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53Y1 -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2053Y1 KR890002053Y1 KR2019860006134U KR860006134U KR890002053Y1 KR 890002053 Y1 KR890002053 Y1 KR 890002053Y1 KR 2019860006134 U KR2019860006134 U KR 2019860006134U KR 860006134 U KR860006134 U KR 860006134U KR 890002053 Y1 KR890002053 Y1 KR 8900020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shift lever
- wheel
- wheel shift
- gea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동력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평면도.
제3도는 내지 제5도는 동력이앙기의 동력전달계통 조합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앙클러치부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레버부의 평면도.
제8도는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앙제어장치의 작동상태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측면도.
제11도는 제8도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엔진
5 : 조조핸들 9.9' : 추진용차륜
13 : 차륜변속레바 14 : 이앙클러치레바
17 : 제1축 20 : 제2축
22, 23 : 변속기어 26 : 베벨축
36 : 출력축 40, 41 : 베벨기어
42 : 이앙클러치 43 : 이앙클러치축
45 : 체인 48 : 이앙아암
52 : 이앙클러치아암 56 : 변속로드
60 : 차륜변속로드 62 : 차륜변속레버로크
63 : 이앙클러치제어핀 64 : 고정부재
65 : 고정브라켓트 66 : 변속레버연결판
본 고안은 모를 심는 기계인 동력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레버를 조작해 주므로써 주행상태에서 모의 이앙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자동이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동력이앙기에 있어서는, 차륜변속레버가 이앙 및 주행의 위치를 단속시켜 주게 되는 이앙클러치를 작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어, 이 변속레베의 후진 ·중립 · 이아 및 주행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앙클러치가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단속 및 작동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동력이앙기로 이앙작업을 할 때에는 차륜변속레버를 이앙위치에 위치시키지 않고 이앙기의 전진속도가 빠른 주행의 위치에다 절환시켜 놓고서도 이앙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일정수의 육묘가 심겨져야 함에도 그보다 적은 수의 육묘가 심겨지게 되어 결국 벼의 수확량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즉 차륜변속레버가 주행위치에 있을 때에는 이앙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앙위치에서만 이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단위면적당 일정한 수의 모를 확실하게 이앙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동력이앙기의 자동이앙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이앙기는, 그 차륜변속레버를 공지의 방식과 같이 후진과 중립, 이앙 및 주행의 4단변속이 되도록 구성시킴과 더불어 상기 차륜변속레버에다 자동적으로 이앙용클러치를 단속시켜 줄 수 있는 차륜변속레버로크를 부착하고, 상기 이앙클러치는 접속돐 단절의 2단으로 구성시켜 주면서 이앙클러치아암에다 차륜변속을 자동적으로 단속시키도록 된 이앙클러치제어핀을 설치해 놓음으로써 상기 이앙클러치에 차륜변속레버로크가 연결되면 차륜 변속레버가 주행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앙클러치제어핀에 의해 제어되어지는 한편, 차륜변속레버가 주행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이앙클러치제어핀이 차륜변속레버의 잠금으로 이앙클러치로 부터 떨어지게 되고, 상기 이앙클러치가 단절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앙클러치제어핀 및 차륜변속레버로크에 제어됨이 없이 상기 차륜변속레버가 후진, 중립, 이앙 및 주행의 4단으로 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이앙클러치가 접속상태에 있게 되어도 상기 차륜변속레버가 주행위치를 제외한 후진, 중립, 이앙의 3단변속동작이 이앙클러치제어핀에 의해 단속되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동력이앙기의 측면도와 그 부분절개평면도로서, 이앙기의 좌우중심에 배치된 프레임(1)의 앞쪽선단에 엔진(2) 및 밋션케이스(3)가 직렬로 연결됨과 더불어, 프레임(1)의 뒷부분에는 식재용 모심는 장치(4)와 조종핸들(5)이 설치되어 있다. 이앙기의 아래쪽에는 상기 엔진(2)의 아래부분으로 부터 모십는장치(4)의 아래부분에 걸쳐 중공으로 된 플라스틱재의 중앙접지용부판(6)이 부착되고, 상기 중앙접지용부판(6)의 후단부양옆으로 1쌍의 접지용부판(7,7')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밋션케이스(3)의 좌우측부에는 앞부분지점(X)을 중심으로 상하로 자유로이 요동하는 차륜체인케이스(8,8')가 뒷쪽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그 차륜체인케이스(8,8')의 뒷쪽끝에는 추진용차륜(9,9')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심는 장치(4)는 매트형상으로 나란하게 정렬된 모(P)를 일정한 행정으로서 왕복하여 옆쪽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는 묘탑재대(10)와, 이 묘탑재대(10)의 아래쪽끝에서 일정량씩 모를 잘라내어 부판틀(6,7,7')로서 정지상태의 논의 지면(G)에 모를 심는 4줄의 모심는부(11)와 이들의 구동기구를 장비한 이앙케이스(12)및 차륜변속과 이앙부의 동력을 단속하는 차륜변속레버(13)와 이앙클러치레버(14)로 구성되어져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용 이앙기의 동력전달계통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엔진(2)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입력측(15)의 입력기어(16)로 부터 제1축(17)의 기어(18)에 전달되어 상기 제1축(17)과 동축상에 있는 다른 기어 (19)를 통하여 제2축(20)의 기어(21)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 동력은 제2축(20)의 변속기어(22,23)의 물림상태에 따라 후진, 중립, 이앙 및 주행의 4단 변속에 따라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축(17)의 기어(15)는 베벨축(26) 상의 도시되지 않은 스플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어(27)와 상시 맞물려 있다.
한편 상기 제1변속기어(22)가 제1축(17)의 기어(24)에 맞물리면, 동력은 상기 제1축(17)의 기어(25)를 통하여 베벨축(26)의 기어(27)로 전달되므로 이앙기는 후진하게 되는 반면, 상기 제2축(20)의 변속기어(22,23)들이 제1축(17)의 기어(24, 25)들과 물림이 해제될 때 동력은 공회전하여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축(20)의 제1변속기어(22)가 베벨축(26)의 기어(27)에 맞물려지게 되면 아앙상태에서의 이앙속도를 유지하게 되고, 제2축(20)의 제2변속기어(23)가 베벨축(26)의 다른 기어(28)와 맞물리게 되면서 주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장치에 의하여 엔진(2)에서 전달된 동력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축(26)의 베벨기어(29)를 통하여 이 베벨기어(29)와 맞물린 다른 베벨기어(30)로 전달한 다음,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31)를 거쳐 차축(32)의 스플라인부분에 연결된 기어(33)로 거쳐 상기 차축(32)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축(32)에 연결된 추진용차량(9,9')이 회전하여 이앙기가 주행상태로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이어 이렇게 제3도의 제2축(20)의 기어(21)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21)의 턱부분에 끼워있는 주클러치(34)가 연결됨에 따라 이앙변속기어(35)로 전달된 다음, 이 동력은 출력축(36)의 기어(37,38,39)를 통하여 베벨기어(40)에 전달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벨기어(40)로 부터 전달된 동력은 이 베벨기어(40)에 맞물린 다른 베벨기어(41)로 전달된 다음 이앙클러치(42)를 거쳐 이앙클러치축(4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앙클러치축(43)의 스플라인부분에 끼워져 있는 스프로켓(44)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달되어진 동력이 체인(45)을 거쳐 크랭크축(46)의 다른 스프로켓(47)을 매개로 크랭크축(46)을 회전시켜 이앙아암 (48)에 전달된다.
제6도는 이앙클러치레바(1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앙클러치레바 (14)를 끊음 위치에 놓게되면, 안쪽와이어(50)가 느슨하게 됨과 더불어 고정 브라켓트(65)에 연결된 인장된 스프링(6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앙클러치아암(52)을 K1에서 K'1로 핀(53)을 중심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앙클러치갈고리(54)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P1에서 P2로 핀(53)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이앙클러치스프링(55)을 압축시켜 줌에 따라 이앙클러치(42)가 베벨기어(41)로 부터 이탈되어 이앙부에로의 동력을 단절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앙부에 동력을 전달시키고자 할때에는 이앙클러치레바(14)를 연결 위치로 위치게 하면, 안쪽 와이어(50)가 이완상태로 되어 압축되어 있던 이앙클러치스프링(5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앙클러치(42)가 베벨기어(41)에 접속되므로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제7도는 차륜변속레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차륜변속레버(13)를 후진의 위치(M1)로 위치시키면 변속로드(56)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밋션케이스카바(57)에 설치된 보올(58)이 스프링(59)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차륜변속로드(60)를 후진위치에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차륜변속 갈고리(61)는 제3도에 도시된 제2축(20)의 변속기어(22,23)의 턱부분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변속기어(22)는 제1축(17)의 기어(24)에 맞물려 이앙기를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아울러 차륜변속레바(13)를 중립(M2), 이앙(M3) 및 주행(M4)의 위치에 두게되면 위에서 설명한 후진위치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에 따라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이앙클러치아암(52)이 끊임과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차륜변속레바(13)의 관계를 설명한 자동 이앙제어작동의 상태도로서, 제8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클러치아암(52)이 연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차륜변속레바 (13)는 후진, 중립 및 이앙의 3단변속에 대해서는 변속레바연결편(66)에 아래쪽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된 차륜변속레바로크(62)가 상기 이앙클러치아암(52)에 장착된 이앙클러치제어핀(63)에 간섭받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차륜변속레바(13)를 자유롭게 조작시킬 수가 있는 반면, 차륜변속레바(13)를 주행위치로 이동시키고자할 때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변속레바로크(62)와 상기 이앙클러치제어핀(63)은 상호간섭에 의해 제어되므로 차륜변속레바(13)는 주행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앙작업을 할 때에는 이앙기의 주행위치 상태에서 할 수가 없고 단지 이앙위치에서만 이앙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이앙기에서 야기되던 문제, 즉 빠른 속도의 주행상태에서 모를 이앙하여 단위면적당 적은수의 모가 심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앙클러치아암(52)이 끊김 위치에 있을 때 차륜변속레바(13)를 후진, 중립, 이앙 및 주행의 4단변속위치로 이동시켜도 이앙 클러치제어핀(63)에 차륜변속레바로크(62)가 상호간섭 방지에 의해 제어되지 않게 되므로 차륜변속레바(13)를 자유롭게 4단변속으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차륜변속레바(13)의 주행위치에서 이앙클러치(42)를 작동시키고자할 때에는 상기 이앙클러치제어핀(63)이 차륜변속레바로크(62)가 상호간섭하여 제어되어져 있어서 연결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없게되며, 그에따라 이앙기의 주행상태에서는 절대로 이앙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앙제어장치는 지점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요동하는 차륜변속레바 및 이앙클러치아암에 차륜변속레바로크 및 이앙클러치제어핀을 부착시켜 주므로써, 상기 이앙클러치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차륜변속레바가 이앙클러치제어핀에 제어됨이 없이 후진, 중립, 이앙 및 주행의 4단변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반면, 상기 이앙클러치를 작동시켰을 때에는 차륜변속레바가 후진, 중립 및 이앙의 3단변속에 대하여 이앙클러치제어핀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단속되지 않게되나, 차륜 변속레바를 주행위치에 두었을 때에는 이앙클러치제어핀이 차륜변속레바로크의 상호간섭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이앙클러치가 차륜변속레바에 연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앙클러치를 작동하였을 때에도 이앙클러치제어핀과 차륜변속레바로크가 상호 간섭에 의해 단속되므로 상기 차륜변속레바를 주행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도록 하므로써 모를 심는 이앙작업 때에는 반드시 이앙속도로만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단위면적에 적절한 수의 모를 이앙시켜줄 수가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차륜변속레바(13)를 후진(M1), 중립(M2), 이앙(M3) 및 주행(M4)의 4단변속으로 조절함과 더불어 이앙클러치(42)를 연결 및 끊김의 2단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자동차륜 동력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차륜변속레바(13)에 자동적으로 이앙클러치 (42)를 단속시켜 줄 수 있는 차륜변속레바로크(62)가 부착되고, 이앙클러치아암 (52)에는 차륜변속레바로크(62)가 부착되고, 이앙클러치아암(52)에는 차륜변속을 자동적으로 단속시켜 줄 수 있는 이앙클러치제어핀(63)이 설치되어, 상기 차륜변속레바로크(62)와 이앙클러치제어핀(63)이 상호 간섭하여 이앙클러치(42)와 차륜변속레바(13)를 접·단속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이앙기의 자동이앙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6134U KR890002053Y1 (ko) | 1986-05-02 | 1986-05-02 |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6134U KR890002053Y1 (ko) | 1986-05-02 | 1986-05-02 |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17653U KR870017653U (ko) | 1987-12-21 |
KR890002053Y1 true KR890002053Y1 (ko) | 1989-04-12 |
Family
ID=1925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06134U KR890002053Y1 (ko) | 1986-05-02 | 1986-05-02 |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2053Y1 (ko) |
-
1986
- 1986-05-02 KR KR2019860006134U patent/KR8900020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17653U (ko) | 1987-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2053Y1 (ko) | 동력이앙기의 자동 이앙제어장치 | |
JPH1098924A (ja) | 苗植付装置 | |
JP3997344B2 (ja) | 苗移植機 | |
JPH119020A (ja) | 野菜移植機の縦送り駆動機構 | |
JP3234465B2 (ja) |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 |
JP3044538B2 (ja) | 移植機 | |
JPH01120214A (ja) | 植付アームの駆動構造 | |
JP2000175515A (ja) | 野菜移植機 | |
JP4022137B2 (ja) | 移植機 | |
JP3284557B2 (ja) | 苗植機 | |
JPH0318765Y2 (ko) | ||
JP2004313039A (ja) | 移植機 | |
JPH0220204B2 (ko) | ||
JPH0328727Y2 (ko) | ||
CN116349461A (zh) | 一种悬挂式薯苗移栽机、设备及作业方法 | |
JP2674500B2 (ja) | 苗植付装置 | |
KR950003699Y1 (ko) | 동력이앙기의 자동이앙제어장치 | |
JP2881802B2 (ja) | 農作業機 | |
JP2552075Y2 (ja) | 歩行型農用移植機の伝動構造 | |
JPH025362B2 (ko) | ||
JPH0748013Y2 (ja) | 田植機の植付装置 | |
JPH0671367B2 (ja) | 2輪4条植え歩行型田植機 | |
JPH09313002A (ja) | 部分逆転ロータリ耕耘装置 | |
JPH0310605A (ja) | 田植機用走行機体 | |
JPH03123403A (ja) | 農作業機の動力車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