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489B1 -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489B1
KR890004489B1 KR8204739A KR820004739A KR890004489B1 KR 890004489 B1 KR890004489 B1 KR 890004489B1 KR 8204739 A KR8204739 A KR 8204739A KR 820004739 A KR820004739 A KR 820004739A KR 890004489 B1 KR890004489 B1 KR 89000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utting
powder
compound
sin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부시기가이샤 도오교세이삭구쇼(내) 수기자와 타이지로우 미쯔비시긴조구
가부시기가이샤 도오교세이삭구쇼(내) 요시무라 히로노리 미쯔비시긴조구
겡이지 니시가기
Original Assignee
이나이 요시히로
미쯔시비긴조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이 요시히로, 미쯔시비긴조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나이 요시히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4Alloys based on tungsten or molybden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본 발명은 우수한 고온특성을 가지며, 특히 고온특성이 요구되는 고속절삭이나 고속이송절삭에 절삭공구로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절삭성능을 발휘하는 소결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 절삭가공에 있어서 절삭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이송량(속도)을 크게하면, 절삭공구의 날끝온도가 상승하고, 날끝이 마모되기 보다는, 오히려 고온에 원인하는 소성변형에 의하여 사용수명이 다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향은 최근의 고속절삭화 및 고능률절삭화에 의하여 점점 등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용에 제공되고 있는, 분산상이 주로 W탄화물이나, Ti탄화물로 구성되고, 한편 결합상이 주로 철족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경합금이나, 세멧트는 날끝온도가 1000°C를 초과하면 급격히 연화하게 되므로, 이들 초경합금이나, 서멧트는 물론이고, 이들 표면에 경질피복층을 형성한 표면 피복초경합금이나 표면피복서멧트에 있어서도, 그 사용조건은 날끝온도가 1000°C를 약간 웃도는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한편 A1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은, 고온에 있어서 높은 경도와 우수한 내산화성을 가지므로, 고속절삭용 절삭공구로서 사용은 되고 있으나, 그 날끝은 내충격성이 결여되고 신뢰성이 불충분한 것이므로 고속절삭에 있어서는 낮은 이송량으로 사용되고 있으이 현실이다.
또 최근에 고속절삭이나 고속이송절삭용의 절삭공구재료로서 W 또는 Mo등의 고융점 금속으로 되는 매트릭스(Matrix) 중에 W 및 Ti의 탄화물을 층상으로 분산시킨 조직을 가지는 주조합금(예로서 미국특허 제3690962호 참조)이 제안되어 주목되었으나, 이 주조합금은 융점이 2700°C로 대단히 높고 그리고 주조합금이므로 형상부여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내산화성 및 내충격성도 불충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같은 관점으로부터 고속절삭, 고속이송절삭이 가능한우수한 고온특성을 가지는 절삭공구용 재료, 즉 내마모성, 내소성변형성, 내산화성 및 내충격성에 우수한 절삭공구를 분말야금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려고 연구를 행한 결과, 원료분말로서, 금속탄화물분말, 금속질화물분말, 금속탄질화물분말, Ni-A1합금분말, 및 W분말을 준비하고, 이들 원료분말중 2종 이상을 사용하여 소정배합조성으로 배합하고, 통상의 조건으로 혼합하고, 프레스성형하여, 이 압분체를 비산화성 분위기중 온도 : 2000-2700°C의 고온, 즉 완전고용체화 온도로 소결한후, 비산화성 분위기중 전기 소결온도로부터 냉각하여, 1000-1600°C범위내의 소정온도에 소정시간 유지하는 화합물 석출처리를 행하여, 원자5%로 Ti : 5-25%. Zr 및 Hf중의 1종 또는 2종 : 5-20%, Nb 및 Ta중의 1종 또는 2종 : 5-20%, Ni : 0.5-3.0%, A1 : 0.5-2.0%(A1/Ni = 0.25-0.5), C : 15-40%, N : 1-15%를 함유하고 나머지 W와 불가피불순물(단 W : 20-50%함유)로 되는 조성을 가지며, 그리고 분산상이, Ti와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상과, Zr 및 Hf중의 1종 또는 2종과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상과의 미세경질상으로 되고, 한편 결합상이 Ni-A1금속간 화합물과 W를 주성분으로 하는 W기합금으로 되는 조직을 가지는 소결합금을 제조한 바, 이 결과의 소결재료는 우수한 내마모성, 내소성변형성, 내산화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들의 고온특성이 요구되는 고속절삭이나 고속이송절삭의 절삭공구로서 사용하면 대단히 우수한 절삭성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기초로 하여된 것으로 이하 재료의 성분조성범위 및 소결온도를 상기한 바와같이 한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a) . Ti
Ti성분은, 소지중에 미세한 경질상으로 분산하는 Ti와 C와 N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상을 형성하여 재료에 높은 경도를 부여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나, 그 함유량이 5% 미만에서는 소결공정에서의 고용상태로부터의 냉각과정에서의 화합물 석출처리공정에서 소망량의 전기화합물을 석출시킬 수 없고, 그 결과 소망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한편 25%를 초과 함유하면 상대적으로 결합상에 비하여 전기 분산상을 형성하는 화합물상이 과다하게 되어 재료의 내충격성이 나빠지는 관계상, 그 함유량을 5-25%로 정한다.
(a) . Zr 및 Hf
이 양성분도, Ti와 마찬가지로 Zr 및 Hf중의 1종 또는 2종과 C와 N와를 주성분으로하고, 소지중에 미세한 경질상으로서 분산하는 화합물상을 형성하여 재료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나, 그 함유량이 5%미만에서는 Ti와 마찬가지로 높은 경도, 즉 높은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없고, 한편 20%를 초과하면 마찬가지로 전기 분산상을 형성하는 화합물상이 과다하여, 재료의 내충격성을 나쁘게 하므로, 그 함유량을 5-20%로 정한다.
(c) . Ni 및 Ta
이 두성분은 상기한 2종의 화합물상에 확산하고, 그리고 소지에 고용하여 재료의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량이 5% 미만에서는 그 작용의 소망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20%를 초과 함유하면, 재료의 내마모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나므로, 그 함량을 5-29%로 정한다.
(d) . Ni 및 A1
이들 양 성분은 결합상을 구성하는 W의 소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Ni3A1로 되는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분산상을 구성하는 화합물상과 결합상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재료의 내충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유량이 Ni : 0.5% 미만 및 A1 : 0.5% 미만에서는 전기 작용에 소망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Ni : 3.0% 및 A1 : 2.0%를 초과 함유하면, 재료의 내마모성이 저하되게 되므로, 그 함유량을 Ni : 0.5-3.0% 및 A1 : 0.5-2.0%로 정한다.
(e) . C
C성분은, 상기한 바와같이 2종의 화합물상을 형성하여 재료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량이 15% 미만에서는 경질분산상의 량이 상대적으로 과소하여 소망의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한편 40%를 초과 함유하면, 결합상에 대한 전기 화합물상의 비율이 과다하여 재료의 내충격성이 나빠지므로 그 함량을 15-40%로 정한다.
(f) . N
N성분은 상기 화합물상을 미세화하여 재료의 내충격성을 일층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량이 1% 미만에서는 소망하는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없고, 한편 15%를 초과 함유하면, 소결시에 N의 분해량이 많아져 재료중에 기포가 형성되게 되고, 그 결과 내충격성이 나빠지므로 그 함량을 1-15%로 정한다.
(g) . W
W성분은, 그 일부가 상기한 화합물상중에 확산하나, 나머지 대부분은 소기의 결합상을 구성하며, 이 결합상은, 상기 분산상을 구성하는 성분 및 Ni 및 A1가 고용된 W기합금으로 되므로, 재료는 우수한 내소성변형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그 함량이 20% 미만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결합상의 량이 과소하여, 특히 내충격성이 나빠지고, 한편 55%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분산상이 과소하여, 재료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므로, 그 함유량을 20-55%로 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결재료는, 불가피불순물로서, Fe, Co, Cr, Mo, Si 및 백금족금속(Pt, Pd, Rh, Ru, Ir, Os)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더라도, 그 합계 함유량이 2% 이하이면, 이 소결재료의 가지는 특성이 하등 손상되지 않는다.
(h) . 소결온도
2000°C미만의 소결온도에서는 소결시의 조직이 완전 고용체로 되지 아니하며, 그결과 소결후의 화합물 석출처리 공정에서, W기합금소지에 미세한 경질화합물이 균일히 분산된 조직을 얻을 수 없으며, 그 결과 소망의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수 없게되며, 한편 2700°C를 초과한 소결온도로 하면, 액상이 출현하게 되어 형상유지가 곤란하게 되므로, 소결온도를 2000-2700°C로 정한다.
(i) . 화합물 석출처리 온도
그 온도가 1000°C 미만에서는 분해석출하는 화합물의 량이 너무적어, 미세한 경질화합물이 균일히 분산한 조직을 얻을 수 없으며, 이 결과 재료의 내마모ㅓㅇ 및 내충격성이 나빠지고, 한편 그 온도가 1600°C를 초과하여도 마찬가지로 소망량의 화합물 및 금속간 화합물의 분해석출을 행할 수 없으므로 화합물석출 처리온도를 1000-1600°C로 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삭공구용 소결재료는, 그 자체 단독으로 사용할수가 있으나, 이것을 결합상 형성성분으로서의 Ni 및 A1중 1종 또는 2종 : 25-60%, Mo 및 W중의 1종 또는 2종 : 5-20%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경질분산상 형성성분으로서의 주기율표의 4a, 5a 및 6a족의 금속의 탄화물 및 질화물중 1종 또는 2종 이상과 불가피불순물로 되는 조성(이상원자%)을 가지는 서멧트 기체상에 증합하고, 이 상태로, 예로서 10-2torr의 진공중, 온도 : 1370°C에 30분간 유지하여 양자를 접합하여, 복합재로서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는 일층 내충격성이 증대하게 된다.
또 상기의 본 발명 소결재료의 단체 혹은 복합재의 표면에, 화학증착법을 사용하여, 주기율표의 4a, 5a 및 6a족 금속의 탄화물, 질화물 및 산화물 및 이들 2종 이상의 고용체, 다시 산화알미늄(이하 A12O3로 표시함), 산화질코늄(이하 ZrO2로 표시함) 중의 1종의 단층 또는 2종 이상의 복층으로 된 경질피복층을 0.5-1.5㎛의 평균층두께로 피복한 상태로 사용하면 일층 우수한 내산화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소결재와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원료분말로서 평균입도 1.0㎛의 TiC, 1.2㎛의 (Ti0.58W0.42) C분말, 1.2㎛의 ZrC분말, 1.0㎛의 (Hf0.45Nb0.55) C분말, 1.2㎛의 TaC분말, 1.5㎛의 TiN분말, 1.7㎛의 Ni-A1합금(A1 : 31.5%함유)분말, 2.5㎛의 Ni분말, 및 1.2㎛의 W분말을 준비하고, 이들 원료분말중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소정 배합조성으로 배합하고, 볼밀로 72시간 습식 혼합하여, 건조후, 15Kg/mm2의 압력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압분체로 하고, 이 압분체를 H2기류중, 800°C에 1시간 유지시켜 예비 소결 처리후, 10-1torr의 진공중 2600°C에 1시간 유지조건으로 소결하고, 소결종료후, 이 소결온도로부터 1500°C까지의 온도범위를 700°C/hr냉각속도로 냉각하고, 이 1500°C로 3시간 유지 조건으로 화합물 석출처리를 행하므로서 제1표에 표시한 성분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 소결재 1-6 및 비교 소결재료 1-7을 각기 제조하였다.
비교 소결재료 1-7은 모두 구성성분중, 어느 하나의 성분함량이 본 발명범위에서 벗어난 조성을 가지며, 제1표에 *표로 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 결과 얻은 본 발명 소결재료 1-6 및 비교소결합금 1-7의 각각으로부터 SNP432의 형상을 가진 절삭팁을 제작하고, 피삭재 : JIS,SNCM-8(경도 HB260), 절삭속도 : 230m/min, 이송속도 : 0.4mm/rev, 절삭깊이 : 2mm, 절삭시간 각 10분의 조건으로 연속절삭시험 및 피삭재 : JIS.SNCM-8(경도 H...280), 절삭속도 : 140m/min, 이송속도 : 0.275mm, 절삭깊이 : 2mm, 절삭시간 3분의 조건에서 단속 고속절삭시험을 행하고, 연속고속절삭 시험에서는 팁날에 있어서의 플랭크마모의 심도와 크레타마모심도를 측정하였으며, 또 단속 고속절상시험에서는, 시험절삭날수 10개중의 결손발생 날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결과를 제1표에 표시하였다.
또한 제1표에는 비교의 목적으로 A1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한 세라믹 절삭팁 및 W탄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초경합급 기체의 표면에 화학증착법에 의한 Ti탄화물(TiC) 및 A1산화물(A12O3)를 7㎛의 합계 평균층두께로 피복하여서 된 표면 피복초경합금 절삭팁(종래 절삭팁 1-2이라 함)의 동일조건에서의 절삭시험결과를 표시한다. 제1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조앨 절삭팁 1은, 특히 내충격성이 낮으므로 시험 절삭팁날 모두가 결손되고, 또 종래 절삭팁 2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므로 단속 고속절삭 시험에서는 본 발명 소결재료와 동등의 우수한 절삭성능을 표시하지만, 내마모성이 낮아 연속 고속절삭시험에서는 마모가 많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 소결재료 1-6은, 단속 및 연속고속절삭 시험의 어느것도 우수한 고속절삭성능을 발휘함이 명백하다.
1-7에서 보는 바와같이, 구성성분중 어느 하나의 성분 함유량이 본발명 범위를 벗어나면, 연속 및 단속 고속절삭시험의 적어도 어느것에 있어 성능이 낮은 절삭시험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원료분말에, 다시 평균입도 : 1.2㎛의 (Ti0.58W0.42) C0.95분말, 및 1.0㎛의 TiC0.5N0.5분말을 준비하고 이들 원료분말을 적당히 조합 사용하여 소정 조성으로 배합하고, 이 배합분말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조건으로 혼합하여, 프레스 성형하고, 다시 예비 재소 처리한후, 10-2torr의 진공중, 온도 : 2100°C에 2시간 유지하여 소결하고, 소결후 고용체조직을 가지고 있는 전기 소결온도로부터 1200°C까지의 온도범위를 700°C/hr의 냉각속도로 냉각하고, 1200°C로 5시간
[표 1]
Figure kpo00001
유지하여 화합물 석출처리를 행하므로서, 제2표에 표시된 성분조성을 가진 본 발명 소결재료 7-16 및 마찬가지로 구성 성분중 어느것인가의 성분함량(제2표에 *로 표시)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난 조성을 가지는 비교소결재료 8-13을 각각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 소결재료 7-16 및 비교소결재료 8-13으로부터, 각기 SNP432의 형상을 가진 절삭팁을 제작하고, 피삭재 : JIS.SNCM-8 (경도HB250), 절삭속도 : 115m/min, 이송속도 : 0.8mm/rev, 절삭깊이 : 5mm, 절삭시간 10분의 조건으로 연속고속이송절삭시험을 행하고, 플램크마모 심도와 크레타 마모심도를 측정하였다.
또 피삭재 : SNCM-8(경도 : HB280), 절삭속도 : 100m/min, 이송속도 : 0.3/ mm/rev, 절삭깊이 : 2mm, 절삭시간 3분의 조건으로 단속절삭시험을 행하여 10개의 시험절삭날중의 결손수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제2표에 표시한다.
또 제2표에는, 비교목적으로 시판의 W탄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초경합금 기체의 표면에 화학증착법에 의한 6㎛의 평균층두께로 Ti탄화물의 경질층을 피복한 표면 피복 초경합금절삭팁 및 P30의 W탄화물을 주성분으로 한 초경합금절삭팁(이하 종래 절삭팁 3, 4라함)을 상기 동일 조건으로 절삭시험결과를 표시한다.
제2표에서 보는 바와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며, 본 발명 재료 7-16로 제작된 절삭팁은 종래절삭팁 3, 4 및 비교소결재료 8-13로 제작된 절삭팁과 비교하여 일층 우수한 절삭성능을 발휘함이 명백하다.
[실시예 3]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 소결재료 8를 SNP523의 형상으로 절삭팁으로 연마하여 이 절삭팁을 평균입도 : 2.0㎛를 가지는 Ti (C0.7N0.3) 분말, 0.8㎛의 Mo분말, 2.5㎛의 Ni분말 및 1.7㎛의 Ni-A1합금(A1 : 31.5%함유) 분말을 원료로 하여 Ti (C0.7N0.3) : 45%, Mo : 10%, Ni : 43%, A1 : 2%의 배합조성(이상원자%)으로 배합하고, 볼밀에서 60시간 습식 혼합하여, 건조후, 15Kg/mm2의 압력으로 프레스 셩형한 압분체를 10-1torr의 진공중, 온도 : 1400°C에 1시간 유지 배소하고, 이어서 연마가공하므로서 제조하였다.
상기 배합조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종 성분조성을 가지며, 그리고 SNP523형상을 가진 서멧트팁상에 중합하여, 이 상태로 10-4torr의 진공중, 1370°C에 30분간 유지시켜 양자를 접합시켰다.
이결과 얻은 본 발명 복합절삭팁을, 피삭재 : JIS.SNCM-8 (경도 : HB260), 절삭속도 : 120m/min, 이송속도 : 0.8mm/rev, 절삭깊이 : 5mm, 절삭시간 10분의 조건으로 연속 고속이송절삭시험 및 피삭재 : JIS.SNCM-8(경도 : HB280), 절삭속도 : 120m/min, 이송속도 : 0.35mm/rev, 절삭깊이 : 3mm, 절삭시간 3분의 조건으로 단속시험을 한 결과 연속 이송 절삭시험에서는 팁날에 있어서의 플랭크 마모깊이 : 0.13min, 크레타마모깊이 : 30㎛를, 또 단속 절삭시험에서는 절삭날 10개중 결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 소결재료 2의 절삭팁을 사용하여, 이 팁을 공지의 화학증착장치에 장입하여 그 표면에, 반응온도 : 1020°C, 반응가스 : H296%, TiC14: 2% (이상용량%), 반응시간 : 150분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평균층두께 6um를 가지는 TiC를 피복하고, 다음으로 같은 온도에서, H2: 96%, TiC14: 2%, CH4: 1.95%, CO : 0.05% (이상용량%)로 된 조성을 가지는 반응가스를 100분간 흘러 보내 평균층두께 1㎛를 가지는 Ti (C0.7O0.3)을 피복하고, 다시 계속하여 잔류가스를 완전히 제거한후, 반응온도 : 1000°C, 반응가스조성 : H2: 93%, A1C13: 3%, CO2: 4% (이상용량%), 반응시간 100분의 조건으로 처리하여 평균층두께 1㎛의 A12O3를 피복하였다.
이결과 얻은 3층 피복의 본 발명 표면피복팁을 실시예 1과 동일 절삭조건으로 연속고속 절삭시험과, 단속 절삭시험을 한 결과, 연속고속 절삭시험에서는, 팁날에 있어서의 플랭크마모깊이 : 0.08mm, 크래타마모깊이 : 10㎛, 단속고속절삭시험에서는 시험절삭날 수 10개중 1개만이 결손되었을 뿐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특성, 즉 내마모성, 내소성변형성, 내산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결재료를 통상의 분말야급법을 이용하여 제조할수가 있으며 따라서 이 결과의 소결재료를 전기한 고온특성이 요구되는 고속절삭이나, 고속이송절삭에 절삭공구로서 사용하는 경우 현저히 우수한 절삭성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2)

  1. Ti : 5-25%, Zr 및 Hf중 1종 또는 2종 : 5-20%, Nb 및 Ta중 1종 또는 2종 : 5-20%, Ni : 0.5-3.0%, A1 : 0.5-2.0% (A1/Ni = 0.25-0.5), C : 15-40%. N : 1-15%를 함유하고, 나머지 W와 불가피불순물 (단 W : 20-55%함유)로 조성 (이상원자%)되고, 분산상이 Ti와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상과, Zr 및Ff중의 1종 또는 2종과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합물상과의 미세경질상으로 되고, 한편 경합상이 Ni-A1금속간화합물과, W를 주성분으로 하는 W기합금으로 된 조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2. 원료분말로서 금속탄화물분말, 금속질화물분말, 금속탄질화물분말, Ni-A1합금분말, 및 W분말을 준비하고, 이들 원료 분말중의 2종 이상을 가지고 소정배합조성으로 배합하고, 통상의 조건으로 혼합하여, 프레스 성형하여, 이어서 이 압분체를 비산화성 분위기중, 2000-2700°C의 고온에서, 완전 고용체화 소결한 후, 비산화성 분위기중, 1000-1600°C에서 화합물 석출처리를 행하고, Ti : 5-25%, Zr 및 Hf중 1종 또는 2종 : 5-20%, Nb 및 Ta중의 1종 또는 2종 : 5-20%, Ni : 0.5-3.0%, A1 : 0.5-2.0% (A1/Ni = 0.25-0.5), C : 15-40%, N : 1-15%를 함유하고, 나머지 W와 불가피불순물 (단 W : 20-55%함유)로 된 조성 (이상원자%)을 가지며, 그리고 분산상이 Ti와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한 화합물상과 Zr 및 Hf중의 1종 또는 2종과 C와 N와를 주성분으로 한 화합물상과의 미세경질상으로 되고, 한편 결합상이 Ni-A1금속간화합물과, W를 주성분으로 한 W기합금으로 된 조직성을 가지는 소결재료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의 제조법.
KR8204739A 1982-03-01 1982-10-22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KR890004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32133 1982-03-01
JP57032133A JPS6023180B2 (ja) 1982-03-01 1982-03-01 高温特性のすぐれた切削工具用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89B1 true KR890004489B1 (ko) 1989-11-06

Family

ID=1235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739A KR890004489B1 (ko) 1982-03-01 1982-10-22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3180B2 (ko)
KR (1) KR890004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9431A (ja) * 1983-05-20 1984-12-22 Mitsubishi Metal Corp 切削工具用高靭性サ−メツトの製造法
US7030430B2 (en) * 2003-08-15 2006-04-18 Intel Corporation Transition metal alloys for use as a gate electrode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se allo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23180B2 (ja) 1985-06-06
JPS58151448A (ja) 198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2353B2 (ja) 超硬合金、切削工具および超硬合金の製造方法
EP4049777B1 (en) Base material and cutting tool
KR890004539B1 (ko) 초내열 소결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890004489B1 (ko)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JP2019151875A (ja) 基材および切削工具
JP7035820B2 (ja) 基材および切削工具
JPS6059195B2 (ja) すぐれた耐摩耗性と靭性を有する硬質焼結材料の製造法
KR890004488B1 (ko) 고온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법
JP4540791B2 (ja) 切削工具用サーメット
KR20100018997A (ko) 고온 특성이 우수한 절삭공구용 소결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4364990B2 (ja) 切削工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1352A (ja) 工具用サ−メット
JPH01191760A (ja) Ti合金切削用超硬合金製正方形切削チップ
JPS58130245A (ja) 高温特性のすぐれた切削工具用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7143844B2 (ja) 切削工具
JP3092887B2 (ja) 表面調質焼結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5632B2 (ko)
JPS58130246A (ja) 高温特性のすぐれた切削工具用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45290B2 (ko)
JPH0530881B2 (ko)
JPS58130247A (ja) 高温特性のすぐれた切削工具用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WO2019116614A1 (ja) 超硬合金及び切削工具
JPS5928542A (ja) 切削工具用焼結硬質材料の製造法
JPS59129751A (ja) 超耐熱焼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0288820A (ja) 高送り切削で、切削面粗さの低下なく、すぐれた耐摩耗性を発揮する正面フライス工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