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70B1 -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70B1
KR890002570B1 KR1019890004786A KR890004786A KR890002570B1 KR 890002570 B1 KR890002570 B1 KR 890002570B1 KR 1019890004786 A KR1019890004786 A KR 1019890004786A KR 890004786 A KR890004786 A KR 890004786A KR 890002570 B1 KR890002570 B1 KR 89000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ngerprint
laser
laser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로오 아사노
요시히사 고오노
모도 다까유끼 야나기
모도지 시오즈미
구니오 다까하사
아끼라 도라오
스스무 모리야
아츠시 모모세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 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80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545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80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545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82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40383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 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세이데쯔 가부시끼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1/643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non-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기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블록다이어 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레이저 발진기 104 : 비임 확대 렌즈계
106 : 반사경 108 : 반사경 정도기구
100 : 촬상장치 112 : 잔존지문
114 : 검체 122 : 레이저광 정동장치
124 : 정동 제어기 126 : 화상 적분기
128 : 개시명령 130 : 완료신호
132 : 촬상장치 134 : 화상신호
136 : 화상 처리장치
본 발명은,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존 지문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대상의 물질이 형광을 발하는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레이저 유기 형광법에 의하여 잔존 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문의 검출 화상의 레이저 광의 강도 분포에 의하여 발생기는 불명료를 개선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잔존 지문 검출 방법에는, 알루미늄등의 분말을 검체에 부착한 분비물중의 수분 및 지방분에 부착시켜서, 물체와 분말의 색조의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고체법, 분비물중에 포함되는 아미노산이나 염분에 화학약품을 반응시켜서 색체를 나타내게 하는 액체법, 분비물증의 지방분에 요오드 가스를 반응시켜서 색체를 나타내게 하는 기체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에 있어서는, 장기간이 경과한 지문이나, 신건축자재등과 같은 고분자 피막을 시행한 검체표면에 부착한 지문등에 대하여서는, 검출능력이 낮다는 것과 검체를 과도하게 더럽히는 등의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들의 결점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레이저광 조사에 의하여 생기는 형광을 이용하는 방법이, 예를들면 다음의 문헌 1), 2)에 제안되고 있다.
1) E.R.Menzel : Identification New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dentification, Vo1. XXX III, No,9 (September 1983)
2) R.D.Olsen ; Identification New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dentification, Vo1. XXX IV, No,4(April 1984)
이와같은 레이저형광법으로서는, (가)부착지문에 그대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분비물(리보플라빈등)로부터의 발광을 잡는 방법.
(나)분비물중의 성분(아미노산, 요소등)과 반응하여, 형광물질로 되는 약품과 반응을 시킨후, 광을 조사하는 방법, (다)형광성을 가진 색소 용액에 접촉시킨 후,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방법,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상기 (가)의 방법은, 검체를 더럽히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수분 이외의 지문 성분이 일반적으로 미량이기 때문에, 지문 융선(隆線)으로 부터의 발광은 일반적으로 약하여, 배경 발광이 강한 검체에는 적용하기 힘들다.
상기 (나), (다)의 방법은, 지문 부착 대상물의 발광이 있는 경우에, 상기(가)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이긴 하지만, 그러나, 검체를 약액에 침지하거나, 검체에 시약 또는 색송용액을 도포 또는 분무하는 방범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상기 참고문헌 1), 2)가 제시하고 있는 방법은, 검체를 약액에 침지하거나 또는 검체에 분무하는 방법이며, 아래와 같은 난점이 있었다.
(i)색소용액에 침지하였을 경우에, 용액이 지문이 압날(押捺)된 대상물에 필요이상으로 많이 부착되어, 여기에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지문 융선 이외의 부분 까지도 융선과 동등하게 강하게 발광하여, 지문 발광상을 명확하게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ii) 침지, 분무의 조건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렇게 하기 위하여서는, 침지의 경우에는 침지시간을, 분무의 경우에는 분무량을, 각각 일정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실시 시에는 시간이 걸린다.
또한 과다하게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대상물에 부착한 지문성분 또는 반응 생성물이 용액중에 용해, 유출하여, 결과로서 지문 발광상이 불선명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iii)지문검출 실시 현장에서 액체를 취급하지 않을수 없어 불편함과 동시에, 대상물을 불필요하게 더럽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분무하는 경우에, 분무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간편하지 못하며, 실용상 불편함과 동시에 여분의 시설비를 필요로한다.
다음에 상기(다)의 방법은, 배경 발광이 강한 경우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지문융선 이외에도 색소가 남아서 발광한다는 문제와, 색소의 용매중에 지문 분비물이 용해되어 지문 융선이 불선명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검체 표면을 과도하게 더럽히게 등의 결점이 있고, 특히 종이, 천 (직물)등의 침윤성이 있는 검체에서는 이 결점이 현저 하였다.
이 (다)의 방법은 문헌 1)에 대표예로서, 로오다민 6G(rhodamine6G)를 사용하는 예, 및 난히드린(ninhydrine)을 사용하는 예가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로오다민 6G를 사용하는 예에서는, 그 메타놀 용액을 검체에 도포 또는 분무하여, 건조시킨후 레이저광을 조사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로오다민 6G가 과도하게 부착되었을 경우에, 메타놀로 세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방법을 실시하였을 경우에는, 다음의 결점이 있어, 지문 검출 능력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
즉, 용매로서 메타놀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검체표면의 젖음성이 물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크고, 또 이것을 그대로 건조시키기 때문에, 지문 융선이 없는 부분에도 많은 색소가 잔류, 교착하여, 융선으로 부터의 발광만을 구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메타놀은 지문 성분중의 지방을 용해하고, 또한, 탈수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지문 성분의 대부분이 상실될 가능성이 있어, 본 질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검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표면을 더럽히는 경우도 있다.
과도하게 부착한 색소를 메타놀로 제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한번 건조시켜, 교착한 것은 제거가 곤란하여, 이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문성분까지도 상실할 위험성이 높다.
다음에 상기(다)의 방법에 있어서, 침윤성의 검체에 대한 검출 방법의 대표적 예로서는, 닌히드린을 사용하는 화학 반응법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니히드린을 검체에 도포하여 건조시켜, 밑바탕색과 지문 부착 부분의 콘트라스트차에 의하여, 검출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실시 하였을 경우에, 감열지(感熱紙)등의 특수지는 도포한 부분 전체가 검게 반응하고, 지문 융선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레이저광이 원리상 발생하는 비임 횡단면의 광강도의 분포에 의한 검출 화상의 명암을 소거하여 검출 지문의 불명료를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을 가지는 방법을 제공한다.
레이저 유기(誘起)형광법에 의하여 잔존 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발하는 레이저광을 렌즈계로서 확대하고, 확대된 레이저광을 레이저광의 강도 분포에 따라서 일정한 방향으로 간헐주사(走査)하게하고, 주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검출화상을 화상 메모리에 써넣고, 이 써넣기를 수개소의 정지위치 에서 각각 행하고, 이들의 화상 데이터를 적분하는 것에 의하여 지문 화상을 선명화하게 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징에서 레이저광에 의하여 얻어진 지문의 화상을 선명화하는 개선은, 레이저 발진기로부터 발하는 레이저광을 렌즈계로서 확대하는 공정과, 이 확대된 레이저광을, 레이저광의 강도 분포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간헐 주사하는 공정과, 주사를 정지하게 한 상태에서 검출화상을 화상 메모리에 써넣어, 이 써넣기를 수개소의 정지 위치에서 각각 행하는 공정과, 이들의 수개의 화상 테이터를 적분하는 공정으로서 이루어진다.
발진기에서 직접 발하는 레이저광의 직경은, 높아야 4~5mm 정도이며, 이 비임을 직접 조사하면, 눈으로서는 지문상을 관찰할 수가 없다는것과, 광강도가 지나치게 강하여서 양호한 지문상이 될수 없다는 것과, 비임을 주사하게 하기 위하여는, 고속주사, 고속촬상을 필요로 하게 되여,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게 된다는 것, 등의 문제가 있어서, 발진기로부터 나온 레이저광을 렌즈계에 의하여, 4~5mmψ로부터 56~60mmψ로 확대한다.
이 확대된 비임을 상하로, 혹은 좌우로, 비임을 이동시켜 소정의 피치로서 정지할 수 있게 주사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불명료한 화상을 복수의 명료한 프레임으로서 잡는다.
정지 위치에서 촬상기의 화상을 소정의 프레임수 써넣기, 나아가서는 각 정지위치의 써넣은 것을 적분하는 것에 의해서, 화상을 적분하고, 지문 검출 화상의 불명료함을 개선하여, 양호한 화상을 얻게되는 것이다.
제1도는, 이 실시예의 기기구성도 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레이저 발진기(102)로부터 발사된 레이저 비임은, 비임 확대 렌즈계(104)에 의하여 확대되어서, 반사경(106)에 의해서 반사되어서, 잔존지문(112)이 부착되어 있는 검체(114)를 조사한다.
반사경 정동기구(108)는, 비임을 상, 하로 주사하는 기구이며, 촬상장치(110)는 주사된 화상을 촬상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사경 정동기구(108)로서, 비임을 상, 하로 주사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좌, 우로 주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동일한 주사기구를 2개 구성함으로서, 상, 하, 좌, 우로 주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레이저광은, 레이저 발진기(102)에서 발사되어서, 비임 확대 렌즈계(104)에 의해서 확대되어, 반사경(106)에 의해서 반사된다.
이 반사경(106)은 임의의 위치에서 회동, 정지가 가능한 반사경 정동장치(108)에 의해서, 회동과 정지가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정동기구로서는, 예를들면 펄스 모우터, 갤배노미터(galvanometer)등이 적합하다.
이 반사경의 정동피치는, 지문의 크기(약 20mm×15mm)에 따라서 5mm피치정도가 적합하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비임의 주사 폭은 35mm정지위치 7점으로 하고 있다.
반사경 (106)에 의하여 위쪽으로 조사된 비임은, 검체면에 있어서, 약 50~60mm의 직경으로되어, 지문 전체를 발광하게 한다.
잔존지문(112)은 촬상장치(110)에 의해서 촬상 되어서, 화상신호로서 검출된다.
다음에 제2도에 나타낸 블로크 다이어그램에 의하여 작동을 설명한다.
레이저광 정동장치(122)는, 정동 제어기(124)에 의해서 피치 송출이 된다.
정동장치(122)의 정지위치에 있어서, 제어기(124)는, 화상 적분기(126)에 정동장치의 정지신호 및 써넣기 개시명령(128)을 부여한다.
화상 적분기(126)에 각 정지위치에 있어서, 촬상장치(132)로부터 5~10회 증에서의 적당한 회수, 예를들면 5회의 화상신호(134)를 받아 들어서, 그 써넣기를 행하고, 차례차례로 적분한다.
써넣기가 완료하면, 화상 적분기(126)는, 써넣기 완료신호(130)를 정동제어기(124)에 출력한다.
그리하여 다음의 정지위치로 옮겨간다.
화상 적분기(126)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장치(136)에 의해서 선면화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와같이 하여서 선면도가 높은,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처리의 결과, 레이저광이 원리상 가지고 있는 횡단면광 강도분포에 의하여 생기는 화상의 명암을 소거하여, 잔존지문만에 의한 명암화상을 빼어낼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횡단면 강도 분포의 가장적합한 것을 도모하기 위한 레이저 발진기의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1)

  1. 레이저 유기 형광법에 의하여 잔존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저 발진기(102)로부터 발하는 레이저광을 비임확대 렌즈계(104)로서 확대하고, 이 확대된 레이저광을, 레이저광의 강도분포에 따라서, 일정한 방향으로 간헐주사하여, 주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검출화상을 화상 메모리에 써넣고, 이 써넣기를 수개소의 정지위치에서 각각 행하고, 이들의 화상 데이터를 적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화상의 선명화방법.
KR1019890004786A 1984-12-27 1989-04-11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KR890002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80888A JPS61154537A (ja) 1984-12-27 1984-12-27 水溶性螢光色素による指紋検出方法
JP59280889A JPS61154538A (ja) 1984-12-27 1984-12-27 指紋検出方法
JP280889 1984-12-27
JP280888 1984-12-27
JP60082003A JPS61240383A (ja) 1985-04-17 1985-04-17 指紋検出装置
JP82003 1985-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570B1 true KR890002570B1 (ko) 1989-07-18

Family

ID=2730377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599A KR890001981B1 (ko) 1984-12-27 1985-12-19 레이저를 이용한 지문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90004785A KR890002569B1 (ko) 1984-12-27 1989-04-11 레이저광을 이용한 지문검출 장치
KR1019890004786A KR890002570B1 (ko) 1984-12-27 1989-04-11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599A KR890001981B1 (ko) 1984-12-27 1985-12-19 레이저를 이용한 지문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90004785A KR890002569B1 (ko) 1984-12-27 1989-04-11 레이저광을 이용한 지문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08882A (ko)
EP (1) EP0188758B1 (ko)
KR (3) KR890001981B1 (ko)
AU (2) AU584958B2 (ko)
CA (1) CA1258973A (ko)
DE (1) DE358349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987A (en) * 1988-11-09 1990-04-17 Identicator Corporation Method of enhancing the resolution of a fingerprint image in a fingerprint recording system
US5354574A (en) * 1992-06-23 1994-10-11 Ibide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having formyl groups on core surface thereof
US5342645A (en) * 1993-09-15 1994-08-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al complex/cyanoacrylate compositions useful in latent fingerprint development
RU2154301C2 (ru) * 1996-12-19 2000-08-10 Многопрофиль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ООО "Элсис" Дактилоскоп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FR2763720B1 (fr) * 1997-05-21 1999-07-16 Sagem Capteur optique d'empreinte digitale a eclairage impulsionnel
US6865285B1 (en) * 2000-05-25 2005-03-08 Westinghouse Savannah River Company LED intense headband light source for fingerprint analysis
US6810135B1 (en) 2000-06-29 2004-10-26 Trw Inc. Optimized human presence detection through elimination of background interference
US8272343B1 (en) * 2005-11-29 2012-09-25 Weaver David E Fingerprint goggles
US8417959B2 (en) 2006-12-18 2013-04-09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Biometric device based on luminescence
US8460742B2 (en) * 2007-11-29 2013-06-11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Method of developing latent fingerprints
GB201104003D0 (en) * 2011-03-09 2011-04-20 Univ Sheffield Hallam Improvements to matrix assisted laser deposition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imaging (maldi-msi)
GB2504276A (en) * 2012-07-23 2014-01-29 Univ Sheffield Hallam Powder discharge gun
GB201416602D0 (en) * 2014-09-19 2014-11-05 Univ Central Lancashire (Fingerprint) powder composition
CN105527258A (zh) * 2014-10-24 2016-04-27 上海良相智能化工程有限公司 一种纸张上汗液手印快速无损显现方法
CN105989616B (zh) * 2015-02-10 2020-02-18 口碑控股有限公司 获取对象受关注程度的方法及装置
DE202015009084U1 (de) * 2015-02-19 2016-09-21 German Eforensics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s Abdrucks auf einem Spurenträger
CN105588825A (zh) * 2016-01-28 2016-05-18 公安部物证鉴定中心 一种纸张上汗潜手印热致荧光检验设备
CN110710980A (zh) * 2019-10-09 2020-01-21 苏州大学 一种潜指纹显现棉片及应用
CN115251907B (zh) * 2022-05-09 2024-04-26 吉林大学 一种基于纳秒激光辐照的指纹显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205A (en) * 1976-03-24 1979-11-27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ingerprint powder and method of application
US4236082A (en) * 1979-01-29 1980-11-25 Palmguar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mage details of the palm of a hand
US4226740A (en) * 1979-02-09 1980-10-07 Criminalistics, Inc. Infra-red responsive fingerpri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US4303701A (en) * 1979-12-31 1981-12-01 Buckbee-Mears Company Method of marking plastic lenses
CA1124063A (en) * 1980-06-10 1982-05-25 Virginia R. Salare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analysis of fingerpr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83498D1 (de) 1991-08-22
US4708882A (en) 1987-11-24
EP0188758A2 (en) 1986-07-30
AU3672389A (en) 1989-10-12
KR890001981B1 (ko) 1989-06-05
CA1258973A (en) 1989-09-05
AU584958B2 (en) 1989-06-08
KR890002569B1 (ko) 1989-07-18
AU5158385A (en) 1986-07-03
KR860005222A (ko) 1986-07-18
EP0188758B1 (en) 1991-07-17
EP0188758A3 (en) 1987-06-24
AU609618B2 (en) 199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570B1 (ko) 지문 화상의 선명화 방법
US4794260A (en) Method for detecting fingerprints using a laser and an apparatus therefor
US42360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mage details of the palm of a hand
JPH05346390A (ja) 粒子分析装置
DE69723997T2 (de) Wafer inspektionsystem für die unterscheidung von löchern und staubpartikeln
US6909501B2 (en) Pattern inspection apparatus and pattern inspection method
US5991030A (en) Apparatus for reading a luminescence pattern of a sample
WO2004077031A1 (en) Imaging device
EP00509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a workpiece
EP0379865A3 (de) Verfahren zur Untersuchung einer Probe in einem Korpuskularstrahlgerät
KR970000781B1 (ko) 이물 검사 장치
JPH09220686A (ja) レーザ印字方法及び装置
JPH05220131A (ja) 指紋検出方法
CA2107064A1 (en) Residual ink measurement
WO1998038497A1 (de) Lichtabtastvorrichtung
WO2022264685A1 (ja) 染色浸透探傷検査装置および染色浸透探傷検査方法
RU98109601A (ru)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я микрообъектов
JP4280967B2 (ja) 浸透探傷試験方法及び該浸透探傷試験方法に用いる浸透探傷試験装置
JP2001264022A (ja) 液体膜厚計測装置および液体膜厚計測方法
JP3021344B2 (ja) 欠陥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S62135981A (ja) 指紋画像の鮮明化方法
JPH11316194A (ja) 物体の表面を走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Baglioni et al. Electro-Optical Device For Surface And Interface Tension Measurement
CN117198908A (zh) 晶圆测试模式识别方法
CN117269125A (zh) 一种基于智能扫描的快速荧光寿命成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