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38Y1 - 액체연료 연소기 - Google Patents

액체연료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38Y1
KR800000238Y1 KR790000779U KR790000779U KR800000238Y1 KR 800000238 Y1 KR800000238 Y1 KR 800000238Y1 KR 790000779 U KR790000779 U KR 790000779U KR 790000779 U KR790000779 U KR 790000779U KR 800000238 Y1 KR800000238 Y1 KR 80000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uel
combustor
nozz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00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석
이일형
Original Assignee
김병석
이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석, 이일형 filed Critical 김병석
Priority to KR790000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38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연료 연소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가스 발산 외통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가스 발산 내통의 사시도.
본 고안은 종래 연소기에 석면 심지를 사용하는 연소방법 또는 버-너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탈피하고 노즐을 통하여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투입된 연료가 가스발산통의 자체열로서 기체화되어 연통의 흡입력에 의하여 연소실내로 흡입 연소되게 하므로서 종래의 연소기에 비하여 보다 완벽한 연소를 실시하여 연료의 낭비를 줄이고 최대한의 열량을 얻고자 한 액체 연료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액체연료 연소기로서는 석면 심지를 사용하는 소형 연소기와 버너를 사용하는 대형 연소기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연소기들은 모두 연료를 액체 상태에서 연소시키는 것들이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에 의한 매연 및 가스의 발생 또는 연료의 낭비를 초래하며, 이 때문에 연료의 완전 연소 혹은 연료의 낭비를 줄이고 최대한의 열량을 얻을 수 있는 연소기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집중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다 거의 완전 연소를 하여 연료의 낭비를 줄이고 최대한의 열량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연료를 가스 발산 내통 및 외통의 자체열로서 기화시켜 연소토록 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소기(1)의 상축으로는 저면이 약간 호형(4'')으로 형성되고 측면으로 수개의 가스 흡입공(4')이 천설된 가스 발산 내통(4)과 중앙부에는 연료 투입공(13)과 그 주위로 공기 흡입공(3')이 천설된 가스 발산 외통(3)이 차례로 삽설되어 가스발산실(14)을 형성하고 연소기(1)일측으로는 지지대(11)에 의하여 지지된 여과탱크(7)가 부착되었으며 이에 연설된 연료공급파이프(5)는 연료 투입공(13)직상방에서 절곡 하향되어 노즐(6)이 연설되었다.
또한 연소기(1)하측방에는 배기공(8')과 이에 연하여 연통(8)이 연설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연료 투입관, 12는 예열 구멍이다.
이상시 같은 본 고안은 사용시 여과탱크(7)에서 공급된 연료가 개폐 조절콕(9)을 개방시키면 연료는 파이프(5)를 통하여 노-즐(6)에 도착되어 직하방으로 낙하하면 연료 투입공(13)을 지나 가스 발산 내통(4)하단부 호형(4'')저면에 고이게 된다.
이 때 가스발산 내통(4)하단부 호형(4'')저면에 고인 연료에 점화하게 되면 점화된 불꽃은 연통(8)의 흡인력에 의하여 가스 흡입공(4')을 통과하여 연소실(2)에서 연소된 후 연통으로 배출케 되며 가스발산 내통(4) 및 외통(3)을 예열시킨다.
이후 가스발산 내통(4) 및 외통(3)은 연소열에 의하여 높은 온도로 가열되므로 가스발산실(14)은 고온으로 변하여 노즐(6)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는 연료 투입공(13)을 통과하는 순간 내통(4)의 고열 및 가스 발산실(14)의 고온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기체화하여 착화됨과 동시에 연통(8)의 흡인력에 의해 가스 흡입공(4')을 통과하여 연소실(2)에 흡입되여져 거의 완전 연소된 후 배기공(8')을 통과하여 연통(8)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액체 상태에서 연소하는 종래의 방법을 탈피하여 가스발산실(14)의 자열에 의하여 기체화하는 순간 착화되면서 연통(8)의 흡인력에 의해 가스 흡입공(4')을 통과한 후 연소실(2)에서 완전 연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료가 거의 완전 연소되어 연료의 낭비를 없애고 매연의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체화된 연료가 하향하며 연소되기 때문에 종래의 연소기에 비하여 같은 양의 연료를 연소하면서도 보다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배기공(8')이 천설되고 상측으로는 여과탱크(7) 및 노즐(6)이 착설된 통상의 연소기(1)에 있어서, 노즐(6)직하방으로 저면이 호형(4'')으로 형성되어 측면에 수개의 가스 흡입공(4')이 천설된 가스 발산 내통(4)과 중앙부에 연료 투입공(13)과 그 주위로 공기 흡입공(3')이 천설된 가스발산 외통(3)을 차례로 착설시켜 이들 사이에 가스발산실(14)을 형성하여서 된 액체연료 연소기.
KR790000779U 1979-02-13 1979-02-13 액체연료 연소기 KR80000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0779U KR800000238Y1 (ko) 1979-02-13 1979-02-13 액체연료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00779U KR800000238Y1 (ko) 1979-02-13 1979-02-13 액체연료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38Y1 true KR800000238Y1 (ko) 1980-03-08

Family

ID=1921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00779U KR800000238Y1 (ko) 1979-02-13 1979-02-13 액체연료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00000238Y1 (ko) 액체연료 연소기
US4545758A (en) Pot-type oil burner
JPS6225928B2 (ko)
KR810000037Y1 (ko) 석 유 풍 로
KR790002107Y1 (ko)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KR800000528Y1 (ko) 알콜 버어너
US4785747A (en) Gasifying burner for a solid fuel heating apparatus
KR890007152Y1 (ko) 화염분사기의 예열장치
KR800001672Y1 (ko) 흡인 연소실을 형성한 가열장치
JPS6030582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890000956Y1 (ko) 기름, 물 혼합연소기
KR810000098Y1 (ko) 엽연초 건조용 오일버너의 분사관
KR820000207Y1 (ko) 오일 버어너
KR900005588Y1 (ko) 액상연료 연소장치
GB2096761A (en) Blue flame oil burner
JPS6026925B2 (ja) バ−ナ
JPS5963405A (ja) ポツト式石油燃焼器
JPS6144205B2 (ko)
KR890007566Y1 (ko) 구멍탄 연소기 뚜껑의 2차 공기 가열장치
JPS605225Y2 (ja) 給湯式焼却炉
CA1212034A (en) Pot-type oil burner
KR800000721Y1 (ko) 석유 기화연소기
JPS6143051Y2 (ko)
RU2178541C2 (ru) Печь для отопления
JPS608401B2 (ja) バ−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