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99B1 -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4699B1 KR890004699B1 KR1019840006062A KR840006062A KR890004699B1 KR 890004699 B1 KR890004699 B1 KR 890004699B1 KR 1019840006062 A KR1019840006062 A KR 1019840006062A KR 840006062 A KR840006062 A KR 840006062A KR 890004699 B1 KR890004699 B1 KR 8900046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 shaft
- drag mechanism
- dra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77 unit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007 Sense of oppres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29—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shaft and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bell or flashing light
- A01K89/0123—Clicking indicators, e.g. flexible pawl and toothed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 2 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제 1 도 장치의 요부만의 종단측면도.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5 도는 그 요부의 종단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조절부재의 측면도.
제 7 도는 제 2 조절부재의 일부 생략한 정면도.
제 8 도 내지 제 12 도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8 도는 그 종단정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 10 도는 제 8 도의 Ⅹ-Ⅹ선 단면도.
제 11 도는 제 8 도의 XI-XI선 단면도.
제 12 도는 지지통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 13 도 내지 제 16 도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 13 도는 그 종단면도.
제 14(a)도, 제14(b)도는 캠면형상의 설명을 위한 제 13 도의 ⅩIV -ⅩIV선에 연하는 2종의 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
제 15 도는 억압체의 정면도.
제 16 도는 억압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301 : 리일동체 2 : 피니온 기어
3 : 구동축 4 : 회전틀
5 : 스푸울 6 : 스푸울축
7 : 핸들축 8 : 마스터기어
9 : 왕복동기구 10, 110, 210, 310 : 회전통
11, 12, 111, 112, 211, 212, 311, 312 : 지지통
15, 115, 215, 315 : 지지축
21, 22, 121, 122, 221, 222, 321, 322 : 제동부재
20, 120, 220, 320 : 제1드랙기구 40, 140, 240, 340 : 제2드랙기구
13, 113, 213, 313 : 창구멍 23, 123, 223, 232 : 제1조절부재
41, 141, 241, 341 : 제동부재 42, 142, 242, 342 : 제동부재
본 발명은 스피닝 리일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틀을 회전시켜 스푸울에 낚싯줄을 감도록 함과 동시에 드랙기구조에 의하여 수푸울축에 지지한 스푸울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한 스프닝 리일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리일에 의하여 고기를 낚을 때는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회전틀을 회전시켜서 스푸울에 낚싯줄을 감게되나 이때 상기 낚싯줄에 작용하는 부하가 낚싯줄의 내구력보다도 클 때에는 낚싯줄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닝 리일에는 예를들어 리일체내에 동체측 제동부재와 스푸울축 제동부재 또한 이들 양 제동부재의 압접을 조절하는 드랙의 픽업을 구비한 드라이브 기구를 구비한 상기 트랙의 픽업의 조작에 의하여 낚싯줄의 내구력에 상응하는 상기 스푸울의 회전에 소망의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상의 스피닝 리일의 드랙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푸울의 제동력은 드랙픽업의 조작에 의하여 0%~100%의 조절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으나 드랙 픽업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비를 크게하면 상기 픽업의 근소한 조작량에 의해 제동력을 크게 변화시키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고기가 걸려서 급격하게 낚싯줄이 인장될 때 상기 드랙기구에 의하여 스푸울축의 제동력을 재조정할 경우, 상기 드랙 픽업을 필요이상으로 조작함으로써 낚싯줄의 내구력 이상의 제동력을 주거나 또는 제동력을 너무 약화시키는 일이 있게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드랙픽업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비를 적게하면 상기 드랙픽업의 조작량이 약간 크더라도 제동력은 급격히 변화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드랙기구의 제동을 조절할 경우에 있어서 드랙픽업의 조작에 의하여 부적합하게 낚싯줄의 내구력 이상의 제동력을 부여하거나 또는 제동력을 너무 약화시키는 일이 해소되나 반면 신속한 조절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독립하여 제동력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제 1 드랙 기구와 제 2 드랙기구를 사용하여 이들 두개의 드랙기구의 조작에 의하여 스푸울축의 제동력을 상황에 적응하여 적정한 값으로 간단하게 또한 과실없이 조절할 수 있는 스프닝 리일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스푸울을 갖는 스푸울축에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리일동체의 하나의 위치에 관련하는 동체측 제 1 제동부재와 스푸울축이 더불어 회전하는 수푸울축쪽 제 2 제동부재와 제 1 제 2 제동부재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 1 조절부재를 구비한 제 1 드랙부재와 상기 리일동체의 다른 위치에 관련하는 동체측 제 3 제동부재와 스푸울축이 더불어 회전하는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와 이들 제3, 제 4 제동부재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구비한 제2드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조절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 2 드랙기구를 통하여 스푸울축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스푸울축의 제동력 조절을 행하여 이들 각 드랙기구에 의해 조절된 제동력의 총합을 상기 스푸울축에 부여하도록 한 점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푸울축에는 제1 및 제2드랙기구에 의해 각각 조절되는 제동력의 총합이 작용되고, 이 제동의 조절시에는 제1 및 제2드랙기구의 조절부재의 선택에 의해 각 드랙기구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실정된 조절력에 의하여 조절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및 제2드랙기구중에 한쪽의 드랙기구에 의하여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로 다른 드랙기구에 의하여 그 제동력의 조절을 행함으로써 한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부여된 제동력을 최소 제동력으로 하고 이 제동력을 다른쪽 드랙기구에 의한 조절에 의하여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며, 한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부여되는 최소제동력을 이 드랙기구에 의해서 조절함으로써 다른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조절되는 제동력의 조절범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제동력을 조절할 때에는 이 다른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부여되는 제동력을 최소치로 조절하더라도 한쪽 드랙기구에 의해 설정한 최소제동력이 보장되고 필요이상으로 제동력이 낮게 되는 일이 없게 되며, 또한 최대치로 조작하더라도, 이 드랙기구의 최대치와 한쪽 드랙기구의 설정치의 총합이 되어 필요이상으로 제동력이 높아지는 일도없게 된다.
또한 상기 한쪽 드랙기구에 의하여 설정하는 최소제동력도 이 드랙기구가 갖는 0∼100%의 범위에서의 조절이 될수 있음으로 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다른쪽 드랙기구에 의한 제동력의 조절범위도 임의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드랙기구중 한쪽의 드랙기구에 의하여 상기 최소제동력을 설정하게 되나 이 드랙기구는 제1 및 제2 드랙기구의 어느 것을 선택해도 좋다.
제1도의 리일은 상면에 낚싯대의 부착대(1a)를 마련하고 동시에 전면에 관통공을 형성한 중공의 리일동체(1)를 구비하고 이 리일동체(1)의 관통공부분에 베어링을 통해서 피니온기어를 구비한 통형상의 구동축(3)을 회전 자유로이 지지하고, 이 구동축(3)의 선단외주부에 벨 아암(4a)을 갖는 회전틀(4)을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3)의 축공에는 스푸울(5)을 갖는 스푸울축(6)을 전후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리일동체(1)의 측면에는 상기 구동축(3)의 축중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축(7)을 회전 자유로이 지지한다.
그리고 핸들축(7)의 상기 리일동체(1) 내부로의 돌입부에 피니온기어(2)에 치합하는 마스터 기어(8)를 구비함과 동시에 핸들축(7)의 상기 리일동체(1)로의 돌출부에는 핸들(도시무)을 부착하고, 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3)을 구동하여 회전틀(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스푸울(5)을 왕복동기구(9)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 스프울(5)에 낚싯줄을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는 이상 설명과 같이 구성된 리일에 리일동체(1) 측 제1제동부재(21)와 스푸울축(6)이 동시에 회전하는 스피닝 축쪽 제2제동부재(22)와 이들 제1, 제2제동부재(21), (22)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23)를 구비한 제1드랙기구(20)와, 상기 리일동체(1)측 제3제동부재(41)와 스푸울축(6)이 동시에 회전하는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42)와 이들 제3, 제4제동부재(41), (42)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43)를 구비한 제2드랙기구(40)를 구비하고, 상기 각 조절부재(23), (43)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드랙기구(20), (40)를 통해서 상기 스푸울축(6)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이 스푸울축(6)의 제동력을 조절하고 이들 각 드랙기구(20), (40)에 의하여 조절된 제동력의 총합을 상기 스푸울축(6)에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것은 상기 리일동체(1)의 후벽에 두개의 관통공과 이들 관통공 주위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지지통(11), (12)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리일동체(1)내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지지통(11), (12)과 대향하는 위치에 지지벽(13), (14)을 설치하고 한쪽지지벽(13)에 후단이 제1지지통(11)내로 돌입하는 회전통(10)을 회전 자유로히 지지하고, 이 회전통(10)내에 상기 스푸울축(6)의 후단부를 상대회전 불능이며 동시에 축방향 접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추고, 상기 제1지지통(11)의 내주면과 회전통(10)의 사이에 상기 제1드랙기구(20)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쪽 지지벽(14)에 지지축(15)을 지지하고 이 지지축(15)의 끝부 외주에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회전부재(30)를 회전자유로이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축(15)의 외주와 상기 제2지지통(12)의 내주면의 사이에 고정체(44)를 회전 불능이며 동시에 축방향 접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지지축(15)의 외주에 제2드랙기구(4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회전통(10)의 전단부 외주에 주연동기어(45)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30)의 개구단 외주에 주연동기어(45)와 치합하는 부연동기어(46)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30)를 회전통(10)을 통하여 상기 스푸울축(6)에 연동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0)의 스푸울축(6)에 대한 연동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1드랙기구(20)는 상기 동체측 제1제동부재(21)를 제1지지통(11)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며 동시에 축방향 접동 가능하게함과 동시에 상기 제1조절부재(23)를 제1지지통(11)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 자유로이 나사로 조립하고, 이 제1조절부재(23)와 상기 스푸울축쪽의 제2제동부재(22)의 사이에 스프링(24)을 삽입시켜서 상기 제1조절부재(23)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동체쪽 제1제동부재(21) 및 스푸울축쪽 제2제동부재(22)를 압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도시한 상기 제1조절부재(23)는 스푸울축(6)의 회전 개시하중을 설정하는 초기 하중 설정픽업(23a)과 이 픽업(23a)에 대하여 결합하고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조절체(23b)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절체(23b)는 제1지지통(11)내의 내주면에 나사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제2드랙기구(40)는 동체측 제3제동부재(41)를 상기 지지축(15)의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스푸울축쪽의 제4제동부재(42)를 상기 회전부재(30)의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2조절부재(43)를 상기 제2지지통(12) 내주면에 나사 결합하고 이 제2조절부재(43)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각 제동부재(41), (42)를 압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제2조절부재(43)가 레버 형상의 조작부(43a)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43a)를 리일동체(1)의 후부방향으로부터 상기 지지축(15)의 직경방향으로 도출시키고, 상기 리일동체(1)를 장착한 낚싯대를 파지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둘째 손가락을 펴기만 함으로써 상기 제2조절부재(4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시한 제2드랙기구(40)에 있어서의 제3, 제4제동부재(41), (42)사이의 마찰계수를 상기 제1드랙기구(20)에 있어서의 제1, 제2 제동부재(21), (22)사이의 마찰계수보다 작게하고, 상기 제2조절부재(43)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량을 상기 제1조절부재(23)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량 보다 작게하고, 제2조절부재(43)의 조작에 의한 제동력의 조절이 미소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소조절 수단은 예를 들어 상기 제2조절부재(43)의 제2지지통(12)에 대한 조립 나사부에서의 나사의 핏치를 작게하든가 또는 제2조절부재(43)와 동체쪽에 제3제동부재(41)사이에 탄성계수가 작은 스프링을 삽입하든가 또는 상기 주ㆍ부연동기어 (45).(46)의 치차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구조로 된 제동창지를 갖는 스피닝 리일에서 상기 제2드랙기구(20)의 제1조절부재(23)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제2제동부재(21), (22)를 압접하고, 스프울축쪽 제 2제동부재(22)를 지지하는 회전통(10), 더나아가 회전통(10)내에 축방향으로만 접동가능하게 삽입한 상기 스푸울축(6)의 회전에 소정의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제2드랙기구(40)의 요동 조작에 의하여 제3, 제4제동부재(41), (42)를 압접하고,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42)를 지지하는 회전부재(30), 더나아가 회전부재(30)와 연동기어(45), (46)를 통하여 연동되는 상기 회전통(10) 및 이 회전통(10)에 삽입된 스푸울축(6)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제1드랙기구(20)에 의한 제동력과는 상이한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상기 스푸울축(6)에는 상기 제1드랙기구(20)에 의해 조절한 제동력과 제2드랙기구(40)에 의하여 조절한 제동력의 총합된 힘이 작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드랙기구(20)는 제1조절부재(20)는 제1조절부재(23)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량이 크게 되어 있음에 비하여, 제2드랙기구(40)는 제2조절부재(43)의 조작량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량이 작게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푸울축(6)의 회전 저항을 조절할 경우, 예를 들어 제1드랙기구(20)의 제1조절부재(23)를 회전 조작하여 제1드랙기구(20)에 의하여 제동력을 사전에 개략 조절하여 최소제동력을 설정하게 된다.
다음에 낚시질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2드랙기구(40)의 제2조절부재(43)는 요동 조작하여 이 제2드랙기구(40)에 의하여 상기 제1드랙기구(20)로 개략 조절된 제동력을 다시 정밀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드랙기구(40)의 제2조절부재(43)를 0~100%의 조작량으로 조절함으로써 제동작용을 하는 제2드랙기구(40)에 의한 제동력이 상기 제1드랙기구(20)에 의하여 설정되는 최소 제동력에 가산되어 제동력은 상기 제2드랙기구(40)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변화량으로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제2드랙기구(40)에 의한 제동력의 조절은 상기 제1드랙기구(20)에 의하여 설정되는 최소 제동력을 최소치로하고 이 최소제동력에 제2드랙기구(20)의 최대치를 가산한 제동력을 최대치로 하여 행하여 지는 것이며, 제동력이 너무작아 지거나 너무커지게 되는 것이 해소된다.
더욱이 상기 최소 제동력은 제1드랙기구(20)의 조절에 의하여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에 의하여 상기 제2드랙기구(40)에 의한 조절 범위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드랙기구(20)의 제1조절부재(23)를 초기 하중 설정픽업(23a)과 조절체(23b)에 의하여 형성하여 회전조작에 의하여 제1 및 제2제동부재(21), (22)를 압접하도록 하고 또한 제2드랙기구(40)의 제2조절부재(43)를 레버 형상으로 형성하여 요동 조작에 의하여 제3 및 제4제동부재(41), (42)를 압접하도록 하였으나, 이들 제1, 제2조절부재(22), (43)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제2드랙기구(40)에 있어서의 제2조절부재(43)를 리일동체(101)의 제2지지통(11)에 나사로 조립하고, 이 제2조절부재(43)를 나사조임하여 제3, 제4 제동부재(41), (42)를 압접하도록 구성하였으나 기타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조절부재(143)를 지지축(115)에 의하여 리일동체(1)에 회전만이 자유롭도록 지지하고 이 제2조절부재(143)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지지축(115)을 축방향으로 접동시켜서 제3, 제 4제동부재(141), (142)를 압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5도 내지 제7도의 도시는 중간에 단부(115a)를 갖는 지지축(115)의 일단을 리일동체(101)의 지지벽(114)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지지축(115)에 회전부재(130)와 이 회전부재(130)의 양측면이 대향 접촉되는 제3 및 제4제동부재(141)(142)와 한쌍의 스프링 받침(147), (148) 및 베어링(149)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부재(130) 및 제3, 제4제동부재(41), (42)를 지지축(115)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하고 또한 스프링 받침(147), (148) 및 베어링(149)를 지지축(115)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하여, 스프링 받침(147), (148) 사이에 스프링(150)을 삽입함과 동시에 지지축(115)의 후단부를 리일동체(101)의 후벽외방으로 돌출시켜, 이 지지축(115)의 후단부에 제2조절부재(143)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시키고, 이 제2조절부재(143)의 외측면에 축방향 외방을 향하여 주방향으로 경사하는 캠면(143a)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캠면(13a)에 제6, 제7도의 도시와같이 제2조절부재(143)의 조작 위치를 결정하는 복수개의 위치결정 요부(143b)를 형성하고, 또한 지지축(115)의 후단부에 상기 캠면(143a)과 걸리게 되는 걸림돌기(151)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제2조절부재(143)의 회전에 의하여 캠면(143a)과 걸림돌기(151)와의 걸림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지지축(115)을 축방향으로 접동시켜, 이 지지축(115)의 움직임을 단부(115a), 스프링받침(147) 및 스프링(150)을 통해서 스프링받침(148)에 전달하며, 제3, 제4제동부재(141), (142)를 압접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5도에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있다.
제8도 내지 제12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며 리일동체(201)의 후부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며 동시에 내부를 격벽(212)에 의하여 전부실(211a)과 후부실(211b)로 구획한 지지통(2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후부실(211b)에 상기 제1드랙기구(220)의 제1 및 제2제동부재(211), (222)를 내장하고, 또한 전부실(211a)에 제2드랙기구(240)의 제3 및 제4제동부재(241), (242)를 내장하도록 하여 격벽(212)을 관통하는 스푸울축(6)의 축방향 후방에 상기 드랙기구를 배설한 것이다.
더 상술하면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일동체(201)의 후면에 관통공(201a)과 이 관통공(201a)의 주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그 기부에 창구멍(213)을 형성하고 동시에 그 외주에 나사부(211c)를 가진 지지통(211)을 설치하고, 이 지지통(211)내의 길이방향 중간에, 중심부에 관통공(212a)을 갖는 격벽(212)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통(211)내를 후부실(211b)과 창구멍(213)을 가진 전부실(211a)로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각 관통공(201a)(212a)사이에 후단부가 상기 후부실(211b)내에 돌입하는 회전통(210)을 회전 자유로이 지지하고 이 회전통(210)내에 상기 스푸울축(6)의 리일동체(201)내로의 돌입단을 상대회전 불능이며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춘다.
그리고 제1드랙기구(220)를 구성하는 동체쪽 제1제동부재(221)를 상기 후부실(211b)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불능이며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 스푸울축쪽 제2제동부재(222)를 상기 후부실(211)내에 위치하는 회전통(210)의 후단부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제1드랙기구(220)를 구성하는 제1조절부재(223)를 상기 동체쪽 제1제동부재(221)의 최외측면과 접시형 판스프링(73)을 거쳐서 서로 접하는 억압체(223a)와 이 억압체(223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춘 팔모양의 픽업(223b)로 구성하여 상기 픽업(223b)을 상기 지지통(211)의 나사부(211c)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제1조절부재(223)는 상기 억압체(223a)와 픽업(223b)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이어도 좋다.
또 제2드랙기구(240)를 구성하는 상기 동체쪽 제3제동부재(241)를 전부실(211a)의 내주면에 대하여 회동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242)를 전부실(211a)내에 위치시킨 회전통(214)의 전단부 외주면에 대하여 회전 불능이고 동시에 축방향으로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 제2드랙기구(240)를 구성하는 제2조절부재(243)는 상기 전부실(211a)내에서 회전통(214)에 회전과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한 압접부재와 이 압접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통(243b)과 이 나사통(243b)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걸어맞춘 조정레버(243c)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통(243b)을 지지통(211)의 나사부(211a)에 나사 결합하는 한편, 제2드랙기구(240)의 동체쪽 제3제동부재(241)를 압접부재로 사용하여 이 압접부재가 된 동체쪽 제3제동부재(241)의 외주에 창구멍(213)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멈춤편(215)을 설치하고, 이 멈춤편(215)을 나사통(243b)의 전단부에 형성한 걸어맞춤부(215)에 걸어맞추어 상기 멈춤편(215)과 걸어맞춤부(216)에 의하여 나사통(243b)과 압접부재를 연통시키는 연동 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기 조절레버(243c)의 조작에 의한 나사통(243b)의 나시진입에 의해 압접부재로서의 동체쪽 제3제동부재(241)를 창구멍(213)의 범위내에서 축방향의 전방쪽으로 이동시커서 동체쪽 제3제동부재(241)와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242)를 압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부재(243)는 나사통(243b)과 조절레버(243c)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통(243b)과 조절레버(243c)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사통(243b)을 지지통(211c)에 나사조립하여, 제3, 제4제동부재(241), (242)의 압접력을 사전에 조절한 후에 상기 조절레버(243c)를 나사통(243b)에 결합할 수가 있으므로 조절레버(243c)를 리일동체(1)에 대하여 항상 최적위치로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창구멍(213)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통(211)의 길이 방향 전단부를 원주방향으로 180°도 가까운 각도로 절결하여 형성하고 멈춤편(215)을 가진 압접부재를 상기 창구멍(213)으로부터 지지통(211)의 전부실(211c)내로 삽입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창구멍(21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천공하여도 좋으며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한 스피닝 리일에는 지지통(211)의 기부 외부에 외주면의 미소의 지형부(217a)를 가진 환상의 음명체(音鳴體)(217)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기 조절레버(243c)에 치형부(217a)와 걸어맞추는 탄성판(218)을 부착하여 조절레버(243c)의 회전조작시에 상기 탄성판(218)을 요곡시켜서 상기 치형부(217a)와의 걸어맞춤위치를 변화시켜 걸어맞춤음이 간헐적으로 울려남과 동시에 상기 음명체(217)와 조절레버(243c)사이에 이 조절레버(243c)의 조작위치를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위치 결정기구(219)를 설치하고 이 위치 결정기구(219)에 의하여 설정한 위치에 상기 조절레버(243c)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한다. 이 위치결정 기구(219)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요부형 걸어맞춤부(219a)와 이 걸어맞춤부(219a)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하는 볼등의 멈춤체(219b)와 이 멈춤체(219b)를 한 방향으로 밀어 붙이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219c)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지지통(211)의 후단부 외주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211d)과 이 요홈(211d)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후부실(211b)내로 개구하는 통공(211e)을 천공하여 요홈(211d)내에 대략 C자형이며, 동시에 그중간부가 안쪽을 향하여 대략 U자형으로 구곡하는 탄성고리(211f)를 끼워서 상기 굴곡부(211g)를 통공(211e)내에 돌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조절부재(223)의 억압체(223a)의 외면에 요철부(223c)를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211g)의 선단을 요철부(223c)에 걸리게 하였으며 이로써 제1조절부재(223)의 회전조작시에 걸림음이 간헐적으로 울리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억압체(223a)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드랙기구(240)에 있어서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242)의 외주면에 미소 치형부(242a)를 설치함과 동시에 리일동체(201)내에 치형부(242a)와 걸어맞추는 탄성판(201b)을 부착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하여 상기 스푸울(5)이 스푸울축(6)과 더불어 미끄럼 회전을 할때 탄성판(201b)의 요곡으로 걸림음을 간헐적으로 울리도록 한다.
이상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조절장치(223)의 픽업(223b)이 제2조절장치(243)의 조절레버(243c)보다도 리일동체(1)의 후방쪽에 있으므로 이 픽업(223b)을 조절레버(243c)의 방해없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가 있다.
또한 이상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드랙기구(220)와 제2드랙기구(240)가 리일동체(201)의 후방이며 스푸울축(6)의 축선상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드랙기구(220), (240)를 설치한 것에 비해서는 리일동체(201)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드랙기구를 구비한 리일을 소형으로, 또한 정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동장치는 제13도 내지 제15도에서 도시한 제4실시예와 같이 변경할 수있다.
이 제4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8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제2드랙기구(340)를 구성하는 제2조절부재(343)를 리일동체(301)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하는 캠축(344)을 가진 조작레버(345)와 캠축(344)의 캠면(344a)과 관련된 걸어맞춤부(344b) 및 제2드랙기구(340)의 제3, 제4제동부재(341), (342)를 리일동체(301)의 후벽에 억압하는 억압부(346c)를 가진 억압체(346)를 구비한 점이 상이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리일동체(301)에서 상벽의 전후방향 중간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체(301a)를 형성함과 동시에 리일동체(301)의 하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체(301b)의 상단의 후측에 원호상 곡면(301c)을 형성한다.
따라서 리일동체(301)의 후벽의 상부와 지지벽체(301a)와의 사이에 캠축(344)을 상기 스푸울축(6)과 평행한 상태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여 캠축(344)의 후단부를 리일동체(301)의 후벽외측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캠축(344)의 후단부에 조정 레버(345)를 고정시킨다.
또한 캠축(344)이 외주면에는 캠면(3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면(344a)이 제14(a)도와 같이 회전중심(0)으로부터 길이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제14(b)도와 같이 회전중심(0)으로부터의 길이가 단계적으로 11, 12, 13,(11〉12〉13)로 변화하는 계단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억압체(346)는 제15도의 표시와같이 지지벽(301b)의 곡면(301c)에 요동 자유로이 지지되는 지지부(346a)와 이 지지부(346a)로부터 상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캠면(344a)에 걸리는 걸어맞춤부(346b)와 지지부(346a)로부터 지지벽(301b)의 후면측으로 하향으로 연장되어 제2드랙기구(340)의 동체쪽 제동부재(341)에 당접하는 억압부(346c)의 중앙에 회전통(310)을 삽입시키는 삽통공(h)을 형성하고, 조작레버(345)의 조작에 의한 캠축(344)의 회전에 의해 캠면(344a)을 통하여억압체(346)를 지지벽(301b)의 곡면(301c)을 지점으로 하여 제13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악압부(346c)에 의하여 제2드랙기구(340)의 제3, 제4제동부재(341), (342)를 리일동체(301)의 후벽에압접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억압부(346c)의 하단과 대향하는 지지벽(301b)의 기부에 경사진 대향면(301d)을 형성하고 이 경사진 대향면(301d)에 억압부(346c)의 하단부를 당접시켜서 억압체(346)의 억압동작시에 지지부(346a)가 곡면(301c)에 연하여 하향으로 미끄럼 동작을 하여도 억압부(346c)가 확실하게 상기 격벽(312)쪽으로 변위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억압체(346)는 탄성을 가진 재질에 의해 형성한 경우 상기 조작레버(345)의 조작에 크릭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1드랙기구(340)에서 제1조절부재(323)를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한 것이나 상세히 설명하면 제1조절부재(323)를 픽업(323a)과 이 픽업(323a)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체(323b)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조절체(323b)를 지지통(311)의 내주면에 나사조립함과 동시에 이 조절체(323b)와 동체쪽 제1제동부재(321)와의 사이에 스프링(324)을 끼우고 상기 픽업(323a)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스프링(324)을 통하여 동체측의 제1제동부재(321)와 스푸울축쪽의 제2제동부재(322)가 압접되도록 한다.
또한 픽업(323a)의 조작방향은 상기 조작레버(345)의 조작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어있다.
이상 설명한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반대로 제2드랙기구(340)에서의 제3, 제4제동부재(341), (342)사이의 마찰계수가 제1드랙기구(320)에서의 제1, 제2제동부재(321), (322) 사이의 마찰계수보다도 크게되도록 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제1드랙기구(320)에서는 지지통과 조정체(323b)와의 결합 나사의 핏치를 작게하거나 스프링(324)의 억압강도를 작게 형성하는 한편 제2드랙기구(340)에서는 캠면(344a)를 억압체의 조작량이 크게 되도록 형성하거나 걸어맞춤부(344b)의 유효길이에 대한 억압부(346c)의 유효길이의 비율을 크게 형성하여 각각 소망하는 정밀조절 및 개략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제4실시예에서는 스푸울축쪽의 제4제동부재(342)의 외주를 요철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리일동체(301)에 이 요철부에 착탈 작용하여 음을 울리게 하는 탄성음명체(301e)를 설치하였다.
제13도에서 311a는 전부실, 311b는 후부실을 나타낸다. 이상의 구성에서 스푸울축의 회전 저항을 조정할 경우 리일동체의 후측에서 조작하는 손의 손가락을 전방을 향하여 배치하고 이 손가락을 제1드랙기구의 조정체까지 뻗쳐서 조정체에 전후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조작력을 부여함으로써 단위 조작량당의 회전 저항의 조정량의 비율을 소폭으로 하여 정밀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하는 손의 배치위치를 변화시킴이 없이 손가락을 제2드랙기구의 조정체까지 뻗쳐서 이 조정체에 상기의 조정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의 축심을 중심으로 요동 조작력을 부여함으로써 단위 조작량당의 회전저항의 조정량을 개략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드랙기구의 각 조정부재를 임의 조작함으로써 각 드랙기구가 독자적인 조절력에 의해 스푸울축의 제동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이들 양 드랙기구를 병용함으로써 스푸울축의 제동력을 용이하게 소망의 값으로 조절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스푸울축의 제동력을 낚시상황 변화에 상응하여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 스푸울을 가진 스푸울축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스푸울축에 관련하여 이 스푸울축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제1드랙기구와 제2드랙기구를 구비하고, 제1드랙기구는 스피닝 리일의 리일동체의 한 위치에 관련된 동체쪽 제1제동부재와 스푸울축이 동시에 회전하는 스푸울축쪽 제2제동부재와 이들 제1 및 제2제동부재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제2드랙기구는 리일동체의 다른 위치에 관련하는 동체쪽 제3제동부재와 스푸울축이 동시에 회전하는 스푸울축쪽 제4제동부재와 이들 제3 및 제4제동부재를 압접하여 제동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드랙기구가 각 조절부재에 의하여 스푸울축에 대하여 각각 독립하여 스푸울축의 제동력 조절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스푸울축에 이들 각 드랙기구에 의하여 조절한 제동력의 총합이 부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리일의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2드랙기구가 제2조절부재의 조작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2드랙기구가 스푸울축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서 리일동체에 지지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어 스푸울축과 연동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스푸울축쪽의 제4제동부재가 상기 회전부재 에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지지축이 스푸울축과 평행으로 배열되며, 제1드랙기구의 제1조절부재가 스푸울축의 축심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제2드랙기구의 제2조절부재가 지지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조정부재의 한쪽의 외주에 조작부를 가진 픽업으로 구성되고 다른쪽이 레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리일동체가 후부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내부에 격벽을 가지며, 전부실과 후부실이 설치된 지지통을 가지며, 후부실에 제1드랙기구의 제1 및 제2제동부재를 내장하고 전부실에는 제2드랙기구의 제3 및 제4제동부재를 내장하고, 격벽을 관통하는 스푸울축의 축방향 전후에 각 드랙기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제1드랙기구의 제1조절부재가 지지통의 후부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제2드랙기구의 제2조절부재가 제1조절부재의 앞쪽이며, 상기 스푸울축의 축선과 동일방향인 축심의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제2드랙기구의 제2조절부재가 지지통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는 조절레버와 이 조절레버에 관련하여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스푸울축의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압접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가 레버체와 이 레버체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능이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지지통에 나사결합하는 나사통을 구비하고, 이 나사통과 압접부재와의 사이에 나사통의 축방향 이동을 압접부재에 연동시키는 연동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제2드랙기구가 조정레버의 조작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제2드랙기구의 제2조절부재가 캠면을 가지며, 리일동체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된 캠축을 가진 조작레버와 캠의 캠면과 관련하는 걸어 맞춤부와 제2드랙기구의 제3 및 제4제동부재를 상기 격벽에 억압하는 억압부를 가진 억압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캠축이 스푸울축과 평행하고 지지통과 나사결합하는 제2드랙기구의 제1조절부재의 조각방향과 제2드랙기구의 조작레버의 조작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드랙기구의 어느 한쪽이 개략조절 장치를 가지며 다른 한쪽은 정밀조절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183921 | 1983-09-30 | ||
JP58-183921 | 1983-09-30 | ||
JP18392183A JPS6075221A (ja) | 1983-09-30 | 1983-09-30 | スピニングリ−ル |
JP??58-188236 | 1983-12-05 | ||
JP18823683U JPS6095862U (ja) | 1983-12-05 | 1983-12-05 | スピニングリ−ル |
JP58-188236 | 1983-12-05 | ||
JP??58-203722 | 1983-12-29 | ||
JP20372283U JPS60111669U (ja) | 1983-12-29 | 1983-12-29 | スピニングリ−ル |
JP58-203722 | 1983-12-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2770A KR850002770A (ko) | 1985-05-20 |
KR890004699B1 true KR890004699B1 (ko) | 1989-11-25 |
Family
ID=2732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6062A KR890004699B1 (ko) | 1983-09-30 | 1984-09-29 |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4591108A (ko) |
KR (1) | KR8900046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5774U (ja) * | 1984-07-20 | 1986-02-15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制動装置 |
US4725097A (en) * | 1985-03-06 | 1988-02-16 | Bartell Industries Limited | Inclined cutter for surface cleaning head |
JPH0244713Y2 (ko) * | 1985-05-24 | 1990-11-27 | ||
JPH0425972Y2 (ko) * | 1985-12-27 | 1992-06-23 | ||
US4645137A (en) * | 1986-04-11 | 1987-02-24 | Charles C. Worth Corporation | Spinning reel with quickly adjustable disc drag |
SE460168B (sv) * | 1986-06-11 | 1989-09-18 | Abu Garcia Produktion Ab | Betesfiskebroms foer haspelrulle |
US4725012A (en) * | 1986-06-30 | 1988-02-16 | Brunswick Corporation | Fishing reel drag with duplex control |
JPS6380969U (ko) * | 1986-11-17 | 1988-05-27 | ||
GB2206022B (en) * | 1987-05-23 | 1991-04-17 | Shimano Industrial Co | Double-bearing fishing reel |
US4988057A (en) * | 1989-02-10 | 1991-01-29 |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 Drag device for a spinning reel |
US5176336A (en) * | 1990-01-19 | 1993-01-05 | Daiwa Seiko, Inc. | Drag mechanism for fishing reel |
US5289991A (en) * | 1990-07-04 | 1994-03-01 | Shimano Inc. | Spinning reel |
US5071086A (en) * | 1990-07-24 | 1991-12-10 | Zebco Corporation | Click mechanism for drag adjustment on a fishing reel |
KR100304065B1 (ko) * | 1993-10-21 | 2001-11-22 | 마쯔이 요시유끼 |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
US5692692A (en) * | 1995-07-12 | 1997-12-02 | Zebco Div. Of Brunswick Corporation | Clicker element for fishing reel |
DE19852499C2 (de) * | 1998-11-18 | 2000-03-23 | Rileh Rex Fiebig Kg Herrn Knut | Angelrolle mit Bremssystem |
KR100320403B1 (ko) * | 1999-09-02 | 2002-01-12 | 현광호 |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브레이크 컨트롤노브의 소리발생 |
JP4395341B2 (ja) * | 2003-07-30 | 2010-01-06 | 株式会社シマノ |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
JP4809265B2 (ja) * | 2007-02-23 | 2011-11-09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US9992984B2 (en) | 2011-02-14 | 2018-06-12 | Arribe Manufacturing, Llc | Fishing reel |
EP3170389B1 (en) * | 2014-07-14 | 2020-04-29 | Globeride, Inc. | Fishing reel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56993A (en) * | 1950-03-27 | 1953-10-27 | Lester C Dukes | Fishing reel |
US2988298A (en) * | 1957-05-21 | 1961-06-13 | Lionel Corp | Fishing reel |
JPS6334526Y2 (ko) * | 1981-05-27 | 1988-09-13 |
-
1984
- 1984-09-26 US US06/654,551 patent/US459110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4-09-29 KR KR1019840006062A patent/KR8900046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2770A (ko) | 1985-05-20 |
US4591108A (en) | 1986-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4699B1 (ko) | 스피닝 리일의 제동장치 | |
DE10245136B4 (de) | Öffnungs- und Schließmechanismus für eine Fahrzeugöffnung | |
KR100337003B1 (ko) | 회전핸들로 로터리부재를 제어하는 기구 및 그 기구가구비된시이트 | |
KR100616144B1 (ko)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
KR100517123B1 (ko) | 낚시용 릴의 부제동기구의 작동 제어용 작동기구의 구조 | |
US5308021A (en) | Centrifugal brake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 |
JP2007000106A (ja) | 魚釣用リール | |
GB2261354A (en) | Spinning reel | |
KR100304065B1 (ko) | 낚시용스피닝릴의드래그장치 | |
JPS5935090Y2 (ja)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装置 | |
EP0405945A2 (en) | Apparatus for adjusting operating lever ratio of master cylinder for vehicle | |
JP4299180B2 (ja) |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 |
KR0136577B1 (ko) | 스피닝리일 | |
GB2246059A (en) | Spinning reel | |
EP0070937A2 (en) | Drag system for spin cast reels | |
US5259565A (en) | Drag structure of a fishing reel | |
GB2259435A (en) | Spinning reel | |
JPH04222537A (ja) | 魚釣り用リール | |
JP2010252760A (ja) | 魚釣用リール | |
GB2162890A (en) | Seat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 |
JP3305926B2 (ja) | 魚釣用リール | |
KR0136364Y1 (ko) | 낚시용 스피닝릴의 드래그장치 | |
KR900007194Y1 (ko) | 낚시용 릴의 드래그파우워 조절장치 | |
JPH035258Y2 (ko) | ||
JPH02129710A (ja) | 自動車用ペダルアセンブ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