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351Y1 -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351Y1
KR890003351Y1 KR2019850015947U KR850015947U KR890003351Y1 KR 890003351 Y1 KR890003351 Y1 KR 890003351Y1 KR 2019850015947 U KR2019850015947 U KR 2019850015947U KR 850015947 U KR850015947 U KR 850015947U KR 890003351 Y1 KR890003351 Y1 KR 890003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der plate
workpiece
arm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10U (ko
Inventor
김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5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351Y1/ko
Publication of KR870008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요부의 설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호울더 플레이트 2,2' : 암 샤프트
4 : 탄성 롯드 6 : 상 호울더 플레이트
7 : 캡 드라이버 8 : 로울러
9,9' : 파지편 10,10' : 취부판
11 : 솔레노이드 12 : 실린더
13 : 밀편 16 : 가공물
본 고안은 금형 냉장형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 호울더 플레이트의 사방에 설치된 캠 드라이버의 하향이동으로 하 호울더 플레이트의 지지대에 설치시킨 탄성롯드일축의 로울러를 미끄럼 접촉 이동시켜 암 샤프트가 탄성력있게 벌림 유동되게 설치하고, 암 샤프트에 다수의 파지편이 형성된 취부판을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여 솔레노이드로 제어되는 실린더에 의해 밀편이 연결봉으로 연결시킨 암 샤프트와 슬라이드 되게 설치하므로서, 다이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이동 공급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드로오잉, 또는 포오밍 형상의 프레스 제품을 가공할 경우에는, 보통 수작업에 의한 단발 작업을 해야만 됨에 따라 공정수가 많게 되어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됨은 물론, 금형 제품의 값이 고가이었던 것이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자동화를 채택할 경우에는 범용 트랜스퍼 프레스 및 트랜스퍼 라인을 이용하여야만 되는 것으로, 기계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투자비가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범용프레스기계, 즉 크랭크 프레스, 유압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제품을 금향가공할 수 있게 설치하고,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드에 취부된 상 호울더 플레이트의 캠 드라이버에 의해 하 호울더 플레이트에 설치된 암 샤프트가 탄성력있게 벌림 유동되면서 솔레노이드로 제어되는 실린더에 의해 밀편이 암 샤프트와 슬라이드되어 다이의 가공물을 순차적으로 이동 공급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고가의 트랜스퍼 프레스를 사용할 필요없이 일반 크랭크 프레스, 또는 유압 프레스 기계에서도 트랜스퍼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작업에 의한 공정수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 호울더 플레이트(1)에 암 샤프트(2)(2')를 사방의 지지대(3)에 설치시킨 탄성 롯드(4)에 의해 스프링(5)으로 탄성력 있게 벌림 유동되게 설치하여 상 호울더 플레이트(6) 사방에 설치된 캠 드라이버(7)의 하향 이동으로 상기 탄성 롯드(4)일축의 로울러(8)가 미끄럼 접촉 이동되게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암 샤프트(2)(2')에 다수의 파지편(9)(9')이 형성된 취부판(10)(10')을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하고, 암 샤프트(2)(2')일축의 재료 공급구축에는 솔레노이드(11)로 제어되는 실린더(12)에 의해 작동되는 밀편(13)이 연결봉(14)으로 연결시킨 암 샤프트(2)(2')와 슬라이드 이동되어 다이(15)의 가공물(16)을 순차적으로 파지편(9)(9')측에 이동 공급되게 설치한 것으로, 미 설명 부호 17, 17'는 암 샤프트(2)(2')가 실린더(12)의 운동시에 받게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스프링이고, 18, 19는 리미트 스위치, 20은 가이드 축 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하 호울더 플레이트(1)의 암 샤프트(2)(2')에 고정설치된 취부판(10)(10')의 파지편(9)(9')이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클램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 호울더 플레이트(6)가 하강하게 되면,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상 호울더 플레이트(6) 사방의 캠 드라이버(7)가 하 호울더 플레이트(1)의 지지대(3)에 설치된 탄성롯드(4)일축의 로울러(8)를 밀게 되므로 암 샤프트(2)(2')는 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연결봉(14)과 지지대(3)에 탄성력있게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각각의 파지편(9)(9')은 다이(15)의 가공물(16)을 클램프 시키지 못한 상태로 되고, 이때에 리미트 스위치(18)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11)를 구동시키게 되면 하 호울더 플레이트(1)에 설치된 실린더(12)가 작동하게 되므로 연결봉(14)으로 연결시킨 암 샤프트(2)(2')가 스프링(17)(17')에 의해 탄성력 있게 이동하여 재료 공급구축의 다음 가공물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 호울더 플레이트(6)가 계속 하강하여 다이(15)의 가공물(16)을 금형 가공한 후, 상 호울더 플레이트(6)가 상승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암 샤프트(2)(2')를 밀게 되므로 암 샤프트(2)(2')는 각각 내측으로 이동되어 다이(15)의 가공물(16)을 클램프하게 되고, 상 호울더 플레이트(6)의 상스위치를 감지하는 로타리캠(도시생략)이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다시 솔레노이드(11)가 하 호울더 플레이트(1)의 실린더(12)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암 샤프트(2)(2')가 밀편(13)과 함께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여 가공물(16)을 순차적으로 파지편(9)(9')측으로 공급시키면서 취부판(10)(10')의 파지편(9)(9')에 의해 클램프 된 가공물(16)을 이송시키게 되고 상 호울더 플레이트(6)의 상승이 완료되면, 암 샤프트(2)(2')의 이동이 중지되면서 리미트 스위치(19)를 작동시켜 다시 상 호울더 플레이트(6)가 하강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고가의 트랜스퍼 프레스가 필요없이 일반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트랜스퍼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수작업에 의한 공종수 및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킬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 호울더 플레이트(1)에 암 샤프트(2)(2')를 사방의 탄성롯드(4)에 의하여 탄성력 있게 벌림 유동되 설치하여, 상 호울더 플레이트(6)가 하향이동되어 상 호울더 플레이트(6) 사방의 캠 드라이버(7)에 탄성롯드(4)의 로울러(8)가 미끄럼 이동 접촉되게 설치하고, 암 샤프트(2)(2')에 다수의 파지편(9)(9')이 형성된 취부판(10)(10')을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며, 암 샤프트(2)(2')일축의 재료 공급구축에는 솔레노이드(11)에 제어되어 실린더(12)에 의하여 작동되는 밑편(13)이 암 샤프트(2)(2')와 슬라이드되게 설치하여, 가공물(16)을 순차적으로 파지편(9)(9')축에 공급되게 설치하는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KR2019850015947U 1985-11-30 1985-11-30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KR890003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47U KR890003351Y1 (ko) 1985-11-30 1985-11-30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47U KR890003351Y1 (ko) 1985-11-30 1985-11-30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10U KR870008110U (ko) 1987-06-10
KR890003351Y1 true KR890003351Y1 (ko) 1989-05-20

Family

ID=1924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947U KR890003351Y1 (ko) 1985-11-30 1985-11-30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278A (ko) * 2002-10-31 2004-05-08 홍선표 지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278A (ko) * 2002-10-31 2004-05-08 홍선표 지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10U (ko) 1987-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4021343A (ru) Многооперационн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и сборки и линия прессования и сборки
US4361413A (en) Work feed apparatus in a press
KR890003351Y1 (ko) 금형 내장형 트랜스퍼 장치
CN109013836B (zh) 数控转塔冲床
GB1311155A (en)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 to a working machine
CN107497896A (zh) 快速换刀自动夹紧数控液压折边机
CN213763656U (zh) 一种配电柜门加强筋生产用的冲孔机
US3919876A (en) Toggle press
CN207188533U (zh) 快速换刀自动夹紧数控液压折边机
US3908428A (en) Stretch-draw metal forming
JP2596378Y2 (ja) 板状素材打抜き装置
SU1097414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 установка дл многономенклатурной штамповки деталей из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CN220373052U (zh) 一种纺机导气装置上阻塞块加工用夹具
SU761584A1 (ru) Автомат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и обработки давлением штучных изделии 1
SU12699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прутков на мерные заготовки
RU1812050C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сборочный полуавтомат
SU781016A1 (ru) Агрегатный стан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меной шпиндельных коробок
KR870002288Y1 (ko) 전용기의 캠에의한 다점위치 이송 장치
SU11474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SU11755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и переноса заготовок в штампах
SU4583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ркирован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GB1016442A (en) Automatic in-line transfer machine
SU461766A1 (ru) Грейферна подача
RU1819177C (ru)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й пресс дл штамповки изделий
SU9254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заготовок в штамп прес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