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26Y1 - 가스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26Y1
KR890004926Y1 KR2019860020212U KR860020212U KR890004926Y1 KR 890004926 Y1 KR890004926 Y1 KR 890004926Y1 KR 2019860020212 U KR2019860020212 U KR 2019860020212U KR 860020212 U KR860020212 U KR 860020212U KR 890004926 Y1 KR890004926 Y1 KR 890004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secondary air
burners
hol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512U (ko
Inventor
히데오 오까모또
Original Assignee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70012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01Sealing or support of burner plate b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연소장치
제1도는 탕비기에 조립되는 라인형상의 가스버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그 분해도.
제3도는 탕비기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제3(a)도-제3(a)도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제2 및 제3실시예로서의 보염판(保炎板)부분 평면도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종래의 라인형상 가스버너를 나타낸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너 2 : 보염판
3 : 버너저판 4 : 점화기
6 : 블로워 7 : 열교환기
10 : 탕비기의 케이싱 11 : 버너헤드부
13 : 가스 및 1차공기 도입부 21 : 버너의 상단 삽통용 구멍
22 : 2차 공기 분출구멍 a : 취출구멍봉쇄개소(브리지부)
b : 화염구
본 고안은 라인형상 가스버너를 구비하는 가스 연소장치의 보염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라인형상 가스버너용 보염판의 형상과 버너로의 조립 상황을 버너의 측면도인 제7도 및 보염판의 상면도인 제8도로 나타냈다. 101은 라인형상 가스버너이고. 보염판(102)에는 버너의 헤드부(111)를 보염판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버너 삽통구멍(121)과, 슬리트 형상으 2차공기 분출구멍 (122)이 교대로 병렬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라인형상 가스버너의 점화방법은 최외측단에 위치하는 하나의 버너(101)의 헤드부(111)에 근접시켜 설치된 점화기(110)에 의하여 먼저 이 버너에 착화시키면, 착하염은 인접한 버너의 헤드부 로브터 분출한뒤 착화버너를 향해 2차공기 취출구멍(122)을 넘어 확산해오는 생가스에 점화시킨다.
이와 같은 착화염 전파현상이 연쇄반응적으로 연달아 일어남으로서 모든 버너에 점화되도록 되어있었다.
상기와 같이하여 병렬하는 버너(101)군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버너에 점화기(110)에 의하여 점화된 착화염은, 분출구멍(122)으로부터 분출하는 2차공기류의 막을 돌파하도록 하여 인접버너로부터 확산해온 생가스에 점화시키게되므로, 인접버너(101)에의 착화염의 전파가 원할하게 행하여 지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중에 화염전파가 두절되는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점화를 원할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수 있음과 동시에 연소화염군의 정상면을 극력 평탄화 시킬수 있는 라인형상 가스버너를 구비한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장치는 다수의 버너와, 그 다수의 버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버너중의 1 또는 2이상의 특정버너에 착화용 점화기와, 상기 다수의 버너의 각 헤드부의 삽통용구멍, 및 서로 인접한 상기 삽통용구멍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된 2차 공기 분출구멍을 교대로 병렬형상으로 설치한 보염판을 구비하는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공기 분출구멍에는 그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분출구멍의 봉쇄개소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봉쇄개소의 근방에서 분출구멍이 확장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가스연소장치는 버너군중의 하나의 버너에 착화시키기 위한 점화기를 작동시키면, 먼저 이 버너 화염구 전체에 착화염이 퍼진다. 착화염은 2차 공기분출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강한 공기류가 존재하지 않는 분출구멍 봉쇄개소를 쉽게 빠져나와 인접하는 버너로부터 확산되어온 분출생가스에 신속하고 확실하게 착화시킨다.
이와 같은 화염전파 현상이 차례차례로 인접버너로 이행되므로서 버너군 전체에의 착화염의 전파가 매우 원할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하여지고 가스연소장치의 점화조작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2차 공기분출구멍의 봉쇄개소근방에서는 2차 공기의 공급량이 부족되기 쉬워지지만, 이 근처에서 분출구멍을 확장시킴으로서 분출공기량이 증대하여, 공기 부족에 의한 버너화염의 국부적인 이상 신장현상의 발생을 방지할수가 있다.
보염판의 2차공기분출구멍을 부분적으로 봉쇄하기 위해서는 다만 보염판의 타발용 프레스형틀에 약간의 형상변경을 행하면 충분하므로 종래의 생산설비에 극히 약간의 변경을 실시하는것만으로 상기와 같은 중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향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제4도는 외형을 콤팩트화한 점에 특징이 있는 고성능 탕비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라인형상 가스버너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너(1)는 병렬이 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버너 고정수단이 되는 버너저판(3)과 보염판(2)과의 사이에서 지지고정되어 있다.
버너(1)는 좌우대칭형상으로 프레스 가공된 1매의 금속판을 버너헤드부(11)를 형성시키도록 하면서 대칭중심선에 따라 둘로 접어서 포갠후, 용접, 코오킹, 혹은 비스고정등의 방법에 의하여 맞추어 붙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정상면에는 다수조(條)의 화염구(b)의 병렬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버너헤드부(11)가 또 저부에는 연료가스 및 1차 공기의 도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14는 이 가스 및 1차 공기의 도입부(13)와 버너 헤드부(11)를 연결하는 가스 도입로이다.
가스 도입로(14)의 양측에는 버너(1)를 상기와 같이 정렬 상태가 되도록 조립하기 위한 핀(fin)형상의 조립부재(15)가 부착되어있고, 그저변 양측단에는 조립용 돌기(16)가 형성 되어 있다.
장방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보염판(2)에는 버너(1)의 각 헤드부의 삽통용 구멍(21)과 슬리트형상을 이루는 2차 공기 분출구멍(22)이 교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뚫려있다.
2차 공기 분출구멍(22)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는 버너(1)의 헤드부(11)의 길이와 대략같고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은 보염판(2)을 타발가공할때에 타발잔여 부분을 설치하므로서 형성시킨 브리지부(a)에 의하여 봉쇄내지는 중단상태에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2차 공기분출구멍(22)을 그 봉쇄개소 로서의 브리지부(a)의 근방에서 확장시키므로서 공기 분출량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전체적으로 급히 폭이 좁은 마름모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버너저판(3)은 금속제의 깊이가 얕은 상자를 반전시킨것과 같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그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버너(1)의 가스 및 일차공기 도입부(13)를 감합시키기 위한 버너 고정용 구멍(31)군을 설치함과 동시에, 2차공기의 취입용 구멍(33)군이 전면에 뚫려있다. 32는 버너고정용구멍(31)의 입구연부에 형성시킨 버너지지용의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이다. 또한 2차 공기 취입용구멍(33)은 통과공기량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개구면적이 형성되어 있다.
보염판(2)의 길이방향의 두변에는 하방향으로 뻗는 측벽판(2a)이 절곡 가공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이 양측벽판(2a)의 저변부에는 버너(1)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용돌기(16)를 감착시키기 위한 조립구멍(24)이 설치되어 있다.
버너(1)를 보염판(2)과 버너저판(3)과의 사이에서 유지하고 측벽판(2a)의 저변부를 비스(17)에 의하여 버너저판(3)의, 외주연부에 고정시키므로서 라인형상 가스버너가 제1도에 나타난 상태로 조립된다. 4는 병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버너(1)중 일단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버너에 착화시키기위한 압전식 점화기이고, 5는 이 일단측 버너의 착화염이 타단측의 버너에 까지 전파가 끝난것을 확인하기 위한 화염센서 로서의 프레임 로드이다.
제3도와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라인형상 가스버너를 조립한 고성능 탕비기의 종단면도와 제3(a)도-제3(a)도선단면도이고 버너저판(3)은 2차공기 취입용구멍(33)의 형상등에 있어서 약간 다른 형태의 것이 도시되어있다. 6은 연소용 공기의 취입용 블로워, 7은 탕비용 열교환기, 8은 연소용 닥트, 9는 배기그릴, 10은 탕비기의 케이싱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장치의 특징부분을 이루는 점화시의 작동에 대하여 주로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장치의 조작패널면에 설치되어 있는 점화용노브(도시생략)에 의하여 점화기(4)를 작동시키면, 먼저 이 점화기(4)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도면중의 맨앞에 버너의 헤드(11)의 전면에 거의 순간적으로 화염이 전파된다.
그리고 이 착화염은 2차공기 분출구멍(22)으로 부터 발생하는 강한 상방향 기류의 에어커텐을 밀어 젖히고, 인접하는 제2의 버너의 헤드부(11)로부터 분출되어 확산되어 오는 생가스를 점화시켜 전파가 되나, 제8도에 나타낸 종래의 장치에서는 2차공기 분출구멍(122)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극히 좁은 일정한 폭을 가진 슬리트 이기때문에 에어커텐 효과도 강하게 작용하며 착화염의 전파는 반드시 원할하게 그리고 신속하게는 행하여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장치의 2차공기 분출구멍(22)에는 일부분에, 이 실시예에서는 분출구멍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분출구멍을 봉쇄하도록 브리지부(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브리지 부분에서는 에어커텐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맨앞의 버너(1)에 발생한 착화염이 인접버너 헤드부(11)에의 비화가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하여 제2의 버너의헤드부(11)에 전달된 착화염은 마찬가지로 다음의 2차공기 분출구멍의 브리지부(a)의 존재효과에 의하여 제3의 버너의 헤드부(11)에 확실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전파된다. 그러므로 점화기(4)에 발생한 착화염은 도면중의 맨앞의 버너(1)로부터 맨안쪽부분의 버너(1)를 향하열 여러층으로 중첩되는 2차공기의 에어커텐군의 잘린곳을 빠져나가 번지도록하여 급속히 전파한다.
또 2차공기 분출구멍(22)의 브리지부(a)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는 양단부에 비하여 폭이 넓게 되어 있으므로, 버너(1)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에서 양단부분보다도 다량의 2차공기가 공급되게되어 버너헤드부(11)의 중앙부분에 있어서의 브리지부(a)의 존재에 의한 2차공기의 분출방해작용에도 불구하고, 버너헤드부(11)로부터 올라가는 화염의 높이가 그 길이방향으로 중간높이가되는 불편도 동시에 해소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2차공기 분출구멍(22)은 그 폭을 양단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증대시키고 있으나, 적당한 곡율을 가진 곡선형상을 이루게 증대시켜도 되고, 또 브리지부(a)를 설치하는 곳은 분출구멍(22)의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선택하여도 좋다.
또한, 브리지부(a)와, 이 브리지부(a)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버너헤드부(11)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분출용 화염구(b)와의 상호위치관계에 관하여서는, 인접화염구(b)사이의 중간부에 브리지부(a)를 배치시킴으로서, 이 브리지부(a)에 인접하여 위치한 화염구(b)에의 2차공기의 공급이 브리지부(a)의 존재에 의하여 방해되는 정도가 적어지도록 배려하고 있다.
제5도는 제2실시예로서의 보염판의 부분평면도이고, 2차공기 분출구멍(2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브리지부(a)의 양측에서, 분출구멍(22)은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폭이 넓어져 있다.
제6도는 제3실시예로서의 보염판의 부분평면도이고, 브리지부(a)는 2차공기 분출구멍(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편향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각 브리지(a)군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의 위치관계를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버너헤드부(11)군에의 착화염의 전파를 한층 균등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하게 할수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버너와, 그 다수의 버너를 일정한 간격을 두어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버너중하나 또는 둘이상의 특정버너에 착화용 점화기와, 상기 다수의 버너의 각헤드부의 삽통용구멍 및 서로인접하는 상기 삽통용구멍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된 2차 공기분출구멍을 교대로 병렬형상으로 설치한 보염판을 구비한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공기분출구멍에는 그 길이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분출구멍의 봉쇄개소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봉쇄개소의 근방에서 분출구멍이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장치.
KR2019860020212U 1986-01-21 1986-12-16 가스연소장치 KR8900049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06755U JPH0344986Y2 (ko) 1986-01-21 1986-01-21
JP?86-6755 1986-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512U KR870012512U (ko) 1987-08-04
KR890004926Y1 true KR890004926Y1 (ko) 1989-07-28

Family

ID=3078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212U KR890004926Y1 (ko) 1986-01-21 1986-12-16 가스연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44986Y2 (ko)
KR (1) KR890004926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147U (ko) * 1977-08-24 1979-03-15
JPS6055826B2 (ja) * 1979-03-31 1985-12-06 工業技術院長 ホトマスクパタ−ン
JPS6055826U (ja) * 1983-09-16 1985-04-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強制給排気式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4986Y2 (ko) 1991-09-24
JPS62118923U (ko) 1987-07-28
KR870012512U (ko) 198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0742B2 (en) Jet burner construction, heating apparatus utilizing the jet burner construction,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365634B1 (ko)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CN115127104A (zh) 火排及其制造方法、燃烧器和热水器
US5833449A (en) Two piece multiple inshot-type fuel burner structure
EP0003177B1 (en) A gas burner system
KR0133637Y1 (ko) 가스오븐렌지의 버너구조
KR890004926Y1 (ko) 가스연소장치
KR20210133453A (ko)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JP2007163043A (ja) 濃淡燃焼バーナ
JPH0875124A (ja) ガスバーナ
JPH0223945Y2 (ko)
JPH0740821Y2 (ja) 衝炎バーナ
JP2978420B2 (ja) ガス焙焼器
JP3426816B2 (ja) 低NOxガス燃焼装置
JP5116437B2 (ja) 袖火式ガスバーナ
KR102611895B1 (ko) 메탈파이버 버너
KR0159185B1 (ko) 가스버너
JP2966766B2 (ja) ガス焙焼器
JPH09203509A (ja) 偏平ガス機器用バーナ
KR0170167B1 (ko) 편평가스기기용 버너
KR920010478B1 (ko) 강제송풍식 연소장치
KR920005388Y1 (ko) 버너 장치
JPH0318814Y2 (ko)
JP3011630B2 (ja) 燃焼装置
JPH11230509A (ja) 濃淡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