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38B1 -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38B1
KR890003438B1 KR1019840001509A KR840001509A KR890003438B1 KR 890003438 B1 KR890003438 B1 KR 890003438B1 KR 1019840001509 A KR1019840001509 A KR 1019840001509A KR 840001509 A KR840001509 A KR 840001509A KR 890003438 B1 KR890003438 B1 KR 89000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image
preform
image fib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260A (ko
Inventor
요시끼 지구사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46Thermal after-treatment of preforms, e.g. dehydrating, consolidating,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8Drawing fibre bundles, e.g. for making fibre bundles of multifibres, imag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10Non-chemical treatment
    • C03B37/14Re-forming fibres or filaments, i.e. changing their shape
    • C03B37/15Re-forming fibres or filaments, i.e. changing their shape with heat application, e.g. for making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광선송용 파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이미지)을 전달하는 봉형상 화상전달용 광파이버인 이미지파이버(멀티코어파이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파이버의 방사선분위기(특히 γ선 분위기)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클래드는 불소를 도우프한 실리카 유리이고, 코어는 순수실리카로 된 소선을 사용한 파이버가, 방사선에 의한 전송손실 증가가 제일 적다.
그러나, 이 파이버도 가시광역 λ=0.63㎛부근에 있어서 비교적 광범위하고, 역시 γ선에 의한 전송 손실증가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전송불능이 되는 경우도 있고 해서, 매우 큰 결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가시광역부근에서 사용하는 이미지파이버로는 문제가 커져서, 상기 λ=0.63㎛부근에서의 전송손실의 해소가 특성향상의 요점이 된다.
이 λ=0.63㎛부근에서의 전송손실은, SiO2유리중의 결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Si-…-Si, Si-O…와 같이 점선…로 표시되는 결합결함(끊긴 결합)에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결함이 소멸되면 λ=0.63㎛에서의 전송손실증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미지파이버는 통상의 유리보다도 상기한 결함이 많다는 결점이 있다. 이것은, 와이어드로오잉 할 때에, 길이방향에 이방성이 생겨서, 접착이 떨어지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참고문헌, R. Bruckner, "Properties and Structure of Uitreous Silica I",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5(1970) P.123∼175]
또, 프리포옴중에도 결함을 존재한다. 종래법에서는, 이 와이어 드로오잉된 파이버 및 프리포옴상태에서의 결함의 존재에 대해서, 결함을 소멸시키는 수단은 하등 강구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여, 광파이버 및 그 응용제품인 이미지파이버의 방사선분위기(γ선등)에서의 사용에 있어서의 SiO2의 결함에 기인되는 전송손실증가를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여러가지 검토를 한 결과, 코어·클래드의 작성시가 아니고, 코어·클래드를 작성한 뒤에, H(수소)를 임의의 함유량으로 넣어서, Si-O…와 같은 결함은, Si-H, -Si-O-H로 바꾸므로서 결함을 소멸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코어 및 클래드를 가진 광전송봉의 복수개를 결속한 것을 신장시켜서 만든 이미지와 이버(멀티코어파이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선 프리포옴, 소선, 이미지프리포옴, 이미지 파이버의 적어도 하나를, 수소가 함유된 분위기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어·클래드를 작성한 뒤에 H(수수)를 임의 함유시키려면, 수소분위기에서 가열·처리를 행하면 된다.
이 수소분위기에서의 가열처리는 소선프리포옴의 코어·클래드를 작성한 뒤라면 이하의 어느 단계에 있어서 시행해도 좋다.
즉, ①의 소선(광 전송봉)의 프리포옴, ②소선, ③ 이미지파이버용 프리포옴, ④ 이미지파이버 및 ⑤ 이상 ①∼④의 각 단계마다 모두에 대해서 본 발명의 상기 처리방법을 적용하면 효과가 있다.
①의 소선프리포옴의 경우는 프리포옴을 수소분위기에서 가열처리한 후에, 소선으로 해서, 이 소선을 복수개 결속하여 가열융착 일체화한 뒤 와이어드로오잉해서 이미지파이버로 한다.
②의 경우는 프리포옴으로부터 소선으로 한 후에, 상기 처리를 실시하고, 그 소선을 결속하여 ①과 마찬가지로 이미지파이버로 한다.
③의 이미지파이버용 프리포옴상태에 대해서 수소분위기에서 가열처리를 시행해도 되고, 또 ④와 같이 와이어드로오잉해서 이미지파이버로 만들어버린 뒤에, 이 처리르를 행해도 된다.
또한 ①∼④의 각 단계마다에 이 수소분위기에서의 가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가열처리온도는 실온이상, 1600℃(유리파이버의 융점)이하이면 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순수실리카로 된 코어재에, 불소를 2중량% 도우프한 실리카 클래드를 플라즈마 겉붙임법에 의해서 겉붙임해서 프리포옴을 작성했다(소선프리포옴단계 ①). 이 소선프리포옴을 와이어드로오잉 해서 소선으로 했다(소선단계 ②). 이 소선을 화소선으로 해서 5000화소선으로 된 이미지파이버용 프리포옴을 제작했다(이미지파이버용 프리포옴단계 ③). 이 이미지파이버용 프리포옴을 와이어드로오잉해서 파이버직경 1.2mm, 5000화소의 이미지파이버를 얻었다(이미지파이버단계 ④).
상기한 바에 따라서 수소분위기아래 가열처리에 관한 조건이외는 모두 동일조건으로 제작한 이미지파이버에 관해서 상태 ①∼④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만이 제1표에 표시한 조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수소분위기아래 가열처리를 행한 경우를 실시예 1∼4로 하고, 단계 ①∼④의 모든 상태에 있어서 수소분위기아래 가열처리를 행한 경우를 실시예5로 하고, 또한 제작공정중에 수소분위기아래 가열처리를 하등 행하지 않았던 경우를 비교예 1로 해서, 얻어진 각각의 이미지파이버에 대해서 γ선 조사(105R/H×2h)를 행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했다. 이 γ선 조사후의 λ=0.63㎛에 있어서의 전송손실증가량까지도 제1표에 종합해서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이상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에서도 명백한 바와같이 전혀 처리하지 않는 이미지파이버의 γ선 조사에 의한 전송손실증가 400dB/km에 대해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이미지파이버의 전송손실증가는 120∼360db/km로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코어가 순실리카, 클래드가 불소도우프한 실리카로 된 이미지파이버를 들었으나, 본 발명의 방법은 이 구성의 광파이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의 광파이버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특히 γ선)에 의한 전송손실증가가 대단히 적은 이미지파이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코어 및 클래드를 가진 광전송봉의 복수본을 결속한 것을 연신해서 만드는 이미지파이버(멀티코어파이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선프리포옴, 소선, 이미지프리포옴, 이미지파이버의 적어도 하나를, 수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KR1019840001509A 1983-10-03 1984-03-23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KR890003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83122 1983-10-03
JP183122 1983-10-03
JP58183122A JPS6075802A (ja) 1983-10-03 1983-10-03 イメ−ジフアイ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60A KR850003260A (ko) 1985-06-13
KR890003438B1 true KR890003438B1 (ko) 1989-09-21

Family

ID=1613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509A KR890003438B1 (ko) 1983-10-03 1984-03-23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53995A (ko)
EP (1) EP0136708B1 (ko)
JP (1) JPS6075802A (ko)
KR (1) KR890003438B1 (ko)
CA (1) CA1221545A (ko)
DE (1) DE346867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15453T3 (de) * 1989-06-09 2001-10-11 Heraeus Quarzglas Optische Teile und Rohlinge aus synthetischem Siliziumdioxidgla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059229A (en) * 1990-09-24 1991-10-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in a hydrogen atmosphere to prevent attenuation
US5267343A (en) * 1992-09-03 1993-1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Enhanced radiation resistant fiber optics
EP0780707A1 (de) * 1995-12-21 1997-06-25 Heraeus Quarzglas GmbH Bauteil für die Übertragung energiereicher UV-Strah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uteils und seine Verwendung
US6115524A (en) * 1997-07-31 2000-09-05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waveguide attenu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532767B1 (en) * 1998-09-22 2003-03-18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producing fused silica glass
DE19850736C2 (de) * 1998-11-04 2003-04-17 Heraeus Tenevo Ag Kernglas für eine Vorform für eine optische Faser, unter Verwendung des Kernglases hergestellte Vorfor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ernglases einer Vorform für eine optische Faser
US6539151B2 (en) 2000-08-21 2003-03-2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separable multiple core optical fibers, the resulting fiber structures, and uses thereof
JP2017032972A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フジクラ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22546A1 (ja) * 2015-08-04 2017-02-09 株式会社フジクラ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および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8722A (en) * 1950-09-06 1952-09-02 Otmar M Stuetzer Process for making microspacers
US3355273A (en) * 1962-11-19 1967-11-28 Warner Lambert Pharmaceutical Method for making bubble free fiber optical image-transfer devices
US3690853A (en) * 1970-08-19 1972-09-12 Optics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high resolution image transmitting fiber optics bundles
US3837824A (en) * 1973-05-29 1974-09-24 American Optical Corp Drawing optical fiber under superatmospheric pressure
US4021216A (en) * 1975-10-24 1977-05-03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strip microchannel electron multiplier array
LU74666A1 (ko) * 1976-03-29 1977-10-10
FR2348168A1 (fr) * 1976-04-14 1977-11-10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Dispositif de soudage de fibres optiques bout a bout
DE2843333C2 (de) * 1978-10-04 1983-09-2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Lichtwellenleiter
JPS5890601A (ja) * 1981-11-25 1983-05-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イメ−ジフアイ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6708A2 (en) 1985-04-10
DE3468670D1 (en) 1988-02-18
EP0136708B1 (en) 1988-01-13
CA1221545A (en) 1987-05-12
KR850003260A (ko) 1985-06-13
JPS6075802A (ja) 1985-04-30
US4553995A (en) 1985-11-19
EP0136708A3 (en) 1985-09-25
JPH021099B2 (ko) 199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040188A1 (de) Optische uebertragungsfaser und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KR890003438B1 (ko) 이미지파이버의 제조방법
BR9804307A (pt) Processo de fabricação de pré-formas de guia de onda ópitica de n·cleo segmentado.
JPH044988B2 (ko)
JPS61191543A (ja) 石英系光フアイバ
DE10200503459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faserpreformen mit einem großen Kerndurchmesser
JPS6084506A (ja) イメ−ジガイドの製造方法
JPS60122744A (ja) 単一モ−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3315786B2 (ja) 光増幅器型光ファイバ
JPH0212887B2 (ko)
JP2770092B2 (ja) 耐放射線性イメージファイバ
JP2882908B2 (ja) イメージファイバ
JP2635563B2 (ja) 光伝送体用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
JP2745415B2 (ja) イメージ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4225387B2 (ja) イメージ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48630A (ja) 光ファイバ用母材の製造方法
JPS63189806A (ja) 石英系イメ−ジフアイバ
JPS60218607A (ja) 2層構造のイメ−ジガイド
JPS63313103A (ja) イメ−ジフアイバ
JPS61132531A (ja) 光フアイバの製造方法
JPH0810283B2 (ja) 光伝送用フアイバ
JPS60142302A (ja) イメ−ジガイドの製法
JPH02233529A (ja) 光ファイバ用母材
JPS6117437A (ja) イメ−ジフアイバの製造方法
JPS5694307A (en) Production of multicore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