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141B1 -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Google Patents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1141B1 KR890001141B1 KR1019840001668A KR840001668A KR890001141B1 KR 890001141 B1 KR890001141 B1 KR 890001141B1 KR 1019840001668 A KR1019840001668 A KR 1019840001668A KR 840001668 A KR840001668 A KR 840001668A KR 890001141 B1 KR890001141 B1 KR 890001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b
- bulbs
- low pressure
- discharge lamp
- shap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5—U-shaped lam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다른 종래의 U자상 형광램프를 표시한 정면도.
제3도는 U자상벌스의 제조공정중의 장치에 의한 파지(把持)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더블 U자상 형광램프를 표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의 발명의 일실시예를 일부 절결한 정면도.
제6도는 사시도.
제7도는 전개도.
제8도는 상면도.
제9도는 제2의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전개도.
제10도는 제2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벌브 (1a)-(1d) : 각부(脚部)
(6) : 전극 (10) : 단판
(13) : 외관
본 발명은 방전로를 규제하는 U자상 유리제 벌브를 가진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U자상으로 절곡 또는 접속된 벌브를 가진 형광램프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54-155675호 공보(제1도) 혹은 특개소 55-133744호 공보(제2도)등에 의해 주지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램프는 램프를 콤팩트화 하는데 유리하다. 그렇지만 도시한 것과같이 U자상으로 성형된 벌브(1)는 양각부(1a)(1b) 사이에 간격(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램프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벌브(1)의 양각부(1a)(1b)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잡는 방법에서는 양각부(1a)(1b)의 연결부(2a)가 깨지기 쉽고, 따라서 일본국 특개소 55-124928호 공보(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벌브(1)의 양각부(1a)(1b)를 통하는 평면측이 파지되어 장치(A)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백열전구의 대채용으로써 콤팩트화된 형광램프는 벌브(1)의 각부 (1a) (1b)의 높이가 100-150mm 정도의 것이 많으므로 상기와 같이 제조공정에서 벌브의 일방향측만을 파지할 수 있다는 것은 각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제조장치(A)의 고정밀도가 요구되게 되어 장치(A)의 보수, 점검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램프의 콤펙트화를 도모하는 의미에서 상기 U자상 벌브(1)를 또다시 두개 절곡된 형상(이후 더블 형상이라한다)의 형광램프이다.
제4도는 그 대표적인 예로서 일본국 특개원 55-108162호 공보에 공개된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두개의 U자상 벌브(1)(1)의 각각부 (1a)(1b)(1c)(1d)는 인접하는 다른 각부에 대하여 간격(31)(32)(33)(3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연결부 (2a)(2b)를 파괴함이 없이 장치(A)에 파지시키려면, 상기 1개의 U자상 벌브(1)를 파지하는 것에 비하여 장치(A)가 특별히 복잡하게 되어 비양산적인 것이 된다. 이러한 것은 U자상 벌브를 외관내에 배치한 이중관 구조에 관하여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U자상으로 성형된 벌브의 양각부를 서로 당접상태로 대향시키고, 램프제조시에 있어서의 장치에 의한 벌브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장치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양산을 가능하게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U자상 형광램프를 일부 절결한 정면도인데,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외경 16.5mm, 두께 0.8mm의 소다글래스제의 직관(直管)을 두개 병설하고 그 일단끼리를 외부와 기밀하게 접합하여 내부를 연통시킨 U자상 벌브이다. 이때의 벌브(1)의 높이는 140mm였다. 또 이 벌브(1)는 그 양각부(1a)(1b)이 서로 거의 밀착된 당접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당접상태라는 것은 벌브(1)의 양각부(1a)(1b)의 단부(1a')(1b') 사이의 간격(31)이 0-0.8mm 인것을 말한다. 환언하면, 양각부의 단부(1d')(1b')를 통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양측에서 양각부(1a)(1b) 사이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벌브(1)의 연결부(2a)에 인장력이 가해져 연결부(2a)가 탄성 변형하지만, 이 탄성변형의 한계를 넘지않는 범위에 있어서 양각부의 단부(1a')(1b')끼리 당접상태로 되는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 (4)는 형광체층, (5)는 스템, (6)은 전극, (7)은 구금, (8)은 구금핀, (9)는 접착제인데 이들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형광램프에 있어서는 벌브(1)의 양각부(1a)(1b)는 양각부(1a)(1b)의 중심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연결부(2a)가 탄성변형을 일으켜도 그 연결부(2a)가 탄성변형 한계를 넘기 이전에 당접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당접후에도 다시 같은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도 연결부(2a)의 파괴를 방지한다.
결국, 유리는 인장응력에 대해서는 파괴되기 쉬우나, 압측응력에는 강한 특징이 있으며 상기 실시예의 구성은 그 내압축 응력에 우수한 유리의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램프제조시의 벌브(1)의 파지방향은 특히 제약을 받지 않아도 되며 제조장치의 간소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공정간에서의 벌브 수도작업(受度作業)의 자유도(自由度)가 증가된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양각부(1a)(1b)의 단부(1a')(1b')의 간격 (31)을 0.8mm를 초과하여 형성시키면, 연결부(2a)의 파괴가 격증하였다. 더우기 간격 (31)의 거리는 벌브(1)를 구성하는 유리의 두께 또는 벌브(1)의 높이가 다르면 당연히 다른것이 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벌브(1)의 외형이 주지의 백열전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간격(31)을 0-0.8mm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인데, 제6도는 사시도, 제7도는 전개도, 제8도는 상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 및 (1)은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유리재료이고 벌브(1)(1)의 높이는 92mm이며 다른것은 제5도와 동일한 외형 크기로서 U자상으로 성형된 2개의 벌브이다. 이 벌브(1)(1)는 각각 두단부(1a') (1b')및 단부(1c')(1d')가 원판상 세라믹제 단판(10)에 글래스프리트(11)에 의하여 기밀하게 고착되어 있다. 또 그 벌브 (1)(1)의 각부(1a)(1b) 및 (1c)(1d)는 단판(10)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각각 인접하는 상방측의 벌브(1)의 각부(1a)(1b) 및 (1c) (1d)끼리 당접상태로 대향되어 있다. 결국 각부(1a)(1b) 및 (1c)(1d) 사이의 간격, (31)(32)(33)(34)는 0-0.8mm로 형성되어 있다. 또 다시 이 2개의 벌브(1)(1)의 각각 한쪽의 각부단부(1a')(1c')내에 전극(6)을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극(6)을 설치하지 않은측의 다른각부단부(1b')(1d')는 단판(10)의 근방에서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로 말미암아, 전극(6)간을 연결하는 방전로는 제4도에 표시한 다블 U자상 벌브(1)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램프는, 제조시에서 파지하는데 용이함과 동시에 그 결과에 대하여 램프완성후 램프를 특히 도시하지 않은 램프소케트에 착탈시킬때 벌브(1)(1)의 파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즉 이 종류의 램프의 착탈은 벌브(1)(1)를 사람이 잡고 그 벌브(1)(1)에 토오크를 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램프의 착탈시에는 벌브(1)(1)의 각부단부(1a')-(1d')에 토오크와 벌브(1)(1)끼리 접근하려는 힘이 집중하여 가해져 각부단부(1a')-(1d')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실시예의 것은 4개의 각부(1a)-(1d)끼리 서로 당접상태이기 때문에 각부(1a)-(1d)를 접근시키려는 외력에 충분히 대항하게 된다.
또한 각부단부(1a')-(1d')가 전부단판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각부 단부(1a')-(1d')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분산시켜 파괴를 경감시킨다. 또한 이 실시예는 상기 제 1 의 실시예에 비하여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방전로장을 길게잡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나타낸다.
제9도는 제2의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전개도로써 이도면에서 (1)(1)는 상기 제6도 내지 제8도에 표시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된 더블 U자상 벌브이다. (10)은 세라믹제의 단판이고 한쌍의 전극(6)을 기밀하게 봉착하고 있다. 이 전극(6)은 일연의 벌브(1)(1)의 양단부(1a')(1c')내에 내포되어 있고 그 벌브단부(1a')(1c')가 단판(10)에 글래스프리트(11)에 의해 고착되므로써 전극(6)끼리 방전적으로 도통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또 벌브(1)(1)의 전극(6)을 내포하고 있지 않은측의 단부(1b') (1d')는 단판 (10)에 당접되어 있고 한편 단판(10)에는 이 벌브(1b')(1d')의 당접장소의 일부에부를 설치하고, 이부를 개구부(12)로서 벌브(1)(1)과 외관(13)내가 연통되어 있다. (13)은 내면에 광확산층(14)를 피착시킨 유리제의 저부가 개구의 원통상인 외관이다. 이 외관은(13)은 저부의 개구가 원통산인 외관이다. 이 외관(13)은 저부의 개구가 상기단판(10)에 의해 기밀하게 폐쇄되어 내부에 방전매체를 봉입시킨 방전공간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중관 구조의 형광램프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더블U자상의 방전로를 형성하면서 외관(13)이 최냉부(最冷部)를 형성하기 때문에 방전공간내의 수은증기압을 적당하게 유지하여 램프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 벌브(1)(1)끼리 서로 당접상태이므로 이 종류의 이중관 구조의 램프에 비하여 외형을 보다 콤팩트화 할 수 있다. 또 다시 벌브(1)(1)에는 램프완성후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전극(6)을 내포하는 각부단부(1a')(1c')만을 글래스프리트(11)로서 단판 (10)에 고착하면 된다.
이로 말미암아 램프를 착탈할때의 강도를 저하시킴이 없이 제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벌브(1)(1)를 단판(10)에 고착할때 각부단부(1a')-(1d')가 전부 연결부(2a)(2b)(2a)를 개폐시켜 일체화되어 단판(10)에 당접되어 있기 때문에 벌브(1)(1)를 보조수단에 의하여 지지시키지 않고 고착작업을 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또 제9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단판(10)에부를 설치하여 개구부(12)로 하였으나 이 개구부(12)는 벌브(1)의 일부에 구멍을 뚫어도 되고 또 제10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벌브(1)의 단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것도 된다.
또 U자상벌브(1)는 꼭 2개만 필요하지 않고 벌브(1)를 1개로 한 것도 제9도 및 제10도의 것과 동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단판(10)의 재질로서 세라믹을 사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세라믹 이외의 유리 또는 금속 등의 사용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U자상의 벌브의 양각부를 서로 당접상태로 대향시켰으므로 벌브를 어떤 방향에서 파지하여도 벌브가 파괴되는 것이 없어지고 따라서 제조장치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장치의 보수, 점검 및 램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U자상 벌브를 외관으로 포위되어 이중관 구조로 하였으므로 상기 효과에 대하여 램프를 보다 콤펙트화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 U자상으로 형성된 벌브에 의하여 U자상 방전로를 형성하도록된 것에 있어서, U자상 벌브의 양각부는 서로 당접상태로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압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벌브는 2개이고 각 벌브는 각부의 한쪽끼리 서로 연결되어, 일연의 2개의 U자상 방전로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벌브는 서로 양각부를 당접상태로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의 범위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벌브의 연결부는 기밀하게 용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벌브의 각부단부는 1개의 세라믹, 유리 또는 금속제의 단판으로 접착제에 의하여 봉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한쌍의 전극을 설치한 단판에 의하여 저부를 폐쇄하여 내부를 방전공간으로한 외관, 이 외관내에 배치되어 일부가 외관내로 개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한 U자상 벌브와를 구비하고, 상기 방전공간에 U자상 방전로를 형성되도록 된 이중관 구조의 것에 있어서, 상기 U자상 벌브의 양각부는 서로 당접상태로 대향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6항에 있어서, 벌브는 2개이고 각 벌브의 각부의 한쪽끼리 그 단부 근방에서 서로 연결되고 일연의 U자상 벌브의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벌브는 서로 양각부를 당접상태로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청구범위 제7항 및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벌브의 각각부의 한쪽의 단부는 전극을 기밀상태로 내포시켜 단판에 고착하고, 각각부의 타단부를 단판에 당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47619 | 1983-08-12 | ||
JP58147619A JPH0614464B2 (ja) | 1983-08-12 | 1983-08-12 | 低圧水銀蒸気放電灯 |
JP58-147619 | 1983-08-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2545A KR850002545A (ko) | 1985-05-13 |
KR890001141B1 true KR890001141B1 (ko) | 1989-04-24 |
Family
ID=1543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1668A KR890001141B1 (ko) | 1983-08-12 | 1984-03-30 |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614464B2 (ko) |
KR (1) | KR8900011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00957B2 (ja) * | 2007-08-08 | 2012-03-21 | 株式会社eスター | 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 |
DE102009040051B4 (de) | 2009-09-03 | 2014-05-08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Freikolbenmaschine mit magnetischer Lagerung des Kolbe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01662A (en) * | 1967-12-29 | 1970-03-17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Planar or three-dimensional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
JPS54155675A (en) * | 1978-05-30 | 1979-12-07 | Matsushita Electronics Corp | Small-sized fluorescent lamp |
JPS5744956A (en) * | 1980-08-29 | 1982-03-13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Low pressure discharge lamp |
-
1983
- 1983-08-12 JP JP58147619A patent/JPH0614464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4
- 1984-03-30 KR KR1019840001668A patent/KR8900011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614464B2 (ja) | 1994-02-23 |
KR850002545A (ko) | 1985-05-13 |
JPS6039753A (ja) | 1985-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49007A (en) | Low pressure discharge lamp with flat-plate terminal | |
US4687969A (en) | Discharge tube for a high pressure metal vapor discharge lam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5527199A (en) | Discharge lamp lead-through construction with a conductor flattened by stamping | |
KR890001141B1 (ko) | 저압수은 증기 방전등 | |
JPS61161647A (ja) | 発光管シールドを備えた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 |
KR890003211B1 (ko) | 형광램프 | |
US4659962A (en) | Low pressure discharge lamp | |
JPH057727Y2 (ko) | ||
JPH0537400Y2 (ko) | ||
KR890001956B1 (ko) |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 |
JP2585542B2 (ja) | 小形偏平バツクライト | |
JPH11204080A (ja) | 平板形蛍光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729998B2 (ja) | 放電灯 | |
JPH0115975B2 (ko) | ||
JPH054198Y2 (ko) | ||
JPS6145546A (ja) | 画像表示装置 | |
JPH02288060A (ja) | 片口金偏平放電管 | |
JPS61240522A (ja) | 小形螢光ランプ | |
JPS5929347A (ja) | 螢光ランプ | |
JPH0429481Y2 (ko) | ||
JPS6362063B2 (ko) | ||
JPH04123062U (ja) | 平面型蛍光ランプ | |
JPS58121546A (ja) | 放電灯 | |
JPH0337951A (ja) | 二重管形放電灯 | |
JPH0511297U (ja) | 蛍光表示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