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869Y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869Y1
KR890003869Y1 KR2019860005919U KR860005919U KR890003869Y1 KR 890003869 Y1 KR890003869 Y1 KR 890003869Y1 KR 2019860005919 U KR2019860005919 U KR 2019860005919U KR 860005919 U KR860005919 U KR 860005919U KR 890003869 Y1 KR890003869 Y1 KR 89000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evator
electric
rope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5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542U (ko
Inventor
윤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5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869Y1/ko
Publication of KR870016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권상기의 단면구조도.
제2도는 공지된 권상기에서 본 고안과 비교되는 부분을 나타낸 발췌 단면도.
제3도는 공지된 권상기에서 본 고안과 비교되는 부분을 나타낸 발췌 측면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그 전동기축에 로우프차를 고정측끼움하는 결합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대형 고층 건물용 엘리베이터 설비에 적합한 것으로서 특히 전동기축의 칫수 감축과 여기서 비롯되는 제반효과를 얻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근래, 전기 전자공업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특히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제어기술도 급속한 발전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발전 가운데 전동기는 효율은 크게 그러나 그 규격은 작게하므로서 전동기가 차지하는 시설공간의 감축과 경량화에 치중하는 방향으로 진척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기의 설치공간 감축과 경량화를 저해하는 한가지 중요한 장애물이 있다.
이것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와 균형추 및 와이어로우프 등의 메달림 하중(이하 현수 하중이라고 부른다)에 대한 전동기축의 기계적 강도를 저해하지 않고 상기한 두가지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이제까자 알려진 구조로서는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이다.
본 고안은 바로 이점을 해결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은 제2도,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는 바에 따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겠다.
즉, 이 그림에서 보듯이, 종래의 직접구동식 권상기는 전동기(1)와 전동축(2)에 고정축 끼움된 로우프차(3) 및 전자(電磁) 브레이크장치(4)로 대별되고, 이외에도 전동기(1)를 부착 고정하는 고정판(5), 권상기 설치용 좌대(6)등이 유기적 구조로 갖춰져 있다.
그리고 전동축(2)은 전동기의 부하측베어링(8)과 반부하측 베어링(9)에 의해 부하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 브레이크장치(4)는 전동기(1)의 플랜지에서 별도의 부착판을 이용 코일케이스(10)를 고정하는 브레이크 레버(11)는 레버 고정판(12)에 의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권상기에 있어서, 전동기의 통전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축과 함께 이와 고정축 끼움된 로우프차와 브레이크드럼(13)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하튼 전동축은 케이지와 균형추 및 로우프등의 현수하중 때문에 부하측 베어링을 중심으로 하는 굽힘모우먼트(M)와, 케이지 및 균형추의 비균형부하에 의한 비틀림 모우먼트(T)를 받게된다.
이 2가지 모우먼트를 합성한 이른바 등가비틀림 모우먼트는를 합한식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등축의 칫수는에 의해 구한다.
여기서, d2는 전동축의 지름, M은 축에 작용하는 굽힘 모우먼트, T는 비틀림 모우먼트, σ는 허용굽힘능력, τ는 허용전단응력이다.
그러나 진동축의 규격은 원래 권상기 자체의 근본적 구조에 변화가 없고서는 그 전등기 규격과 더불어 감축이 어려운게 현실이다.
본 고안은 이점을 극복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제1도의 그림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직접구동식 권상기에 있어서, 전동축(21)의 앞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프레임(22)에다가 중공상의 보스(boss : 23)을 끼워 고정하고 여기에 안으로는 상기 전동축(21)의 앞부분을 끼워넣고 그 바깥쪽에는 로우프(24)를 베어링(25)이 개입된 상태로 끼워 고정하며 상기 로우프차에 일체로 붙어있는 통상의 브레이크드럼(26)은 상기 보스(23)밖으로 삐져나온 전동축(21)의 선단에 고정축 끼움한 것이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있어서 케이지와 균형추 및 로우프와 로우프차등에 의한 하중부담이 과거에는 전동축에 직접 가해졌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동축(21)의 앞부분을 지지하기위해 설치된 프레임(22)과 여기에 고정끼움되고 또한 비교적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고 있는 보스(23)에 상기의 모든 하중이 미칠뿐 전동축(21) 자체에는 상기한 부하는 거의 걸리지 않고, 다만 브레이크드럼(26)과 이것에 의한 제동시의 제동부하에만 영향을 받을 뿐이다.
다시말해서 상기한 케이지와 균형추 및 로우프의 하중에 의한 굽힘모우먼트는 모두 보스(23)에만 작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전동축에 걸렸던 케이지와 균형추 및 로우프 그리고 로우프차등에 의한 모든 부하가 본 고안에 의해 전동축을 벗어나 상기 보스와 프레임에 전가 되므로서 전동축의 설계 지름을 결정하는 모우먼트(M)가 0에 가깝게 되고, 그리하여 전동축의 지름(d)은 종래에 비해 훨씬 작게할 수 있으므로 이에 수반해서 전동기의 규격 축소와 함께 설치공간 면적의 감축 및 경량화에 이바지하는 바 크다.

Claims (1)

  1.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직접 구동식 권상기에 있어서, 전동축(21)의 앞쪽을 지지하기위해 설치된 프레임(22)에다가 중공상의 보스(boss : 23)을 끼워 고정하고 여기에 안으로는 상기 전동축(21)의 앞부분을 끼워넣고 그 바깥쪽에는 로우프차(24)를 베어링(25)이 개입된 상태로 끼워 고정하며 상기 로우프차에 일체로 붙어있는 통상의 브레이크드럼(26)은 상기 보스(23)밖으로 삐져나온 전동축(21)의 선단에 고정축 끼움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KR2019860005919U 1986-04-29 1986-04-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KR89000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919U KR890003869Y1 (ko) 1986-04-29 1986-04-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5919U KR890003869Y1 (ko) 1986-04-29 1986-04-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42U KR870016542U (ko) 1987-11-30
KR890003869Y1 true KR890003869Y1 (ko) 1989-06-08

Family

ID=1925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5919U KR890003869Y1 (ko) 1986-04-29 1986-04-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542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470B1 (ko) 엘리베이터
FI98210C (fi) Järjestely hissikoneiston liittämiseksi rakennukseen
AU678779B2 (en) Elevator motor placed in the counterweight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5899301A (en)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KR100754124B1 (ko) 엘리베이터 조립체 및 승강로를 통해 엘리베이터 조립체의 장착 위치로 기계장치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방법
EP1698581A1 (en) Machine, lifting system and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702878A1 (en) Elevator system having an improved hoisting machine
EP1302430B1 (en) Elevator device
RU2255037C2 (ru) Привод лифта
FI106192B (fi) Hissin nostokoneisto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JPH11139730A (ja) エレベーター
JPH11157762A (ja) エレベーター
KR890003869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전동축과 로우프차와의 결합장치
US6371248B1 (en) Drive unit for elevators
EP1535875B1 (en) Elevator device
JP2002179355A (ja) エレベータ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US7150342B2 (en) Elevator structure mounting system having horizontal member for reducing building loads at top of hoistway
JP2003104665A (ja) エレベータ
JP2002179356A (ja) エレベータ
EA008291B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ески лифта
EP1516844A1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