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71B1 -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 Google Patents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71B1
KR890002371B1 KR1019830001028A KR830001028A KR890002371B1 KR 890002371 B1 KR890002371 B1 KR 890002371B1 KR 1019830001028 A KR1019830001028 A KR 1019830001028A KR 830001028 A KR830001028 A KR 830001028A KR 890002371 B1 KR890002371 B1 KR 89000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pright
lift
fixed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025A (ko
Inventor
자콥 하퍼 존
데오도르 프레드릭 알란
Original Assignee
캐터필라 인더스트리알 인크
소나 로우 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라 인더스트리알 인크, 소나 로우 홀트 filed Critical 캐터필라 인더스트리알 인크
Publication of KR8400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제 1 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2-2에 따른 조립상태의 단면도.
제 3 도는 리프트 마스트의 부분파단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마스트 조립체의 부분단면, 부분파단 후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과 제 3 도 및 제 4 도의 리프트 마스트의 상승된 상태일때의 리프트 잭크를 타나내는 부분파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부재 12 : 유압 리프트 잭크
15 :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 26 : 계합수단
18 : 장착수단 20 : 브래킷 부재
22 : 원통형 부분 28 : 축방향 슬롯
48,50 : 탄성체부싱 54,56 : 원통형 스페이서
58,60 : 보울트 88 : 보어
90 : 시임 수단 92 : 장방형 시임
106 : 체인 활차 조립체 108 : 캐리지 조립체
114 : 고정직립부 116 : 가동직립부
130 : 풀리조립체 142 : 보어
150 : 로울러 158 : 실린더
168 : 연결수단 172 : 샤프트
176 : 횡간부재
본 발명은 리프트 마스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잭크가 신장된 하중 지탱위치에 있을때 리프트 마스트의 고정 직립주에 대한 리프트 잭크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lift jack retention bracket)에 관한 것이다.
하중 지탱 캐리지(carriage)를 지지하기 위한 공지의 리프트 마스트는 고정직립부, 고정직립부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직립부, 및 그로부터 로드가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실린더를 가지고 있는 리프트 잭크를 포함하며, 리프트 잭크는 고정직립부 및 가동직립부 사이에 특정상태에서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체인 활차(sheave)조립체의 활차는 일반적으로 리프트 잭크의 로드(rod)에 장착될 수 있고, 체인은 그 일단부는 캐리지에 그리고 타단부는 고정직립부와 같은 고정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한 조립체는 캐리지를 들어 올리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유용한 구조에 있어서, 캐리지가 설정된 자유 리프트 거리만큼 들어 올려진 후, 체인 활차 조립체는 각 가동직립부에 부착된 횡간부재에 계합된다. 자유 리프트 거리는 낮은 고가 간극 고가 간극(overhead clearance)의 지역에서 리프트 트럭의 작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리프트 마스트를 신장시킴없이 바닥으로부터 캐리지를 들어올리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횡간부재에 체인 활차 조립체가 계합된 후, 로드를 더욱 신장시키면 가동직립부가 상승되어 캐리지를 지지하며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
리프트 마스트에 관련된 문제는 리프트 마스트가 하중지탱 작업중 신장될때 발생한다.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리프트 마스트의 전방으로 수평 신장된 1조의 포오크를 가진 캐리지는 가동직립부 주위에 모우멘트 또는 로오크를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가동직립부는 고정직립부와의 동일선상의 정렬상태로부터 이탈된다. 이와같이 동일선상의 정렬상태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리프트 잭크의 로드도 실린더와의 동축 정렬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로드와 실린더 사이에 배설된 유압 밀봉부(seal)베어링 및 로드가 상기와 같이 변위될때 응력을 받게되며 과도한 마모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실린더의 로드 단부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형(球形)의 유압 밀봉부를 제공한 미국 특허 제 3,289,791호(1966. 12. 6. 특허됨)에서 "울린스키"에 의해 인식되었다. 밀봉부를 관통하는 구멍은 로드를 수납하고, 로드와 실린더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로드가 실린더와의 동축 정렬로부터 이탈될때 밀봉부가 회동하여 응력 및 마모를 최소화한다. "울린스키"에 의해 제공된 구형의 유압 밀봉부는 과도한 응열 및 마모를 받지 않으나, 이러한 밀봉부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의 로드 부분을 특수하게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특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횡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실린더를 위한 특수한 장착부재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한 장착부재는 용접 또는 다른 보다 편리한 수단에 의해 고정직립부에 실린더를 부착하는 방법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하나 또는 다수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은 리프트 잭크 실린더의 로드단부 부분에 계합하기 위한 수단과, 리프트 마스트를 신장시킬때 리프트 잭크의 신장가능한 로드의 신장에 따라 리프트 마스트의 가동직립부상에 인가되는 모우멘트에 응답하여 실린더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프트 마스트의 고정직립부에 상기 계합수단을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탄성 장착수단은 실린더가 고정직립부에 대하여 이동되고 로드 및 실린더를 동축 정렬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리프트 잭크의 로드에 가해진 모우멘트 또는 로오크에 의해 발생된 응력을 지탱한다. 리프트 잭크는 특수한 구조로된 유압 밀봉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프레임 부재(10), 축방향 부분(14)를 갖는 유압 리프트 잭크(12) 및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15)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같이, 프레임 부재(10)은 고정된 마스트 직립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리프트 잭크(12)는 그러한 직립부로부터 떨여져 있고 거기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프트 잭크 보유 브래킷(15)는 축방향 부분(14)와 계합하는 계합수단(16)과, 프레임 부재(10)에 그 계합수단(16)을 탄성적으로 장착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0)에의 리프트 잭크(12)의 연결부에서 프레임 부재에 대한 리프트 재크(12)의 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18)을 포함한다.
계합수단(16)은 원통형 부분(22), 제 1 평면부분(24) 및 제 2 평면부분(26)을 가진 브래킷 부재(20)을 포함하며, 각 평면부분(24) 및 (26)은 원통형 부분(2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신장한다.
원통형 부분(22)는 제 1 연부(30)과 제 2 연부(31)을 한정하는 축방향 슬롯(28)을 포함하며, 제 1 평면부분(24)는 제 1 연부(30)을 따라 배치되고 제 2 평면부분(26)은 제 2 연부 (3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축방향 부분(14)는 원통형 부분(22)내에 수납된다.
제 1 평면부분(24)는 제 1 구멍(32), 제 2 구멍(34), 제 1 측부(36) 및 제 2 측부(38)을 포함한다. 제 2 평면부분(26)은 제 1 구멍(40), 제 2 구멍(42), 제 1 측부(44) 및 제 2측부(46)을 포함한다. 제 2 측부(38) 및 (46)은 서로 대면하여 있다.
장착수단(18)은 장방형의 제 1 탄성체 부싱(48), 장방형의 제 2 탄성체 부싱(50), 장방형 판(52), 제 1 원통형 스페이서(54), 제 2 원통형 스페이서(56), 제 1 보울트(58) 및 제 2 보울트(60)을 포함한다.
제 1 부싱(48)은 제 1 개구부(62)외 제 2 개구부(64)극 갖고 있고, 각 개구부(62) 및 (64)는 그 부싱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부싱(50)은 역시 관통하여 배치된 제 1 개구부(66)과 제 2 개구부(68)을 갖고 있다. 판(52)는 제 1 면(70), 제 2 면(72), 제 1 구멍(74) 및 제 2 구멍(76)을 갖고 있다. 제 1 스페이서(54)는 제 1 연부(78), 제 2 연부(80) 및 축방향 보어(82)를 갖고 있고, 제 2 스페이서(56)은 제 1 연부(84), 제 2 연부(86) 및 축방향 보어(88)을 가지고 있다.
장착수단(18)은 축방향 부분(14)를 수납하도록 원통형 부분(22)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제 1 개구부(94)및 제 2 개구부(96)을 가진 하나 이상의 장방형 시임(shim)(92)와 같은 시임 수단(9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부싱(48)은 프레임 부재(10)과 평면부분(24)의 제1측부(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부싱(50)은 평면부분(26)의 제2측부(44)와 핀(52)의 제1측부(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시임(92)는 축방향 부분(14)를 수납하도록 원통형 부분(22)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해 각 평면부분(24) 및 (26)의 제2측부(38)과 (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부싱(48)의 제 1 개구부(62), 제 1 평면부분(24)의 제 1 구멍(32), 시임(2)의 제 1 개구부(4), 제 2 평면부분(26)의 제 1 구멍(40) 및 제 2 부싱(50)의 제 1 개구부(66)은 서로 연통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크기는 제 1 스페이서(54)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구멍(32) 및 (40)을 제외하고는 제 1 스페이서(54)를 마찰계합방식으로 수납하는 칫수로 되어 있다. 제 1 부싱(48)의 제 2 개구부(64), 제1평면부분(24)의 제 2 구멍(34), 시임(92)의 제 2 개구부(96), 제 2 평면부분(26)의 제 2 구멍(42) 및 제 2 부싱(50)의 제 2 개구부(68)은 서로 연통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크기는 제 2 스페이서(5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구명(34) 및 (42)를 제외하고는 제 2 스페이서(56)을 마찰 계합방식으로 수납하는 칫수로 되어 있다.
제 1 스페이서(54)는 프레임 부재(10)과 판(52)의 제 1 면(7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연부(78)은 프레임 부재(10)에 접하며 제 2 연부(80)은 제 1 면(70)에 접한다. 축방향 보어(82) 및 개구부(74)는 서로 연통하게 정렬되어 있고, 각각의 크기는 보울트(58)을 수납하는 칫수로 되어 있다. 보울트(58)는 프레임 부재(10)에 나사 결합된다.
제 2 스페이서(56)은 프레임 부재(10)과 판(52)의 제 1 면(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연부(84)는 프레임 부재(10)에 접하고 제 2 연부(86)은 제 1 면(70)에 접한다. 축방향 보어(88) 및 개구부(76)은 서로 연통하게 정렬되어 있고 각각의 크기는 보울트(60)을 수납하는 칫수로 되어 있다. 보울트(60)은 프레임 부재(10)에 나사 결합된다. 보울트(58) 및 (60)은 판(52)와 제1 및 제 2 부싱(48) 및 (50)은 압축된다.
제 3도-제5도에 리프트 마스트(104), 체인 활차 조립체(106), 리프트 마스트(104)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 조립체(108), 리프트 마스트를 연결하기 위한 황방향 연결봉(110) 및 체인 활자 조립체(106)에 계합 가능한 횡방향 횡간부재(112)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마스트 조립체의 절반만을 나타내며, 도시되지 않은 파단 부분들은 대칭으로 동일하다.
리프트 마스트(104)는 고정직립부(114)와 가동직립부(116)을 포함하며, 고정직립부(114)는 제 1 단부 부분(118), 제 2 단부 부분(120) 및 로울러(122)를 가지고 있고, 가동직립부(116)은 제 1 단부 부분(124)와 제 2 단부 부분(126)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직립부(114)내의 로울러(12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봉(110)은 고정직립부(114)의 제 2 단부 부분(120)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연결봉(110)은 고정직립부(114)들의 상단부에서 고정직립부(114)들을 연결되며 고정직립부(114)들은 서로 평행하며 미리 선택된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게 유지된다. 횡간부재(112)는 각 가동직립부(116)의 제 2 단부 부분(126)에 부착되어 있으며 가동직립부(116)이 상승되도록 로드(166)의 상승이동중 핀(134)와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강된 위치에서, 고정직립부(114) 및 가동직립부(116)의 제 1 단부 부분들(118) 및 (124)는 서로에대해 가깝게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상승된 위치에서는, 가동직립부(116)의 제 1 단부 부분(124)는 고정직립부(114)의 제 2 단부 부분(120)에 가깝게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체인 활차 조립체(106)은 가늘고 긴 부재(128), 그 가늘고 긴 부재의 하측부에 장착된 풀리 조립체(130), 체인(132) 및 원통형 핀(134)를 포함한다. 가늘고 긴 부재(128)은 제 1 구멍(136)과 제 2 구멍(137)을 가지고 있다. 가늘고 긴 부재(128)의 상승이동은 풀리 조립체(130)에 감겨져 있는 체인(132)를 통해 캐리지 조립체(108)의 상승이동을 유발하도록 되어 있다.
체인(132)는 제 1 단부(138)과 제 2 단부(140)을 가지고 있고 풀리조립체(130)에 의해 지탱되어 있다. 축방향 보어(142)를 가진 원통형 핀(134)는 가늘고 긴 부재(128)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1 구멍(136)은 축방향 보어(142)와 연통하고 있고, 제 2 구멍(137)은 상기 제1구멍으로부터 평행하게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캐리지 조립체(108)은 장방형의 후면 지지대(114), 펠릿트(pallet) 또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후면 지지대로부터 전방으로 신장하는 포오크(146) 상기 후면 지지대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장착부재(148), 및 로울러(150)을 포함한다. 캐리지 조립체(108)은 가동직립부(116)의 로울러(15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체인(132)의 제 1 단부 부분(138)은 장착 부재(148)에 통상의 방식으로 취부되어 있다. 각 체인(132)의 제 2 단부(140)은 통상적인 조절가능한 나사식 고정구에 의해 고정직립부(114)에 취부되어 있다. 고정직립부(114)는 궁형부재(arcuate member)(151)을 갖고 그 궁형 부재에 체인(132)의 제 2 단부(140)이 취부되게 될 수도 있다.
횡간부재(1120는 원통형 요홈부(152)와 압하(pulldown) 로드(154)를 포함하고 있고, 그 압하 로드는 상기 요홈부로부터 하방으로 동축적으로 신장되어 있다. 요홈부(152)의 크기는 원통형 핀(134)를 수납하는 칫수로 되어 있다. 압하 로드(154)는 제1구멍(136) 및 축방향 보어(142)내에 슬라이드 계합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크기로 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축방향 돌출부(156)을 가지고 있다. 로드(154)와 핀(134)는 가늘고 긴 부재(128)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리프트 잭크(12)는 헤드 단부 부분(160)과 로드 단부 부분(162)를 갖는 실린더(158), 로드 단부 부분(162)내에 배치된 로드 밀봉부(164), 및 밀봉부(164)와 밀봉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고 실린더(158)로부터 동축적으로 신장가능한 로드(166)을 포함한다. 고정직립부(114)의 제 1 단부 부분(118)에 가깝게 헤드 단부 부분(16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168)이 마련되어 있다. 신장가능한 로드(166)의 자유 단부는 가늘고 긴 부재(128)의 제 2 구멍(137)내에 수납되어 있고 거기에 취부되어 있다. 리프트 잭크(12)는 리프트 마스트(104)와 궁형 부재(1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로드 단부 부분(162)는, 프레임 부재(10)에 대하여 설명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브래킷(15)에 의해 고정직립부(114)의 제 2 단부 부분(120)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부재(10)은 여기의 제 2 단부 부분(120)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축방향 부분(14)는 로드 단부 부분(162)를 나타내고 있다. 체인 활차 부재(106) 및 횡간부재(112)는 가동직립부(116)의 제 2 단부 부분(126)에 신장가능한 로드(166)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170)을 한정한다. 이 수단(170)은 전술한 바와같이 체인 활차 부재를 통해서 캐리지 조립체(108)을 설정된 상승이동거리만큼 상승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동식 연결수단(168)은 헤드 단부 부분(160)으로부터 축방향의 외측으로 신장하고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172)와, 그 샤프트를 헐겁게 수납하고, 그 안에서 그 축의 회동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칫수로 된 보어(174)를 포함하고 있다. 하부 횡간부재(176)은 고정직립부(114)의 제 1 단부 부분(118)로부터 외측으로 신장하고, 보어(1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나, 회동식 연결 수단은 또한 샤프트(172)를 관통해 배치된 반경방향 개구부(178)과, 그 개구부를 통하여 헐겁게 수납되고 하부 횡간부재(176)에 나사 결합되는 보울트(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 트럭과 같은 차량에 통상 부착되는 타입의 리프트 마스트에 특히 유용하나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장가능한 로드(166)이 완전히 하강된 위치로부터 상승되면서 활차 조립체(106)을 상승시킴에 따라, 캐리지 조립체(108)은 가동직립부(116)내에서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된다. 가늘고 긴 부재(128)이 횡간부재(112)에 계합될때까지 직립부의 신장없이 캐리지 조립체(108)이 완전 하강위치로부터 상승되느 거리는 자유 리프트 거리로 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활차 조립체(106) 특히 가늘고 긴 부재(128)과 그의 원통형 핀(134)가 횡간부재(112)에 계합된 후, 로드(166)을 더욱 신장시키면 가동직립부(116)이 캐리지 조립체(108)과 함께 상승된다. 자유 리프트 거리 이상에서 캐리지 조립체(108)은 고정직립부(114)내에서의 가동직립부(116)의 상승 비율의 2배만큼 가동직립부(116)의 제 1 단부 부분(124)로부터 제 2 단부 부분(126)으로 이동한다. 활차 조립체(106)의 하강에 따라 압하 로드(154)의 돌출부(156)이 가늘고 긴 부재(128)의 하부 표면과 계합될때 가동직립부(116)이 하강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장가능한 로드(166)이 신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직립부(116)의 제 2 단부 부분(126)쪽으로 캐리지 조랩체(108)을 상승시킬때, 포오크(146)에 지탱된 하중은 완전 상승상태에서 최대가 되는 모우멘트를 제 2 단부 부분(126)에서 가동직립부(116)상에 작용시킨다. 이 모우멘트는 가동직립부(116)을 고정직립부(114)와의 동일선 정렬로부터 변위시킨다. 이 모우멘트는 또한 연결수단(170)에 의해 신장가능한 로드(166)으로 전달된다. 신장가능한 로드(166)을 실린더(158)과 동축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은 밀봉부(164)상의 부당한 마모 및 응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신장가능한 로드(166)에 작용하는 모우멘트는 2개의 선형 분력의 네트(net)로 생각될 수 있는데, 그중 하나의 분력은 로드(166)(따라서 리프트 잭크(12))를 따라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의 분력은 로드(166)의 반경방향으로 작용한다. 축방향 분력은 주로 회동식 연결수단(168)에 의해 흡수되고, 반경방향 분력은 주로 리프트 잭크(12)가 연결수단(168)주위에서 회동할때 부싱(48) 및 (50)에 의해 흡수된다. 그 결과, 로드 시일(164) 및 로드(166)의 부당한 마모가 최소로 된다.

Claims (4)

  1. 고정직립부(114), 상기 고정직립부(114)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직립부(116), 상기 고정직립부(114)와 상기 가동직립부(116) 사이에서 상호 연결되며 실린더(158)과 상기 실린더(158)내에 왕복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신장가능한 로드(166)을 갖는 1개 이상의 리프트 잭크(12), 및 상기 가동직립부(116)의 상단부에 작용되는 모우멘트에 응답하여 상기 실린더(158)이 상기 고정직립부(114)에 대해 약간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직립부(114)상에 상기 실린더(158)을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수단(16,18)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16,18)이 상기 고정 직립재(114)와 상기 실린더(158) 사이에 부착되며 상기 실린더(158)의 상단부 근처에 클램핑된 원통형 부분(22)와 상기 원통형 부분(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하여 신장하며 상기 고정 직립재(114)에 가깝게 배치된 1조의 평면부분(24,26)을 포함하는 단일 브래킷 부재(20), 상기 고정 직립재(114)와 상기 평면부분(24,26) 사이에 배치 및 압축된 1개 이상의 탄성체 부싱(48) 및 상기 평면 부분(24,26)과 상기 부싱(48)을 통해 그들을 상기 고정직립부(114)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시키기 위해 신장되는 보울트(58,60)을 포함하는, 리프트 트럭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된 리프트 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6,18)이 또한 상기 평면부분(24,26)의 외측상에 배치된 제 2 탄성체 부싱(50)과 상기 제 2 탄성제 부싱(50)의 외측상에 배치된 판(52)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트(58,60)이 순차적으로 상기 판(52), 상기 제 2 탄성체 부싱(50), 상기 평면부분(24,26) 및 상기 제 1 탄성체 부싱(48)을 통해 신장하는 리프트 마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6,18)이 또한 스페이서(54,56)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54,56)이 상기 보울트(58,60)을 조일때 상기 고징 직립재(114)에 대해 상기 판(52)를 정확히 배치하기 위해 상기 제1및 제2탄성체 부싱(48,50)의 각각과 상기 평면부분(24,26)을 통해 신장되는 리프트 마스트.
  4. 고정직립부(114), 상기 고정직립부(114)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직립부(116), 상기 고정직립부(114)와 상기 가동직립부(116) 사이에서 상호 연결되며 실린더(158)과 상기 실린더(158)내에 왕복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신장가능한 로드(166)을 갖는 1개이상의 리프트 잭크(12), 및 상기 가동직립부(116)의 상단부에 작용되는 모우멘트에 응답하여 상기 실린더(158)이 상기 고정직립부(114)에 대해 약간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직립부(114)상에 상기 실린더(158)을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수단(16,18)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16,18)이 상기 고정 직립재(114)와 상기 실린더(158) 사이에 부착되며 상기 실린더(158)의 상단부 근처에 클램핑된 원통형 부분(22)와 상기 원통형 부분(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하여 신장하며 상기 고정직립재(114)에 고정된 1조의 평면부분(24,26)을 포함하는 브래킷 부재(20), 상기 고정직립부(114)와 상기 평면부분(24,26)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체 부싱(48), 상기 평면부분(24,26)의 외측상에 배치된 제2탄성체 부싱(50), 상기 제 2 탄성체 부싱(50)의 외측상에 배치된 판(52) 및 상기 판(52), 상기 제 2 탄성체 부싱(50), 평면부분(24,26)과 상기 제 1 부싱(48)을 통해 그들을 상기 고정직립부(114)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시키기 위해 순차적으로 신장되는 보울트(58,60)을 포함하는, 리프트 트럭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된 리프트 마스트.
KR1019830001028A 1982-03-15 1983-03-15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KR89000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7,945 1982-03-15
US06/357,945 US4503935A (en) 1982-03-15 1982-03-15 Lift jack retention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25A KR840004025A (ko) 1984-10-06
KR890002371B1 true KR890002371B1 (ko) 1989-07-02

Family

ID=2340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028A KR890002371B1 (ko) 1982-03-15 1983-03-15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03935A (ko)
JP (1) JPS58172200A (ko)
KR (1) KR890002371B1 (ko)
GB (1) GB2116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795U (ja) * 1984-05-14 1985-1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リフトシリンダの支持装置
JPH0520800Y2 (ko) * 1987-04-24 1993-05-28
US5067592A (en) * 1989-09-22 1991-11-26 Harnischfeger Engineers, Inc. Mast connecting structure
US5984050A (en) * 1997-05-29 1999-11-16 The Raymond Corporation Carriage suspension for lift truck
JP3419265B2 (ja) * 1997-08-28 2003-06-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荷役具昇降用シリンダの取付構造
GB2364992B (en) * 2000-07-24 2004-05-05 Lansing Linde Ltd Lifting structure for an industrial truck
DE10343312B4 (de) * 2003-09-19 2005-12-01 Jungheinrich Ag Ausfahrbare Mastkonstruktion für einen Hubwagen
DE102004042336A1 (de) * 2004-09-01 2006-03-02 Jungheinrich Ag Flurförderzeug mit starr mit Lastverlagerungsvorrichtung verbundenem Zylinder
JP2007320679A (ja) * 2006-05-30 2007-12-13 Toyota Industries Corp シリンダの固定装置
DE102009014719B4 (de) * 2009-03-27 2019-06-13 Maha Maschinenbau Haldenwang Gmbh & Co. Kg Säulenhebebühne für Kraftfahrzeuge
US20140021715A1 (en) * 2012-07-19 2014-01-23 Zachary Craig STALLINGS Squareness Indictor for Pipe Flanges
AU2015210388B2 (en) * 2014-08-07 2019-10-10 The Raymond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ift cylinder buckling re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4732A (en) * 1928-07-05 1931-09-22 Studebaker Corp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747689A (en) * 1952-08-30 1956-05-29 Elwell Parker Electric Co Tier lift truck
US2936045A (en) * 1957-08-02 1960-05-10 Yale & Towne Mfg Co Ram mounting for lift truck
US3289791A (en) * 1963-11-01 1966-12-06 Eaton Yale & Towne Hydraulic ram for lift truck
US3330383A (en) * 1966-03-28 1967-07-11 Allis Chalmers Mfg Co Mast snubber
GB1206962A (en) * 1967-06-05 1970-09-30 Matbro Ltd Improved fork-lift truck with swinging mast
US3472341A (en) * 1967-12-18 1969-10-14 Crown Controls Corp Lift truck with telescopic mast
DE2049414C3 (de) * 1970-10-08 1974-08-29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Stoßdämpfende Federung eines Hubschlittens für Hublader
JPS5620995B1 (ko) * 1971-06-02 1981-05-16
US3830342A (en) * 1973-01-02 1974-08-20 Raymond Corp Material handling vehicles
US3972388A (en) * 1975-08-04 1976-08-03 Towmotor Corporation Lift truck mast assembly with a resilient chain positioner
US4030568A (en) * 1976-03-24 1977-06-21 Caterpillar Tractor Co. High visibility mast for lift trucks
US4082199A (en) * 1976-07-06 1978-04-04 Towmotor Corporation Lift truck mast stabilizer
JPS5931674Y2 (ja) * 1977-09-13 1984-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における荷役装置の横方向推力支持装置
US4221530A (en) * 1978-06-08 1980-09-09 Williams Iv James M Force-moment compens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25A (ko) 1984-10-06
GB8303312D0 (en) 1983-03-09
GB2116942A (en) 1983-10-05
JPS58172200A (ja) 1983-10-08
US4503935A (en) 1985-03-12
GB2116942B (en) 198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371B1 (ko) 리프트 마스트(lift mast)
US4030568A (en) High visibility mast for lift trucks
US4921075A (en) Fork lift
JPH07315790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物押圧装置
KR880003809A (ko) 후면 플랫포움 리프트
CA1157847A (en) Four-poster hoist
US2821264A (en) Ram construction for lift truck
KR850008330A (ko) 리프트 트럭용 엎라이트(upright)
CN112829962A (zh) 用于飞机牵引车的抱轮机构
US4476960A (en) Adjustable chain anchor for lift trucks
CN216791502U (zh) 一种汽车轮胎平衡机
US4485894A (en) Lift truck mast and carriage assembly
US4124104A (en) Lift mask carriage mounting arrangement
CA1288078C (en) Lift truck mast structure
US3972388A (en) Lift truck mast assembly with a resilient chain positioner
US4647273A (en) Hydraulic tire curing press
CN116573580A (zh) 一种叉车吊具
CA1156190A (en) High visibility lift apparatus
US3010595A (en) Leveling attachment for a fork lift truck
US4742991A (en) Lying type of jack structure
US4366883A (en) Equalizing system for load lifting apparatus
US4276961A (en) Mast and carriage assembly
CN220029257U (zh) 轮毂轴管拼装夹具
CN218520995U (zh) 一种加解锁升降平台
CN214003959U (zh) 一种叉车轻型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