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49B1 -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49B1
KR890004249B1 KR1019850004300A KR850004300A KR890004249B1 KR 890004249 B1 KR890004249 B1 KR 890004249B1 KR 1019850004300 A KR1019850004300 A KR 1019850004300A KR 850004300 A KR850004300 A KR 850004300A KR 890004249 B1 KR890004249 B1 KR 890004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valve
rotary valve
orifice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168A (ko
Inventor
이마이주미
Original Assignee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노보루 filed Critical 도끼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00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 F16F9/468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controlling at least one bypass to main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0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having an integral flexible member co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seat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39Dividing and recombining in a single flow path
    • Y10T137/784Integral resilient member forms plura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9Single head, plural ports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제 1 도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유압 완충기의 중요부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Ⅰ-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회전밸브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중의 Ⅳ-Ⅵ선 단면도.
제 5 도는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데 제 2도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를 표시한 제 2 도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표시한 제 2 도와 같은 위치의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예를 표시한 중요부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부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피스턴 로드
3 : 삽입공 4,6,7,26 : 유로
5 : 피스턴 8,9 : 감쇠력 발생기구
10 : 통형부재 11,14,18,21,45 : 유공
12 : 가이드 부재 13 : 환형 유로
15 : 조정로드 16,41 : 회전밸브
17,23,32,43,47 : 오리피스 19,23,32,43,47 : 오리피스
19,42 : 스토퍼 20,44 : 밸브 시이트
22,31,46 : 첵밸브 22A,31A : 첵밸브 몸체
22B : 스프링 24 : 밑뚜껑
25 : 스프링 가이드 A,B : 유실
본 발명은 차량등에 설치되어 그 진동을 완충하는 유압완충기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조건등에 감응하여 감쇠력이 조정되게한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등에 부착되는 유압완충기는, 예로서 고속도로 주행시, 일반도로 주행시, 자갈길 또는 요철 도로 주행시등의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감쇠력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승차감각뿐 아니라 운전 안전성에서도 바람직 한 것이다. 그래서 감쇠력 발생기구로서 고정식이 아니고 주행조건에 따라 감쇠력을 변화 시킬수 있는 가변식의 감쇠력 발생기구를 비치한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가 쓰여지고 있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목적의 완충기는 삽입공이 형성된 실린더와 한쪽이 실린더 안에 삽입되며, 다른쪽이 실린더 밖으로 돌출된 피스턴 로드와 그 피스턴 로드에 고착되어 전기 실린더안을 2개의 유실로 구획형성 시키는 피스턴과, 그 피스턴에 의하여 구획 형성된 2개의 유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통로와, 실린더의 삽입공을 거쳐서 유통로안에 끼어져서 피스턴 로드의 다른쪽부터 회동조작되는 조정로드와, 그 조정로드에 설치되며 유통로의 통로면적을 증감 함으로서 소정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오리피스가 지름 방향에 파져 형성된 회전 밸브와, 전기 유통로의 도중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축소행정에서만 열리는 첵 밸브등을 비치한다. 실린더 밑부위를 프레임에 부착시키며 피스턴 로드의 다른쪽은 차체에 부착시키고, 피스턴 로드의 다른쪽에 설치한 회동작동기(Actuator)에 의해 조정로드를 소정각도 만큼 회동시킴으로서, 회전 밸브를 회전시켜 그 회전밸브에 파져있는 복수의 오리피스중 한개의 오리피스를 선택하고 그 오리피스로 흐르는 유액의 유동저항을 변화시킴으로서 감쇠력이 조정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는, 유통로의 도중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첵밸브를 설치하고, 피스턴 로드가 신장행정에 있을때에는 첵밸브가 닫겨 유통로안의 유액의 유통을 막으며, 피스턴에 설치된 감쇠력 발생기구에 의하여 감쇠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서 신장행정에서의 감쇠력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피스턴 로드가 축소행정에 있을때에는 첵 밸브가 열리게 하여 유통로내의 유액을 유통케 하고, 오리피스의 개구 면적에 상응한 감쇠력이 발생되게 함으로서 신장행정 보다는 적은 소정의 감쇠력을 얻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는 첵 밸브를 피스턴로드의 축방향으로 변위가능케 하는 것이여서 유압완충기로서의 구성 부품 길이가 길어 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 첵 밸브를 회전밸브에 설치하여 밸브가 닫히는 방식의 경우에는 피스턴 로드가 신장 행정에 있을 때 그 첵 밸브를 거쳐서 회전 밸브에 대하여, 신장쪽에서 고압으로 유실의 유압력이 작용하게 됨으로 회전밸브 회전시의 토오크가 증대하여 조정로드를 큰 외력으로 회전시켜야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첵 밸브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첵 작용을 부여하게 함으로 최소한 첵 밸브 몸체와 압축 스프링의 2가지 부재가 필요하고, 또한 밸브시이트와 스프링 받침 등의 가공이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고등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 밸브안에 지름방향으로 변위하는 첵 밸브를 설치함으로서 구성 부품 길이를 단축할 수 있게 한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를 완충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구성의 특징은, 회전밸브 안에 둘레 방향에 대하여 그 회전 밸브와 일체로 회전하고 신장행정에서는 그 회전 밸브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닫고 축소행정에서는 그 오리피스를 여는 첵 밸브를 설치하며, 그 첵 밸브에는 오리피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오리피스를 설치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 - 제8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며, 도면중 부호(1)은 유압완충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실린더, (2)는 한쪽이 실린더(1)안에 삽입되고, 다른쪽이 실린더(1)밖에 돌출된 피스턴로드로서, 그 피스턴 로드(2)에는 축 방향으로 삽입공 (3)이 파지고 지름방향으로 그 삽입공(3)과 연통되는 유로(4)가 파져있다.
(5)는 피스턴 로드(2)의 한쪽에 설치한 피스턴으로서 그 피스턴(5)에 의하여 실린더 (1)안은 2개의 유실(A)(B)로 형성되어 있다. (6)(7)은 피스턴(5)에 설치되어 유실(A)(B)사이를 연통하는 유로이고, (8)는 피스턴(5)에 설치한 신장하는 쪽의 감쇠력 발생기구, (9)는 축소하는 쪽의 감쇠력 발생기구이다.
(10)은 피스턴 로드(2)의 한쪽에 나사결합된 통형부재이며, 그 통형부재(10)는 피스턴(5)를 고정시키는 로크 너트를 겸하고 잇다. (11)은 통형부재(10)의 벽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한 유공이다. (12)는 통상부재(10)안에 압입등의 수단으로 끼워 삽입된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로서, 그 가이드부재(12)의 외주쪽에는 환형유로(13)이 형성되고 벽체에는 통형부재(10)의 유공(11) (11)과 대응되는 유공(14) (14)이 파져 있다.
(15)는 피스턴 로드(2)의 삽입공(3)안에 유동되게 삽입된 조정로드로서, 그 조정로드 (15)의 맨 앞쪽은 가이드 부재(12)안에 있다. (16)은 가이드 부재(12)안에서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동시 조정로드(15)의 앞쪽에서 코오킹 수단등에 의해 고착된 뚜껑 통체의 회전 밸브이며, 이 회전 밸브(16)은 제 2 도, 제 3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벽체부(16A)와 뚜껑체(16B)로서 대략 형성되며, 뚜껑체(16B) 내주면쪽은 "+"자형의 통로홈(16C),(16C)……이 형성되고, 그 각 통로홈(16C)사이는 후술하는 첵밸브(22)의 스라이딩면(16D)(16D)…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벽체(16A)에는 축소행정에서 소정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큰 지름의 오리피스 (17A), (17A)와 작은 지름의 오리피스(17B) (17B) (통털어 어리피스(17)이라고 칭한다.)가 상호 60°간격이며, 동일 오리피스는 서로 맞대도록 지름방향에 파져 있어, 큰 지름의 오리피스(17A) (17A)의 위치는 소프트 위치 S-S로 되고, 작은 지름의 오리피스 (17B)(17B)의 위치는 미디엄 위치 M-M로 되며,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하드위치 H-H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18)(18)…는 뚜껑체(16B)에 각 통로홈(16C)와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파서 설치된 기름공이다. (19)(19)는 벽체 (16A)의 안지름쪽의 하드 위치 H-H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스토퍼로서 각 스포터(19)는 후술하는 첵밸브 몸체(22A)의 회전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20)은 첵밸브 접촉용의 밸브 사이트이고, 그 밸브 시이트(20)는 회전 밸브(16)의 벽체 (16A)안둘레쪽에, 예를 들어 압입등의 수단으로 끼워져 있고 전기 오리피스 (17)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유공(21)(21)…파서 설치됨과 동시 그 유공에 스토퍼(19)가 끼워져서 회전 방향의 위치결정이 되어 있다.
(22)는 밸브 시이트 (20)의 안둘레쪽에 끼워진 첵 밸브로서, 그 첵 밸브(22)는 각 스토퍼 (19)를 사이에 끼우며 서로 대향된 한쌍의 반원호형의 첵 밸브몸체(22A)(22A)와 각 첵 밸브 몸체(22A)를 밸브 시이트(20)로 향하여 탄입시킨 압축스프링(22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첵 밸브 몸체 (22A)가 밸브 시이트(2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제 2 도의 상태)에서는 그 첵 밸브 몸체(22A)의 양쪽과 스토퍼(19)와의 시이는 약간의 간격이 있고, 그 첵 밸브 몸체(22A)가 지름이 좁아져서 밸브가 열린 상태(제 5 도의 상태)에서는 스토퍼(19)에 밀접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첵 밸브 몸체(22A)에는 신장행정에서 소정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큰지름 오리피스(23A), (23A)가 회전밸브 (16)의 큰지름 오리피스 (17A)(17A)과 대응하여 지름방향에 설치됨과 동시에 작은지름 오리피스(23B)(23B)가 역시 회전밸브 (16)의 작은지름 오리피스 (17B)(17B)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하 전체를 오리피스 23이라 칭한다).
또 오리피스 (23)은 오리피스 (17)보다 전체적으로는 적은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4)는 통형부재(10)의 밑부분쪽에 설치된 밑뚜껑이며, 그 밑뚜껑(24)는 통형 부재(10)안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2)와 같이 그 통형부재(10)의 아래쪽(10A)를 코오킹 수단으로 코오킹 함으로써 축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25)(25)는 밑뚜껑(24)의 한쪽면으로부터 첵 벨브(22)안에 돌출된 한쌍의 스프링 가이드 이며, 그 각 스프링 가이드 (25)에 의해 스프링(22B)이 위치결정되어 있다. (26)은 피스턴 로드(2)의 삽입공(3)안에서 그 삽입공 (3)과 조정로드(15)와의 사이에 형성된 링형의 유로이며, 이 유로(26)는 유로(4), 유공(18)과 항상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 되어지며, 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조정로드(15)를 실린더(1)밖으로 부터 조작하면 이것과 일체인 회전밸브(16)가 조작되어 그 회전밸브(16)와 함께 첵 밸브(22)가 회동된다.
이때 유공(11)(14)에 대하여, 예로서 큰지름의 오리피스(17A)(23A)를 대향시켜 소프트 위치 S-S에 설치한다.
여기에서 피스턴 로드(2)가 신장행정에 있을 때에는, 유실A안이 고압으로 되고, 그 유실 A안의 유액은 유로 (4)(26), 유공(18), 오리피스(23A), 유공(21),오리피스(17A), 유공(14), 환형유로(13), 유공(11)을 순차로 통하여 유실 B에 유출된다.
이때 유공(18)에 유입된 고압유는 첵 밸브(22)의 첵밸브 몸체(22A)를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향하게 내면쪽부터 압압하여, 그 첵밸브몸체(22A)를 벨브 시이트(20)의 내주면에 밀착시킨다. 그래서 오리퍼스(23A)의 개구 면적은 오리피스(17A)의 개구 면족보다도 적게 형성되게 됨으로 그 오리피스(23A)를 유통하는 유액의 저항력에 의해 소정의 소프트에 대응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피스턴로드(2)의 속도가 빨라지면 감쇠력 발생기구(8)이 열리며, 소정의 감쇠력을 발생된다.
한편 피스턴 로드(2)가 축소행정에 있을 때는 유실 B쪽이 고압으로 됨으로 전술한 것과는 반대로 유공(11), 환형유로(13), 유공(14), 오리피스(17A), 유공(21), 오리피스(23A), 유공(18), 유로(26)(4)를 통하여 유실A에 유출된다.
이때에 유공(21)에 유입된 고압유는 첵 밸브몸체(22A)를 스프링(22B)을 탄축하면서 지름방향 안쪽으로 압압하여, 스토퍼(19)에 닿을 때 까지 지름을 줄이는 데 제 5 도의 상태로 본다.
그결과 유공(21)부터의 유액은 각 첵밸브 몸체(22A)와 밸브 시이트(20)과의 사이의 간격부터, 회전밸브(16)에 형성된 기름통로홈(16C)를 통하여 유공(18)을 향하여 저항없이 유출한다. 그러므로 오리피스(17A)로 흐르는 유액의 저항력에 의해 소정의 스프트에 대응하는 감쇠력이 발생한다. 또한 피스턴 로드(2)의 속도가 빨라지면은 감쇠력 발생기구(9)가 열리면서 소정의 감쇠력이 발생된다.
다음에 조정로드(15)에 의해 회전밸브를 소프트 위치 S-S부터 미디엄위치 M-M에 설정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같이 소정의 미디엄위치에 대응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한 조정로드(15)에 의하여 회전밸브(16)을 하드 위치 H-H에 설정한 경우에는 그 히드 위치 H-H에는 오리퍼스(17)(23)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유실 A,B사이에 유액이 흐르는 일이 없이 각 감쇠력 발생기구(8)(9)에 의존한 감쇠력 특성을 얻을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첵 밸브(22)는 지름 방향으로 지름이 줄도록 회전밸브(16)안에 설치하였으므로 구성 부품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피스턴 로드의 신장행정에서 유실A안의 고압유가 첵밸브(22)에 작용하여도 그 첵밸브(22)는 밸브 시이트(20)에 밀착될뿐이며, 또한 그 첵 밸브는 회전밸브(16)와 일체로 회전함으로 그 회전밸브(16)를 적은 회전력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첵 밸브(22)는 반원호형의 첵 밸브 몸체(22A)와 스프링(22B)으로서 형성됨으로 그 첵 밸브(22)를 부착하기 위하여 특별한 부착가공이 필요로 하지 않아, 부착성이 우수하고 저렴하게 제조할수 있다.
다음에 제 6 도 내지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2-4실시예를 표시하며, 전술한 제 1 의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첵 밸브(31)은 밸브 시이트(20)의 안둘레 쪽에 접촉되는 반원호형인 한쌍의 첵 밸브몸체(31A)(31A)와 스프링 가이드(25)(25)사이에 위치하고, 그 각 첵 밸브 몸체 (31A)(31A)사이를 연결하는 U자형의 스프링 위치 결정부분(31B)로서 구성되며, 오리피스(17A)(17A)와대응하는 위치에 오리피스(32A)(32A)를 설치하고 오리피스(17A)(17A)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리피스(32B)(32B)를 설치한 것에 있다.
또한 그 작동에 대하여는 제 1 의 실시예와 변함이 없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를 표시하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회전 밸브(41)에는 스토퍼(42)를 1개만으로 돌출시키고 그 스토퍼(42)를 사이에 끼워 60°간격에서 각기 큰지름의 오리피스(43A)작은지름의 오리피스(43B)를 1개씩 설치하며, 밸브시이트 (44)에는 각 오리피스 (43A)(43B)과 대응하는유공(45)(45)를 설치한다.
한편, (46)은 단면이 "C"자형을 이루고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탄성이 부여된 첵밸브이며, 그 첵밸브(46)는 스토퍼(42)의 위치가 "C"자형의 개구 부분에 위치 하도록 밸브 시이트(44)의 안지름쪽에 삽입된다.
그리고, 첵밸브(46)에는 오리피스(43A)(4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큰지름의 오리피스(47A)작은지름의 오리피스(47B)가 설치되어 있다. (48)은 밑뚜껑(24)의 중심부터 첵 밸브(46)내에 돌출시킨 첵밸브 가이드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아 구성되지만, 시장 행정에서는 첵 밸브(46)이밸브 시이트(44)에 밀착하여 오리피스(47A)(47B)에 대응한 감쇠력을 발생하고, 축소 행정에서는 첵 밸브(46)이 스토퍼(42)에 밀접할 때까지 지름이 줄어들며 오리피스(43A)(43B)에 대응한 감쇠력을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제 8 도는 본발명의 제 4 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며, 본 실시예의 특징은 가이드 부재(12)을 없애고 통형부재(10)안에 직접 회전밸브(16)을 회전가능하게 삽입한데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밑뚜껑(24)는 통형부재(10)의 절삭부분(10B)안에 위치가 결정되며, 회전밸브(16)첵밸브(22)등은 밑뚜껑(24)에 대하여 회전가재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회전밸브(16), 첵밸브(22)등을 큰지름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되어 오리피스 (17)(23)의 구멍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회전밸브, 첵밸브 등으로 된 감쇠력 발생기구는 통형부재를 통하여 피스턴 로드 밖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그 감쇠력 발생기구를 피스턴 로드안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는 위와 같이 상세히 말한 것과 같으므로, 감쇠력 발생기구의 부품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으며, 소형 유압완충기로 사용할수가 있다.
또, 회전밸브 에는 고압유가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조정로드에 의하여 회전밸브의 조작성을 높일수가 있다.
또한, 첵 밸브는 회전밸브안에 부착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므로 부착성 및 가공성을 높이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실린더(1)와 축방향으로 삽입공(3)이 뚫리고 일단측이 실린더(1)내에 삽입되고 타단측이 이 실린더(1)외로 돌출된 피스턴 로드(2)와 이 피스턴 로드(2)에 고착되어 전기한 실린더(1)내를 2개의 유실(A)(B)로 구획하는 피스턴(5)과 이 피스턴(5)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유실(A)(B)사이를 연통하는 유로(6)(7)와 전기한 삽입공(3)을 경유하여 회동조작되는 조정로드(15)와 이 조정로드(15)에 설정된 통모양의 회전밸브(16)이고 그 주벽에 전기한 유로의 통로면적을 증감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오리피스(17)가 직경방향으로 뚫린 통형의 회전밸브(16)로 이루어진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에 있어서, 전기한 회전밸브(16)내에는 이 회전밸브(1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반경방향에 있어서 회전밸브(16)에 대해 변위 가능케 구성되어 피스톤 로드(2)의 신장공정에서는 반경방향 외방에 있어 오리피스를 폐쇄하고 피스톤 로드(2)의 축소공정에서는 반경방향 내방에 있어 오리피스를 개방하는 첵밸브(22)를 설치하고 이 첵밸브(22)에는 전기한 오리피스(17)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리피스(17)보다 적은 직경의 다른 오리피스(23)를 뚫은 것은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첵밸브(23)는 회전밸브(16)의 안쪽둘레에 한쌍의 스토퍼(19)를 사이에 끼워 설치된 한쌍의 반원 호형의 첵밸브 몸체(22A)와 각 첵밸브 몸체(22A)를 직경방향 외방향으로 탄력부가 되어있는 압축스프링(22B)으로 구성되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완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첵밸브(23)는 회전밸브(16)내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토퍼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첵밸브 몸체를 포함하고, 이 첵밸브는 그 탄성에 의하여 반경외부 방향으로 탄력부가 되어 있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KR1019850004300A 1984-06-20 1985-06-18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KR890004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26679 1984-06-20
JP59126679A JPS616440A (ja) 1984-06-20 1984-06-20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59-126679 1984-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168A KR860000168A (ko) 1986-01-25
KR890004249B1 true KR890004249B1 (ko) 1989-10-28

Family

ID=1494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300A KR890004249B1 (ko) 1984-06-20 1985-06-18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45043A (ko)
JP (1) JPS616440A (ko)
KR (1) KR890004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559U (ja) * 1984-07-20 1986-02-13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NL8503031A (nl) * 1985-11-05 1987-06-01 Koni Bv Elektrisch verstelbare schokdemper.
DE3604844A1 (de) * 1986-02-15 1987-08-20 Daimler Benz Ag Schwingungsdaempfer fuer fahrzeuge
JPH0524831Y2 (ko) * 1986-02-20 1993-06-23
EP0241677B1 (de) * 1986-04-12 1990-05-02 Körber Ag Stossdämpfer mit veränderbarer Dämpfungscharakteristik
US4821851A (en) * 1987-08-21 1989-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amper with optimized adjustable valving for vehicle ride control
JPH0198717A (ja) * 1987-10-09 1989-04-17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衡器
US5310027A (en) * 1991-08-06 1994-05-10 Atsugi Unisia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damping force coefficient of shock absorber for automotive suspension
JP2678535B2 (ja) * 1991-10-31 1997-11-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3080266B2 (ja) * 1992-05-21 2000-08-2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JP3215927B2 (ja) * 1992-05-30 2001-10-09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988330A (en) * 1997-07-03 1999-11-23 Morris; Jay Adjustable shock absorber
US6622751B1 (en) * 1998-02-09 2003-09-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ressure valve for a reciprocating pump
AU2003232466A1 (en) * 2002-05-29 2003-12-19 Progressive Suspension, Inc. Hydraulic dampers with pressure regulated control valve and secondary piston
KR20040011142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장치의 댐핑밸브
US7124865B2 (en) * 2004-02-13 2006-10-24 Progressive Suspension, Inc. Pressure regulating dampers
US7628259B2 (en) * 2004-11-08 2009-12-08 Thyssenkrupp Bilstein Of America, Inc. Fluid flow regulation of a vehicle shock absorber/damper
JP4726049B2 (ja) * 2005-06-06 2011-07-2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US8950558B2 (en) 2011-12-29 2015-02-10 Fox Factory, Inc. Dampers with thermal expansion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5153A (en) * 1916-08-01 1918-05-07 Paul Winsor Valve.
FR525481A (fr) * 1920-10-01 1921-09-22 Alphonse Papin Soupape à ruban
DE571092C (de) * 1932-05-07 1933-02-23 Moritz Hirsch Dipl Ing Klappenventil
GB753490A (en) * 1953-07-18 1956-07-25 Newton & Bennet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ydraulic shock absorbers
FR1224765A (fr) * 1958-05-22 1960-06-27 Rheinmetall Gmbh Amortisseur hydraulique
US4463839A (en) * 1981-11-06 1984-08-07 Tokico Ltd. Hydraulic damper
JPS58166150A (ja) * 1982-03-27 1983-10-01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S5940034A (ja) * 1982-08-28 1984-03-05 Showa Mfg Co Ltd 油圧緩衝器における減衰力調整装置
JPS6093035U (ja) * 1983-11-30 1985-06-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7299B2 (ko) 1992-06-18
KR860000168A (ko) 1986-01-25
US4645043A (en) 1987-02-24
JPS616440A (ja) 198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249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JPH0218359Y2 (ko)
US4660689A (en) Hydraulic buffer
CA1315301C (en) Shock absorber
US5042625A (en) Damping unit
US4749173A (en) Fluid-filled resilient bushing having damping means within fluid chambers
KR870001183B1 (ko) 댐핑력 방식의 수압댐퍼
GB2266573A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H07233840A (ja) 減衰力可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GB2323423A (en) Dampers
US5193655A (en)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with feature of linear and wide range damping force variation depending upon piston stroke speed
JP3215927B2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7269628A (ja) ダンパ
JP2002295566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383865B2 (ja) 油圧緩衝器
GB2154300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device with adjustable valve
JP5284673B2 (ja) 緩衝器
JP2918250B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H0198717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衡器
JP2000002282A (ja) ロータリダンパ
US2367220A (en) Hydraulic check
JPH0244115Y2 (ko)
JP2803848B2 (ja) 減衰力可変型液圧緩衝器
JPH0324912Y2 (ko)
JPH072716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