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67B1 - 권선기 - Google Patents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67B1
KR890002667B1 KR1019840004556A KR840004556A KR890002667B1 KR 890002667 B1 KR890002667 B1 KR 890002667B1 KR 1019840004556 A KR1019840004556 A KR 1019840004556A KR 840004556 A KR840004556 A KR 840004556A KR 890002667 B1 KR890002667 B1 KR 89000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er
hole
shaft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326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시다
준이찌 가도
노보루 다가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500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20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 B65H51/205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filamentary material during forwarding, e.g. for buffer storage by means of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선기
제1도는 피 권선체로서의 비데오 헤드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권선기의 개략적 구성 사시도.
제3도는 호울더의 단면도.
제4도는 호울더의 상단부의 정면도.
제5도는 그 호울더의 사시도.
제6도는 와이어 공급장치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제6도 A-A 선에 의한 배면도.
제8도는 상기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아암의 사시도.
제9도는 그 측면도.
제10도는 그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그 선단부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와이어 이송장치와 와이어 흡인 장치를 설치한 테이블의 평면도.
제13도는 그 평면도.
제14도는 그 측면도.
제15도는 와이어 이송장치의 평면도.
제16도는 그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 Z-Z선에 의한 단면도.
제18도는 와이어 이송장치의 협지부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
제19도는 그 닫친 상태의 측면도.
제20도는 와이어 흡인 장치의 평면도.
제21도는 그 측면도.
제22(a)도 내지 제22(i)도는 피 권선체에 와이어를 감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자동으로 감기위한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제1도에 보인 비데오 헤드(1)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그 비데오 헤드(1)의 돌출부(2)의 선단에 부착된 피권선체인 헤드 팁(3)에는 일변에 수 100㎛라는 상당히 적은 사각구멍(5)이 뚫어져 있고 그 사각구멍(5)에 직경이 수 10㎛의 지극히 가늘고 강성이 적은 상기한 와이어(4)를 통과시켜서 헤드 팁(3)의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부위에 상기한 와이어(4)를 수 10회 감게 된다.
종래 이와같은 와이어(4)의 감는 작업은 사람의 손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지극히 나쁘고 또 적은 사각구멍(5) 가느다란 와이어(4)를 통과시키는 꾀 미세한 작업이므로, 작업자는 상당한 집중력과 주의력을 기울여야 하므로 피로도가 높을 뿐 아니라 작업 미스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피 권선기에 와이어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게한 권선기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 권선기를 회전구동 시킬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킨 호울더와 상기한 피 권선체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장착된 공급릴과 그 와이어를 송출하는 이송기구 및 그 이송기구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구를 가진 와이어 공급 장치와, 상기한 호울더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배설 되어 상기한 와이어의 엽지 위치를 결정하는 협지부 및 상기한 와이어를 상기한 피 권선체의 방향으로 보내는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호울더에 대하여 가까웠다 벌어졌다하는 방향으로 왕복구동되는 동시에 그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쌍의 와이어 이송 장치와, 상기한 호울더를 사이에 두고 대향배설되며 상기한 호울더에 대하여 가까웠다 벌어졌다 하는 방향으로 왕복구동 됨과 아울러 그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구동 되는 한쌍의 와이어 이송 장치와, 상기한 호울더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설되며 상기한 호울더에 대하여 가까웠다 벌어졌다하는 방향으로 왕복구동되고 그 일방이 상기한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흡인함과 아울러, 상기한 호울더의 일측방의 와이어 이송장치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호울더의 타측방에서 흡인하는 한쌍의 와이어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장치의 기능의 조합에 의하여 와이어를 자동으로 감게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2도 내지 제22도를 보면서 설명한다.
제2도에 보인 권선기는 베이스(10)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베이스(10)의 상면 중앙부에 호울더(11)와 와이어 공급장치(12)가 상기한 베이스(10)의 폭방향으로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대향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호울더(11)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보인것과 같이 구성되고 있다. 즉, 중공상태로 형성된 본체(13)의 상부벽에는 부착공(14)이 뚫어져 있고, 그 부착공(14)에는 지지부재(15)가 끼워져 있다. 그 지지부재(15)는 프랜지부(16)를 본체(13)의 상부벽 상면에 접합고정하여 설치되고 있다. 또 지지부재(15)에는 축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지지공(18)이 뚫어져 있고, 그 지지공(18)에는 회전축(19)이 베어링(20)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고 있다. 그 회전축(19)의 하단은 커플링(21)을 통하여 제1모우터(22)의 회전축(23)에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19)은 제1모우터(22)에 의하여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축(19)의 상단에는 하우징(24)의 하면이 고착되고 있는데 그 하우징(24)내에는 안내체(25)가 그 안내면(26)을 수직으로 하여 세워지고 있다.
그 안내체(25)에는 그 안내면(26)에 따라서 접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더(27)가 설치되고 있다. 그 슬라이더(27)의 상단부는 상기한 하우징(24)의 상부벽에 뚫어진 통공(28) 밖으로 돌출되고, 또 하단에는 제1의 공기 실린더(29)의 작동축(30)이 접촉되고 있다. 그리고 그 공기 실린더(29)가 작동하여 작동축(30)이 상하운동하면 여기에 상기한 슬라이더(27)가 연동 되고, 또 슬라이더(27)의 상단부에는 제5도에 보인바와 같이 그 슬라이더(27)의 상면과 앞면 및 일방면의 3방향으로 개방된 요입부(31)가 형성되고 있다. 그 요입부(31)를 형성하는 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펌프에 연통된 흡인공(32)이 형성되고 이들 흡인공(32)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제1도에 보인 비데오 헤드(1)가 상기한 요입부(31)에 흡착된다. 또 슬라이더(27)에는 그 앞면과 상단면에 개방된 부착홈(33)이 형성되고, 그 부착홈(33)에는 L자형 그립퍼(34)의 중도부가 지축(35)으로 의지되고 있다. 그 그립퍼(34)의 일단에는 상기한 슬라이더(27)에 부착된 제2의 공기 실린더(36)의 작동축(37a)이 대향하고 있으며, 그 제2의 공기실린더(36)가 작동하여 작동축(37)이 돌출방향으로 세력이 가해지면, 상기한 그립퍼(34)는 제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타단은 상기한 요입부(31)에 흡착된 배데오 헤드(1)에 압접된다. 즉 비데오 헤드(1)는 요입부(31)에 진공으로 흡착될뿐 아니라 상기한 그립퍼(34)와 요입부(31)의 일측면에 의해서도 협지된다.
또 상기한 슬라이더(27)에는 그폭 방향으로 회전축(37)이 관통되어 회전자유롭게 축설되고, 그 회전축(37)의 양단에는 굵은 철선을 L자형으로 절곡하여서된 제1의 눌림부재(38)의 일단이 각각 고착되고 있다. 그 제1의 눌림부재(38)의 타단에는 고무등의 탄성재(39)가 부착되고 있다. 또 상기한 회전축(37)의 일단부에는 피니온(40)이 고정되고 있다. 그 피니온(40)에는 랙(41)이 물려지고 있으며, 그 랙(41)은 상기한 슬라이더(27)의 폭방향의 일측면에 유지된 제3의 공기 실린더(42)의 작동축(43)에 부착되고 있다. 따라서 그 작동축(43)이 작동하여 상기한 랙(41)이 상승방향으로 구동되면, 피니온(40)이 제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이에따라 상기한 회전축(37)이 회동한다.
이와같이 회전축(37)이 회동하면 상기한 제1의 눌림부재(38)가 연동하여 그 타단에 부착된 탄성재(39)가 제5도에 보인바와 같이 상기한 비데오헤드(1)의 헤드팁(3)의 양측부를 누르게 된다. 이에따라 후술하겠지만, 상기한 헤드팁(3)에 감겨진 와이어(4)가 감겨지는 작업도중에 이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한 슬라이더(27)의 폭방향의 타측면에는 제4도에 보인바와같이 제4의 공기 실린더(44)가 작동축(45)을 수직으로 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 작동축(45)에는 제2의 눌림부재(46)의 일단을 고정하여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있다. 그 제2의 눌림부재(46)는 통상적으로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보인바와 같이 상기한 비데오 헤드(1)를 협지한 그립퍼(34)의 타단 상향방향에 위치되고 있다가 상기한 제4의 공기 실린더(44)가 작동하면 하강하여 상기한 그립퍼(34)의 상단 수평면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한 와이어 공급장치(12)에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공급된 와이어(4)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면서 그 일단부가 제5도에 보인 바와같이 고정된다.
상기한 와이어 공급장치(12)는 제6도 내지 제11도에 보인바와 같이 구성되고 있다. 즉, 그 와이어 공급장치(12)는 상기한 베이스(10)에 세워진 지주(50)을 가지고 있는데, 그 지주(50)의 일측면에는 편평한 상자체(51)가 접합되고 상면에는 상기한 와이어(4)가 감겨진 공급릴(52)이 설치되며, 그 공급릴(52)은 제2의 모우터(53)에 의하여 회전구동하게 되어 있다. 그 공급릴(52)에서 풀린 와이어(4)는 상기한 상자체(51)의 상면에 뚫은 출구(55)에서 나오게 되는데, 상기한 상자체(51)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와이어(4)는 늘어지게 되므로 그 부분에는 알루미늄등의 가벼운 재료로 링 형상으로 된 추(56)가 걸쳐지고 있다. 따라서 와이어(4)가 늘어진 부분에는 추(56)의 중량에 의하여 일정한 장력이 주어져서 휘감기거나 비틀림이 방지된다. 또, 상자체(51)의 상부에는 제1의 광(光)센서(57)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제2의 광센서(58)가 설치되고 있다. 이들 광센서(57), (58)는 상기한 제2의 모우터(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4)가 늘어지는 량이 줄어들어서 추(56)가 상승하면 이것이 제1광센서(57)에 의하여 검지되는 즉시, 상기한 제2의 모우터(53)가 작동하여 공급릴(52)을 회전하므로 와이어(4)를 상자체(51)내에 보낸다. 이와같이 와이어(4)가 상자체(51)내에 보내어져서 늘어지는 량이 증대하고 먼저와는 반대로 추(56)가 내려가면 제2의 광센서(58)로 검지되는데 따라 그 신호로 상기한 제2의 모우터(53)가 정지한다. 즉 상자체(51)내의 와이어(4)의 늘어지는 량은 상기한 제1, 제2의 광센서(57), (58)에 의하여 소정의 범위내에 유지된다.
또, 상기한 지주(50)가 상기한 호울더(11)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부에는 지지체(59)가 상기한 호울더(11)를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고 있는데, 그 지지체(59)의 선단에는 ㄷ자형의 지지체(60)가 부착되고 있다. 그 지지체(60)의 양측변 사이에는 스프라인축(61)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그 스프라인축(61)에는 사각형의 아암(62)이 그 일단부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라인공을 끼워서 설치한다. 즉, 아암(62)은 스프라인축(61)과 함께 회동이 자유로운 동시에 그 스프라인축(61)의 축방향에 따라서 접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라인축(61)의 일단부에는 레버(63)의 일단부가 끼워져 있다. 그 레버(63)의 타단부에는 ㄷ자형 연결구(64)가 지지축(65)에 의하여 유설되고 있다. 그 연결구(64)에는 요동 실린더(65)의 작동축(66)이 연결되고 있으며, 그 요동 실린더(65)는 상기한 지지체(59)에 세워진 지지구(67)에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요동실린더(65)가 작동하면, 아암(62)이 제8도의 화살표와 같이 스프라인축(61)을 중심으로 그 선단이 상하 운동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상기한 레버(63)의 중도부에는 수평 실린더(68)가 설치되고 있다. 그 수평 실린더(68)의 작동축(69)은 레버(63)를 관통하여 상기한 아암(62)의 후단부 상면에 형성된 연결구(70)에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그 수평 실린더(68)가 작동하면, 아암(62)은 제8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스프라인축(61)에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아암(62)의 선단부에는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상부 로울러(71)과 하부 로울러(72)가 아암(62)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되고 있다. 상부 로울러(71)는 제3의 모우터(73)에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하부 로울러(72)는 U자형 지지체(74)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그 지지체(74)에는 제11도에 보인 것과 같이 판 스프링(75)에 의하여 반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한 지지체(74)에는 ㄴ자형 레버(76)의 일단이 고정되고 있다. 그 레버(76)의 중간부는 상기한 아암(62)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입부(77)에 지지축(78)에 의하여 유설되고, 타단에는 상기한 요입부(77)에 설치된 개폐실린더(79)의 작동축(80)이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그 개폐 실린더(79)가 작동하여 상기한 레버(76)가 제9도의 화살표와 같이 회동하면, 상기한 지지체(74)가 판 스프링(75)에 항거하면서 상하 작동한다. 그 지지체(74)가 상하 적동하면, 여기에 하부 로울러(72)가 연동하게 되므로 그 하부로울러(72)는 상부 로울러(71)에 대하여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 상기한 아암(62)의 단부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한 상하 로울러(71), (72)가 수용된 수용부(81)와 연통되는 깔대기 형의 제1통공(82), (83)이 상하 로울러(71)(72)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뚫어져 있다. 제1통공(82)은 상기한 수용부(81)를 향하여 직경이 적고, 제1통공(83)은 아암(62)의 외면을 향하여 직경이 적게 되어 있다. 상기한 상자체(51)에서 도출된 와이어(4)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중에 안내 링(84)에 안내되어 상기한 제1통공(82)까지 안내되고 여기에서 다시 안내로울러(85)로 안내되어 상기한 제1의 통공(82)에 통해져 있다. 제1의 통공(82)에 통해진 와이어(4)는 상하 로울러 (71), (72)사이를 통과한 후 제2의 통공(83)을 통과한다. 따라서 하부 로울러(72)가 상부 로울러(71)에 접면된 상태에서 상부 로울러(71)가 회전 구동하면 상기한 와이어(4)는 제2의 통공(83)에서 송출된다.
또 상기한 아암(62)의 제2통공(83)이 열려있는 측면에는 절단기구를 구성하는 L자형 컷터(86)의 중간을 지지축(87)으로 유설하여, 그 컷터(86)의 일변은 상기한 제2의 통공(83)에 대향 하게하고 다른변에는 절단 실린더(88)의 작동축(89)이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그 절단 실린더(88)가 작동하면 상기한 제2통공(83)에서 도출된 와이어(4)가 상기한 컷터(86)에 의하여 절단된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한 호울더(11)와 와이어 공급장치(12)와의 사이에 베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거의 전체길이에 이르는 한쌍의 안내레일(90)이 평행으로 부설되고 있다. 그 안내레일(90)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테이블(91)과 제2테이블(92)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들의 하면에 형성된 홈(93)이 걸쳐지게 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롭고 또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 상기한 안내레일(9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체(94)를 세우고 그 지지체(94)에는 구동 모우터(95)가 설치되고 있다. 각 구동 모우터(95)에는 나사축(96)이 연결되고 이들 나사축(96)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상기한 제1, 제2의 테이블(91), (92)에 뚫은 나사구멍(97)에 나삽되고 있다. 따라서 구동 모우터(95)에 의하여 나사축(96)이 회전구동되면 상기한 제1, 제2의 테이블(91), (92)이 안내 레일 (90)에 따라서 주행한다.
상기한 각 테이블(91), (92)상에는 상기한 베이스(10)의 폭방향(그 방향을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Y방향으로 한다)에 따라 부착판(98)이 설치되고 있다. 그 부착판(98)상에는 같은 Y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99)가 형성되고, 그 슬라이드 가이드(99)에는 메탈(100)을 통하여 가동판(101)이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가동판(101)상에는 Y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그 방향을 X 방향으로 함)으로 평행한 한쌍의 지지판(102)이 Y 방향으로 사이가 벌어지게 세워져 있다. 이들 한쌍의 한쌍의 지지판(102)에는 축선을 Y 방향으로 따르게 한 축(103)이 베어링(104)을 통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축(103)의 일단은 직경이 적은 부분(105)으로 형성되고 그 부분(105)은 커플링(106)을 통하여 회전 모우터(107)의 회전축(108)에 연결되고 있다. 더욱 상기한 회전 모우터(107)는 상기한 가동판(101)에 세워진 부착판(109)에 유지되고 있다. 또 상기한 직경이 적은 부분에는 접촉편(110)이 설치되고 그 접촉편(10(110)은 상기한 부착판(109)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스톱퍼(111)에 접촉하여 상기한 회전축(108)의 회전 각도를 규제한다. 즉 회전축(108)은 상기한 접촉편(110)과 스톱퍼(111)와의 접촉에 의하여 180도 범위로 회전한다. 또 회전축(108)의 타단에는 후출하는 와이어 이송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제1의 테이블(91)에 설치된 것을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로 하고, 제2의 테이블(92)에 설치된 것을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로 한다. 또 상기한 가동판(101)의 일측에는 연결편(114)이 돌설되고 있는데, 이것은 테이블(91), (92)에 유지된 Y 실린더(115)의 작동축(116)이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그 Y 실린더(115)가 작동하면 상기한 가동판(101) 즉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을 Y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드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판(101)의 측방에는 제12도에 보인바와 같이 접촉편(117)이 돌출되었는데 이것은 가동판(101)이 슬라이드함에 따라 상기한 테이블(91), (92)에 Y 방향으로 사이가 벌어지게 설치된 한쌍의 스톱퍼(118)에 접촉되고 그 가동판(101)의 Y 방향에 따라 이동량을 규제한다.
또한 각 테이블(91), (92)에는 상기한 부착판(98)의 측방에 일단부를 고정한 수평판(119)이 X 방향을 따라 뻗어 나갔으며, 그 수평판(119)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지지판(120)이 세워져 있다. 이들 지지판(120)사이에는 한쌍의 안내로드(121)가 가설되고 그 안내로드(121)에는 슬라이더(122)가 메탈(123)을 통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슬라이더(122)에는 부착편(124)의 일단을 고정하여 y 방향을 따라 뻗어나갔으며 그 부착에는 수술하는 제1,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더(122)에는 연결편(127)이 돌설되고 그 연결편(127)에는 축선을 X 방향으로 향하게한 X 실린더(128)의 작동축(129)이 연결되고 있다. 그 X 실린더(128)는 상기한 지지판(120)의 한편에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그 X 실린더(126)가 작동하면, 상기한 슬라이더(127)는 안내로드(121)에 따라 X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판(120)의 다른편에는 위치 결정 실린더(130)가 유지되고 있다. 그 위치 결정 실린더(130)의 작동축(131)은 상기한 슬라이더(122)에 돌설된 연결편(127)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그 위치결정 실린더(130)의 작동축(131)은 상기한 슬라이더(122)에 돌설된 연결편(127)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그 위치결정 실린더(130)의 작동축(131)을 돌출 또는 몰입 시키는데 따라 상기한 슬라이더(122), 즉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의 X 방향의 정지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기한 한편의 지지판(120)은 다른편의 지지판(120)에 비하여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방향으로 크게 돌출되고 있다.
상기한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는 제15도 내지 제19도에 보인것과 같이 구성되고 있다. 즉, 상기한 장치(112), (113)는 블록형상의 본체(140)를 가지고 있다. 그 본체(140)의 선단부(141)에는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상부로울러(142)를 본체(140)의 길이방향에 따라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상부 로울러(142)는 커플링(143)을 통하여 회전 모우터(144)의 회전축(145)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선단부(141)의 양측에는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단부에 경사면(146)이 형성되고, 하단이 평면(147)으로 형성된 안내부재(148)가 부착되고 있다. 또 본체(140)의 일측면에는 요입부(149)가 형성되고, 그 요입부(149)에는 상기한 측면의 높이 방향에 따라서 돌기(150)가 돌설되고 있다. 그 돌기(150)에는 스러스트 베어링(151)을 통하여 구동체(152)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구동체(152)의 일단부에는 개폐 실린더(153)의 작동축(154)이 연결되고 있다.
상기한 구동체(152)의 타단에는 상기한 선단부(141)와 대향하는 상태로 협지체(155)의 일측을 연결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 협지체(155)는 거의 U자형으로 되고 여기에는 하부로울러(156)가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또 상기한 지지부재는 도시하지 않은 판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상기한 협지체(155)의 양측변에는 상기한 안내부재(148)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면(157)과 홈(158)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폐 실린더(153)가 작동하면 상기한 협지체(155)는 상기한 선단부(141)에 가까웠다 멀었다 하는 방향으로 개폐구동된다. 협지체(155)가 열린 상태에서 본체(140)가 상기한 테이블(91), (92)에서 돌출되는 방향(그 방향을 +Y 방향이라함)으로 구동되면, 후술하는 바와같이 호울더(11)의 비데오헤드(1)와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사이에서 당겨진 와이어(4)가 제18도와 같이 선단부(141)와 협지체(155)와의 사이에 밀려 들어간다. 그 상태에서 상기한 협지체(155)가 제19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닫치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선단부(141)의 경사면(146)과 협지체(155)의 경사면(157)이 합치되고, 상기한 와이어(4)가 홈(158)내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수용되어 그 위치가 결정되는 동시에 상부로울러(142)와 하부로울러(156)에 의하여 협지된다. 따라서, 상부 로울러(142)가 제17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상기한 와이어(4)가 그 방향으로 보내어진다. 또 상기한 선단부(141)의 하단면과 협지체(155)의 상단면 과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협지체(155)가 닫쳐졌을때, 깔대기형 통공을 형성하는 요임부(159)가 각기 형성되고 있다. 이들 요입부(159)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공은 상기한 와이어(4)의 이송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적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140)의 요입부(149)가 형성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 상부에는 절단 실린더(160)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 절단 실린더(160)의 작동축(161)의 선단에는 걸림핀(162)이 고정되고, 그 걸림핀(162)은 상기한 측면에 중도부가 지지축(163)에 의하여 유설된 L자형 컷터(164)의 일변에 형성된 걸림홈(165)에 걸리게 되어 있다. 그 컷터(86)의 날이 형성된 다른변은 상기한 선단부(141)의 측면에 위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절단 실린더(160)가 작동하여 컷터(164)가 제16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면, 선단부(141)와 협지체(155)로 협지위치가 결정되어 본체(140)의 측면에서 나온 와이어(4)가 절단된다.
한편 상기한 제1,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는 제20도와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고 있다. 즉 상기한 슬라이더(122)에서 +Y 방향으로 뻗어나온 부착편(124)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펌프에 연통한 파이프(170)가 부착되고 있다. 그 파이프(170)의 상기한 호울더(11)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테이퍼지게한 슬라브(171)가 끼워져 있거, 또 상기한 파이프(170)의 부착편(124)과 슬리브(171)와의 사이에는 이동체(172)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고 있다. 그 이동체(172)의 Y 방향에 따르는 양측면에는 각각 판 스프링(173)의 일단 내면이 고정되고 있다. 이들 판스프링(173)의 타단면에는 고무등의 탄성체(174)가 서로 맞붙는 상태로 부착되고 있다. 그 탄성채(174)의 상기한 슬리브(171)와 대향하는 후면은 테이퍼면(175)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상기한 부착편(124)과 이동체(172)사이에는 압축 스프링(176)이 개입되고, 또 상기한 이동체(172)에는 -Y 방향으로 돌출한 제지편(177)이 부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부착편(124)이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0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한 제지편(177)이 상기한 테이블(91), (92)에 형성된 일측지지판(120)에 지지된다. 이에따라 이동체(172)의 이동이 제지되어 파이프(170)만 전진하게 되므로 슬리브(171)가 내밀어져서 한쌍의 판 스프링(173)을 벌리게 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서 돌출된다. 이때에 상기한 슬리브(171)의 선단은 호울더(11)에 유지된 헤드 팁(3)의 사각구멍(5)에 대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10)상에는 안내레일(90)을 사이에 두고 호울더(11)와 대향하는 축에 상기한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의 거의 전장에 분출관(180)이 배설되고 있는데, 그 분출관(180)은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와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에 유지되는 와이어(4)와 거의 같은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그 주변에는 상기한 와이어(4)를 향하여 압축공기를 수평 방향으로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181)이 뚫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이 권선기의 작용을 제22(a)도 내지 제22(i)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울더(11)에 비데오 헤드(1)를 의지시키고, 상기한 권선기를 시동시키면 와이어 공급장치(12)의 아암(62)이 화살표와 같이 하방으로 요동함과 아울러 상기한 호울더(11)에 접근하는 X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동작과 함께 제2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가 상기한 호울더(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 슬리브(171)가 돌출하여 상기한 비데오 헤드(1)의 헤드 팁(3)에 형성된 사각구멍(5)에 대향하고, 그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또, 이때에 상기한 아암(62)에 내장된 상부 로울러(71)가 회전구동되어 그 상부 로울러(71)와 하부 로울러(72)사이에 협지된 와이어(4)가 일정 길이만큼 송출되고, 그와이어(4)가 상기한 헤드팁(3)의 사각공(5)을 통하여 상기한 슬리브(171)에서 파이프(170)내에 흡인된다. 다음에 제22(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리브(171)를 후퇴시켜 그립퍼(34)와 제2의 놀림부재(46)로 와이어(4)를 눌러준다. 그 후 로울러(71), (72)사이를 벌리고,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를 헤드팁(3)에 회권하는데 필요한 와이어의 길이가 되는 위치까지 호울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호울더(11)에 설치된 제2의 눌림부재(46)가 하강하여 와이어(4)를 그립퍼(34)의 상단수평면에 눌러서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한 아암(62)의 측면에 설치된 컷터(86)가 작동하여 상기한 와이어(4)를 절단하고, 또 상기한 컷터(86)가 와이어(4)를 절단하고 나면 아암(62)은 상방으로 들린다.
다음에 제22(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선 호울더(11)에 의하여 비데오헤드(1)가 화살표방향으로 180도 회전되고, 그 헤드팁(3)의 사각구멍(5)의 일측에 상기한 와이어(4)가 1회 감겨진다. 그러면, 상기한 호울더(11)의 제1눌림부재(38)가 작동하여 그 탄성재(39)로 상기한 헤드팁(3)의 사각구멍(5)의 양측을 눌러서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4)가 이완되지 않도록 저지시킨다. 이와같이 와이어가 감겨지면 제22(e)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의 그 협지체(155)가 열린 상태에서 +Y 방향으로 이동된 후, 다시 그 협지체(155)가 닫쳐지게 되고, 상부 로울러(142)와 하부 로울러(156)로 상기한 와이어(4)를 협지하며, 그후 상기한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의 컷터(164)가 작동하여 와이어(4)를 절단한다. 이와같이 와이어(4)가 절단되면, 제22(f)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의 테이블(92)이 호울더(11)에 접근하는 동시에 그 동안에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가 화살표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그 컷터(164)로 절단된 와이어(4)의 일단이 상기한 헤드팁(3)에 대향하게 한다. 그리고, 이때 분출관(180)의 노즐(181)에서 압축공기가 분출되고, 상기한 헤드팁(3)과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와의 사이에서 이완되는 와이어(4)를 수평방향으로 불어낸다. 따라서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가 호울더(11)방향으로 접근함에 의하여 와이어(4)가 이완되드라도, 그 와이어(4)가 휘감기거나 비틀리지 않게 된다.
또 그와 동시에 제1의 테이블(91)이 호울더(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동됨과 아울러 제1의 와이어 흡인장치(125)가 구동되어 그 슬리브(171)의 선단이 상기한 헤드 팁(3)에 대향한다.
다음에 제22(g)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가 헤드팁(3)에 충분히 접근되면, 그 상부 로울러(142)가 회전 구동되어 와이어(4)의 일단을 송출한다. 그와동시에 제1의 와이어 흡인장치(125)에 흡인력을 발생시켜서 그 슬리브(171)내에 상기한 와이어(4)가 흡인된다. 와이어(4)가 어느정도 흡인되면,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의 하부로울러(156)가 상부 로울러(142)에서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된 후,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가 -Y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한 한쌍의 로울러(142), (156)에서 와이어(4)가 벗어난다. 그러면 상기한 와이어(4)가 벗어난다. 그러면 상기한 와이어(4)의 헤드팁(3)의 일측에 있었던 부분이 상기한 제1의 와이어 흡인장치(125)에 모두 흡인된다. 이와같이 와이어(4)의 일단측이 제1의 흡인장치(125)에 흡인되면 슬리브(171)을 후퇴시켜서 와이어(4)를 붙잡게 한다. 다음에 제22(h)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테이블(91)이 호울더(11)에서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한다. 그와 동시에 제2의 테이블(92)은 호울더(11)에서 사이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한다. 그리고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3)는 먼저와는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됨과 아울러 -Y 방향으로 후퇴하여 처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호울더(11)의 제1눌림부재(38)를 회동시켜서 헤드팁(3)의 사각공(5)의 양측에서 사이가 벌어지게한 후, 헤드팁(3)를 화살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그 후에 다시 호울더(1)의 제1눌림부재(38)을 작동시켜 헤드팁(3)의 사각구멍(5)의 양측을 눌러서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4)의 이완을 막는다. 다음에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가 +Y 방향으로 구동되어 그 상하 로울러(142)(156)사이에 와이어(4)를 협지시킨다. 그리고 그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의 컷터(164)가 작동하여 와이어(4)를 절단한다.
다음에 상기한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가 제22(h)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도중에서 180도 회전한 후 제22(i)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호울더(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가 호울더(11)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슬리브(171)가 돌출하여 선단이 상기한 헤드팁(3)의 사각구멍(5)에 대향한다. 그 상태에서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의 상부 로울러(142)가 회전구동 되어 와이어(4)가 송출되고, 그 와이어(4)는 상기한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에 흡인된다. 와이어(4)가 어느정도 흡인되면, 제1의 와이어 이송장치(112)의 하부 로울러(156)가 상부 로울러(142)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Y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하 로울러(142), (156) 사이에서 와이어(4)가 벗어나서 제2의 와이어 흡인장치(126)에 흡인된다. 이에따라 상기한 헤드팁(3)에는 와이어(4)가 2회 감겨진것이 된다. 이와같이, 제1, 제2의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과 와이어 흡인장치(125), (126)에 의하여 각기 와이어(4)가 헤드팁(3)에 1회씩 감겨지면, 1싸이클이 끝나서 제22(e)도의 상태가 되고, 여기에서 다시 다음의 싸이클이 시작되면서 이와같은 싸이클의 반복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팁(3)에 와이어(4)가 소정의 회수만큼 감겨지게 된다.
더욱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울더(11)가 비데오 헤드(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축선을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였으나, 그 회전축선이 수평이 되도록 상기한 호울더(11)를 배치해도 된다. 그 경우, 와이어 이송장치(112), (113)의 이동에 의하여 이완된 와이어(4)를 불어내는 방향은 수평방향이 아니고 수직 방향이 되므로 와이어(4)의 상하에 각각 분출관(180)을 배치하여 그 노즐(181)에서 분출하는 압축공기를 상기한 와이어(4)를 불어내어 휘감기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하면 된다. 또 피권선체로서는 비데오 헤드(1)의 헤드팁(3)에 한정되는 것도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권선체에 와이어를 감는 작업자을 자동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능률의 향상, 작업자의 부담경감 또는 불량품 발생율의 감소를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관통공을 가진 피권선체에 대하여 와이어를 상기한 관통공에 삽통하면서 감기게한 권선기에 있어서, 피권선체를 지지하고 그 피권선체를 회전구동하게한 호울더와 상기한 피 권선체에 감기는 와이어가 장착된 공급릴, 그 와이어를 송출하는 이송기구 및 그 이송기구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가진 와이어 공급장치와, 상기한 호울더에 대하여 가까웠다 벌어졌다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는 동시에 그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쌍의 와이어 이송장치와, 상기한 호울더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배치되고 또 상기한 호울더에 대하여 가까웠다 벌어졌다하는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고, 그 한편이 상기한 와이어 공급장치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흡인함과 아울러, 상기한 호울더의 일방측의 와이어 이송장치에서 송출된 와이어를 호울더의 타방측에서 흡인하는 한쌍의 와이어 흡인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
KR1019840004556A 1984-05-08 1984-07-31 권선기 KR890002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59-91226 1984-05-08
JP59091226A JPS60234309A (ja) 1984-05-08 1984-05-08 巻線機
JP59-91226 1984-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326A KR850008326A (ko) 1985-12-16
KR890002667B1 true KR890002667B1 (ko) 1989-07-22

Family

ID=1402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56A KR890002667B1 (ko) 1984-05-08 1984-07-31 권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234309A (ko)
KR (1) KR890002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04A (ja) * 1986-07-16 1988-01-30 Alps Electric Co Ltd トロイダル巻線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6112A (ja) * 1982-05-26 1983-12-01 Hitachi Ltd トロイダル型コアの巻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326A (ko) 1985-12-16
JPH0365648B2 (ko) 1991-10-14
JPS60234309A (ja) 198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1408A1 (en) Button feeding device with both width control function and centering function
US4444384A (en) Cloth pickup and folding head
JP2008288334A (ja) 半田供給装置、表面実装機
US5069739A (en) Automatic flexible seal fitting machine, suitable for fitting glazing unit and window seals
KR890002667B1 (ko) 권선기
CN109127451B (zh) 一种生产制造用物料跟线机器人
CN109382655B (zh) 一种角磨机的机身装配生产线
CN112848646A (zh) 丝印机
CN109591476B (zh) 一种丝带贴合机
JPH0652692B2 (ja) 巻線機
JPH03115061A (ja) 巻線機
JP2580276B2 (ja) 巻線用テ―ピング装置
CN213208903U (zh) 一种烟叶叶片的结构图像检测装置
JPS60236976A (ja) 巻線機
CN210451676U (zh) 自动封孔装置
KR200405718Y1 (ko) 스팡글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CN110116301B (zh) 一种适用钢丝球自动拉松处理的设备
CN209337619U (zh) 取料装置
JPH0241186B2 (ja) Makisenhoho
CN113320184A (zh) 导电布包裹穿芯机及其方法
JP3959905B2 (ja) ケーブル束捕捉装置
JPH0513256A (ja) テーピング機付き巻線装置
JP3389136B2 (ja) スチールブレーカー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703332B2 (ja) 巻線装置
JPS61264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