 전겨공급선과 정보전송선이 중앙지휘통제장치 및 다른 표준 작동장치들과 연결되어 있는 전함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타프로세서가 표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쥴을 포함하고 표준 작동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관련 작동장치가 다른 작동장치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되어있으며 각 데이타프로세서는 관련 작동장치에 대한 특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 다수의 데이타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제어 및 피제어 표준 작동장치들로부터 최소한 하나의 기능별 그룹이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기능별 그룹에 속한 표준 작동장치의 상기 데이타프로세서는 단지 디지탈된 원(crude)정보만을 교환하고, 표준 정보전송선이 여러 표준 작동장치들의 성질과는 무관하게 기능별 그룹의 표준 작동장치의 데이타프로세서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각 데이타프로세서가 동일한 접속점들 및 소켓들로 장비된 전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되어있는 전함.
KR8205603A 1981-12-22 1982-12-14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KR89000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150894.4 1981-12-22
DEP-3150874 1981-12-22
DE3150894A DE3150894C2 (de) 1981-12-22 1981-12-22 Kampfschiff mit Funktionseinheitsanl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14A KR840002714A (ko) 1984-07-16
KR890005153B1 true KR890005153B1 (ko) 1989-12-14

Family

ID=614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603A KR890005153B1 (ko) 1981-12-22 1982-12-14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553493A (ko)
EP (2) EP0097192B1 (ko)
JP (1) JPS59500267A (ko)
KR (1) KR890005153B1 (ko)
AU (1) AU554902B2 (ko)
BR (1) BR8208030A (ko)
CA (1) CA1205163A (ko)
DE (1) DE3150894C2 (ko)
DK (1) DK153751C (ko)
ES (1) ES518399A0 (ko)
GB (1) GB2113053B (ko)
GR (1) GR77067B (ko)
IL (1) IL67386A (ko)
IN (1) IN160079B (ko)
MY (1) MY8700150A (ko)
PT (1) PT76009B (ko)
TR (1) TR22651A (ko)
WO (1) WO1983002317A1 (ko)
ZA (1) ZA829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2541B (sv) * 1983-09-02 1990-07-09 Kvaser Consultant Ab Anordning vid ett distribuerat styrsystem
GB8425129D0 (en) * 1984-10-04 1986-09-17 Airtech Ltd Communications cabins
DE3613097A1 (de) * 1986-04-18 1988-01-07 Mak Maschinenbau Krupp Feuerleitsystem fuer eine waffenanlage eines panzerfahrzeuges
AU621808B2 (en) * 1986-07-18 1992-03-26 Mtg Marinetechnik Gmbh Method of automatic fire control
EP0383043A1 (de) * 1989-02-16 1990-08-22 Oerlikon-Contraves AG Modulares, vernetztes Marine-Feuerleitsystem mit einer Vorrichtung zur Kompensation der Ausrichtfehler
FR2662991B1 (fr) * 1990-06-08 1995-06-02 Etat Francais Delegue Darmement Sous-marin convertible a coque resistante.
US5847307A (en) * 1997-06-24 1998-12-08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issile launcher apparatus
DE20214297U1 (de) * 2002-09-14 2004-02-12 Siemens Ag Marine-/Navy-Schiffstypen übergreifendes System
DE10254786A1 (de) * 2002-11-22 2004-06-03 Rheinmetall W & M Gmbh Integration eines grosskalibrigen Geschützes auf einem Schiff
DE10330174B3 (de) * 2003-07-04 2004-11-04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US7278364B2 (en) * 2004-04-30 2007-10-0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econfigurable attack and reconnaissance vessel I
US7997220B1 (en) * 2004-05-28 2011-08-16 Robert Wayne Beal Marine vessel module
US20100217899A1 (en) * 2007-01-31 2010-08-26 Raytheon Company Munitions control unit
KR101110688B1 (ko) * 2009-09-07 2012-02-24 국방과학연구소 연동 장비의 운용 상태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함정 전투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10004789A1 (de) * 2010-01-16 2011-07-21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24143 Unterseeboot
WO2013034935A1 (en) * 2011-09-08 2013-03-14 Xsmg World Limited Modular marine craft
DE102014007308A1 (de) 2014-05-17 2015-11-19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odengebundenen Luftabwehrsystems
DE102021002195B3 (de) 2021-04-26 2022-05-05 Mbda Deutschland Gmbh Kommunikationssystem fuer ein system zur bodengebundenen luftverteidigung
DE102022000327B3 (de) 2022-01-27 2023-02-02 Mbda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datenlaststeuerung bei der kommunikation in einem system zur bodengebundenen luftverteidig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0514A (en) * 1948-01-10 1963-03-05 Bosch Arma Corp Remote control switching system
US3371639A (en) * 1966-11-29 1968-03-05 Gen Dynamics Corp Podule assembly method for ships
DE2056069C3 (de) * 1970-11-14 1979-02-15 Blohm + Voss Ag, 2000 Hamburg Funktionseinheit auf Schiffen für Waffen-, Feuerleit- oder Ortungsanlagen
US4031838A (en) * 1970-11-14 1977-06-28 Blohm & Voss Ag Modular interchangeable weapons sub-assembly system for warships
US3732543A (en) * 1971-06-30 1973-05-08 Ibm Loop switching tele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ing switching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56083D0 (da) 1983-08-04
EP0097192B1 (de) 1987-09-02
DE3150894C2 (de) 1985-01-24
JPH0372912B2 (ko) 1991-11-20
GB2113053B (en) 1986-02-05
CA1205163A (en) 1986-05-27
DE3150894A1 (de) 1983-08-04
ES8400315A1 (es) 1983-11-01
PT76009B (de) 1985-03-18
BR8208030A (pt) 1983-11-22
EP0097192A1 (de) 1984-01-04
ES518399A0 (es) 1983-11-01
JPS59500267A (ja) 1984-02-23
IL67386A (en) 1987-12-20
GB2113053A (en) 1983-07-27
WO1983002317A1 (en) 1983-07-07
TR22651A (tr) 1988-02-02
MY8700150A (en) 1987-12-31
ZA829358B (en) 1983-10-26
DK153751B (da) 1988-08-29
EP0082539A1 (de) 1983-06-29
PT76009A (de) 1983-01-01
DK153751C (da) 1989-06-05
US4553493A (en) 1985-11-19
AU554902B2 (en) 1986-09-04
GR77067B (ko) 1984-04-05
KR840002714A (ko) 1984-07-16
DK356083A (da) 1983-08-04
IN160079B (ko) 198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153B1 (ko) 표준 작동 장치를 구비한 전함(戰艦)
US66151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ircraft and an associated store
US5992290A (en) Aircraft interface device and crossover cable kit
EP1743135A1 (en) Launcher with dual mode electronics
AU5940199A (en) Store interface apparatus
US6152011A (en) System for controlling and independently firing multiple missiles of different types
US7353090B2 (en) System, bus monitor assembly and method of monitoring at least one data bus of an aircraft
US3371639A (en) Podule assembly method for ships
US5474454A (en) Own ship sensor system simulator
WO2019088346A1 (ko) Hils 기반의 선박조종 성능 계측관리 시스템
Moorhead THE LATEST IN SHIP WEAPON LA UNCHERS‐THE VERTICAL LAUNCHING SYSTEM
Svendsen et al. What's different about the hardware in tactical military systems
Leonard et al. Generalized microcomputer-based Harpoon missile simulation trainer
Wapner Current Trends in Naval Data Handling Systems
RU2765606C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навигации кораблей и судов обеспечения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Broome The design of variable payload ships
EP3513140B1 (en) Modular controller for launcher system
McTigue F-15 computational subsystem
Hornhaver STANDARD FLEX Distributed Architecture Combat System
Radtke Development of automation in the ship technical area of conventional submarines
John ASW HELICOPTER MISSION AVIONICS
Aden Electrical Support Equipment for the Saturn V Launch Vehicle System
Neumann Control of warship machinery
DRUMMOND F/A-18A weapon system-1976 state of the art
STRATEGIC SYSTEMS PROJECT OFFICE (NAVY) WASHINGTON DC TRIDENT II (D-5) Strategic Weapon System Guide for Potential Subcontr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