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3453A -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3453A
KR20210133453A KR1020200052073A KR20200052073A KR20210133453A KR 20210133453 A KR20210133453 A KR 20210133453A KR 1020200052073 A KR1020200052073 A KR 1020200052073A KR 20200052073 A KR20200052073 A KR 20200052073A KR 20210133453 A KR20210133453 A KR 2021013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burner
housing
heat exchang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714B1 (ko
Inventor
문창현
이헌재
이현철
주기동
김규호
손윤기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7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 내측 상면에 다염공버너를 설치하며, 하우징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일단이 다염공버너의 외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염검지부를 설치하여, 다염공버너에서 화염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다염공버너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염검지부 외면에 다염공버너에서 연소되는 화염이 균등하게 분출되도록 하여, 화염의 검지력 향상과 동시에 오차범위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검지부를 다염공버너와 평행하게 설치하여, 염검지부와 다염공버너간의 간격이 균등하게 이격되고, 다염공버너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염검지부 외면에 균등하게 접촉되어 염검지부의 일 부분에 화염이 집중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다염공버너의 일 부분에서만 화염이 분출되는 경우, 다염공버너 외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염검지부에 접촉되는 화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화염의 검지 오차 범위가 감소되고, 이 오차범위 감소로 인해 하우징 내에서 연소되는 화염의 연소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다염공버너의 외면 형상에 따라 염검지부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화염의 검지능력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Boile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 메타파이버버너의 외면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된 염검지부를 형성하여, 다염공버너에서 연소되는 화염이 염검지부 전면에 고르게 검지되도록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정이나 사무실 혹은 그 외 공장 등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어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온수와 난방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보일러는 공기와 가스를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혼합한 다음 그 혼합된 혼합연료를 버너에 공급하는 연료공급기와, 상기 연료공급기로부터 혼합연료를 공급받아 점화장치에 의해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난방환수가 버너로부터 공급된 열원과 열교환되도록 하여 난방환수를 난방수로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난방환수가 버너에서 발생된 현열과 1차로 열교환을 하는 현열열교환기 및 난방환수가 상기 현열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연소가스와 2차로 열교환을 하는 잠열열교환기를 구비한 콘덴싱 열교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덴싱 열교환기를 구비한 보일러를 콘덴싱 보일러라 한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난방 및 온수 보일러는 사용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적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보일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내부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수제1 제3수로와, 내측 하부에 제1, 제3수로와 연통되어 제1, 제3수로를 경유한 물을 통과시키면서,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가열하는 흡열관을 형성한 연소 케이싱과, 이 연소 케이싱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흡열관 방향으로 화염을 분출하는 연소판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소판부는 연소케이싱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가스를 통과시키고, 전극부품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로 혼합가스를 연소하여 화염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소판부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전극부품의 플레임로드를 향하도록 분출되고, 이에따라, 플레임로드가 화염을 검지하여 연소판부에서 화염이 연소되는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때, 연소판부에서 점화 분출되는 화염은 흡열관 방향으로 분출되면서, 흡열관 외면을 가열한다.
그리고, 화염에 의해 가열된 흡열관은 그 내부로 물을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가열한 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특허문헌 1은, 플레임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플레임로드의 외면과 연소판부간에 간격 편차가 발생되어 플레임로드의 일 부분에 화염이 집중되고,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플레임로드와 근접된 연소판부의 일부 분출홀이 차단되어 플레임로드로 화염이 분출되지 못하고, 또한, 이 화염 분출 차단으로 인해 플레임로드에 화염이 검지되지 못함과 동시에 다른 분출홀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이 플레임로드에 도달하지 못하며, 이러한, 플레임로드의 화염 검지 기능 상실로 인해 연소케이싱 내의 화염 연소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고, 특히, 연소케이싱 내로 유입된 혼합가스가 연소되지 못한 상태로 연소케이싱 내에 머물러 가스 누출이 발생될 수 있으며, 연소판부의 형상에 따라 플레임로드와 연소판부간의 간격 편차에 오차가 발생되어 화염이 플레임로드에 도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간격편차로 인해 연소판부에 근접되어 있는 부분에 화염이 집중되어, 플레임로드에 부분 파손이 일어나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009266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 내측 상면에 다염공버너를 설치하며, 하우징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그 일단이 다염공버너의 외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염검지부를 설치하여, 다염공버너에서 화염이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다염공버너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염검지부 외면에 다염공버너에서 연소되는 화염이 균등하게 분출되도록 하여, 화염의 검지력을 향상과 동시에 화염 검지 오차범위가 감소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화염을 분출하는 다염공버너; 일단이 상기 다염공버너의 외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다염공버너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출하는 염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수배관과; 내측 하부에 수배관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배관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되, 상기 다염공버너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외면이 가열되어, 내부로 통과되는 물을 열교환작용으로 가열하는 전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다염공버너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커버하고,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저면에 위치되고, 상광하협구조로 돌출되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관통홀 테두리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단턱부를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연소홈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점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화염 검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와; 일단이 상기 센서에 연결되되 타단이 점화부 외면에 평행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점화부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하는 검지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검지봉은, 상기 점화부의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화부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검지봉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는, 상기 연소홈의 저면 테두리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내측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경사면 하단과 상기 단턱부 사이에 상기 내측경사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는, 검지봉을 상기 내측경사면 또는 외측경사면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는, 검지봉을 상기 연소홈의 저면 또는 상기 점화부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검지부를 다염공버너와 평행하게 설치하여, 염검지부와 다염공버너간의 간격이 균등하게 이격되고, 다염공버너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염검지부 외면에 균등하게 접촉되어 염검지부의 일 부분에 화염이 집중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다염공버너의 일 부분에서만 화염이 분출되는 경우, 다염공버너 외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염검지부에 접촉되는 화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화염의 검지 오차 범위가 감소되고, 이 오차범위 감소로 인해 하우징 내에서 연소되는 화염의 연소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다염공버너의 외면 형상에 따라 염검지부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화염의 검지능력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다염공버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의 염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혼합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공급받는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수배관(101)과, 내측 하부에 수배관(101)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배관(101)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되,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외면이 가열되어, 내부로 통과되는 물을 열교환작용으로 가열하는 전열관(10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보일러(미도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배관(101) 및 전열관(102)을 통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한다.
상기 수배관(101)은 상부에서 하부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물을 순환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00)이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배관(101)은 물과의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중온으로 변화시키면서 냉각되고, 이 중온으로 변화된 물을 상기 전열관(102)으로 공급한다.
상기 전열관(102)은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어 외면에 접촉되는 화염에 직접적으로 가열되어 정해진 온도로 상승된다.
상기 전열관(102)은 내부로 물을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작용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배출한다.
상기 전열관(102)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관(102)은 직렬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되, 타단이 상기 다염공버너(200)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산되는 혼합가스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S)를 형성한다.
상기 점화플러그(S)는 일단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되, 타단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도록 하여 혼합가스를 점화한다.
상기 점화플러그(S)의 타단은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염공버너(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화염을 분출한다.
상기 다염공버너(200)는 전체면적에 형성된 염공이 동일한 크기로 반복 형성된 세라믹 또는 메탈파이버버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공버너(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 다염공버너(200)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커버하고,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홀(201a)을 형성한 프레임(201)과, 상기 프레임(201) 저면에 위치되고, 상광하협구조로 돌출되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관통홀(201a) 테두리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단턱부(202a)를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연소홈(202b)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300)로 화염을 분출하는 점화부(20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1)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상면 테두리를 덮어 커버한다.
상기 프레임(201)의 관통홀(201a)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상부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로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점화부(202)는 혼합가스를 분출하면서 점화되어 화염을 일으키되, 그 표면에 화염이 머무르도록 한다.
상기 연소홈(202b)은 화염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분출한다.
상기 점화부(202)는 상기 연소홈(202b)의 저면 테두리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내측경사면(202c)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경사면(202c) 하단과 상기 단턱부(202a) 사이에 상기 내측경사면(202c)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202d)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300)로 화염을 분출한다.
상기 내측경사면(202c)은 상기 연소홈(202b) 내에서 하우징(100)의 중심 방향을 향해 화염이 집결 분출되도록 한다.
상기 외측경사면(202d)은 상기 점화부(202)의 외면에서 화염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퍼져 나아가도록 분출한다.
염검지부(300)는 일단이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외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출한다.
상기 염검지부(300)는 전체 면적에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고르게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화염 연소 여부를 검지한다.
상기 염검지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화염 검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301)와, 일단이 상기 센서(301)에 연결되되 타단이 점화부(202) 외면에 평행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하는 검지봉(3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301)는 상기 검지봉(302)에 화염이 검지되는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검지봉(302)은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거나 혹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점화부(202) 외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염검지부(300)는 검지봉(302)을 상기 내측경사면(202c) 또는 외측경사면(202d)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한다.
상기 검지봉(302)은 그 타단이 상기 외측경사면(202d) 말단 또는 상기 내측경사면(202c) 말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검지부(300)는 검지봉(302)을 상기 연소홈(202b)의 저면 또는 상기 점화부(202)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한다.
상기 검지봉(302)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검지봉(302)은 그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검지봉(302)에 접촉되는 화염의 접촉 면적이 변화된다.
상기 검지봉(302)은 상기 점화부(202)의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01a)을 형성한 프레임(201)을 구비하되, 이 프레임(201)의 관통홀(201a)을 점화부(202)로 커버한다.
이때, 이 점화부(202)는 상단 테두리에 단턱부(202a)를 형성하고, 이 단턱부(202a)를 상기 프레임(201)의 관통홀(201a) 저면 테두리에 밀착 고정함으로써, 상기 점화부(202)가 상기 프레임(201)에 밀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부(202)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 방향을 향해 상광하협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그 저면 중앙부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연소홈(202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점화부(202)는 상기 단턱부(202a)에서 상광하협 구조로 경사진 외측경사면(202d)을 형성하되, 이 외측경사면(202d)과 상기 연소홈(202b) 테두리 사이에 상기 외측경사면(202d)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내측경사면(202c)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점화부(202)의 단턱부(202a)는 상기 프레임(201)의 저면 테두리에 용접(예컨대, 스폿용접)방식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이 다염공버너(200)의 프레임(201) 테두리를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테두리에 밀착 고정하되, 용접방식으로 고정하여, 상기 다염공버너(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염검지부(300)의 센서(301)를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이 센서(301)에 검지봉(302) 일단을 고정하되, 타단을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점화부(202) 외면과 평행하도록 굴곡지게 형성하거나 혹은 절곡 형성하여, 점화부(202) 외면과 상기 검지봉(302)이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검지봉(302)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의 외측경사면(202d) 또는 내측경사면(202c)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봉(302)은 적어도 1회 이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의 연소홈(202b) 상면 또는 점화부(202)의 하단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배관(101)을 통해 물을 순환시키되,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혼합가스를 상기 하우징(100) 내로 공급하게 되면, 혼합가스가 상기 다염공버너(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분출되고, 이때,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점화플러그(S)로 스파크를 일으켜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화염이 점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점화부(202)를 통해 분출되는 혼합가스는 점화플러그(S)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를 일으켜 화염을 생성하고, 이 화염은 점화부(202) 표면에서 연소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 내로 분출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부(202) 표면에서 연소되는 화염은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화염으로 점화된 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분출되도록 혼합가스를 연속하여 연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프레임(201)의 관통홀(201a)을 통해 상기 점화부(202)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점화부(202)에서 혼합가스를 고르게 분산시켜 점화함으로써, 상기 점화부(202)의 전체 면적에서 화염이 고르게 연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점화부(202)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상기 점화부(202)의 외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기 검지봉(302)에 접촉되고, 이때, 이 검지봉(302)이 화염을 검지하여 상기 센서(301)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센서(301)에서 화염의 검지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검지봉(302)은 상기 연소홈(202b)의 상면, 내측경사면(202c), 외측경사면(202d) 또는 점화부(202)의 하단중 어느 하나와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202)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검지봉(302) 전체면적에 상기 연소홈(202b)의 상면, 내측경사면(202c), 외측경사면(202d) 또는 점화부(202)의 하단중 어느 하나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균등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점화부(202)의 외측경사면(202d)에 평행하도록 상기 검지봉(302)을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202)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화부(20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상기 점화부(202)의 외측경사면(202d)에 대응하는 내측 표면 일부분에 들러붙어 상기 점화부(202)의 외측경사면(202d) 일 부분에 막힘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경사면(202d)의 일 부분에서 화염이 분출되는 것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경사면(202d)의 다른 부분에서 화염이 분출된다.
이때, 상기 외측경사면(202d)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검지봉(302)은 상기 외측경사면(202d)의 다른 부분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접촉되고, 이에따라, 상기 점화부(202)에서 분출되는 화염을 염검지부(300)로 검지한다.
즉, 상기 외측경사면(202d)의 일 부분이 막힘되어 일 부분의 화염 분출이 차단된다 하더라도, 화염이 분출되는 다른 부분을 통해 상기 검지봉(302)으로 화염을 검지하여, 상기 점화부(202)에서 화염의 연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외측경사면(202d)에 검지봉(302)을 평행하게 설치하여, 외측경사면(202d)의 일부분이 막힘되는 경우, 외측경사면(202d)의 다른 부분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검지봉(302)에 검지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측경사면(302c), 연소홈(302b) 상면 또는 상기 점화부(202)의 하단에 상기 검지봉(302)을 평행하게 설치하여,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전열관(10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전열관(102)을 가열하고, 이에따라, 상기 전열관(102) 내로 흐르는 물이 상기 전열관(102)과의 열교환작용으로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102) 내에서 가열된 온수는 외부로 방출되어 난방을 진행하거나 혹은 온수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염검지부(300)가 다염공버너(20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평행하게 형성하여,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염검지부(300) 전체면적에 균등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구조는, 염검지부(300)를 다염공버너(200)와 평행하게 설치하여, 염검지부(300)와 다염공버너(200)간의 간격이 균등하게 이격되고,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염검지부(300) 외면에 균등하게 접촉되어 염검지부(300)의 일 부분에 화염이 집중될 우려가 없으며,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해 다염공버너(200)에서 부분적으로 화염이 분출되는 경우, 다염공버너(200) 외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염검지부(300)에 화염이 접촉되어 하우징(100) 내에서 연소되는 화염의 연소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101 : 수배관
102 : 전열관 200 : 다염공버너
201 : 프레임 201a : 관통홀
202 : 점화부 202a : 단턱부
202b : 연소홈 202c : 내측경사면
202d : 외측경사면 300 : 염검지부
301 : 센서 302 : 검지봉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을 향해 방사상으로 화염을 분출하는 다염공버너(200);
    일단이 상기 다염공버너(200)의 외면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되,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출하는 염검지부(3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수배관(101)과;
    내측 하부에 수배관(101)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배관(101)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되, 상기 다염공버너(200)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외면이 가열되어, 내부로 통과되는 물을 열교환작용으로 가열하는 전열관(10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염공버너(200)는,
    판재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커버하고,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홀(201a)을 형성한 프레임(201)과;
    상기 프레임(201) 저면에 위치되고, 상광하협구조로 돌출되되, 상단 테두리에 상기 관통홀(201a) 테두리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단턱부(202a)를 형성하며, 저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연소홈(202b)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300)로 화염을 분출하는 점화부(2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화염 검지여부를 판단하는 센서(301)와;
    일단이 상기 센서(301)에 연결되되 타단이 점화부(202) 외면에 평행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하는 검지봉(30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봉(302)은,
    상기 점화부(202)의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점화부(202)에서 연소되는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6.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봉(302)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202)는,
    상기 연소홈(202b)의 저면 테두리에서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내측경사면(202c)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경사면(202c) 하단과 상기 단턱부(202a) 사이에 상기 내측경사면(202c)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202d)을 형성하여 상기 염검지부(300)로 화염을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300)는,
    검지봉(302)을 상기 내측경사면(202c) 또는 외측경사면(202d)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염검지부(300)는,
    검지봉(302)을 상기 연소홈(202b)의 저면 또는 상기 점화부(202)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하여 화염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1020200052073A 2020-04-29 2020-04-29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10240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073A KR102408714B1 (ko) 2020-04-29 2020-04-29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073A KR102408714B1 (ko) 2020-04-29 2020-04-29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53A true KR20210133453A (ko) 2021-11-08
KR102408714B1 KR102408714B1 (ko) 2022-06-14

Family

ID=78497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073A KR102408714B1 (ko) 2020-04-29 2020-04-29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7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93A (ko) * 2000-03-25 2001-10-18 석창환 주름이 형성된 표면연소 버너용 금속섬유 매트
KR20190009266A (ko) 2017-07-18 2019-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1차 연소식 버너
KR2019008120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관식 보일러
JP2019203636A (ja) * 2018-05-23 2019-11-28 リンナイ株式会社 熱源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393A (ko) * 2000-03-25 2001-10-18 석창환 주름이 형성된 표면연소 버너용 금속섬유 매트
KR20190009266A (ko) 2017-07-18 2019-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1차 연소식 버너
KR20190081208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관식 보일러
JP2019203636A (ja) * 2018-05-23 2019-11-28 リンナイ株式会社 熱源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714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92024B (zh) 火盖和燃烧器
US4510890A (en) Infrared water heater
CN107642778B (zh) 火盖和燃烧器
JP2018536834A (ja) コンデンシング方式の燃焼機器
KR102365634B1 (ko) 보일러용 메탈파이버버너
KR102408714B1 (ko)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20070053914A (ko) 실드 더블 버너
KR102332112B1 (ko) 단열재를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US4923393A (en) Fuel fired burner
CN217423595U (zh) 加热装置及燃气热水器
KR102470351B1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EP0381252B1 (en) Fuel fired burner
KR102611891B1 (ko) 메탈파이버 버너
KR102611895B1 (ko) 메탈파이버 버너
KR102336180B1 (ko) 단열재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보일러용 전열열교환기
KR100976032B1 (ko) 콘덴싱 가스 보일러
CN218095934U (zh) 火盖组件及燃气灶
KR100260226B1 (ko) 고열량 버너
KR20190114568A (ko) 세라믹 그릴 버너
KR102645448B1 (ko) 메탈파이버 버너
KR102504737B1 (ko) 하향 연소식 고체 연료 연소장치
KR102588208B1 (ko) 타겟 점화방식용 연소기기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KR102611889B1 (ko) 메탈파이버 버너
KR102588206B1 (ko) 무전원 가변댐퍼를 구비한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