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56B1 -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56B1
KR890001956B1 KR1019840001062A KR840001062A KR890001956B1 KR 890001956 B1 KR890001956 B1 KR 890001956B1 KR 1019840001062 A KR1019840001062 A KR 1019840001062A KR 840001062 A KR840001062 A KR 840001062A KR 890001956 B1 KR890001956 B1 KR 89000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opening
stem
tubes
discharg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977A (ko
Inventor
히토시 야마자키
타카오 라카다
코오지 야마요토
시즈오 나카노
히로시 이토오
쥰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1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56B1/ko
Publication of KR85000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의 저압방전등을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저압방전등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관의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관 2 : 스템
3 : 전극 4 : 내관
5 : 개구 6 : 연결부
본 발명은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외관내에 방전로 규제를 위한 내관을 설치한 전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방전등은 그 형상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백열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벌써 여러가지 구체적 제안이 나와있다. 그 하나로서, 일본국 특개소 57-449556호에 공개된 것이 있는데 제1도에 이를 표시한다. 즉, 외관(1)의 하단 개구부를 막는 스템(stem)(2)에, 외관(1)내에 돌출하도록 2개의 전극(3)을 설치하고, 이 전극(3)을 관통하는 돌기(11)에, U자상 내관(4)의 일단을 각각 감합시켜 전극(3)끼리의 혼선방전을 저지하고 있다.
또 이 내관(4)의 다른쪽의 개구단은 스템(2)상면에 접해있고 다시 그 개구단 부근에 걸쳐 방전용공(5)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이 내관(1)은 스템(2)에 고정된 지지봉(9)의 상단에 부착된 압압판(10)에 의하여 양개구단이 스템(2)에 압압되도록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7은 형광체층이다.
이러한 구성의 형광램프 내관(1)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봉(9) 및 압압판(10)이 램프내에 별개의 부품으로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어 부품관리가 번잡해지고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공정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각 내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연부를 서로 용차깃켜 내관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부품관리의 번잡화, 제조공정의 복잡화 및 램프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모두 제거한 저압방전등 및 저압방전등에 적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1은 선단을 돔(dome)상으로 하고 저부를 개구시킨 원통형의 유리제 외관, 2는 이 외관(1)의 저부 개구를 기밀하게 막는 금속 또는 세라믹제 스템, 이 스템(2)과 외관(1)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밀공간에는 소정량의 수은과 아르곤 가스등의 희유원소 가스로 구성되는 방전매체가 봉입되어 있다. 3은 외관(1)내로 돌출되도록 스템(2)에 밀착된 2개의 전극, 4는 외관(1)내 방전로를 규제하는 유리제 내관이다. 이 내관(4)은 U자상으로 절곡된 2개의 유리관의 한쪽의 각부(脚部)끼리 용착시켜 일체화되어 있다. 즉 이 내관(4)의 자유단측의 단부는 전극(3)을 내포한 상태에서 글래스프리트(glassfrit)에 의하여 스템(2)면상에 서로의 전극(3)끼리 혼선방전이 생기지 않도록 기밀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한편 다른쪽 단은 스템(2)면상에 접촉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있는 측면부에 단면으로부터 절개한 대략 반원형개구(5)가 형성되어 있고 다시 이 개구(5)의 정상부에는 내관(4)을 구성하는 유리를 용융시켜 개구(5)의 정상부끼리 서로 용착시켜 연결부(6)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표시한 내관(4)은 다음과 같이 해서 제작한 것이다.
제3도는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U자상으로 절곡시킨 2개의 유리관(A)(A)를 2개의 각부 (A1)(A1) 및 (A2)(A2)끼리 서로 근접 대향시키고, 단면을 상향(上向)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각부(A2)(A2)의 단부로부터 그 각부(A2)(A2)의 단부를 가스버너(C)로서 동시에 가열 용융시킨다. 이 상태로 잠시두면 버너(C)의 화염풍압에 의하여 각(A2)(A2)는 단면측으로부터 절개된 것과 같이 반원형의 개구(5)를 형성한다. 이 개구(5)의 주연부(51)에는 용해된 유리가 덩어리(52)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개구(5)의 정상부(개구주연(51)을 형성하는 원료의 중심부)의 덩어리(52)를 잡은 다음 유리관(A)(A)끼리 서로 약간 간극을 띄우고 그 잡은 부분이 소정의 연결부(6)가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내관(4)의 제작이 완료된다.
또 내관(4)내에 피착되는 형광체층(7)은 내관(4)을 성형한 후에 형성시키는 것이 연결부(6)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형성한 형광램프에 있어서 2의 내관(4)의 연결부(6)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2개의 U자상 만곡부를 갖는 1개의 내관(4)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4개의 단면에 의하여 스템(2)면상에 아무런 지지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세울 수가 있다.
그러므로 내관(4)을 스템(2)에 글래스프리트(8)에 의하여 고착시키는 작업도 종래와 같이 1개의 U자상 관으로서 내관(4)을 고착할때에 사용하는 내관의 지지구(도시생략)가 불필요하게 되고 고착작업이 지극히 간소호된다. 더구나 4개의 단면이 전부 스템(2)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착작업의 다음 공정에 있어서 또는 제품으로서 취급될때 받는 충격력과 같은 외력을 받아도 내관(4) 자체가 넘어지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관(4)을 고착한 후에 있어서도 제1도와 같이 내관의 지지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 그 부품을 조립시키는 공수도 감소시키게 되므로 부품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도에 표시한 지지봉(9) 및 압압판(10)은 금속으로 되어 있으나 백열전구의 대체품으로써 경량화가 요구되는 이 종류의 형광램프에 있어서는 그 지지봉(9) 및 압압판(10)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한 중량적 잇점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내관(4)의 제조에 있어서는 방전용 구멍인 개구(5)의 형성과 동시에 연결부(6)를 형성하므로 유리관의 가열공정 및 풀림(annealing)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공정수의 감소에 따라서 유리관과 같은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사용하고 있는 내관(4)의 생산률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내관(4)에 형성된 개구(5)는 단면에서 절결된 반원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관(4)의 각부(脚部)의 중간에 원형으로 형성되여도 된다. 이 경우의 개구(5)의 형성방법은 개구할 예정장소의 외측방향에서 경사지게 산소가스의 화염과 같은 고온의 화염을 분출시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외관내에 양단면을 외관저면에 접촉시킨 2개의 내관을 설치하고, 이 내관의 전극을 갖지 않는 한쪽의 단부에 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개구의 주연의 일부끼리 서로 용착시켰으므로 내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일체 불필요하게 되고, 따러서 부품의 개수를 감소되어 부품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내관 지지부재의 조립도 생략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감소화된다. 또 상기 저압방전등을 제조할때 U자상으로 절곡된 2개의 유리관끼리를 서로 접근 대향시켜, 이어서 그 유리관의 개구 예정개소에 가스버어너로써 개구 예정개소의 용융과 화염압력에 의해 개구하고 그후 즉시 개구주연부를 잡아서 연결시켰으므로 지극히 용이하고 생산률을 저하시키지 않고 저압방전등을 제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방전매체를 봉입하고 저부에 한쌍의 전극을 밀착시킨 투관재로된 외관(1), 이 외관(1)내에 설치되어 양단을 외관(1)의 저부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일단이 상기 전극을 기밀상태로 내포되도록 접착제로 고착하고, 타단부에는 외관(1)내에 연통되는 개구(5)를 갖는 2개의 투광재로된 내관(4)을 구비하며 2개의 내관(4)은 개구(5)의 연부의 일부를 서로 용착시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방전등.
    U자상으로 절곡시킨 2개의 유리관을 서로의 양단부가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이어서 한쪽의 대향하는 각부를 가스버어너로 가열 용융시키면서 가스버어너의 화염으로 유리관에 구멍을 뚫고 계속하여 연화상태에 있는 상기 개구의 연부의 일부끼리를 잡고서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방전등의 제조방법.
KR1019840001062A 1984-03-02 1984-03-02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KR89000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062A KR890001956B1 (ko) 1984-03-02 1984-03-02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062A KR890001956B1 (ko) 1984-03-02 1984-03-02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977A KR850006977A (ko) 1985-10-25
KR890001956B1 true KR890001956B1 (ko) 1989-06-03

Family

ID=1923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062A KR890001956B1 (ko) 1984-03-02 1984-03-02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977A (ko) 198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3907A (en) Lamp having reduced width press-seal
US5767618A (en) Flat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nter-channel discharge suppression
US4713580A (en) Sealing structure for metal vapor arc discharge lamps
KR890001956B1 (ko) 저압방전등 및 그 제조방법
US3504215A (en) Planar fluorescent lamp with integral amalgam type mercury-vapor pressure control component
US4866341A (en) Discharge lamp with base for sealing the lamp
GB1583846A (en) Closing of electric discharge tubes
US4659962A (en) Low pressure discharge lamp
US4423350A (en) Fluorescent lamp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US3642340A (en) High-pressure metal vapor discharge lamp
US6404123B1 (en) Channeled glass article for compact fluorescent lighting
US4645972A (en) Low pressure discharge lamp
JPS5987747A (ja) 低圧放電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17265A (ja) けい光ランプ
JPS6329938B2 (ko)
US4862475A (en) Hollow-cathode type metal vapor laser tube
JPH01117266A (ja) けい光ランプ
JPS6329937B2 (ko)
JP2668831B2 (ja) ミニチュアランプの製造方法
JPS6321892Y2 (ko)
JPH01220363A (ja) セラミック放電灯
JPH0439660Y2 (ko)
JPH02288060A (ja) 片口金偏平放電管
JPS6329939B2 (ko)
JPH05182634A (ja) チップレス放電管及びチップレス放電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