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141Y1 -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141Y1
KR880004141Y1 KR2019850004461U KR850004461U KR880004141Y1 KR 880004141 Y1 KR880004141 Y1 KR 880004141Y1 KR 2019850004461 U KR2019850004461 U KR 2019850004461U KR 850004461 U KR850004461 U KR 850004461U KR 880004141 Y1 KR880004141 Y1 KR 880004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urner
combustion chamber
heate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594U (ko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4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141Y1/ko
Publication of KR860013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치한 상테에서 홴히터의 내부를 보인 절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제3도의 단면 상태를 홴히터에 부착시킨 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작 원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라믹필터 2 : 필터브라켓트
3 : 분리판 3a : 고정편
5 : 버너닥트 6 : 절개구
5b, 9, 11a : 핀홈 7a : 투시공
7 : 보조닥트 14 : 버너
12 : 닥트 15 : 1차연소실
16 : 2차연소실
본 고안은 석유를 연료로 하는 홴히터(FAN-HEATER)의 2차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상의 석유를 기화 가스로 변환시켜 기화기에서 점화 연소시키고 홴 에 의해 연소 가스가 대류 순환되는 과정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를 1차 연소실 상측에 형성시킨2차 연소실에서 완전 연소되게 함으로서 열효율의 증대와 매연의 발생을 방지토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홴히터는 단순하게 기화된 연료를 점화 연소시킨후 홴 으로 강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으나 이는 기화 가스가 불완전한 상태로 연소되어 배출되므로 열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매연이 배출되어 인체를 자극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불완전 연소된 가스가 순환 배출됨에 따라 연료 소비가 증가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1차 연소된 기화가스를 제차 연소시킬수 있도록 버너 상측에 형성시킨 닥트내의 1차 연소실에 세라믹필터가 구성된 2차 연소실을 구성하고 기화기의 열에 의해 세라믹 필더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1차 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를 재차 연소시켜 완전 가스가 배출되도록 한 팬히터의 2차 연소 장치를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에서 홴히터의 내부를 보인 절개도로서 연소된 기화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13a)가 전면에 횡으로 뚫린 홴히터(13)의 내부 하단에 통상의 구조인 기화장치를 구성하고 그 위에 1차 연소실(15)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의 버너닥트(5)가 고정된 닥트(12)를 결합시켰으며 연소 상태를 홴히터(13)의 배출구 (13a)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닥트(12) 상부에 투시창(17)을 설치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버너(14) 상측에 구성시키는 닥트(12)의 내중앙에 1차 연소실(15)을 구성하는 버너닥트(5)를 고정하되 버너닥트(5)의 내측 하단에는 돌출면(10b)이 외주연상에 형성되고 결합핀(10a)을 일체로 형성시킨 버너닥트링(10)을 설치하여 1차연소실(15)의 구성과 연소시에 버너닥트(5)를 고정하되 버너닥트(5)의 내측 하단에는 돌출면(10b)이 외주연상에 형성되고 결합핀(10a)을 일채로 형성시킨 번너닥트링(10)을 설치하여 1차 연소실(15)의 구성과 연소시에 버너닥트(5)의 과열 상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버너닥트(5)의 상측에 형성된 절개구(6)의 좌우측에는 핀홈(9)을 형성시켜 투시공(7a)이 형성된 보조닥트(7)의 핀편(8)을 핀홈(9)으로 삽입 절곡시키는 것이고 버너닥트(5)의 상단에 형성시킨 수개의 핀편(5a)은 버너닥트 카바(11)에 형성된 핀홈(11a)으로 삽입하여 핀편(5a)을 절곡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세라믹필터(1)를 결합하는 사각면체의 필더브라켓트(2)는 버너닥트(5)의 내부로 결합시켜 1차 연소실(15)상부에 2차 연소실(16)을 구성시키되 버너닥트(5) 중간 위치에 형성된 수개의 핀홈(5b)으로 필터브라켓트(2)의 분리판(3)에 형성된 고정편(3a)을 삽입 절곡시켜 2차 연소실(16)을 구성하고 2차 연소실(16)에서의 연소작용을 위한 연소공기는 버너닥트(5)에 형성된 통공(5c)을 통해 공급하는 것이며 필터브라켓트(2)의 상단 경사부에는 배출구(4)를 형성하여 촉매 역활을 이루는 세라믹필터(1)를 배출구(4)에 결합시킴으로서 상승되는 기화 가스의 유도와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불완전 연소된 기화 가스가 세라믹 필터(1)의 통공(1a)을 통과할때 가열된 세라믹 필터(1)에 의해 불완전 연소 가스가 재차 연소되도록 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을 조립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제2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요부가 닥트(12)내에 결합되어 버너(14)상부에 위치한 닥트(12)에 버너닥트(5)를 고정시키므로 1차연소실(15)이 구성되고 버너닥트(5)내에 세라믹필터(1)를 부착시킨 필터브라켓트(2)를 결합시키므로서 2차 연소실(16)이 형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a는 투시창(17)을 부착한 상태에서 닥트(12) 상부에 결합시키는 닥트 카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홴히터(13)의 온/오프 스위치(S)를 「온」시키면 제5도에서와 같이 전자 히터(H)(혹시 시즈히터)가 예열을 시작하여 기화기(K)의 온도가 포화 온도인 300℃-330℃까지 높아지면 전자펌프(P)(혹은 전자변)가 동작하여 송유관을 통해 기름탱크(L)의 연료를 노즐(N)에서 분사시키고 분사된 연료는 기화기(K)의 내부 온도에 의해 기화가스로 변하게 됨과 동시에 연소용 송풍홴 (F)에 의한 연소용 공기와 기화 가스가 혼합되어 점화기(T)의 불꽃 방전으로 점화 연소된후 버너닥트(5)의 통공(5C)으로 공급된 공기와 불완전 연소가스가 혼합되어 2차 연소되는 것으로 팬히터(13)의 온/오프 스위치(S)를 「온」시킴에 따라 통상의 기화 장치에 의해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버너 (14)에서 점화되어 버너닥트(5)에 의해 형성된 1차 연소실(15)에서 연소되고 연소된 가스는 연소 열기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필터브라켓트(2)의 경사부 고정된 세라믹필터(1)를 적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료가 연소될때 발생하는 열을 홴히터(13)의 배출구(13a)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홴 (20)에 의한 바람 중 일부가 버너닥트(5)에 형성시킨 통공(5C)을 통해 버너닥트(5)의 부로 공급되어 1차 연소실(15)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와 혼합된 후 연소 열기에 의해 2차 연소실(16)로 이동하여 적열된 세라믹필터(1)를 통과하면서 재차 연소되는 것이다.
즉, 연료가 버너(14)에서 점화되어 1차 연소실(15)에서 연소됨에 따라 발생된 불완전 연소 가스는 버너닥트(5)의 통공(5C)으로 공급된 공기와 혼합되어 2차 연소실(16)을 이루는 필터브라켓트(2)의 적열된 세라믹필터(1)를 통과하면서 재차 연소되므로 불완전 연소가스가 적열된 세라믹필터(1)에 의해 완전 연소되어 난방 작용과 연료 소비율에 대한 열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불완전 연소가스에 의한 매연의 발생과 인체를 자극하는 냄새를 완전히 제거할수 있은 것이며 연소 과정에서 세라믹필터(1)가 1차 연소실(15)내에서의 연소열에 의해 적열되는 것이므로 홴히터(13)의 전면 배출구(13a)와 닥트(12)의 투시창(17)을 통해 세라믹필터(1)의 적열상태가 인지되어 시각적인 따뜻함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를 버너에 의해 1차 연소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강제 배출되기 전에 기화기의 열에 의해 적열되는 2차 연소실의 세라믹 필터로 2차 연소시켜 완전 연소된 기화 가스를 배출 홴 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연소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연료를 완전 연소 시킴에 따라 열효율이 증대되고 매연과 냄새가 제거되므로 홴히터의 난방력을 향상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연과 냄새가 제거되는 팬히터를 사용자에게 공급함으로서 상품 자체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노즐(N)로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기에 의해 기화기(K)에서 점화 연소되어 배출 홴 (20)에 의해 열기를 실내로 대류 순환시키는 홴히터에 있어서, 버너(14)상측의 닥트(12)에 결합시켜 1차 연소실(15)을 구성하는 버너닥트(5)의 절개구(6)에 투시공(7a)이 형서된 보조닥트(7)를 부착시키고 고정편(3a)이 구성된 분리판(3)을 일체로 형성시킨 필터브라켓트(2)의 상측에 세라믹필터(1)를 고정시키며 필터브라켓트(2)의 고정편 (3a)을 버너닥트(5)의 핀홈(5b)에 결합시켜 1차 연소실의 상측에 2차 연소실(16)을 구성하여서 된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KR2019850004461U 1985-04-19 1985-04-19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KR880004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461U KR880004141Y1 (ko) 1985-04-19 1985-04-19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461U KR880004141Y1 (ko) 1985-04-19 1985-04-19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594U KR860013594U (ko) 1986-11-18
KR880004141Y1 true KR880004141Y1 (ko) 1988-11-18

Family

ID=1924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461U KR880004141Y1 (ko) 1985-04-19 1985-04-19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1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594U (ko) 198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9331A (en) Liquid fuel burner
JPS5960110A (ja) 蒸発バ−ナ−
US4944283A (en) Gas burner
US3329139A (en) Radiant heating apparatus
KR880004141Y1 (ko) 홴히터의 2차 연소장치
CA2095083A1 (en) Low Nox Aspirated Burner Apparatus
KR100575267B1 (ko) 브라운가스 물기름 연소기
US2448142A (en) Vaporizing type burner with
US2964101A (en) Oil burner and means of controlling the combustion of fuel oil therein
JPS6225928B2 (ko)
RU2125692C1 (ru) Электропечь сопротивления
KR200147543Y1 (ko) 석유,경유 및 폐유 보일러용 완전연소장치
KR920003238Y1 (ko) 장작형 난방기
KR890000956Y1 (ko) 기름, 물 혼합연소기
SU953372A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 топлива (варианты)
KR920006514Y1 (ko) 석유연소기기의 기화장치
KR200162667Y1 (ko) 석유 연소기 버너링
KR200141469Y1 (ko) 오일연소기의 기화기
CN2148919Y (zh) 家用燃油汽化热水器
JP3297852B2 (ja) 燃焼機無臭無煙装置
KR800000721Y1 (ko) 석유 기화연소기
KR100388637B1 (ko) 가스와 액체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타입의보일러
JP2573115Y2 (ja) ポット式石油燃焼器の制御装置
KR900005588Y1 (ko) 액상연료 연소장치
JPH0439507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