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720B1 - 문자 축소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축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720B1
KR890003720B1 KR1019860010168A KR860010168A KR890003720B1 KR 890003720 B1 KR890003720 B1 KR 890003720B1 KR 1019860010168 A KR1019860010168 A KR 1019860010168A KR 860010168 A KR860010168 A KR 860010168A KR 890003720 B1 KR890003720 B1 KR 89000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output
displacement
character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596A (ko
Inventor
이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6001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720B1/ko
Publication of KR88000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 축소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회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종래 문자 축소 확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자 발생기 2 : 랫치
3 : 문자 클록 신호입력 4, 5, 6 : 변위 레지스터
7 : 돗트 클록 입력 8 : 8-1선택기
9 : 2-1선택기
본 발명은 표시장치(display)등의 단말장치용 문자 축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장치 등과 같은 음극선관(CRT)터미날에서 빠른 속도로 문자를 축소할 수 있는 문자 축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글자의 축소확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은 글씨를 2배로 확대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제3도에서와 같이 확대하는 것은 글자의 두께가 옆으로 두꺼워지고 밑으로는 가는 상태가 유지되어 문자의 전체 폰트(Font)는 많아졌으나 실제 정보량은 1배 모드와 같이 확대된 모양이 좋지않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문자의 명조체로의 변경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 코드 테이블의 축소방식에 대한 정보를 글자 폰트의 각열마다 갖도록하여 원래 글자의 형태를 충분히 살리면서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처리속도가 매우 빠른 문자 축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은 문자 발생기(1)의 압 축코드 테이블(1')의 출력을 랫치(2)에 문자 클록 신호입력(3)과 함께 가해주도록 연결하고 문자 클록 신호입력(3)은 변위 레지스터(4)와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의 입력(LD)에 연결하며, 문자 발생기(1)의 문자 폰트(1")의 출력은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에 연결하고, 돗트 클록 입력(7)은 변 위 레지스터(4) 및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의 클록 입력(CK)에 연결하되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변위 레지스터(5)의 출력(2n-1, 2n+1), (2n)을 8-1선택기(8)의 선택입력(SEL 1, 2, 3)에 각각 연결하며, 랫치(2)의 출력을 8-1선택기(8)에 연결하여 8-1선택기(8)의 출력을 1배 모드로 2-1선택기(9)에 연결하되 제2변위 레지스터(6)의 출력을 2배 모드로 2-1선택기(9)에 연결하고, 2-1선택기(9)의 출력을 영상 출력으로 하여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장치의 작용은 제2(a)도, 제2(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8-1선택기(8)란 1배 모드의 화면 정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압축 코드 테이블의 데이타값을, 2배 모드 문자정보 가운데 2n, 2n-1, 2n+1(여기서 n은 1배 모드의 화면 돗트의 위치를 나타냄)번째의 돗트값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2배 모드 화면처리를 위해 쉬프트되는 돗트 정보가운데 2n, 2n-1, 2n+1의 정보는 아래표와 같이 적절한 압축 코드 테이블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
Figure kpo00001
또한 2-1선택기(9)는 2배 모드 화면 정보 또는 1배 모드 화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기로서 즉,
Figure kpo00002
로 나타낼 수가 있다.
문자에서 글자를 이루는 돗트보다는 여백의 블랭크가 많은 글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축소 방식에 대한 정보를 4개만 갖도록 한다.
제2(b)도에서는 이러한 4가지의 경우를 예시한다. 나머지 4개는 코드번호가 0을 제외한 3개가 돗트(3, 6, 7)인 경우이고, 상기한 4가지 경우란 압축코드가 번호가 1, 2, 4, 5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제2(a)도에서와 같이 제7열의 압축코드는 번호가 1, 2, 4, 5인 경우 각각 0, 1, 1, 1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1배 모드의 n번째 돗트는 2배 모드의 2n+1번째의 돗트는 무시되고(제1열), 2번째 돗트가 있으면 돗트가 찍히고(2), 2n-1번째 돗트가 있으면 돗트가 찍히고, 2n-1번째와 2n+1번째 돗트가 동시에 있을 경우에도 돗트가 찍힌다는 의미가 된다.
즉 n=3일때에는 2n-1=5에 돗트가 있기 때문에 돗트가 찍힌다. 종래에는 제3도에서 문자 폰트 부분과 변위 레지스터 부분만 있는데 여기서 압축 코드 레이블(1')을 문자 폰트 부분에 추가하였고, 이 압축 코드 레이블을 보조하기 위한 랫치(2)와 8-1선택기(8)를 설치하였다.
또한 2배 모드의 문자를 2-1선택기(9)에서 선택한다. 여기에서 문자 발생기(1)에 20×20의 폰트를 저장하고 동시에 각 열마다 4비트의 축소 방식에 따른 정보를 1배 모드의 각 비트 "n"은 2배 모드의 "2n-1, 2n, 2n+1"번째 비트배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8-1선택기(8)의 해당 비트를 인출시켜 영상신호를 이용한다. 축소 방식에 대한 정보를 4개만 가지고 있으므로 "2n-1, 2n, 2n+1"의 3비트의 조합 8(23)의 나머지 4개중 0는 로우, 나머지 3, 6, 7은 하이(돗트)로 세트시키기 위해 저항을 통하여 풀업(PULL UP)시킨다.
변위 레지스터(4, 5, 6)는 문자 클록(3)을 이용하여 2배 모드에서는 20비트를 로드(load)한후 돗트클록(7)을 이용하여 돗트를 변위시킨다. 변위된 돗트는 그대로 영상신호로 이용된다.
1배 모드에서는 각 10비트씩의 우수 비트 및 기수 비트가 각각 다른 변위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각 돗트 클록마다 변위되면서 우수 비트 레지스터(5)에서는 '2n', 기수 레지스터(4, 6)에서는 '2n-1, 2n+1'의 비트 정보를 추출하며 8-1선택기(8)를 구동시킨다.
8-1선택기(8)는 '2n-1, 2n, 2n+1'비트의 상태에 의하여 압축 코드 테이블(1')에 있는 축소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만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를 축소할때 글자의 모양을 최대한으로 살려줄 수가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므로 처리 시간이 빠르게 되어 표시 터미날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문자 발생기(1)의 압축 코드 레이블(1')의 출력을 랫치(2)에 문자 클록 신호입력(3)과 함께 연결하고, 문자 클록 신호입력(3)은 변위 레지스터(4)와 제1 및 제2변위 제지스터(5, 6)의 입력(LD)에 연결하며, 문자 발생기(1)의 문자 폰트(1")의 출력은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에 연결하고 돗트 클록 입력(7)은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에 연결하고 돗트플록 입력(7)은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 및 제2변위 레지스터(5, 6)의 클록 입력(CK)에 연결하되 변위 레지스터(4) 및 제1변위 레지스터(5)의 출력(2n-1, 2n+1, 2n)을 8-1선택기(8)의 선택 입력(SEL 1, 2, 3)에 각각 연결하며, 랫치(2)의 출력을 8-1선택기(8)에 연결하여 8-1선택기(8)의 출력을 1배 모드로 2-1선택기(9)에 연결하되 제2변위 레지스터(6)의 출력을 모드로 2-1선택기(9)에 연결하고, 2-1선택기(9)의 출력을 영상 출력으로 하여된 문자 축소 장치.
KR1019860010168A 1986-11-29 1986-11-29 문자 축소 장치 KR89000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0168A KR890003720B1 (ko) 1986-11-29 1986-11-29 문자 축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0168A KR890003720B1 (ko) 1986-11-29 1986-11-29 문자 축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96A KR880006596A (ko) 1988-07-23
KR890003720B1 true KR890003720B1 (ko) 1989-09-30

Family

ID=1925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168A KR890003720B1 (ko) 1986-11-29 1986-11-29 문자 축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7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96A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102A (en) Character display system
JPH0535435B2 (ko)
KR900008594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890003720B1 (ko) 문자 축소 장치
KR900006665B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US3981000A (en) System for controlling a numeral display
KR910008526B1 (ko) 한,영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방법
SU12821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цветной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KR900002626Y1 (ko) 음극선관 표시장치용 표시문자 두께 조절장치
JPS6022182A (ja) パタ−ン出力装置
JPS59182A (ja) 文字パタ−ン発生装置
JPS60253571A (ja) 出力制御方法
JPS58217037A (ja) キ−ボ−ド入力装置
JPS6145275A (ja) 文字表示装置
JPS5852512B2 (ja) 印字切換え方法
KR850005645A (ko) 확대화상 출력장치
KR940005931B1 (ko) 키폰에서의 한글 디스플레이 방법
JP2564470B2 (ja) 文書処理装置
JPS587997B2 (ja) ズケイシンゴウハツセイソウチ
JPS5862691A (ja) ドツトマトリツクス表示装置
JPS58143383A (ja) カ−ソル拡大表示回路
JPS6150317B2 (ko)
JPS63192090A (ja) 文字記号模様表示装置
JPS62103692A (ja) 文字図形情報表示変換方式
JPS5987536A (ja) 文字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