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956Y1 - 기름, 물 혼합연소기 - Google Patents

기름, 물 혼합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956Y1
KR890000956Y1 KR2019860008865U KR860008865U KR890000956Y1 KR 890000956 Y1 KR890000956 Y1 KR 890000956Y1 KR 2019860008865 U KR2019860008865 U KR 2019860008865U KR 860008865 U KR860008865 U KR 860008865U KR 890000956 Y1 KR890000956 Y1 KR 890000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mbustor
heating chamber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985U (ko
Inventor
박순거
Original Assignee
박순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거 filed Critical 박순거
Priority to KR2019860008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956Y1/ko
Publication of KR880000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in which an emulsion of water and fuel is spray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름, 물 혼합연소기
제1도는 본 고안 연소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연소기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기본체 2 : 가스분사헤드
7 : 융출부 7′ : 치
8 : 덮개 9 : 가열실
13 : 물공급노즐 15 : 분사공
본 고안은 기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나 스토브등에 사용되고 있는 연소기를 더욱 발전시킨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연소기에 물을 공급하여 연소기 자체의 열로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고 이때 물에서 분리되어 얻어지는 산소와 수소가 연소되고 있는 화염에 분사되게 하여 연소되고 있는 연소열이 배가되도록 하므로서 결과적으로는 기름을 절약할수 잇도록 한 기름, 물혼합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현재까지 보일러나 스토브등에 사용하고있는 모든 기름연소기는 꼭 기름만을 연소시킬수 있는 기능만이 있을 뿐 물을 기름과 함께 연소시켜 열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은 전혀 없다.
또한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도 물과 기름을 함께 연소시키는 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벙커 C유를 물과 함께 연소시키는 방법이 개발에 성공하였다는 일부보도가 있게도 하였으나 아직까지 실용화에 성공한 예는 없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일반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름 보일러나 석유스토브등과 같은 기기의 연소기에 기름과 물을 동시에 공급하여 함께 연소시키므로서 더욱 높은 열량을 얻을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연료의 절약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보일러나 스토브등에 사용되고 있는 연소기 상단부 중앙에 튀어나온 가열실을 형성하고 가열실 상단부를 별도의 덮개로서 밀폐시키고, 이 가열실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공급된 물이 연소기자체의 열로서 가열되어 물에서 산소와 수소가 분리되도록하여 이와 같이 분리된 수소와 산소가 기름의 연소열에 분사되어 함께 연소되도록 하여 더욱 높은 열량을 얻도록 하였다.
특히 본 고안은 물과 기름을 직접 혼합하는 방식이 아니고 또 직접 연소시키는 방법도 아니며, 연소기에 물과 기름을 별도로 공급하여 기름은 예열로서 기화시키고 물은 연소기 자체가 가열되는 열에 의하여 끓어서 증발되게 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기화된 기름과 함께 연소시키므로서 기존 기름만 연소되는 것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열량을 얻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1)은 원형의 연소기 본체이며, 본체(1)의 저면기화판 (11)에는 예열용 히터(10)가 매설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공기유입구(2)가 천설되어 있다.
또한 기화판(11) 내부에는 기름공급노즐(12)이 원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매설되어 있고, 끝단만이 기화판(11)상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1)본체 상단에는 원통형의 안내관(6)이 안내관 지지판(5)에 의해 고정설치 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는 둘레에 무수히 많은 가스분사공(4)이 천공된 가스분사헤드(3)가 설치되었다.
가스분사해드(3) 중앙상단부에는 본 고안의 가장 핵심부분인 원통형의 융출부(7)를 튀어나오게 형성하여 가열실(9)을 형성하였다.
원통형의 융출부(7) 상단면에는 치(7′)를 형성하였으며, 길이가 긴 다수개의 걸림돌기(8′)가 형성된 덮개(8)를 덮어서 산소, 수소 분사공(15)을 형성하였다.
또한 가열실(9) 내부중앙에는 물공급관(13)이 설치되는데 이 물공급관(13)은 안내관(6)을 통해 연소기본체(1)의 공기유입구(2)로 인출되며, 이때 가열실(9)과 물공급관(13)의 크기는 직경의 비가 약 40 : 1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연소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화판(11)의 히터(10)를 각동시켜 기화판(11)을 가열시킨다.
기화판(11)이 일정온도까지 가열되면 기름공급노즐(12)을 통해 기름을 공급하는데, 이때 이와같은 동작은 별도의 전자회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기름공급노즐의 밸브가 열리도록 할 수가 있다.
일단 기름공급노즐(12)로 기름이 공급되면 이 기름을 기화판(11)내부에 원형으로 감겨 설치된 공급노즐(12)을 통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예열된 기화판 (11)내부에서 지체되는 시간이 많은데, 이 순간 기름은 기화가 된다.
순간적으로 기화된 기름은 기름공급노즐(12)의 상단부를 통해 분사되는데, 노즐의 상단부에는 안내관(6)이 설치되어 있어, 기화된 가스는 안내관(6)을 통해 상승하여 가스분사헤드(3)에 부딪치며, 확산되어 가스분사공(4)을 통해 분사된다.
이 순간 점화장치(도시생략)를 작동시켜 점화를 하면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연소가 이루어진다. 점화가 이루어지면 가스분사헤드(3)는 즉시 가열이 된다.
이 상태에서 물공급노즐(13)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물은 가열실(9)내부로 공급되는데, 공급된 물은 즉시 가열되어 기화되고 이 순간 기화된 물로부터 산소와 수소가 분리되며,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하여 거듭 얻어지는 수소와 산소는 융출부(7)와 덮개(8) 사이에 형성된 분사공(15)을 통해 이미 연소되고 있는 불꽃에 분사가 되어 함께 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기름이 기화된 가스와 수소, 산소가 함께 연소가 되므로 열량은 매우 높아진다.
이때의 열량은 실제 실험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물을 100℃로 가열하는데, 프로판가스에 비하여 가열시간이 1/3으로 단축됨이 증명되었으며, 물과 기름의 공급비율은 1:3이 가장 적당함이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또한 물공급노즐(13)의 직경은 가열실(9) 직경의 1/40이 적당하며, 최소 0.3㎜에서 최대 10㎜까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본 고안에서 덮개(8)는 융출부(7)에 자중에 의해 얹혀있는 상태이며 걸림돌기(8′)에 의해 떨어지지만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실(9)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상승하여 압력을 많이 배출하므로 폭발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름과 물을 함께 연소시키되 물을 가열하여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연소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기름의 연소열을 높여주므로서 가열시간을 단축하므로서 결과적으로는 기름을 절약할 수 있어, 자원절약의 측면에서 매우 효과가 큰 특징이 있으며, 기름대신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예열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바로 점화를 하여 사용할수 있다.

Claims (1)

  1. 저면에 기화판(11)이 있는 원통형의 본체(1)상부에 가스 분사헤드(3)가 결합된 공지의 연소기에 있어서, 가스분사헤드(3)의 상단부 중앙에 원통형의 융출부(7)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면 둘레에 치(7′)를 형성하고, 또 다수개의 걸림돌기(8′)가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덮개(8)를 덮어 덮개(8)와 융출부(7) 내부와의 사이에는 가열실(9)이 그리고 치(8)와의 사이에는 분사공(15)이 형성되게 하며, 가열실(9)의 내부에 물공급노즐(13)을 설치하여서된 기름, 물 혼합연소기.
KR2019860008865U 1986-06-24 1986-06-24 기름, 물 혼합연소기 KR890000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65U KR890000956Y1 (ko) 1986-06-24 1986-06-24 기름, 물 혼합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865U KR890000956Y1 (ko) 1986-06-24 1986-06-24 기름, 물 혼합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85U KR880000985U (ko) 1988-02-23
KR890000956Y1 true KR890000956Y1 (ko) 1989-03-27

Family

ID=1925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865U KR890000956Y1 (ko) 1986-06-24 1986-06-24 기름, 물 혼합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9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85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956Y1 (ko) 기름, 물 혼합연소기
KR100575267B1 (ko) 브라운가스 물기름 연소기
US2448142A (en) Vaporizing type burner with
JPS5974413A (ja) 燃焼装置
JPS6225928B2 (ko)
KR820000292Y1 (ko) 오일 연소기의 예열장치
KR880004141Y1 (ko)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KR940002810Y1 (ko) 순간 기화식 석유 버너
KR800000238Y1 (ko) 액체연료 연소기
JP310116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940007583Y1 (ko) 심지식 연료 연소기의 점화장치
KR900007007B1 (ko) 석유 연소기
JPS5819618A (ja) 液体燃料燃焼器
KR900001672Y1 (ko) 석유 연소기의 버너 헤드
JPS602425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141469Y1 (ko) 오일연소기의 기화기
KR950009334Y1 (ko) 연소기의 가열 기화장치
KR200151861Y1 (ko) 오일연소기용 분젠식 버너의 기화기
KR800000721Y1 (ko) 석유 기화연소기
KR930001150Y1 (ko) 기화식 석유연소기기의 연료예열장치
JPH1163426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52883B2 (ko)
JPS5924108A (ja) 燃焼装置
KR860001042Y1 (ko) 다단식 기화석유 버어너
KR0122572Y1 (ko) 석유연소기기의 버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