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04B1 -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04B1
KR890004704B1 KR1019850003315A KR850003315A KR890004704B1 KR 890004704 B1 KR890004704 B1 KR 890004704B1 KR 1019850003315 A KR1019850003315 A KR 1019850003315A KR 850003315 A KR850003315 A KR 850003315A KR 890004704 B1 KR890004704 B1 KR 89000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ough
dough pieces
piec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718A (ko
Inventor
도라히꼬 하야시
야스노리 다시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도라히꼬 하야시 filed Critical 레온 지도오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5000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704B1/ko
Publication of KR86000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8Embossing machines with engraved moulds, e.g. rotary machines with di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반죽물 조각을 한줄씩 분리하고, 반죽물 조각의 줄을 서로 간격을 전방으로 위치하여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수직인 선상에 정렬되도록 정위되는 절단된 반죽물 조각의 평면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팬토 그래프형 링크 장치와 보유 장치의 운동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절결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필수 부품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보유 장치의 간격을 유지하고 회전시키는 수단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제6a도 및 제6c도는 본 발명의 승강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와 측입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보유 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반죽물 조각 3, 5 : 컨베이어
4, 4' : 절단기 10 : 승강 장치
17 : 수평판 20 : 간격 유지 수단
27 : 핸토 그래프(phantograph)형 링크 장치 32 : 보유 장치
37 : 반죽물 지지판 40 : 회전 수단
본 발명은 연속적인 반죽물 스트립에서 절단하여 컨베이어에 공급되는 크로와쌍(croissant)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정위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잡한 기구없이 컨베이어상에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을 정확하게 간격을 유지시키고 정위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375,348호에는 절단된 반죽물 조각을 캐칭 장치(catching elements)에 의해 간격을 유지시키고 정위시키는, 크로와쌍 및 브리오시등의 성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반죽물 조각이 캐칭 장치와 맞물리지만, 이러한 장치는 왕복 이동식 운반대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한쌍의 바퀴에서 운반대가 수직운동하는 동안에 맞물림 상태가 실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크 수단에 피버트식으로 장착된 보유 장치는 운반 통로에 관하여 횡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반죽물 조각과 보유 장치와의 맞물림은 반죽물 조각과 보유 장치가 맞물리거나 맞물림을 해체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현저한 차이점은 본 발명에 있는 보유 장치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구이다. 종래 기술에서 캐칭 장치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는 레버 및 롤러 캠과는 달리,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는 보유 장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링크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로드의 행정을 변화시킴으로써 반죽물 조각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물 시트에서 미리 절단된 반죽물 조각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정위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구없이 반죽물 조각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정위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확하게 정렬된 가루반죽 덩이가 연속적인 크로와쌍 롤링 장소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반죽물 조각을 각기 다각형으로 절단하여 소정의 측면이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평행하여 정렬된 상태로 반죽물 조각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와, 소정의 위치에서 컨베이어의 벨트 일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대행 횡으로 확장하고 축소하도록 상기 벨트 위에 설치된 팬토 그래프형 링크 장치와, 링크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반죽물 조각 보유 장치와, 반죽물 조각 보유장치를 소정의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각 반죽물 조각의 소정 측면을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그리고 조각의 전방으로 위치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는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반죽물 조각을 제각기 다각형으로 절단하여 소정의 측면이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반죽물 조각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반죽물 조각의 줄이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최전방줄의 반죽물 조각을 단단히 유지시키는 단계와, 컨베이어 벨트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 줄의 반죽물 조각을 제각기 간격을 유지시키는 단계와 각 조각의 소정 측면이 조각의 전방 위치로 위치하여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정렬되도록 90°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와 동시에 또는 연속으로 반죽물 조각을 정위시키는 단계와, 컨베이어벨트의 일부를 하강시킴으로써 그 줄의 반죽물 조각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에 연속된 줄의 간격 유지 및 정위된 절단된 반죽물 조각을 획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시트(1)는 절단기에 의하여 제각기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서 반죽물 조각(2)으로 절단된다. 이런 경우에 2 그룹(a, b)의 반죽물 조각(2)가 형성되고,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그룹의 삼각형 기부는 역방향의 위치를 가진다.
다음에, 각 그룹(a, b)의 반죽물 조각은 절단장소가 설치된 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되는 컨베이어상에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그룹은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제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명확한 줄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각 줄의 반죽물 조각은 횡방향으로 서로 간격이 유지되어 회전 수단에 의해 90°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삼각형의 반죽물 조각의 기부를 정위하여 제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부가 삼각형의 전방 단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간격 유지 및 정위된 반죽물 조각은 다음 단계로 운반되어서 크로와쌍을 형성하게 된다.
반죽물 조각의 간격을 유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로 운반된 줄의 각 반죽물 조각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27)에 제공된 각각의 보유 장치(32)의 플랜지(35)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한 니들(36)과 맞물린다. 다음에,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27)는 컨베이어의 횡방향으로 로드(26)에 의해 신장되고, 이에 의해 컨베이어의 횡방향으로 반죽물 조각(2)의 간격이 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랜지는 90°로 회전하여 반죽물 조각(2)의 방향을 바꾸고, 다음에 반죽물 조각(2)은 보유장치로부터 해체된다.
제2도에 도시된 단계에서, 반죽물 조각(2)은 컨베이어 벨트의 수직 운동에 의해 보유 장치와 연결되거나 이로부터 해체되는데 이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컨베이어(3)는 이와 결합된 절단기(4, 4')를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5)는 컨베이어(3)의 속도보다 고속도로 구동되고, 프레임(6)은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한다.
수평판(17)을 구비한 승강 장치(10)는 장치의 프레임(6)상에 장착된다. 수평판(17)은 컨베이어(5)의 상부 플라이트상의 벨트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컨베이어(5)에서 반죽물 조각이 놓이는 부분은 승강 장치(10)에 의해 상향으로 추진되고, 따라서 반죽물 조각은 보유 장치(32)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다음에 반죽물 조각은 간격유지 수단(20)에 의해 서로 간격이 유지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다각형의 반죽물 조각의 특정면이 컴베이어의 운방 방향에 대해 전방으로 향하는 관계로 배열된다.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 장치를 다음에서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격 유지 수단(20)은 컨베이어(5)와 동시에 구동되는 캠(21)을 구비하며, 캠(21)과 연결되는 캠 종동부(22)의 운동이 로드(23)를 통해 아암(24)에 전달된다. 아암(24)의 하단부는 피버트점(25)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 되기 때문에, 로드(23)의 행정이 확대되어서 이에 대응하는 로드(26)의 운동을 일으킨다.
다수의 링크(28)를 결합하여 팬토그래프형 링크장치(27)를 형성하고, 안내 부재(29)는 샤프트(33)를 통하여 각 링크(28)의 한 단부에 연결된다. 슬라이더(30)는 각각의 안내 부재(29)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레일(31)과 연결되는 각각의 홈을 가진다. 상기 레일(31)은 컨베이어(5)위의 공간을 지나서 연장하고, 슬라이더(30)는 레일(31)을 따라 컨베이어의 횡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27)를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로드(26)에 의해 팬토그래프형링크 장치(27)가 가압될때, 링크(28)의 관련 단부와 연결된 각 안내 부재(29)는 횡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로 간격이 유지되고, 이 결과에 안내 부재(29) 아래에 배치된 보유 장치(32)는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조각이 서로 접촉한 위치에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조각이 서로 동일한 거리고 간격을 유지한 위치로 이동된다.
각각의 보유 장치(32)는 베어링을 통해 링크(28)의 관련 단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샤프트(33)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된 플랜지(35)와, 플랜지(35)의 하부면에서 돌출하는 다수의 니들(36)을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38)에 의해 편위되는 반죽물 지지판(37)이 플랜지(35)의 바로 아래에 마련된다. 상기 반죽물 지지판(37)은 니들(36)이 반죽물 조각(2)을 관통할때 수평 위치로 반죽물 조각(2)을 파지하고, 또한 후술한 바와같이, 컨베이어(5)가 하향으로 이동할때 니들(36)로부터 반죽물 조각(2)을 해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보유 장치(32)의 샤프트(33)의 일부에 톱니가 제공되어 피니언(34)을 형성한다. 랙 부재(49)의 랙(39)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피니언(34)와 맞물린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랙 부재(49)를 조작하는 회전 수단(40)은 컨베이어(5)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샤프트(41)와, 기어군을 통하여 샤프트(41)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샤프트(42)상에 장착된 캠(43)과, 로드(46)의 1 단부에서 캠(43)의 캠홈(44)과 연결가능하게 장착된 캠종동부(45)를 구비한다. 상기에 기술한 것과 유사한 다른 캠(43)이 샤프트(41)의 다른 단부, 즉 컨베이어(5)의 다른 측면에 제공되므로, 로드의 양 단부에 제공된 캠종동부(45)에 의해 로드(46)는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더(47)는 로드(46)상에서 로드(46)의 세로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슬라이더(47)는 나사(48)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랙 부재(49)에 장착된다. 각각의 랙 부재(49)의 1 측면에 형성된 랙(39)는 샤프트(33)에 형성된 피니언(34)과 맞물린다. 슬라이더(47)는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27)의 신장 및 수축에 따라 로드(46)를 따라 활주 운동을 한다.
캠(43)이 화살표로 도시된 한쪽 방향으로 로드(46)를 이동시킬때, 랙 부재(49)는 안내 부재(29)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샤프트(33)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보유 장치(3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반죽물 조각(2)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컨베이어(5)의 일부를 수직 운동시키는 승강 장치(10)는 캠 종동부(12)를 수직 운동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 구동축과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샤프트상에 장착된 캠(11)을 구비한다. 캠 종동부(12)는 프레임(6)에 장착된 안내 부재(16)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 로드(13)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로드(13)의 운동은 샤프트(14)를 통해 수평판(17)과 장착 부재(15)에 전달된다.
수평판(17)은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유 장치(32)와 일치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5)의 벨트 아래에 배치되므로, 수평판(17)은 벨트의 넓은 면적 부분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조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기(4, 4')가 반죽물 시트(1)를 반죽물 조각(2)으로 절단하고, 반죽물 조각(2)이 컨베이어(3)에서 컨베이어(5)로 전달되는 동안에 2 그룹(a, b)로 분리된다.
컨베이어(5)에 의해 운반되는 반죽물 조각이 보유장치(32)아래의 위치에 도달할때, 승강 장치(10)가 작동하고, 수평판(17)이 컨베이어(5)의 벨트와 함께 반죽물 조각을 들어 올린다. 각 보유 장치(32)가 반죽물조각(2)를 보유하는 동안에 보유 장치(32)를 지지하는 팬토그래프형 링크 장치(27)는 간격 유지 수단(20)에 의해 횡방향으로 확장하므로, 반죽물 조각은 보유 장치(32)와 함께 컨베이어의 횡방향으로 서로 간격이 유지된다.
다음에 회전 수단(40)이 작동하고, 로드(46)는 컨베이어의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랙 부재(49)가 이동하여 샤프트(33)로써 보유 장치(32)를 90°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삼각형의 기부가 종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운반된 이등변 삼각형의 반죽물조각(2)은 간격이 유지되고, 보유 장치(32)의 회전에 의해 삼각형의 기부가 최전방 위치에서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배열된다. 다음에, 컨베이어(5)에 벨트가 아래로 내려갈때, 스프링(38)이 반죽물 지지판(37)에 힘을 가하여서 보유 장치(32)의 니들(36)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반죽물 조각은 보유된 위치로부터 해체하게 된다. 이후에, 회전 수단(40)과 간결 유지 수단(20)이 작동하여 보유장치(32)를 제2a도에 도시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회전수단(40)의 캠(43)이 1 회전하여 그룹(a)의 반죽물 조각(2)의 방향을 변화시킨 후에, 그룹(b)의 방향이 바뀐다. 각각의 플랜지(35)의 하부면에 다수의 니들(36)이 배치되므로, 두 그룹의 반죽물 조각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죽물 조각의 간격을 유지하고 회전시키는 장소까지 각 그룹(a, b)의 반죽물 조각을 교대로 운반하며, 따라서 각 그룹의 반죽물 조각을 다른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에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등변 삼각형으로 절단된 반죽물 조각은 실례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반죽물 조각의 형상은 상기의 특정한 형상에 제한받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은 예를들어 평행한 2면을 가지는 5각형과 다른 형상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팬트그래프형 링크 장치의 결합된 링크수를 바꿈으로써 보유 장치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들어 턴 버클(turn buckle)을 회전시킴으로써 로드(26)의 행정을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반죽물 조각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반죽물 조각의 칫수를 변화시키고 반죽물 조각의 갯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데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연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반죽물 조각은 간격이 유지되고 소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반죽물 조각의 소정측면이 그 전방으로 위치하고 컨베이어의 횡방향 정렬된 상태로 반죽물 조각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죽물 조각은 연속적인 롤링 조작에 적합한 상태로 반죽물 시트에서 절단되고, 이 결과에 따라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을 자동 롤링단계로 최적 상태로 공급하여, 이에 의해 고급 제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장치에 있어서, 다각형으로 제각기절단되어 소정의 측면이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렬된 반죽물 조각을 운반하는 컨베이어(5)와, 소정의 위치에서 컨베이어(5) 벨트의 일부를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 수단(10)과, 상기 벨트 부분의 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의 운동방향에 대해 횡으로 신장 및 수축하는 팬토그래프형 링크장치(27)와, 링크 장치에 연결되어 조작되는 다수의 반죽물 조각 보유 장치(32)와, 소정의 방향으로 90°만큼 반죽물 조각 보유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반죽물 조각의 소정 측면이 반죽물 조각의 전방으로 그리고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회전 수단(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 수단이 벨트를 주기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서 보유 장치가 대응 반죽물 조각을 각각 확실히 유지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베이어의 벨트 아래에 위치한 수평판(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 장치.
  3.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방법에 있어서, 다각형으로 제각기 절단되어 소정의 측면이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렬된 반죽물 조각을 컨베이어(5)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반죽물 조각의 줄이 놓여 있는 컨베이어의 벨트의 일부를 보유 수단(32)쪽으로 상승시킬 때 보유수단(32)에 의해 최전방 줄의 반죽물 조각을 확실히 보유시키는 단계와, 상기 줄의 반죽물 조각을 컨베이어(5)수단의 컨베이어 벨트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간격 유지수단(20)에 의해 서로 간격을 유지시키는 단계와, 각 조각의 소정 측면이 전방으로 위치를 취하고 컨베이어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정렬되게 반죽물 조각을 정위시키도록 보유 수단(32)을 90°회전시키는 단계와, 컨베이어(5)수단의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를 하강시킴으로써 보유 수단(32)으로부터 상기 줄의 반죽물 조각을 해체시켜서 연속된 줄의 간격 유지 및 정위된 반죽물 조각을 얻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 유지 및 정위 방법.
KR1019850003315A 1985-05-15 1985-05-15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KR89000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315A KR890004704B1 (ko) 1985-05-15 1985-05-15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315A KR890004704B1 (ko) 1985-05-15 1985-05-15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718A KR860008718A (ko) 1986-12-18
KR890004704B1 true KR890004704B1 (ko) 1989-11-25

Family

ID=1924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315A KR890004704B1 (ko) 1985-05-15 1985-05-15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5273A (zh) * 2015-01-30 2015-05-06 安徽中乐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牛角面包自动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8433A (zh) * 2019-01-14 2019-04-09 上海诚淘机械有限公司 一种窝窝头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5273A (zh) * 2015-01-30 2015-05-06 安徽中乐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牛角面包自动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718A (ko) 198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664A (en) Method for spacing and orienting croissant dough pieces
CN108326969B (zh) 一种板料的横切锯床
US9408398B2 (en) Apparatus for aligning and positioning pieces of food dough
CN111994640B (zh) 一种半导体引线框架冲压成型品出料叠收转移装置
EP0960814A1 (d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Produkte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DE1918791B2 (de) Vorrichtung zum Stapeln von in waagerechter Lage zugefuhrten Platten in Hochkantstellung
CN203496104U (zh) 具有调节切割组件的切条机及切坯机
CN212072357U (zh) 一种切割间距可调的砖胚切割装置
KR890004704B1 (ko) 크로와쌍의 반죽물 조각의 간격유지 및 정위방법 그리고 그 장치
US4766756A (en) Continuous processing machine assembly for bending long rods or tubes
CN108391511B (zh) 一种土垄式草莓辅助采摘机
EP1192863A2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rotation of bakery doughs during their manufacture
IE45910B1 (en) Making multiple glazed units including the step of positioning glass sheets in parallel units
JPS6087727A (ja) クロワッサン生地片の拡開および方向変換装置
US3759126A (en) Transferring, cutting and depositing apparatus for bakery goods
US40832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preading and transferring of rows of brick-like articles
US3929220A (en) Pallet conveyor having relatively adjustable pusher heads
CN103950713A (zh) 一种可任选码垛尺寸的分砖装置
US4003464A (en) Double arm push bar stacker
CN215395918U (zh) 一种制砖用切条机
CN215923674U (zh) 一种生产线用送料机构
EP0846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pieces of dough
US3605981A (en) Device for transferring bars from the cooling bed of a hot rolling mill for conveyance on a transport roller path
US2109812A (en) Machine for dividing or cutting toffee, caramel, or like material
US20120097500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ligning Pieces of Food Doug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