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202B1 - 자동수전(水栓) - Google Patents

자동수전(水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202B1
KR890004202B1 KR1019840004092A KR840004092A KR890004202B1 KR 890004202 B1 KR890004202 B1 KR 890004202B1 KR 1019840004092 A KR1019840004092 A KR 1019840004092A KR 840004092 A KR840004092 A KR 840004092A KR 890004202 B1 KR890004202 B1 KR 89000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water supply
control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777A (ko
Inventor
다까오 이께나가
도시후미 시게마쓰
히로시 다나까
다쓰미 하마나까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수전(水栓)
제 1 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자동수전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자동수전을 수세기(水洗器)설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 3 도는 전기제어부의 블록도.
제 4 도는 제 1 감지부의 가장먼저감지에 의한 제 1 제어부를 선택할때의 타암차아트.
제 5 도는 제 2 감지부의 가장먼저 감지에 의한 제 1 제어부를 선택할때의 타임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수부 2 : 전기 제어부
3 : 제 1 감지부 4 : 제 2 감지부
본 발명은 급수의 개시 및 정지를 감지부에 의한 인체의 감지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수전에 관한 것이다.
이 자동수전으로서 여러가지의 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37년(1962년) 제 937호와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소화 43년 (1968년) 제 16196호가 있다.
상기한 공보의 것은 어느것이나 급수부와, 감지부에 따라서 작동하여 상기한 급수부를 개폐작동시키는 전기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서, 전자(前者)는 사용자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서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부가 출력을 발생하여 계속해서 급수하고, 감지신호가 소멸하면 제어부의 출력이 없게되어서 급수를 정지하는 자동감지식 자동수전이며, 후자(後者)는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감지시켜서 최초의 감지신호가 발생하였을때에 제어부가 출력을 발생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출력의 발생을 정지한다.
즉 1 회째의 감지로서 급수를 개시하고, 2 회째의 감지로서 급수를 정지하는 의지(意志)감지식 자동수전이다.
상기한 자동감지식 자동수전은 손을 씻는것 등에는 적당하지만, 세면기에 물을 고이게 하는 것등의 연속 토수(吐水)에는 부적합하며, 의지감지식 자동수전은 반대로 어느정도 연속하여서 토수시키는 데에는 적합하나, 손을 씻는것 등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자동수전의 설치에 있어서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상기한 2 개의 방법중 어느 것인가의 방식의 자동수전을 선택하여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하나의 자동수전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감지중에 급수하고, 감지가 소멸하면 급수를 정지하든가, 1 회째의 감지로서 급수를 개시하며, 2 회째의 감지로서 급수를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하는 기술수단은 급수부와, 이 급수부를 개폐작동시키는 전기제어부를 갖춘 자동수전에 있어서, 상기한 전기제어부는, 사용자를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제 1 감지부와, 이 제 1 감지부에 따라서 작동하여 제 1 감지부가 감지하고 있는 동안에 급수부를 개방하고 감지가 소멸하면 급수부를 폐쇄하는 제 1 제어부와,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감지시키는 제 2 감지부와, 이 제 2감지부에 따라서 작동하여 제 2 감지부의 최초의 감지로서 급수부를 개방하고 다음의 감지로서 급수부를 폐쇄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한 제 1 감지부 또는 제 2 감지부중에서 가장먼저 감지한 감지부가 제 1 감지부일때는 제1제어부를, 제 2 감지부일때는 제 2 제어부를 각각 선택하여서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선택회로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감지가 먼저 제 1 감지부에 의하여 행하여지면 그 감지가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급수하고, 감지가 소멸하면 급수를 정지한다.
또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제 2 감지부에 손을 펴서 접근하는 것등 하여 제 2 감지부에 먼저 감지시키면, 그 최초의 감지로서 급수가 개시되고, 제차 제 2 감지부에 손을펴서 접근하여 다음의 감지를 시킬때가지 급수가 계속되며, 상기한 다음의 감지로서 급수가 정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잇점을 가지고 있다.
(1) 2 개의 감지부의 어느쪽인가를 먼저 감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자동수전을 자동감지식으로도, 의지감지식으로서도 사용할수가 있으므로 사용목적, 현장상항등에 구애받는 일 없이 설치할수가 있으며, 설치장소가 임의이다.
(2) 자동감지식 또는 의지감지식으로서 목적에 맞추어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으므로 목적에 합치한 가장 적당한 토수상태가 얻어져서 사용하기 용이한 것은 물론이며, 물의 절약을 도모할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자동수전을 수세기에 설치한 것이며 도면중(A)는 수세기로서, 건물벽면에 부착시키고 있으며, 그 뒷부분 위쪽 둘레면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급수부(1)에 접속하는 토수구(5)가 설치된다.
토수구(5)는 동체부(5a)가 수세기(A)의 윗쪽둘레면(6)에서 윗쪽으로 기립하여 윗쪽끝의 토출구부(5b)가 윗쪽에서 수세기(A)의 보올(bowl)부에 면하고 있으며, 그 토수구(5)에는 급수부(1)의 유출측에 접속된 2자측 급수접속관(7)이 수세기(A) 뒷쪽에서 삽입접속한다.
급수부(1)는 구동부(8)로 통전되면 구동부(8)가 구동하여서 밸브부(9)를 개방하고, 통전이 단저되면 밸브9가 폐쇄되는 공지의 전자(電磁)밸브로서 구성되며, 그 구동부(8)에의 통전을 전기제어부(2)에 의하여 제어한다.
이 급속부(1)는 전기제어부(2)의 회로배선부분봐 아울러 케이스(10)에 수용하여서 수세기(A)아래쪽의 공간부에 배비하여 토수구(5)에 소망하는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수가 있도록 유입측을 지수전(止水栓) (11)을 갖춘 1자측 급수접속관(12)을 개재하여서 서어모스타아트 믹싱밸브(13)의 유출구에 접속한다.
상기한 서어모스타아트믹싱밸브(13)는 급수원(源) 및 온수공급원에 접속되는 것은 말할것까지도 없다.
전기제어부(2)는 제 1 감지부(3) 및 제 2 감지부
t-1
의 2개의 감지부와, 상기한 제1감지부(3)에 따라서 작동하는 제 1 제어부와, 제 2 감지부(4)에 따라서 작동하는 제 2 제어부와, 제어부를 선택하는 선택회로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제 3 에 블록도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1 제어부와 제2제어부를 하나의 회로로서 겸용하여 모우드 변환회로(14)와 출력제어회로(15)로서 이루어진 선택회로부에 의하여 가장먼저 감지한 감지부에 따라서 제 1, 제 2 제어부의 어느 것인가의 회로에 자동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감지부(3) 및 제 2 감지부(4)는 본 실시예의 경우, 모두 투광기(投光器) (15)와 수광기(受光器) (16)를 갖추고, 투광기(15)에서 투사한 적외광선이 인체 예컨대, 손에닿아 확산반사하여서 이 반사광을 수광기(16)가 수광하는것에 의하여 감지신호를 발하는 소위 확산반사형 적외선식광전 센서로서, 제 1 감지부(3)는 사용을 자동적으로 감지할수 있도록 토수구(5)의 동체부(5a)앞면에 매입(埋入)된 상태로 배비하며, 제 2 감지부(4)는 의식적으로 감지부의 앞에 손들을 펴서 접근하여 투사광선을 반사시킬수가 있도록 수세기(A)근처의 건물 벽면에 부착한다.
제 1 제어부는 제 1 감지부(3)의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이 발생상태가 선별시간(T1)계속하였을때에 기동(起動)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감지신호가 소멸하고, 이 소멸상태가 지연시간(T2)계속하였을때에 기동신호의 발생이 소멸하는 잘못된 동작 방지회로(17)와, 기동신호의 발생상태가 연속하여서 금지시간(T3)계속하였을때만 타임업신호를 발생하여 기동신호가 소멸하면 리셋하는 타이머회로(21)와, 타임업신호에 따라서 출력발생억제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발생방지회로(18)와, 기동신호만이 발생하고 있을때에 급수부(3)의 구동부(8)를 구동하는 출력을 발생하여서 기동신호가 소멸하고 있는 때 또는 기동신호와 함께 출력발생 억제신호가 발생하고 있을때에는 출력의 발생을 정지하는 출력회로(19)를 갖추며, 제 1 감지부(3)가 가장먼저 감지를 개시하여서 소정의 선별시간(T1) (예컨대 몇초-0.5초) 후 부터 제 1 감지부(3)가 인체를 감지하고 있는 동안에 계속해서 구동부(8)에 통전하고, 감지가 종료한후 소정의 지연시간(T2)예컨대 0.5초-2초)후에 구동부(8)에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구동부(8)에의 통전시간, 즉 토수시간이 보통의 손을 씻는 것 혹은 세면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약간 길게설정한 이상 연속토수의 금지시간(T3) (예컨대 2분-4분)을 설정하여 가령, 감지중에 있어서도 연속토수시간이 금지시간(T3)에 달하면 토수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별시간(T2)을 설정하는 것은 예컨대, 손을 앞으로 내밀었으나 급히 손을 씻는 것을 중지하였을 경우, 손을 젖이지 않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연시간(T2)을 설정하는 것은 예컨대, 손을 씻는 중에 손이 감지영역에서 순간적으로 밖으로 나가서 감지가 소멸되는 일이 있으나, 이 순간적인 감지의 소멸로서는 급수가 정지되지 않도록 하여서 급수가 빈번하게 개시 및 정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한 구동부(8)의 고장이나 위터해머(Water Hammer)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을 씻은후의 수세기(A)에 부착된 오물을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금지시간(T3)을 설정하는 것은 어떠한 원인 예컨대, 비누물이 제 1 감지부(3)에 부착하여 감지한 상태로 되어버려서 물이 계속하여 한없이 흐르는 대로 방지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 2 제어부는 제 1 제어부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기동신호를 발생하는 잘못된 동작 방지회로(17)와, 최ㅊ의 기동신호의 기립으로서 출력발생신호를 발생하여 다음의 기동신호의 기립으로서 리셋되어 출력신호의 발생을 정지하는 쌍안정 멀티바이브 레어터회로(20)와, 출력신호와 발생개시에서 스타아트하여 금지시간(T3)후에 타임업신호를 발생하고 출력신호가 소멸하면 리셋하는 타이머회로(21)와, 타임업신호에 따라서 쌍안정멀티바으비레어터회로(20)을 리셋하는 쌍안정멀티바으브레이머 리셋회로(22)와, 쌍안정멀티바으브레이머회로(20)의 출력신호발생중에 구동부(8)를 구동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출력회로(19)를 갖추며, 제 2 감지부(4)가 가장먼저 감지하면, 그 최초의 감지로서 급수부(1)에 통전하여 이것을 밸브개방작동시키고, 다음의 감지로서 급수(1)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이것을 밸브 폐쇄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제어부에 있어서도 앞에서 설명한 제 1 제어부와 동일하게 선별시간(T1), 지연시간(T2), 금지시간(T3)을 설정하고 있다. 상기한 지연시간(T2)은 제 2 감지부(4)의 앞을 손을펴서 접근하였을때에 손가락과 손가락사이의 공간의 존재에 의하여 감지신호가 발생과 소멸을 반복하여서 급수의 개시와 정지를 반복하는것을 방지함에 유요한 것이다.
또한 선별시간(T1)은 최초에 손을펴서 접근시켰을때에는 당장에는 물을 흐르지 않고 T1시간후에 물을 흐르게 하여서 물의 절약이 되며, 또한 손을 씻은후에 제 2 감지부(4)에 손을펴서 접근하였을때에는 당장에는 급수를 정지하지 않고 T1시간후에 급수를 정지하므로 손을 씻은 것에 의한 수세기(A)의 오물을 세정하는데에 유효한 것이다 물론 급수개시후, 급수정지의 동작하는 것을 잃어버리더라도 금지시간(T3)후에 자동적으로 급수가 정지된다.
상기한 제 1 감지부(3)가 가장먼저 감지하여서 제 1 제어부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타임차아트를 제 4 도에, 또 제 2 감지부(4)가 가장먼저 감지하여서 제 2 제어부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타임차아트를 제 5 도에 각각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지부를 광전세서로 하였으나, 정전식(靜電式) 또는 초음파식 센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T1, 시간, T2, 시간, T3시간을 설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부를 서어모스타아트믹싱밸브에 접속하여서 사전에 설정된 온도의 온수를 토수할수 있도록 하였으나, 급수부를 1차측 급수접속관으로서 급수원에 접속하고, 토수구로부터는 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임의이다. 또한 이 자동수전은 수세기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수세기에도 부착하여서 사용이 가능한것은 말할것까지도 없다.

Claims (1)

  1. 급수부(1)와, 이 급수부를 개폐작동시키는 전기 제어부(2)를 갖춘 자동수전에 있어서, 상기한 전기제어부는, 사용자를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제 1 감지부(3)와, 이 제 1 감지부에 따라서 작동하여 제 1 감지부가 감지하고 있는 동안에 급수부를 개방하고 감지가 소멸하면 급수부를 폐쇄하는 제 1 제어부와,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감지시키는 제 2 감지부(4)와, 이 제 2 감지부에 따라서 작동하여 제 2 감지부의 최초의 감지로서 급수부를 개방하고 다음의 감지로서 급수부를 폐쇄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한 제 1 감지부 또는 제 2 감지부중에서 가장먼저 감지한 감지부가 제 1 감지부일때는 제 1 제어부를, 제 2 감지부일대는 제 2 제어부를 각각 선택하여서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선택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전.
KR1019840004092A 1983-10-27 1984-07-12 자동수전(水栓) KR890004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02342 1983-10-27
JP58202342A JPS6095038A (ja) 1983-10-27 1983-10-27 自動水栓
JP58-202342 1983-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777A KR850003777A (ko) 1985-06-26
KR890004202B1 true KR890004202B1 (ko) 1989-10-27

Family

ID=1645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092A KR890004202B1 (ko) 1983-10-27 1984-07-12 자동수전(水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95038A (ko)
KR (1) KR890004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00B2 (ja) * 1986-02-18 1996-02-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湯水混合水栓装置
JPS63167820A (ja) * 1986-12-29 1988-07-11 東陶機器株式会社 自動水栓を具備する洗面装置
JPS63293234A (ja) * 1987-05-25 1988-11-30 東陶機器株式会社 手洗装置
JPS6475727A (en) * 1987-09-16 1989-03-22 Toto Ltd Washhand basin
JPS6475736A (en) * 1987-09-18 1989-03-22 Toto Ltd Hand-washing drier
JPS6475730A (en) * 1987-09-18 1989-03-22 Toto Ltd Hand-washing drier
JPS6475733A (en) * 1987-09-18 1989-03-22 Toto Ltd Hand-washing drier
JPS6475732A (en) * 1987-09-18 1989-03-22 Toto Ltd Hand-washing drier
JPS6475734A (en) * 1987-09-18 1989-03-22 Toto Ltd Hand-washing drier
JP5800277B2 (ja) * 2011-03-31 2015-10-28 Toto株式会社 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777A (ko) 1985-06-26
JPS6095038A (ja) 1985-05-28
JPH0246728B2 (ko) 199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429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series of washroom appliances
JP2620579B2 (ja) 自動流れ制御装置
KR890004202B1 (ko) 자동수전(水栓)
US20090241248A1 (en) Automatic shutoff assembly for a water closet
JPH0137631B2 (ko)
JP4411973B2 (ja) 人体検知装置
CN110185109B (zh) 一种智慧城市的双模式洗手间清洁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4729799B2 (ja) 便器洗浄装置
EP116038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series of washroom appliances
JP2012067537A (ja) 自動水栓
JPS60184781A (ja) 自動水栓装置
JPH04343927A (ja) 自動湯水切り替え水栓
JP2002051941A (ja) 便座装置
CN109056946A (zh) 一种低电压智能马桶及其控制方法
JP3456101B2 (ja) 物体検知装置
JP2806009B2 (ja) 便器の自動洗浄装置
JP3038530B2 (ja) 温水洗浄便座の温度制御方法
KR20000018919A (ko) 급수밸브 자동 제어장치
JP2003268844A (ja) トイレ電装品の制御方法
JPH0782770A (ja) 自動水栓装置
JP2014070373A (ja) 便器洗浄装置
JP2916745B2 (ja) 給湯器
JPH0547811Y2 (ko)
JPS6231128B2 (ko)
JPH06125859A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