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841B1 - 변기 세정탱크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세정탱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841B1
KR890002841B1 KR1019830002628A KR830002628A KR890002841B1 KR 890002841 B1 KR890002841 B1 KR 890002841B1 KR 1019830002628 A KR1019830002628 A KR 1019830002628A KR 830002628 A KR830002628 A KR 830002628A KR 890002841 B1 KR890002841 B1 KR 89000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valve
valve
water
drai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573A (ko
Inventor
가스오 히라이시
요오이찌로오 우에노
다쓰오 오오다
요시가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841B1/ko
Publication of KR85000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기 세정탱크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변기 세정탱크 장치의 1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변기세정 탱크 장치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 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Ⅳ)-(Ⅳ) 선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Ⅴ)-(Ⅴ) 선 단면도.
제 6 도 내지 제15도는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제 6 도 내지 제10도는 대량세정할때를 나타내고, 제11도 내지 제15도는 소량 세정할때의 작동을 나타낸 것임.
제16도는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요부의 단면도.
제17도는 조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재18도는 일부절결측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XIX)-(XIX) 선 단면도.
제20도는 제 17도의 중요부분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탱크본체 D : 조작수단
a : 배수밸크 b : 개폐밸브
8 : 통체 9 : 배수 밸브시이트
14 : 상부유입구 16 : 하부유입구
28 : 부자체 30 : 배수 밸브체
본 발명은 대량 세정조작 할때와 소량세정 조작할때에 있어서의 변기에의 세정수의 공급량을 변경할 수 있는 변기세정 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변기 세정태크 장치로서는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화 50년 제37707호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대량세정할때는 손으로서 레버핸들(33)을 대량세정쪽으로 회전조작하면, 플로우트 밸브체로서 이루어진 배수 밸브체(30)가 배수밸브시이트(9)에서 완전히 끌어올려 이탈시켜져서 전체가 개방되고, 손을 떼어도 배수 밸브체(30)의 부력에 의하여 전체가 개방상태로 유지되어서 탱크본체(A)내에 저류되고 있었던 대략 일정한 수량으로써 변기가 세정된다. 그러나, 소량 세정할때는 손으로서 레버핸들(33)을 소량 세정쪽으로 회전조작하면, 배수밸브체(30)가 배수밸브시이트(9)에서 약간 이탈시켜져서 절반이 개방되어 변기로 세정수가 배출되기 시작하나, 손을 떼면 배수 밸브체가 배수밸브시이트(9)에서 유출되는 물에 흡인되어 배수밸브시이트(9)에 정착하여 버려서 세정수의 배출이 정지된다. 따라서 세정수의 배출을 유지함에는 레버핸들(33)은 소량 세정쪽으로 회전한채로 적당한 시간 레버핸들(33)을 보전지지하여 놓지 않으면 안되어서 그 조작이 큰일임과 아울러 보전지지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서 세정수량이 달라져서 변기의 세정이 불충분하거나, 물을 쓸데없이 흘러보내는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여 대량 세정은 물론 소량 세정의 조작이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량 세정할때의 세정수량도 대략 일정한 수량을 변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탱크본체 밑바닥에 배수밸브를, 이 배수밸브를 둘러쌓아 설치도는 통체의 하부 유입구에 개폐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대량 세정조작할 때에는 배수밸브와 개폐밸브를 함께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하부 유입구까지의 저류수를 흐르게 하며, 소량세정 조작할때에는 개폐밸브는 개방시키지 않고 배수밸브만을 개방하는것에 의하여 통체의 상부 유입구까지의 저류수를 흐르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탱크본체(A)의 측벽(1) 방부에 탱크본체(A)내에 세정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B)를 설치하고, 밑바닥부에 탱크본체(A)내의 세정수를 변기(도면표시 하지 아니하였음)에 배수하는 배수장치(C)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배수장치를 조작하는 조작수단(D)을 상기한 급수장치(B)와 대면하는 측벽(1')에 설치한 것이다. 급수장치(B)는 유입측에 급수원(도면표시 아니하였음)과 연락하는 흡수관(2)을 접속하고, 유출측에 탱크 밑바닥면 근처까지 뻗어나가는 급수통(3)고, 탱크본체(A)의 덮개(4)에 설치된 수세관(5)에 연락하는 연락관(6)을 각각 접속하고 있으며, 이들 유입측과 유출측의 사이에 설치된 급수밸브(도면표시 하지 아니하였음)를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浮子)(7)의 상하방향으로의 요동에 따라서 개폐되도록한 볼탭이다. 따라서 급수장치(B)는 뒤에서 설명하는 배수장치(C)의 배수밸브(a)를 개방하여서 탱크본체(A)내의 물을 변기에 배출하면, 수위의 하강에 따라 부자(7)가 내려가서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급수관(2)내의 물은 그 일부를 급수통(3)을 개재하여 탱크본체(A)내에 토출하고, 다른 일부를 연락관(6)을 개재하여 수세관(5)에서 토출된다. 한편, 배수장치(C)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소정량의 물을 배수하면 배수밸브(a)가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급수장치(B)에 의한 급수는 그후에도 계속하여 행하여져서 탱크본체(A)내의 수위는 상승되기 시작하며, 그것에 따르는 부자(7)의 상승으로서 급수밸브를 폐쇄하여 그 이후의 급수를 정지한다. 다음에 배수장치(C)는 탱크본체(A) 밑바닥부에 설치된 배수밸브(a)와, 이 배수밸브(a)를 둘러쌓아 설치한 통체(8)에 설치된 개폐밸브(b)를 보유하고 있다.
배수밸브(a)의 밸브시이트(9)는 탱크본체(A)의 밑바닥벽(10)에 그것을 관통하여서 부착고정되는 예컨대 ABS 수지등의 합성수지재의 배수구부재(11)에 설치되어 있다. 즉 배수구부재(11)는 상반부를 큰지름, 하반부를 작은 지름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반부가 탱크본체(A)의 밑바닥벽(10)을 관통하고 있으며, 탱크본체(A)내에 위치하는 단부(段部)(12)윗면의 개구연에 상기한 배수밸브시이트(9)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수구부재(11)는 그 하반부와 탱크본체 밑바닥면(10)과의 사이에 팩킹(13)을 협압개재시켜서 배수구부재(11)부착부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 팩킹(13)과 상기한 단부(12)의 아래면으로서 통체(8)을 기립보전한다. 통체(8)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서 형성되어 윗면에 상부 유입구(14)를 개구한 상자체로서 구성되며, 그 밑바닥판부에는 배수구부재(11)의 하반분 바깥지름과 대략 동일한 지름의 부착공(15)이 개구천설되어 있으며, 그 주연부가 그 공(15)을 삽통한 배수구부내(11)의 단부(12)와 팩킹(13)에 의하여 협지된다. 또 통체(8)는 측판 중간부분에 하부유입구(16)와 이것을 바같쪽에서 개폐하여 개폐밸브(b)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의 개폐밸브체(17)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한 개폐밸브체(17)의 아래쪽끝은 측판 외면에 설치한 1쌍의 계합요부(18)에 회전자재하게 축지지되어서 한지식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폐밸브체(17)는 보통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부유입구(18)의 아래쪽에 위치하여서 개폐밸브(b)를 개방하고 있으며, 개폐밸브체(17)의 안쪽끝에 설치한 환형체인 등의 연결부재(19b)를 하부 유입구(18)를 개재하여서 윗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개폐밸브(b)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부재(19b)는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수단(D)으로서 조작된다. 또한 상기한 개폐밸브체(17)를 힌지식 대신에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평판상으로 형성하여서 슬라이드식으로 하부 유입구(16)를 개폐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예에 있어서는 개폐밸브체(17)는 통체(8)의 측판 외면에 설치된 안내틀(20)에 상하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재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배수구부재(11)의 윗쪽끝에는 저수통(21)이 설치되고, 이 저수통(21)은 통체(8)와 동일한 재질로서 형성되어 안지름이 배수구부재(11)의 상반부와 대략 동일한 지름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아래쪽끝을 배수구부재(11)의 윗쪽 가장자리에 고착하여 통체(8)의 안쪽에 기립하고 있으며, 그 윗쪽끝은 통체(8)의 윗쪽끝보다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저수통(21)는 밑바닥부를 폐쇄한 용기이며, 그 밑바닥에 개구천설한 작은 구멍 형상의 배수소통로(22)를 개재하여 배수구부재(11)의 상반부내에 형성한 공간부(23)에 연락하고 있으며, 그 공간부(23)는 그 축면부에 개설한 통공(24)을 개재하여 통체(8)와 배수구부재(11) 및 저수통(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25)와 연락하고 있다. 또, 저수통(21)에는 밑바닥부 중앙에 안내공(26)이 개설됨과 아울러 이 안내공(26)을 둘러쌓아 안내통(27)이 기립형성되고 있으며, 횡단면 형상이 상기한 안내통(27)과 저수통(21)의 외주벽에 의하여 내외를 둘러쌓인 원환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통(21)의 내부에는 안지름이 상기한 안내통(27)의 바깥 지름보다 큰지름으로서, 바깥지름이 저수통(21)의 안지름보다 작은 지름인 환모양의 중공의 부자체(28)가 수용배비됨과 아울러 조작수단(D)에 연락하는 작동간(29)이 상기한 안내공(26) 및 안내통(27)에 접동자재하게 안내되어서 삽통하고 있다.
작동간(29)은 하단부에 고무등의 탄성시이트 재료로서 형성된 배수 밸브체(30)를 일체로 갖춤과 아울러 중간부분에는 이것을 둘러쌓는 스커트 형상의 스톱퍼(31)가 저수통(21)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배수밸브체(30)가 배수구부재(11)내외 공간부(23)내에 있어서 전기한 배수밸브시이트(9)에 대응하여서 이 양자에 의하여 배수밸브(a)를 구성하고 있다. 부자체(28)의 부력은 배수밸브(a)가 개방되고 있을때에 작동간(29)에 파급되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보다는 약간크나, 배수밸브(a)가 폐쇄되어 배수밸브체(30)에 가하여지는 수압이 작동간(29)에 맞추어진 아래쪽으로 향한 힘보다는 작게되도록 설정된다. 또 작동간(29)은 상하를 관통하는 통체로서 일수관(溢水管)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함과 동시에 그 윗쪽끝에는 역 V자 형상의 훅(32)이 축착되어 있으며, 이 훅(32)이 축착되어 있으며, 이 훅(32)의 윗쪽끝이 환형체인 등의 연결부재(19a)를 개재하여 조작수단(D)에 연락하고 있다. 조작수단(D)은 탱크본체(A)의 측벽(1')를 관통하여 설치된 부쉬(37)를 회전자재하게 삽통하여서 설치되고, 뒷쪽끝이 탱크본체(A)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그 선단부가 탱크본체(A)내의 배수장치(C)윗쪽으로 뻗어나가는 조작축(35)과, 이 조작축(34)의 뒷쪽끝에 부착고정되는 레버핸들(33)과, 조작축(34)앞쪽끝부분 근처에 부착되는 작동통(37a)와의 계합에 의하여 그 회전이 소정의 회전각도로 규제됨과 아울러 레버핸들(33)이 바로 아래를 향하는 위치를 중심으로하여 좌우로 동일한 각도로 배분되어 있다.
또 조작축(34)의 탱크본체(A)내에 뻗어나가는 부분의 주면과, 작동통(35)의 내주면에는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계합하는 요철조(38)가 형성되며, 작동통(35)은 조작축(34)에 감합되어 상기한 서로의 요철조(38)의 계합에 의하여 조작축(34)에 대해서 회전불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지착용 링에 의하여 축방향에의 이동불능하게 고정된다. 지착용 링(39)은 원주의 일부를 절결한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통(35)의 외주에 감착하여 그 내주면에 돌설한 돌출자(40)를 조작축(34)에 요설한 지착용 구멍(41)에 작동통(35)을 관통하여 계합한다.
상기한 작동통(35)에는 그통(35)이 조작축(34)에 부착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하면부의 앞쪽끝 및 뒷쪽끝에 각각 지지아암(36a)(36b)가 설치된다. 작동통(35)앞쪽끝의 지지아암(36a)은 작동통(35)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작동간(29)의 윗쪽끝에 설치된 훅(32)에 연결부재(19a)를 개재하여 연락하고, 뒷쪽끝의 지지아암(36b)은 작동통(35)의 아래면에 그통(35)의 축심에 대하여 직행하도록 돌설된 평행한 1쌍의 지지판(42) 사이에 윗부분을 삽입하여 핀(43)에 의하여 그 지지판(42)에 회동자재하게 추착됨과 아울러 아래부분이 개폐밸브체(17)에 연결부재(19b)를 개재하여 연락한다.
상기한 지지판(42)의 한쪽에는 지지아암(36b)의 회동방향 한쪽 끝면에 당접하여 지지아암(36b)의 한쪽의 회동을 저지하는 압압판(4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수단(D)은 레버핸들(33)을 예컨대 시계바늘 방향으로 돌리면, 조작축(34)은 그 돌출부(34a)가 부쉬(37)의 절결부(37a)의 한쪽끝에 당접할때까지 시계바늘방향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따라서 작동통(35) 앞쪽끝의 지지아암(36a)이 시계바늘방향 윗쪽으로 진동상승하며, 연결부재(19b) 및 작동간(29)을 개재하여, 배수밸브체(30)가 잡아당겨 상승되어서 배수밸브(a)를 개방하는바, 작동통(35) 뒷쪽끝의 지지아암(36b)은 회동하여 아래쪽으로 향한 수하상태를 유지하고, 연결부재(19b)를 잡아당겨 상승하는 것은 아니므로 개폐밸브(b)는 그 밸브를 폐쇄하지 않고 밸브를 개방한 상태로 보전 지지된다. 또한 반대로 레버핸들(33)을 반시계바늘방향으로 돌리면, 조작축(34) 그 돌출부 (34a)가 부쉬(37)의 절결부(37a)의 다른쪽 끝에 당접할때까지 반시계바늘방향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따라서 작동통(35) 앞쪽끝의 지지아암(36a)이 시계바늘방향으로 진동상승하여 배수밸브(a)를 개방함과 아울러 작동통(35) 뒷쪽끝의 지지아암(36b)도 지지판(42)의 압압판(44)에 눌려서 반시계 바늘방향으로 진동상승되며, 연결부재(19b)를 개재하여 개폐밸브체(17)를 잡아당겨 상승시켜서 개폐밸브(b)를 폐쇄한다. 또한 이 조작수단(D)는 제17도 내지 제19도에 표시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임의이다.
제17도 내지 배19도에 표시하는 조작수단(D)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것은 조작축(34)이 그 축(34)에 설치된 돌출부(34a)와 부쉬(37)에 설치된 절결부(37a)와의 계합에 의하여 그 회전이 소정의 회전각도로 규제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는 앞에서 표시한 구조의 조작수단(D)과 변한것은 없으나, 작동통(35)이 작동간(39)에 연락하는 지지아암(36a)을 일체로 설치된 유니트주체(35-1)와, 개폐밸브체(17)에 연락하는 지지아암(36b)을 일체로 설치된 부(副)유니트(35-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점에 있어서 앞에서 표시한것과는 구조가 다르게 되어 있다. 유니트주체(35-1)는 단면이 십자형의 조작축(34)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십자형의 내주면에 의하여 조작축(34)에 회전불능하게 감삽되고, 부유니트(35-2) 유니트주체(35-1)의 중간부 외주면에 회전자재하게 감삽되어 있으며, 부유니트(35-2) 뒷부분에 있어서 유니트주체(35-1)에 감착하고, 그 내주면에 설치된 돌출자(40)를 조작축(34)의 설치된 지착용 구멍(41)에 유니트주체(35-1)을 관통하여 계합하는 지착용 링(39)에 의하여 유니트 주체(35-1)의 조작축(34)으로부터 탈락 및 부 유니트(35-2)의 유니트주체(35-1)로부터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 유니트주체(35-1)은 중간부 외주면하부에 돌출부(35-1a)를 보유하고, 부 유니트(35-2)는 앞쪽끝부분에 상기한 유니트주체(35-1)의 돌출부(35-1a)에 계합하는 절결부(35-2a)를 보유하고 있다.
절결부(35-2a)는 돌출부(35-1a)보다 크며, 통상의 상태 즉, 레버핸들(33)이 조작되지 않고 아래쪽에 수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한쪽끝이 돌출부(35-1a)에 당접하고 있으며, 다른쪽끝은 돌출부(35-1a)와의 사이에 소용의 간격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핸들(33)을 예컨데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조작축(34)을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조작축(34)을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따라서 유니트주체(35-1)도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지지아암(36a)이 진동상승되는바, 유니트주체(35-1)의 돌출부(35-1a)는 부 유티트(35-2)을 절결부(35-2a)의 당접하고 있는 끝부분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부 유니트(35-2)에는 조작축(34)이 회전력은 전달되지 않고 부 유니트(35-2)의 지지아암(36a)은 수하된 그대로이다. 또한 조작축(34)이 회전시키면 유니트 주체(35-1)의 회전에 따라서 돌출부(35-1a)는 부 유니트(35-2)의 절결부(35-2a)의 다른끝부분에 근접하고, 드디어는 그 끝부분에 당접하나, 이때에는 조작축(34)의 회전이 규제되어서 그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므로 이 방향에의 회전조작에 있어서는 부 유니트(35-2)의 지지아암(36b)이 진동 상승되는 일이 없다. 또 반대로 조작축(34)를 반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니트주체(35-1)도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하여서 그 지지아암(36a)이 진동상승된다. 이때에 유니트주체(35-1)의 돌출부(36-1a)는 부유니트(35-2)의 절결부(35-2a)의 돌출부(35-1a)의 당접하고 있는 끝부분쪽에 회전이동하므로, 이 절결부(35-2a) 끝부분을 압압하여 부 유니트(35-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부 유니트(35-2)이 지지아암(36a)도 진동 상승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기세정 탱크장치는 보통 제 6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 배수장치(C)의 배수밸브(a)가 폐쇄하여 개폐밸브(b)가 개방하고 있으며, 저류수면은 저수통(21) 윗쪽끝보다 위쪽에 있다. 지금 대량세정 때문에 레버핸들(33)을 시계바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간(29)만이 잡아당겨 올라져서 상승하여 배수밸브(a)가 개방됨과 아울러 배수밸브체(30)에 가하여지고 있던 수압이 없어지므로 부자체(28)의 부력으로써 작동간(29)은 상승한 그대로이며, 레버핸들(33)의 조작을 중단하여도 배수밸브(a)의 개방상태가 유지되어 탱크본체(A)내의 물은 통체(8)의 상부유입구(14) 및 하부유입구(16)와 저수통(21)의 윗면개구에서 통로(25) 및 통공(24)과 배수소통로(22)를 경유하여 배수밸브(a)에서 변기로 배출되어 수위는 저하되기 시작한다. 이때 배수소통로(22)는 하부유입구(16)나 통공(24)에 비하여 그 통 수면적이 극히 적으므로 수위가 저수통(21) 위쪽끝에서 하강하며, 저수통(21)내의 수위의 하강속도는 다른 부분의 수위의 하강속도보다도 늦게 되어서 저수통(21)내의 수위는 다른 부분의 수위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다.(제 7 도, 제 8 도)
그리고 탱크본체(A)내의 물의 대부분이 변기로 배출되어 저수통(21)을 제외한 탱크본체(A)내의 수위가 하부유입구(16) 아래 가장자리까지 하강하여 소정량의 수량을 흘려서 완료하였을때도 저수통(21)내에는 아직 물이 남아있으며, 이 저수통(21)에 배비된 부자체(28)는 부유상태에 있어서 스톱퍼(31)를 개재하여 작동간(29) 즉, 배수밸브체(30)의 하강을 저지하여서 배수밸브(a)를 개방상태로 보전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가 하부유입구(16)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하강한 후는 급수장치(B)로부터 급수(배수장치(C)의 작동에 의한 수위의 하강과 아울러 급수장치(B)의 급수가 개시되어 있다)에 의하여 하부유입구(16)를 넘쳐흐르는 부분의 물만이 계속배수되어서 변기가 사이폰식 변기의 경우에는 이 물을 트랩부의 봉지된 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봉지된 수량을 증가할 목적으로서 통체(8)의 아래쪽에 하부 유입구(16)와는 별도로 작은 구멍을 개설하여도 좋다. 그후 배수소통로(22)로부터의 배수에 따르는 저수통(21)내의 수위 하강에 의하여 부자체(28)의 위치가 내려가고, 그것에 다라서 배수 밸브체(30)가 배수밸브시이트(9)에 근접하여서 배수밸브(a)를 폐쇄한다. 배수밸브(a)가 개방된 후 저수통(21)내의 물은 또다시 빠져나가서 부자체(28)는 하강을 계속하여 스톱퍼(31)에서 격리되며, 저수통(21)내의 물이 완전히 빠져나가버리면 부자체(28)는 저수통(21)의 밑바닥에 당접한다.
한편, 배수밸브(a)의 개방과 아울러 탱크본체(A)내의 수위는 상승하기 시작하고(제9도), 하부유입구(16)에서 통체(8)와 저수통(21)의 사이의 통로(25), 통공(24)을 경우하여 유입되는 물이 배수구부재(11)의 공간(23), 배수소통로(22)를 통하여 저수통(21)내로 유입되어서 보자체(28)는 부상하여 스톱퍼(31)에 당접한다.(제10도) 그러나, 배수밸브체(30)에는 수압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작동간(29)에 부자체(28)의 부력이 가하여져도 작동간(29)은 상승하지 않고 배수밸브(a)는 계속하여 폐쇄된다. 그리고 수위는 또다시 상승하여 제 6 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다음에 소량세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때는 상기한 대량세정일때와는 반대로 레번핸들(33)을 반시계바늘 방향으로 회동하면, 개폐밸브(b)가 잡아당겨 올려져서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작동간(29)도 잡아당겨 올려져서 배수밸브(a)가 개방되어 탱크본체(A)내의 물은 통체(8)의 상부유입구(14) 및 저수통(21) 윗면개구에서 통로(25), 통공(24) 및 배수소통로(22)를 경유하여 배수밸브(a)에서 배출되어 탱크본체(A)내의 수위가 하강을 개시한다. 이때 개폐밸브체(17)는 통로(25)내를 유동하는 물에 의하여 하부유입구(1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흡인되어서 레버핸들(33)의 조작을 중단하여도 개폐밸브(b)의 폐쇄상태는 유지된다. 수위가 하강을 계속하여 통체(8)위 윗쪽끝, 즉 상부유입구(14)까지 내려가면 배수량을 소정된 수량에 달한다.(제11도) 이때 저수통(21)내의 물은 아직도 남아 있으며, 부자체(28)의 부력에 의하여 스톱퍼(31)를 개재하여 배수밸브체(30)가 들어올려져서 배수밸브(a)는 개방상태로 보전되고있다.
다른한편, 개폐밸브체에는 통로(25)를 유동하는 물에 의한 흡인력 대신에 통체(8)의 둘레에 남아있는 물의 수압이 작용하여 개폐밸브(b)의 폐쇄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급수장치(B)로부터의 급수에 의하여 상부유입구(14)를 넘쳐흘러나온 물 및 저수통(21)내의 물은 계속하여 배수되어서 변기가 사이폰 식 변기의 경우에 대향세정과 동일하게 트랩의 봉지된 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저수통(21)은 통체(8)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수통(21)내에의 물의 유입은 없고, 저수통(21)내의 물은 배수소통로(22)에서 유출하여 감소되며, 부자체(28)는 게속하여 하강하여서 그것에 따라 배수밸브체(30)는 하강을 계속한다.(제12도) 그리고 저수통(21)내의 물은 또다시 감소하고, 그것에 따라서 배수밸브체(30)도 하강하여서 배수밸브(a)는 폐쇄된다. 그후에도 잠시동안 저수통(21)내의 물은 감소하여 부자체(28)가 스톱퍼(31)에서 떨어지게 된다.(제13도)
한편 배수밸브(a)의 폐쇄에 따라서 통체(8)의 윗쪽끝을 넘쳐흘려나와 통체(8)내로 유입되는 물에 의하여 배수구부재(11)이 공간(23)이 채워지며, 또다시 배수소통로(22)에서 저수통(21)내로 물이 유입하여 부자체(28)를 부상시켜서 이것을 스톱퍼(31)에 당접시킨다.(제14도)
그후 통체(8)내외의 수위가 동일하게 되어서 통체(8)내의외 압력이 동일하게 되며, 개폐밸브체(17)를 하부유입구(16)에 압압하는 힘이 해제되면 개폐밸브체(17)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여서 하부유입구(16)를 재차 개방한다.(제15도)
이때 개폐밸브체(17)의 아래쪽으로의 회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되도록 개폐밸브체(17)에 추부(錘部)(17a)를 설치하고 있다. 탱크본체(A)내의 수위는 또다시 상승을 계속하여서 제 6 도의 상태로 복귀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저수통은 없어도 좋다. 이 경우 배수밸브체로서 일반적인 플로우트 밸브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므로, 이하의 잇점을 보유한다.
1. 대량세정할때에는 배수밸브와 개폐밸브가 모두 개방되므로 통체의 하부유입구에서 윗쪽의 물이 변기로 배출되어서 대량 세정되고, 소량세정할때는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하부유입구를 폐쇄함과 아울러 배수밸브를 개방하므로 통체의 상부유입구에서 윗쪽의 물이 변기로 배출되어 소량세정을 하므로써 대량세정 할때에는 물론, 소량세정할때의 변기에의 세정수량도 대략 일정하며 또한 조작이 간단하다.
2. 통체의 상부유입구의 높이를 바꾸는 것에 따라서 소량세정할때의 세정수량을, 그리고 하부유입구의 높이를 바꾸는것에 의하여 대량 세정할때의 세정수량을 각각 임의로 또한 간단하게 조정할 수가 있어서 가장 적합한 제정수량을 변기에 공급할 수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가격의 저렴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탱크본체(A)와, 이 탱크본체 밑바닥에 설치되어서 배수밸브 시이트(9)와 이것에 당접이탈하여 개폐되는 배수밸브체(30)를 갖추어서 변기에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밸브(a)와, 이 배수밸브를 둘러쌓아 설치되어서 상부유입구(14) 및 하부유입구(16)를 갖춘 통체(8)와, 그 하부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b)와, 상기한 통체 안쪽에 배설되어 배수밸브체에 연결하여 부력에 따라서 배수밸브의 밸브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부자체(28)와, 대량세정 조작할때는 개폐밸브와 배수밸브를 모두 개방함과 아울러 소량세정 조작할때는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조작수단(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 탱크장치.
KR1019830002628A 1983-06-14 1983-06-14 변기 세정탱크 장치 KR89000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628A KR890002841B1 (ko) 1983-06-14 1983-06-14 변기 세정탱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2628A KR890002841B1 (ko) 1983-06-14 1983-06-14 변기 세정탱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73A KR850000573A (ko) 1985-02-28
KR890002841B1 true KR890002841B1 (ko) 1989-08-04

Family

ID=1922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628A KR890002841B1 (ko) 1983-06-14 1983-06-14 변기 세정탱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4821B2 (en) * 2005-11-07 2009-12-22 Kohler Co. Canister flush valve
CN101956416B (zh) * 2010-09-21 2012-04-25 虞吉伟 自闭式节水装置、方法及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73A (ko) 198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8763A (en) Water closet with supplemented rim wash water flow
US4145774A (en) Dual flush apparatus for water closets
JP5245250B2 (ja) 便器洗浄水タンク装置
US4341238A (en) Flushing means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JP3744982B2 (ja) 入口弁機構及びその操作方法
JP2771147B2 (ja) 節水機能を有するトイレ排水装置
US5713086A (en) Flushing device for a toilet
KR890002841B1 (ko) 변기 세정탱크 장치
US5794279A (en) Water saver attachment for toilets
JPH036693Y2 (ko)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US5920920A (en) Straight trap toilet apparatus
JPH03459B2 (ko)
US4782537A (en) Quick connect water saver for a flush toilet
US4195373A (en) Double flush valve assembly
DE58902691D1 (de) Wc-wasserkastenautomat.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JP3454084B2 (ja) フロート弁装置
JPH0243854B2 (ja) Benkisenjotankusochi
JPH0634457Y2 (ja) 芳香洗浄液滴下装置
JPS6010025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950002634Y1 (ko) 위생 변기
JP2003049470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