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05B1 -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05B1
KR890004905B1 KR1019870003969A KR870003969A KR890004905B1 KR 890004905 B1 KR890004905 B1 KR 890004905B1 KR 1019870003969 A KR1019870003969 A KR 1019870003969A KR 870003969 A KR870003969 A KR 870003969A KR 890004905 B1 KR890004905 B1 KR 89000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ylindrical member
nozzle
fill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665A (ko
Inventor
노보루 히라사와
기요미 세야
젠야 가또
Original Assignee
구레하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가노 요리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레하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가노 요리쓰구 filed Critical 구레하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12Subdividing filled tubes to form two or more packages by sealing or securing involving displacement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제1도는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로 본, 충전 장치의 부분 측면도.
제3도는 필름 케이싱에 대한 유동 물질 충전 작업을 보인부분 전면 확대도.
제4도는 필름 케이싱에 대한 유동 물질 충전 작업을 보인부분 전면 확대도.
제5도는 압착(squeezing)로울러 및 공기 도출(air vent)밸브의 작동시간을 보인 시간 선도.
제6도는 제2도의 선 Ⅵ-Ⅵ에 따라 기포 제거링을 보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부분 확대도.
제8도는 유동 물질로 충전된 필름 케이싱을 보인 평면도.
제9도는 필름 케이싱에 대한 종래의 유동 물질 충전 작업을 보인 전면도.
제10도는 가공육으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소세지 제조 용도의 종래 장치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름 케이싱 2 : 조임 부재
10 : 스터퍼 노즐(stuffer nozzle) 11 : 충전 노즐
12 : 공기 도출 노즐 14 : 공기 도출 밸브
16 : 이음 장치 17 및 18 : 싸이즈 링
22 : 호퍼(hopper) 32a 및 32b : 압착 노즐
40a : 원통형 부재
본 발명은 흰자와 노른자로 분리된 생달걀과 같은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특히 필름 케이싱 속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의 재료로 사용되는 달걀은 흰자와 노른자로 분리되어 제8도에 보인 필름 케이싱(1)에 충전되어 식품 가공 공장에 공급된다. 필름 케이싱(1)은 예컨데,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된 필름의 양 단이 밀봉부 또는 이음부(la)에서 이어진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후 생달걀이 이 원통에 충전된 후, 생달걀로 충전된 원통의 대향단이 알루미늄선과 같은 조임 부재(2)에 의해 조여진다. 다음에는 생달걀이 필름 케이싱 내에 충전된 채로 가열되고 케이싱 내의 달걀 흰자와 노른자는 경화되어져 식품 가공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 식품 가공 공장에서 필름 케이싱이 달걀로 부터 제거되며, 달걀은 샌드위치 재료로 사용된다.
달걀과 같은 유동 물질을 필름 케이싱 (1)내로 충전할 때, 충전작업 중 공기가 필름 케이싱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필름 케이시응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필름 케이싱 내로 유입된 공기는 기포로써 필름 케이싱 표면에 나타난다. 따라서 충전물이 달걀의 흰자와 노른자일때, 기포가 존재하는 충전 달걀 부위는 가열될 때 황색으로 변색되며, 이 변색 부위가 필름 케이싱을 통하여 관찰되어 충전 달걀의 값어치를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생달걀 또는 유사물을 필름 케이싱에 충전할 때는 공기가 필름 케이싱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잇다.
공기 유입을 방지키 위한 종래의 달걀 충전 작업에 있어서는, 필름으로 구성된 원통(40a)의 한 단을 제9도에 보인 바와 같이 조임 부재(2)로써 조이며, 생달걀을 충전 노즐에서 원통으로 충전된다. 달걀로 충전된 원통(40a)은, 원통의 다른 단이 개방된 채로 제9도에 보인 용기 속에서 직립되며 공기가 원통으로부터 배출된다. 공기가 원통에서 배출된 후, 원통의 개방 단은 공기의 유입 속에서 직립되며 공기가 원통으로부터 배출된다. 공기가 원통에서 배출된 후, 원통의 개방 단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토록 단단히 밀폐되며 조임 부재(2)에 의해 조여져 케이싱(1)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작업에는 많은 공정이 수작업이므로 작업효율이 매우 나쁘다.
따라서, 달걀과 같은 유동물질을 공기 유입을 수반치 않고 필름 케이싱에 자동적으로 충전시키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요망되며, 이에 따라 물질로 원통형 필름 케이싱을 자동 충전시키는 장치로서, 소세지를 제조키 위해 제10도에 보인 바와같이 원통형 필름 케이싱을 가공육으로 충전시키는 자동 충전 장치가 개발되었다.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만든 필름(40)이 연속적으로 자동 충전 장치에 공급되어 조형부재(4)에 의해 원통 위에서 감겨지며, 감겨진 필름의 양단을 고주파 전극(5a 및 5b)으로 접합하여 원통형 부재로 만든다. 가공육과 같은 충전물이 스터퍼 노즐(6)에서 원통형 부재를 만든다. 가공육과 같은 충전물이 스터퍼 노즐(6)에서 원통형 부재로 충전된다. 한쌍의 압착 로울러(7a 및 7b)가 스터퍼 노즐(6)아래에 배치되어 원통형 부재단을 압착 시키며, 압착된 대향 단이 알루미늄선과 같은 조임부재(2)로 조여진다. 원통형 부재(40a)의 단이 로울러(7a 및 7b)에 의해 압착될 때, 원통형 부재내의 압력이 증가되나, 이 압력 상승은 스터퍼 노즐(6)주위에 배치된 조정링(8)의 상방 미끄럼 운동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제10도에 보인 종래의 자동 충전 장치는 유동물질이 아닌 가공육과 같은 물질로 원통형 부재를 충전시키는데 사용되어, 공기가 물질과 함께 유입되는 것이 난이한 경향을 가지므로, 이 장치는 원통형 부재(40a)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능이 확실하게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장치를 달걀과 같은 유동물질 충전장치로서 채택할 때, 많은 공기가 필름 케이싱(1)내로 유입된다. 부가하여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시키는 데 종래의 자동 충전 장치를 사용하면 조정링(8)과 필름(40)의 내부 표면 사이의 틈새로부터 유체가 상부로 누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흰자와 노른자로 분리된 생달걀과 같은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자동 충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케이싱이 압착 로울러에 의해 압착될 때 조성되는 필름 케이싱 내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며 이와 아울러 필름 케이싱 내 공기를 배출시켜 주는 유동 물질 충전 필름 케이싱에 대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다.
도시된 유동물질 충전 장치는 필름 케이싱을 흰자와 노른자로 분리된 생달걀과 같이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갖고 있으며 가공육에 비해 액체와 유사한 유동물질로 연속하여 자동 충전시킨다.
제2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스터퍼 노즐(10)은 유동 물질 공급을 위한 충전 노즐(11)을 구성하는 내부관과 공기 도출 노즐(12)을 구성하는 외부관을 포함한 이중관으로 구성된다. 충전 노즐(11)의 상단은 연결관(13)에, 연결관(13)의 상단은 밸브(21)를 거쳐 호퍼(22)에 연결된다. 공급관(23)이 호퍼(22)에 연결된며 생달갈과 같은 유동 물질이 공급관(23)으로부터 호퍼(22)에 공급된다. 밸브(24)가 관(23)로에 설치되며 호퍼(22)내 유량에 따라 개폐되어 유체를 호퍼(22)로 공급한다. 부가하여 제2도에 보인 바와같이 스터퍼 노즐(10)의 외부관을 구성하는 공기 도출 노즐(12)의 상단이 공기 도출 밸브(14)를 거쳐 공기 도출괸(25)에 연결된다. 제1도에 보인 바와같이, 공기 도출관(25)의 상단이 호퍼(22)의 상부에서 개방된다.
성형부재(15)가 스터퍼 노즐(10)의 상부 주위에 배치된다. 비닐 클로라이드로 된 필름(40)이 필름 공급 로울러(26 및 27)를 경유해 공급되며 성형 부재(15)에 의해 원통 형상이 된다. 또한 한쌍의 고주파 전극(16a 및 16b)으로 구성된 이음장치(16)가 성형부재(15)아래에 배치된다. 성형부재(16)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필름(40)의 양단이 고주파 전극(16a 및 16b)에 의해 이어져서, 필름으로 된 원통형 부재(40a)형상이 되며, 스터퍼 노즐(10)의 하단이 원통형 부재(40a)내에 삽입된다.
상부 싸이즈링(17)과 하부 싸이즈링(18)이 스터퍼 노즐(10)주위에 고정 장착된다. 상부 싸이즈링(17)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7a 및 17b)의 외경과 하부 싸이즈링(18)의 외경이 성형 부재(15) 형성된 필름의 원통형 부재(40a)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플랜지(17a 및 17b) 및 하부 싸이즈링(18)이 원통형 부재(40a)내에서 간극 없이 미끄럼 운동한다. 따라서, 원통형 부재(40a)가 스터퍼노즐(10)로부터 유동물질로 충전될 때, 상부 및 하부 싸이즈링(17 및 18)의 외측 원주가 유동물질의 상방 누출을 방지한다.
기포 제거링(19)이 상부 싸이즈링(17)과 하부 싸이즈링(18)사이에 배치된다. 이 기포 제거링은 플랜지(19a)로 제공되며, 플랜지(19a)의 직경이 싸이즈링(18)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므로 플랜지(19a)의 외측 원주(19a)와 원통형 부재(40a)사이에 작은 간극이 형성된다. 제6도에 보인 바와같이 노치(19b)가 기포 제거링(19)의플랜지(19a)의 외측 원주에 비스듬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의 확대 단면도에 보인 바와같이, 이음장치(16)에 의해 필름(40)의 양 단을 이어 형성된 원통형 부재(40a)외부에 배치된 좁은 외부단 편(40b)과 원통형부재(40a)내부에서 배치된 좁은 내부단 편(40c)이 원통형 부재(40a)의 이음부 또는 밀봉부(1a)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있다. 내부단 편(40c)은 링(19)의 노치(19b)에서 유도되며 원통형 부재(40a)의 내부면으로부터 강제 분리된다. 충전된 유동 물질이 하부 싸이즈링(18)으로부터 상방 주출되며 누출된 유동물질이 내부단편(40c)과 원통형 부재(40a)사이를 유동함으로써, 내부단 편(40c) 및 원통형 부재(40a)의 내부면 사이에서의 기포 잔류를 방지해 준다.
필름 어드밴싱 로울러(31)가 스터퍼 노즐(10 : 제1도 참조)하부에 배치되어, 원통형 필름 부재(40a)를 일정 속도로 하방 어드밴싱한다.
한 쌍의 압착 로울러(32a 및 32b)가 필름 어드밴싱 로울러(31)하부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므로써 필름으로 된 원통형 부재를 압착 로울러(32a 및 32b)사이에 위치시켜서 로울러로 압착한다. 압착로울러(32a 및 32b)는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로울러가 서로 접촉하여 원통형 부재(40a)를 압착하는 제1위치 및 제3도에 보인 바와같이 로울러가 서로 분리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1개의 압착로울러(32a)압착된 필름을 하방으로 어드밴싱 시키는 필름 어드밴싱 로울러(31)에 동기(synchronism)하여 회전한다.
부가하여, 조임 기구가 한 쌍의 압착 로울러(32a 및 32b)하부에 제공되며, 압착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해 압착된 필름을 알루미늄선의 조임 부재(2)로 조여준다.
이제 작업 과정을 설명하겠다.
생달걀의 흰자 또는 노른자와 같은 유동물질이 제1도에 보인 공급관(23)으로부터 호퍼(22)로 공급된다. 이때 호퍼(22)내 유량은 밸브(24)의 개폐에 의해 조절된다.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필름(40)이 연속적으로 필름 공급 로울러(26 및 27)에 의해 공급되며 성형부재(15)이 의해 원통으로 조형된다. 원통의 양 단이 이음 장치(16)의 전극(16a 및 16b)에 의해 서로 이어져 원통형 부재(40a)형상으로 된다.
호퍼(22)하부에 설치된 밸브(21)가 개방될 때, 호퍼(22)내의 유동물질이 자중에 의해 스터퍼 노즐(10)의 내부 충전 노즐(11)내로 낙하한다. 유동 물질은 호퍼(22)내의 유동물질 수두에 부합되는 압력에 의해 원통형 필름 부재(40a)내로 충전된다. 충전 작업 동안 한 쌍의 압착 노즐(32a 및 32b)은 제3도에 보인 바와같이 서로 분리되며 원통형 부재(40a)가 필름 어드밴싱 로울러(31)에 의해 로울러(32a 및 32b)사이에서 일정 속도로 연속적으로 하방 어드밴싱된다. 유동 물질의 소정 양이 조임 부재(2)에 의해 하단이 조여진 원통형 부재(40a)내로 충전될 때, 즉 유동물질이 원통형 부재 하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키 위해 원통형 부재(40a)의 하단에 부착된 조임 부재(2)의 위치가 소정 거리만큼 하강될 때, 한쌍의 압착 로울러(32a 및 32b)가 서로 접근하여 원통형 부재의 양측을 압착한다. 원통형 부재(40a)내의 유동 물질은 압착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해 압착된다. 하갈된 원통형 부재(40a)내로 충전된 유동물질은 압착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해 차단되며, 따라서 원통형 부재(40a)내의 유동물질의 압력은 제4도의 상태에서 급속히 증가된다. 제5도에 보인 바와같이, 제2도에 보인 공기 도출 밸브(14)가 한쌍의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한 압착 작업 완료로부터 미소의 t1시간 경과후 개방되며 공기 도출 노즐(12)의 상단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유동 물질이 공기 도출 노즐(12)내로 유동 하여 로울러(32a 및 32b)의 압착 작업에 기인하여 원통형 부재(40a)내에서 증가된 압력을 조절한다. 이때 유동 물질과 함께 호퍼(22)에서 원통형 부재(40a)내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 도출관(25)으로부터 공기 도출 노즐(12)과 공기 도출 밸브(14)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하부 싸이즈링(18)의 외경 및 상부 싸이즈링(17)의 플랜지(17a 및 17b)가 원통형 필름 부재(40a)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조형되므로써, 싸이즈링 (17 및 18)은 스터퍼 노즐(10)의 외부 및 원통형 필름 부재(40a)사이에서 유동물질이 이음장치(16)의 고주파 전극 위치로 상승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5도의 시간 선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압착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한 압착 작업 후 알루미늄선과 같은 조임부재(2)가 압착된 필름 상에 감겨진다. 따라서 제1도에 보인 바와같이 1개의 필름 케이싱(1)의 압착 로울러(32a 및 32b)하부에 형성된다.
조임 작업이 완료된 후, 한쌍의 압착 로울러(32a 및 32b)는 서로 분리된다. 제5도의 시간 선도에 보인 바와같이, 공기 도출 밸브(14)는 압착 로울러(32a 및 32b)의 분리 시점으로부터 미소의 t2시간 전에 닫힌다. 압착 로울러(32a 및 32b)가 분리될 때, 하부 원통형 부재(40a)내의 유체의 압력은 급속히 감소된다. 그러나, 공기 도출(14)가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압착 로울러 분리 전에 닫히므로써, 공기 도출관(25) 및 공기 도출 노즐(12)로부터 원통형 부재(40a)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작업이 반복됨으로써 조임 부재(2)에 의해 대향 단이 조여진 필름 케이싱(1)이 연속 제조된다. 각각의 필름 케이싱(1)은 제8도에 보인 바와같이 조임 부재(2)로 조여진 부위 근처에서 분리되며, 충전된 유동 물질이 생달걀인 경우, 가열 공정에서 경화된다.
충전 작업시, 상부 싸이즈링(17) 및 하부 싸이즈링(18)의 플랜지(17a 및 17b)는 유체가 스터퍼 노즐(10)의 외측 원주를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제7도에 보인 바와같이 유동물질의 상부면이 상부 싸이즈링(17) 바로 아래까지 상승되어 기포 제거링(19)은 유동물질에 잠긴다. 그리고 제7도에 보인 바와같이 원통형 필름 부재(40a)의 이음부(la)에 있는 내부단 편(40c)이 기포 제거링(19)의 플랜지(19a)에 형성된 노치(19b)내로 유도되어 원통형 부재(40a)의 내부면으로부터 강제 분리된다. 따라서 단 편(40c)과 원통형 부재(40a)의 내부면 사이의 대향면을 간극을 형성하며, 이 간극이 유동물질에 의해 젖게 된다. 그러므로 단 편(40c)은 하부 싸이즈링(18)의 외측 원주에 의해 원통형 부재(40a)의 내부면으로 압착된다. 그리고 단 편(40c)과 원통형 부재의 내부면 사이의 대향면이 유동 물질에 의해 일단 젖음으로써, 대향면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서의 기포 잔류가 방지되며, 또한 기포가 하부 싸이즈 링(18)아래에 포집되는 것도 방지된다.
유동물질은 생달걀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가 물질과 함께 원통형 부재 내로 유입되는 경향을 갖는 다른 유동 물질일지라도 상기 서술된 것과 같은 작업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5도의 소정의 t1시간 및 t2시간으로 예시된, 압착로울러(32a 및 32b) 및 공기 도출밸브(14)사이의 개폐 작업시의 시간 차이는 유동 물질의 점도 및 스터퍼 노즐(10)의 외부관을 형성하는 공기 도출 노즐(12)의 단면적에 부합하여 지정된다. 어떤 경우에는 t1시간 및 t2시간의 둘 또는 어느 하나가 영(zero)이 될 수 있으며, 또는 공기 도출 밸브(14)가 로울러(32a 및 32b)에 의한 압착 작업 바로 직전에 개방되고 로울러(32a 및 32b)의 분리 바로 직후에 닫힐 수 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스터퍼 노즐이 내부 충전 노즐 및 외부 공기 도출 노즐을 포함한 이중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유동 물질과 함께 원통형 부재 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 공기 도출 노즐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더우기 공기 도출 노즐에 커플링 된 공기 도출 밸브가 압착 로울러의 작동에 동기 하여 개폐됨으로써, 원통형 부재 내에 증가된 압력이 압착 로울러의 압착 작업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원통형 필름 부재내에 포함된 공기가 압착 작업시 틀림없이 배출될 수 있다. 부가하여 유동 물질이 생달걀인 경우, 필름 케이싱 내로 공기 유입이 방지됨으로써, 열에 의해 경화된 달걀이 공기로 인해 황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필름의 양 단을 이어 주므로써 원통형 부재를 형성하는 이음장치, 이음 장치 내부에 배치되어서 원통형 부재내에 삽입된 스터퍼 노즐, 스터퍼 노즐 아래에 배치되며 로울러가 필름의 원통형 부재를 압착하는 제1위치 및 로울러가 원통형 부재로 부터 분리된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한쌍의 압착 로울러, 압착 로울러에 의해 압착된 필름을 조여주는 조임기구를 갖는 유동 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 노즐이 유동 물질을 원통형 부재로 공급하는 내부 충전 노즐, 및 압착로울러의 압착 작업에 동기하여 개방되며 압착 로울러의 분리 작업에 동기하여 닫히는 공기 도출밸브와 연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 도출 노즐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형성되어지는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공기 도출 밸브가 압착 로울러에 의해 원통형 부재에 대한 압착 작업 직후에 개방되며, 상기 공기 도출 밸브가 압착 로울러에 의해 원통형 부재에 대한 압착 작업 직전에 닫히는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터퍼 노즐의 하단에 설치되며 이음장치에 의해 필름을 이어주므로써 형성된 원통형 부재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한 쌍의 분산된 싸이즈 링을 포함하는 유동 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KR1019870003969A 1986-04-30 1987-04-24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KR890004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904 1986-04-30
JP?61-99904 1986-04-30
JP61099904A JPS62260610A (ja) 1986-04-30 1986-04-30 フイルムケ−シングに対する流動物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665A KR870009665A (ko) 1987-11-30
KR890004905B1 true KR890004905B1 (ko) 1989-11-30

Family

ID=1425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969A KR890004905B1 (ko) 1986-04-30 1987-04-24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50534A (ko)
JP (1) JPS62260610A (ko)
KR (1) KR890004905B1 (ko)
CN (1) CN1008167B (ko)
AU (1) AU58249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4493A (en) * 1988-06-08 1991-05-14 Bemis Company, Inc. Form-fill-seal packaging
JPH03124506A (ja) * 1989-10-09 1991-05-28 Ibaraki Seiki Kk 包装機における袋へのガス供給装置
US20040166206A1 (en) * 2003-02-25 2004-08-26 Archibald William E. Vacuum packaged food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5152900B2 (ja) * 2007-11-17 2013-02-27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充填装置
EP2388198B1 (en) * 2008-05-11 2012-10-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ing and filling machine
ES2400479T3 (es) * 2008-08-24 2013-04-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áquina envasadora y llenadora
ES2377235T3 (es) * 2008-11-24 2012-03-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Unidad de envasado para producir envases cerrados herméticamente de un producto alimentario vertible en un tubo de material de envasado
US10059475B2 (en) * 2009-05-01 2018-08-28 Liqui-Box Corporation Fill-accuracy during pouch formation
JP5550318B2 (ja) 2009-12-10 2014-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段気水分離装置、および気水分離器
CA2784503A1 (en) * 2009-12-18 2011-06-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Filling assembly, gasket for use in said fill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filling liquid
JP5361015B2 (ja) * 2012-08-23 2013-12-04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充填装置
ES2688085T3 (es) * 2016-02-19 2018-10-30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Embutición de alimentos con porcentaje sólido y líquido
CN107215839A (zh) * 2017-06-23 2017-09-29 安徽尚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引液导流装置
CN110140562A (zh) * 2019-06-13 2019-08-20 河南赛诺优农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卷帘装置以及保温型大棚
CN110626536B (zh) * 2019-07-03 2021-06-22 安徽江南化工股份有限公司 排气型灌装机
TWI754204B (zh) * 2020-01-02 2022-02-01 造葆有限公司 具有擠排氣功能的包裝機及其包裝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547A (en) * 1910-04-23 1911-04-25 Ernest C Gunuskey Nozzle for sausage-stuffing machines.
US2387812A (en) * 1941-12-18 1945-10-30 Stokes & Smith Co System of producing evacuated packages
US2815621A (en) * 1955-04-28 1957-12-10 Carter Clarence Freemont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open mouth receptacles
US3040490A (en) * 1960-05-31 1962-06-26 Triangle Package Machinery Co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filling, and sealing containers
SE324132B (ko) * 1963-01-16 1970-05-19 Tetra Pak Ab
US3384134A (en) * 1965-05-25 1968-05-21 Union Carbide Corp Filling tube
US3381441A (en) * 1965-07-19 1968-05-07 Atlantic Richfield Co System for producing liquidfilled packages
US3488915A (en) * 1966-09-15 1970-01-13 Fmc Corp Package filling and sealing systems
US3611657A (en) * 1968-09-27 1971-10-12 Kureha Chemical Ind Co Ltd Continuously operating automatic filling machine
US3853999A (en) * 1972-12-06 1974-12-10 Servbest Foods Inc Process for shaping comminuted meat products
US4054161A (en) * 1976-04-22 1977-10-18 Semi-Bulk Systems, Inc. Apparatus for fill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de-aerating material
JPS5811618A (ja) * 1981-06-30 1983-01-22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線状体の真空充填方法及び装置
JPS591303A (ja) * 1982-06-14 1984-01-06 ニュ−ロング株式会社 粉体の袋詰め充填方法とその装置
EP0129988B1 (en) * 1983-05-31 1987-09-30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 Limite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filling bags
SE443966B (sv) * 1984-07-31 1986-03-17 Tetra Dev Co Sett och anordning vid forpackningsma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20687A (en) 1987-11-05
KR870009665A (ko) 1987-11-30
JPS62260610A (ja) 1987-11-12
AU582496B2 (en) 1989-03-23
CN1008167B (zh) 1990-05-30
JPH048288B2 (ko) 1992-02-14
CN87103242A (zh) 1987-11-11
US4750534A (en) 198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905B1 (ko) 유동물질로 필름 케이싱을 충전하는 장치
US1970396A (en) Method of and machine for making capsules
US3282412A (en) Valved mixing container or package
RU2511367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го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го эластомера на капсулу
US5439703A (en) Pressure Processing method for food materials
JPH0549522B2 (ko)
US2565045A (en) Filling machine having a flexible bag enclosure with spaced ribs to provide a bag support and passageways externally of the bag
JP3222079B2 (ja) 中空ファンブレード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0816905B (zh) 配料辊子
RU201810955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мягкой упаковки без зажима, содержащей вязкий продукт
US4939884A (en) Honey stick machine
EP0167190B1 (fr) Procédé de transfert de produits pulvérulents à partir d'un réservoir et installation de mise en oeuvre
US51146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lding a fluid settable material
KR970002582B1 (ko) 소세지 포장기의 포장재내에 액체 물질을 주입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소세지 포장기
EP0274154A1 (en) An arrangement for a filling valve in a packing machine
US4617701A (en) Method of dispensing a deformable and flowable filling material
US3659519A (en) Apparatus for depositing aerated food products
CN209818792U (zh) 一种粉体反应釜投料专用球阀
US2599319A (en) Filling and capping equipment
US3334666A (en) Filling apparatus
JP3741207B2 (ja) 粒状物と液状粘稠物との混合装置
CN218810302U (zh) 一种鱼加工用灌装装置
US479667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deformable and flowable filling material
KR102069652B1 (ko) 파우치 포장기의 유체 주입 노즐 시스템
CN220243615U (zh) 一种灌装组件及灌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