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61B1 -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 Google Patents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61B1
KR890001961B1 KR1019860006269A KR860006269A KR890001961B1 KR 890001961 B1 KR890001961 B1 KR 890001961B1 KR 1019860006269 A KR1019860006269 A KR 1019860006269A KR 860006269 A KR860006269 A KR 860006269A KR 890001961 B1 KR890001961 B1 KR 89000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circuit
discharge tube
st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409A (ko
Inventor
김정부
Original Assignee
김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부 filed Critical 김정부
Priority to KR101986000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61B1/ko
Publication of KR88000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H05B41/3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by measuring the incident light

Landscapes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4배합정류회로 11, 12 : 배합정류회로
3 : 110V/220V 자동절환회로 4 : 광센서부
5 : 고압발생회로 ZD1: 제너다이오드
RY1~RY4: 제1~제4 릴레이 TC1~TC3: 트라이악
PT : 포토트랜지스터 T1: 트랜스포머
LT : 트리커코일 AM : 경보기
ST1, ST2: 스트로보 방전관
본 발명은 스트로보 방전관을 방전시켜 성광촬영을 하는 스트로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상성광을 위한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만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대기 상태로 되고, 방전관 콘넥터 연결시 발생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입력전원 110V/220V 자동절환이 가능한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촬영용 플래시 장치인 스트로보 방전관의 일실방전을 이용하여 성광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스트로보 방전관에서 발하는 빛이 파사체에 반사된 후 필름면에 수광되므로써 촬영이 이루어지는 바, 이때 필름면에 수광되는 빛의 광도(즉, 방전광도)가 적당하여야만 사진이 잘 찍히게 된다. 따라서, 필름면에 수광되는 빛의 광도가 적당하려면 스트로보 방전관에서 발하는 빛의 광도가 적당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스트로보 장치에서는 스트로보 방전관의 애노드측에 인가되는 전압이 충분하게 높은 전압이 되지 않아도(즉, 충전이 충분히 되지 않아도)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되게 되어 있었는 바, 스트로보 방전관에서 발하는 빛의 광도가 적정치보다 낮게되면 광도가 낮은 빛이 피사체에 반사된 후 필름면에 수광되므로 노출이 부족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충방전기와 방전관이 분리된 타입에서는 방전관 콘넥터의 연결 및 분리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취급자에 많은 위험이 뒤따랐을 뿐만 아니라, 110V/220 자동절환회로가 없어서 110V/220V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강압 또는 승압트랜스를 필요로 하게되어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고, 전원 전압이 220V인 것을 확인하지 않은 채 (즉, 절환스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은 채)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내부회로가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스트로보 장치를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릴레이와 트라이악을 이용하여 스트로보 방전관의 애노드측에 인가되는 충전전압이 충분하게 높은 전압이 될 때에만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될 수 있게하는 한편, 방전관 콘넥터 연결 및 분리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고, 릴레이와 트라이악을 사용한 110V/220V 자동절환회로를 구비하여 110V지역이나 220V지역에서 승압 또는 강압트랜스 없이 110V/220V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량을 높히기 위하여 복수개의 스트로보 방전관 사용시 별도의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될 때 포토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스트로보 방전관을 연동시켜 방전시킬 수 있는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2개의 2배압정류회로(11, 12)가 결속된 4배압정류회로(1)와 고압발생회로(5)를 구비하고 있는 스트로보 장치에 있어서, 저항(R1)(R2)(R5)과 제너다이오드(ZD1), 콘덴서(C1), 제1 릴레이(RY1) 및 트라이악(TC1)으로 구성되어 상기 4배압정류회로(1)의 단자(Y)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적정치일 경우에만 제2 릴레이(RY2)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2)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2)의 제어에 의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에 트리거전압과 접지전위를 인가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제2 릴레이(RY2), 공급전원(AC)의 인가시 및 스트로보 콘넥터의 착탈시 발생되는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SW1)와 콘덴서(C2), 저항(R3)(R4)과 다이오드(D1), 220V동작용 제3 릴레이(RY3)와 제4 릴레이(RY4), 콘덴서(C5) 및 트라이악(TC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압발생회로(5)에 결합되는 입력트랜스(T1)의 랩을 전환시키므로써 110V/220V 자동절환을 하는 110V/220V 자동절환회로(3), 포토트랜지스터(PT)와 스위치(SW3) 및 트라이악(TC3)으로 구성되어 다른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될 때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을 자동으로 방전시키기 위해 트리거 전압용 고압을 인가하는 광센서부(4). 상기 고압발생회로(5)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을 받아 들여서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을 트리거시키기에 알맞은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트리거코일(LT), 상기 4배압정류회로(1)에서 출력되어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애노드단자(Ad)로 인가되는 전압이 적정치보다 낮을 때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AM)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SW2는 카메라의 셔터스위치, A, B는 공급전원(AC)입력단자, C, D, X는 4배압정류회로(1)의 입출력단자, Y는 4배압정류회로(1)의 1/2출력단자, a, b, c, d, e, f는 제2, 제4 릴레이(RY2)(RY4)의 릴레이스위치 접속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제 1 도는 상기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 여기서는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이 콘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콘넥터의 다른편에 연결된 충방전기중에서 4배압정류회로(1)는 배압정류회로(11)(12) 2개로 구성되어 공급전원(AC)의 크기에 따라 2배압 또는 4배압정류전압을 출력하는 회로로서, 공급전원(AC)이 110V이면 4배압정류하여 4배압정류회로(1)의 출력단자(X)(Y)로 각각 실효출력 약 620V와 310V의 직류전압을 출력하고, 공급전원 220V이면 2배압만 정류하여 2배압정류회로(11)의 출력단자(X)(Y)로 각각 실효출력 약 620V와 310V의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바, 먼저 공급전원(AC)이 110V인 경우 전원스위치(SW1)를 ON하게되면, 공급전원(AC)이 통상의 4배압정류 회로(1)에 저항(R2)고 단자(B)를 통해 인가됨과 더불어 110V/220V자동절환회로(3) 저항(R3)과 다이오드(D1)를 통해 제3 릴레이(RY3)로 인가되나, 이 제3 릴레이(RY3)는 220V전원에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게 되어 제3 릴레이(RY3)에 있는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므로, 저항(R4)을 통해 트라이 약(TC2)의 게이트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트라이악(TC2)이 차단되어 제4 릴레이(RY4)가 작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4 릴레이(RY4)의 릴레이 스위치에 있어서 단자(b)와 단자(c), 단자(e)와 단자(f)가 각각접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에따라 110V의 공급전원(AC)은 제4 릴레이(RY4)의 릴레이 스위치단자(e)(f)를 통해 트랜스포모(T1)의 1차측 중간탭에 인가되어 2차측에 승압교류가 인가된다.
이 승압교류 전압은 공지의 트리거 전압 생성용 고압발생회로(5)로 인가되므로 고압발생회로(5)의 단자(S)에서 고전압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공지의 4배압정류회로(1)의 단자(B)와 접지단자(A)간에 인가된 공급전원(AC)은 주지된 방법에 따라 4배압으로 정류되는 바, 이대 110V/220V자동절환회로(3)에 있는 제4 릴레이(RY4)가 비동작상태에서 그 릴레이 스위치단자(b)(c)가 접속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2배압정류회로(11)는 릴레이 스위치단자(b)(c)를 통해 또 하난의 2배압정류회로(12)에 연겨로디므로 결국 4배압정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4배압정류회로(1)내의 도시되지 않은 내부콘덴서가 입력 AC전압의 4배압 직류전압으로 완전히 충전되면, 단자(X)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공급전원(AC)인 110V전압이 4배압정류된 620V직류전압으로 되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애노드단자(Ad)로 인가됨과 더불어, 4배압정류회로(1)의 단자(Y)에서는 4배압출력의 1/2인 310V의 직류전압이 출력되어 릴레이구동회로(2)의 저항(R1)으로 인가된다. 여기서 저항(R1)은 통상적인 4배압정류회로(1)의 단자(Y)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310V일 때 제너다이오드(ZD1)가 전압강하시키시 때문에(즉, ZD1의 항복전압이 24V이면 R1의 도통되도록 전압강하분은 286V가 되도록 그 저항치가 정해져 있음)제너다이오드(ZD1)가 통전된다. 그에따라 공급전원(AC)이 인간되는 접속점(U)과 접속점(P)사이에는 AC입력 110V와의 전압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제1 릴레이(RY1)가 작동하게 되어 그 릴레이 스위치가 ON되고, 이에따라 공급전원(AC)이 트라이악(TC1)의 게이트에 저항(R5)를 통해서 트리거전압으로 인가되므로 트라이악(TC1)이 통전된다.
따라서 트라이악(TC1) 애노드에 인가되는 AC 110V가 그 캐소드로 흘러서 제2 릴레이(RY2)의 코일로 인가된다. 그에따라 제2 릴레이(RY2)가 작동하게 되어 릴레이 스위치 단자(b)와 단자(c), 단자(e)와 단자(f)가 각각 접속되므로 트리거 코일(LT)의 출력측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단자(Tr)에 접속된다. 만일 공지의 4배압정류회로(1)의 단자(X)(Y)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내부콘덴서의 미충전으로 말미암아 규정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때는 릴레이구동회로(2)의 제너다이오드(ZD1)가 오프상태로 되므로 제1 릴레이(RY1)가 작동하지 않고, 이에따라 트라이악(TC1)도 턴-오드되어 제2 릴레이(RY2)도 작동하지 않으므로 제2 릴레이(RY2)의 릴레이스위치단자(b)와 단자(c), 단자(e)와 단자(f)가 각각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트리거코일(LT)의 출력측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에 연결되지 않는한편, 콘덴서(C4)를 통해 경보기(AM)에 인가되는 공급전원(AC)의 접지측 통로가 형성되므로 경보기(AM)는 빙치나 소리로 미 충전상태의 경보를 발한다. 그러나 이와달리 4배압정류회로(1)의 내부충전이 완료되어 정상직류가 출력되는 전술한 경우에(즉, 제2 릴레이(RY2)의 릴레이스위치단자(b)와 단자(c), 단자(e)와 단자(f)가 각각 접속된 상태에)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게되면 카메라의 셔터스위치(SW2)가 ON되어 상기한 통상의 트리거전압생성용 고압발생회로(5)의 단자(S)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이 셔터스위치(SW2)를 통해 트리거코일(LT)로 인가되고 그에따라 트리거코일(LT)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전압이 제2 릴레이(RY2)의 릴레이스위치단자(e)(f)를 통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단자(Tr)로 인가됨과 동시에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캐소드단자(Cd)는 릴레이스위치단자(b)(c)를 통해 접지점을 제공받게 되므로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이 방전하게 되어 사진촬영에 적합한 광도의 빛을 발하게 된다.
위와 달리 공급전원(AC)이 220V로 인가되는 경우, 110V/220V 자동절환회로(3)의 220V동작용 릴레이(RY3)가 작동하게 되어 릴레이스위치가 온되고, 이에따라 저항(R4)을 통한 공급전원(AC)에 의해 트라이악(TC2)의 게이트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트라이악(TC2)이 통전되어 제4 릴레이(RY4)가 작동라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의 단자(a)와 단자(b), 단자(d)와 단자(e)가 각각 접속되므로 220v의 공급전원(AC)은 상기 단자(d)(e)를 통해 트랜스포머(T1)의 1차측 종단 단자에 인가되고, 이로서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은 공급전원(AC)이 110v인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공지의 4배압정류회로(1)에 있어서 제4 릴레이(RY4)의 동작에 따라 릴레이스위치의 단자(a)(b)가 접속되므로 결국 2배압정류회로(11)와 2배압정류회로(12)는 서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A)(B)로 인가된 220V의 공급전원(AC)은 하나의 2배압정류회로(11)만을 통해 2배압정류된 다음 620V로 되어 단자(X)로 출력한다. 따라서 단자(X)(Y)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각각 620V, 310V의 직류전압으로 되어 AC 110V가 공급전원으로 인가되는 상기 경우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여기에서 공급전원(AC)입력부에 잇는 콘덴서(C2)는 전원스위치(SW1)의 ON, OFF시 발생되는 스파크를 방지하게 위한 것이다.
한편, 광센서부(4)는 본 장치와 별개의 다른 스크로보 방전관이 발광될 때 본 장치의 방전관(ST1)(ST2)도 발광시켜 빛의 광도를 높히고자 설치된 것으로서, 즉 스위치(SW3)를 ON시킨 상태에서 본 장치오 별개인 다른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하여 빛을 발하면, 이 빛에 의해 광센서부(4)의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온되어 고압발생회로(5)의 단자(S)에서 출력된 고전압의 수메가Ω단위의 저항(Rx)을 통해 낮은 전압으로 강압된 후 스위치(SW3)와 포토트랜지스터(PT)의 컬렉터 및 에미터를 통해 트라이악(TC3)의 게이트로 인가되게 된다. (여기서 포토트랜지스터(PT)를 보호하기 위해 저항(Rx)은 고저항을 사용한다.) 그에따라 트라이악(TC3)통해 트리거코일(LT)로 인가되어 상기한 셔터스위치(SW2)를 누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으로 트리거전압이 인가되므로써 방전하게 된다. 이 동작은 빛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순간적으로 작동되어 다른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함과 동시에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추가 방전에 의한 광도만큼 빛의 광고가 더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을 콘넥터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이때에는 우선적으로 스위치(SW1)를 OFF시킨다. 그러면 제2 릴레이(RY2)도 작동치 않게되어 방전관(ST1)(ST2)의 접속 또는 분리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별도의 외부 스트로보 방전관의 성광에 동기되어 본 발명의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이 작동해야 할 경우에 실제로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이 발광되지 않으면, 촬영직후, 경보기(AM)에서 빛이나 소리를 발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이 연동으로 방전되지 않으면 제2 릴레이(RY2)의 접점이(b)(c), (e)(f)의 상태로 유지되므로 경보기(AM)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보기(AM)의 작동상태를 점검하므로써 본 발명이 연동되어 동작했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작동되지 않은것을 감지하여 피사체를 재촬영하므로써 촬영실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스트로보 방전관의 애노드측에 인가되는 충전전압이 충분하게 높을 때만 스트로보 방전곤에 트리거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충전량이 사진촬영에 필용한 적정치로 될 때에만 스트로보를 구동시킬 수 있고, 광센서부(4)의 작용으로 스트로보의 연동을 가능케할 뿐만 아니라, 최초 전원인가시와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분리시 발생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10V/220V 자동절환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110V지역이나 220V지역에서 승압 또는 가압 트랜스없이 경용으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적인 2배압정류회로(11)(12)가 결속된 4재압정류회로(1)와 고압발생회로(5)를 구비하고 있는 스트로보 장치에 있어서, 저항(R1)(R2)(R5)고 제너다이오드(ZD1), 콘덴서(C1), 제1 릴레이회로(RY1) 및 트라이악(TC1)으로 구성되어 상기 4배압정류호로(1)의 단자(Y)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적정치일 경우에만 제2 릴레이(RY2)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2)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2)의 제어에 의해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에 트리거 전압과 접지전위를 인가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제2 릴레이(RY2), 공급전원(AC)의 인가시 및 스트로보 콘넥터의 착탈시 발생되는 스파크를 방지하기 위한 스위치(SW1)와 콘덴서(C2), 저항(R3)(R4)과 다이오드(D1), 220V동작용 제3 릴레이(RY3)와 제4 릴레이(RY4), 콘덴서(C5) 및 트라이악(TC2)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압발생회로(5)에 결합되는 입력트랜스(T1)의 랩을 전환시키므로써 110V/220V 자동절환을 하는 자동절환회로(3), 포토트랜지스터(PT)와 스위치(SW3) 및 트라이악(TC3)으로 구성되어 다른 스트로보 방전관이 방전될 때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을 자동으로 방전시키기 위해 트리거전압용 고압을 인가하는 광센서부(4), 상기 고압발생회로(5)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을 받아 들여서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을 트리거 시키기에 알맞은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트리거코일(LT) 및 상기 4배압정류회로(1)에서 출력되어 상기 스트로보 방전관(ST1)(ST2)의 애노드단자(Ad)로 인가되는 전압이 적정치보다 낮을 때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AM)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 장치.
KR1019860006269A 1986-07-30 1986-07-30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KR89000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269A KR890001961B1 (ko) 1986-07-30 1986-07-30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269A KR890001961B1 (ko) 1986-07-30 1986-07-30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09A KR880002409A (ko) 1988-04-30
KR890001961B1 true KR890001961B1 (ko) 1989-06-03

Family

ID=1925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269A KR890001961B1 (ko) 1986-07-30 1986-07-30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09A (ko) 198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1746B2 (en) Lamp driver circuit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coupled to direct-current to direct-current power converter
EP2141967A2 (en) False failure prevention circuit in emergency ballast
MXPA04002360A (es) Aparato y metodo para la deteccion transitoria de la condicion final de la vida de una lampara.
KR0163640B1 (ko) 광량 및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로보 조광장치
KR890001961B1 (ko) 110v/220v 자동절환 스트로보장치
US4393335A (en) Electronic flash device
US4942340A (en) Arrangement for displaying operation of booster circuit for flash device camera
JPH0220088B2 (ko)
US6856241B1 (en) Variable candela strobe
US4561751A (en) Flash device
US4246515A (en) Energy-regulating firing circuit for an electronic strobe flash unit
KR0157518B1 (ko) 접속 관계가 용이해진 외부 장착용 플래시 제어 장치
JP2978966B2 (ja) フラッシュライト駆動回路
JP2902703B2 (ja) 調光式ストロボの制御回路
JP3285983B2 (ja) 充電用アダプタ及び該アダプタを備えた電気機器
JPH04107438A (ja) カメラ
JP3952688B2 (ja) フラッシュランプ用点灯装置
JPH04256936A (ja) 閃光発光装置
JP2577280Y2 (ja) ストロボ発光装置
KR200149625Y1 (ko) 스트로보 장치
JPH0629932B2 (ja) 閃光起動装置
JPS5911090B2 (ja) 光量制御閃光発生装置
JPH0340479B2 (ko)
JPS6139496A (ja) 電子閃光装置
JP2002196402A (ja) 発光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80918

Effective date: 199901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