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427Y1 -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427Y1
KR890002427Y1 KR2019850015931U KR850015931U KR890002427Y1 KR 890002427 Y1 KR890002427 Y1 KR 890002427Y1 KR 2019850015931 U KR2019850015931 U KR 2019850015931U KR 850015931 U KR850015931 U KR 850015931U KR 890002427 Y1 KR890002427 Y1 KR 890002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il
terminal
output
output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127U (ko
Inventor
권석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5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427Y1/ko
Publication of KR870009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5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using at least one diode as controlling device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제1도는 종래의 출력이득 보상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력이득 보상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N : 입력단 OUT : 출력단
TG : AGC단 B_ :밴드전압단
B1: 저역전압단 FET, FET2:전계효과 트랜지스터
R1~R5, R11~R15: 저항 C1~C3, C11~C14:콘덴서
L1, L11, L12: 코일 D11~D13: 다이오드
본 고안은 밴드의 선택에 따른 출력이득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출력이득보상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2개의 피이크코일을 스위칭다이오드와 연결하여 밴드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출력이득을 적절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된 밴드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이나 VTR등에 사용되는 송수신용 무선주파수(RF)는 VHF의 로우밴드와 하이밴드 및 UHF를 사용하고, 그에 따라 수신용 튜너에서는 상기 VHF 및 UHF신호에 적합한 회로를 채택하여 사용해 오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최근들어 케이블 TV가 개발됨에 따라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더욱 넓어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수신용 튜너도 광대역을 감당하여야만 하나, 종래의 튜너회로로서는 확장된 주파수 대역을 충분히 감당할 수 없었고, 또 튜너에 사용되는 RF증폭기의 출력이득에 있어서도 매우 큰 편차를 나타내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출력이득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출력단에다 피이크코일을 설치하므로서 편차를 보상시킬 수 있도록 된 회로가 운용되고 있으나, 이는 일정용량을 갖는 코일을 설치하여 일정비율로 보상시켜 주도록 되어있어 저역과 중역 및 고역에 전반적으로 양호한 보상효과를 얻을 수 없었고, 특히 고역에 있어서는 그 보상효과가 매우 미미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을 종래의 출력이득보상회로인 제1도를 통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출력이득보상회로는 전계호과 트랜지스터(FET1)의 제1게이트가 저항(R1)을 통해서 입력단(IN)에 연결되고, 제2게이트가 콘덴서(C1)를 통해서 AGC단(TA)에 연결되는 한편 바이어스 저항(R2), (R3)을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며, 소오스단은 바이어스저항(R4)(R5)과 콘덴서(C2)를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파이크코일(L1)을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는 한편 콘덴서(C3)를 통해서 출력단(OUT)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단(IN)을 통해 인가된 입력신호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를 통해서 증폭되어 출력단(OUT)으로 출력되어지는데, AGC단(TG)의 자동이득제어신호와 바이어스저항(R2)(R3)에 따라 인가되는 밴드선택에 따른 밴드전압(B_)에 의해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 한편, 드레인단과 밴드전압단(B_) 사이에는 피이크코일(L1)을 설치하여 증폭이득의 편차를 보상시켜주게 되고, 이때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1)의 소오스단에는 바이어스저항(R4)(R5)에 의해 적당한 밴드전압(B_)이 인가되면서 콘덴서(C2)에 의해 교류성분은 제거된다.
한편, 피이크코일(L1)은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저하부분을 개선하는 기능를 갖고 있는 것으로, 광대역 증폭회로에 사용되어지는데, 사실상 하나의 코일만으로는 RF신호의 전대역을 모두 감당할 수 없으며, 특히 고역에 있어서는 증폭기의 출력이득이 큰 편차를 나타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저역과 중역 및 고역의 밴드선택에 따른 적절한 출력이득 보상효과를 얻기 위해 출력단에 2개와 피이크코일을 직렬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스위칭다이오드를 통해서 저역밴드전압단을 연결시켜줌으로써 밴드선택에 따라 피이크코일을 선택작동시켜 출력이득을 적절하게 보상시킬 수 있도록 된 밴드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1)의 제1게이트가 저항(R11)을 통해서 입력단(IN)에 연결되고, 제2게이트가 콘덴서(C11)를 통해서 AGC단(TG)에 연결되는 한편 바이어스 저항(R12)(R13)을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며, 소오스단은 바이어스저항(R14)(R15) 및 콘덴서(C12)를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피이크코일(L11)(L12)과 다이오드(D11)(D12)를 통해서 밴드전압단(B_)에 연결되는 한편 콘덴서(C13)를 통해서 출력단(OUT)에 연결되며 코일(L11)과 다이오드(D11)사이에는 다이오드(D13)를 통해서 저역 전압단(B1)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종래의 출력이득 보상회로와 마찬가지로 입력단(IN)으로 인가된 입력신호는 저항(R11)을 통과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1)에서 증폭된 다음 콘덴서(C13)를 통해 출력단(OUT)으로 출력되는데, 이때 AGC단(TG)의 자동이득제어신호와 바이어스저항(R12)(R13)에 따라 인가되는 밴드전압단(B_)의 전압에 의해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한편 피이크코일(L11)(L12)에 의해 증폭이득의 편차를 보상시켜주게 되며, 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1)의 소오스단에는 바이어스저항(R14)(R15)에 의해 적당한 밴드전압(B_)이 인가되고, 콘덴서(C12)에 의해 불안정한 교류성분은 제거되게 된다.
한편, 피이크코일(L11)과 다이오드(D11)(D12)사이에는 스위칭 다이오드(D13)와 콘덴서(C14)를 를 통해서 저역전압단(B1)으로 인가되게 되고, 따라서 스위칭 다이오드(D11)(D12)(D13)의 작용에 의해 코일(L12)는 작동되지 않은채 코일(L11)만 작동하게 되어 코일(L11)의 용량만큼 출력이득을 보상시켜 주게되는 한편, 중역 또는 고역 밴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저역전압단(B_)에 아무런 전압도 인가되지 않은채 밴드전압단(B_)에만 밴드선택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므로 피이크코일(L11)(L12)이 모두 도통되어 L11+L12의 용량만큼 출력이득을 보상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본 고안은 저역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하나의 피이크코일(L11)용량만큼 출력이득을 보상시켜 주고 중역이상 고역밴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2개의 피이크코일(L11)(L12)의 용량을 합한 것만큼 출력이득을 보상시켜주게 됨으로써 밴드절환에 따라 적절한 보상용량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중음 및 고음에서도 증폭이득의 편차가 충분히 보상시켜진 양호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증폭기의 출력단(OUT)에 피이크코일을 설치하여 출력이득을 보상하도록 된 회로에 있어서, 스위칭다이오드(D11)와 함께 2개의 피이크코일(L11)(L12)을 직렬로 밴드전압단(B_)에 연결하는 한편 코일(L11)과 다이오드(D11)사이에는 스위칭다이오드(D12)를 통해 저역전압단(B1)을 연결함으로써, 저역밴드를 선택할때는 코일(L11)만 동작하고 중역이상 고역 밴드에서는 코일(L11)(L12)가 함께 동작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KR2019850015931U 1985-11-30 1985-11-30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KR890002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31U KR890002427Y1 (ko) 1985-11-30 1985-11-30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931U KR890002427Y1 (ko) 1985-11-30 1985-11-30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127U KR870009127U (ko) 1987-06-15
KR890002427Y1 true KR890002427Y1 (ko) 1989-04-22

Family

ID=1924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931U KR890002427Y1 (ko) 1985-11-30 1985-11-30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4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127U (ko) 198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8598A (en) Uhf tuning circuit utilizing a varactor diode
JPS6056008B2 (ja) 無線周波数増幅回路
US4590613A (en) Bipolar AGC with RF transistor DC bias point stabilization
US4147991A (en) Automatic gain control apparatus
US4438529A (en) TV Tuner circuit
US5280639A (en) Double super-heterodyne tuner
US5003620A (en) Tuner circuit and receiving band change-over circuit with a push-pull amplifier
US4658437A (en) Tuning voltage tracking arrangement
KR890002427Y1 (ko) 밴드 절환용 출력이득 보상회로
US7298426B2 (en) Television tuner having variable gain reduction
US4535304A (en) High frequency amplifier with phase compensation
US3823379A (en) Televis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ry providing for compatible control of vhf tuner and uhf tuner
JP2600984B2 (ja) 差動増幅回路
US4509207A (en) UHF RF Amplifier and AGC system
JPS61103307A (ja) 高周波増幅回路
JP3108712U (ja) 可変利得増幅回路
KR890004205B1 (ko) 광대역 수신용 텔레비젼 튜너
KR820000063B1 (ko) 튜우너 회로
JP2578854B2 (ja) 受信回路
KR0177685B1 (ko) 브이에이취에프의 단간동조 및 고주파증폭회로
KR940008344B1 (ko) 위성방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풀 밴드 lnb회로
JPH0718192Y2 (ja) テレビチューナ
JPH0510843B2 (ko)
KR900002659Y1 (ko) 텔레비젼 튜너
JP2814248B2 (ja) 高周波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