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037Y1 - 석 유 풍 로 - Google Patents

석 유 풍 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037Y1
KR810000037Y1 KR2019800000488U KR800000488U KR810000037Y1 KR 810000037 Y1 KR810000037 Y1 KR 810000037Y1 KR 2019800000488 U KR2019800000488 U KR 2019800000488U KR 800000488 U KR800000488 U KR 800000488U KR 810000037 Y1 KR810000037 Y1 KR 810000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porization
petroleum
wick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동원정기주식회사
송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정기주식회사, 송동효 filed Critical 동원정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00000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037Y1/ko

Links

Landscapes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 유 풍 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임.
본 고안은 기화연소식 석유풍로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심니통 상방에 기화가스유도관을 착설하고 그 상방에 2차 연소장치를 형성하여 기화가스가 완전 연소되게한 석유풍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석유풍로는 심지통에서 돌출된 심지에 흡상되는 석유를 직접 연소시키는 1차 연소식으로 되어있어서 점화나 소화시 악취나 매연발생이 심하고 완전 연소가 않되며 연료의 낭비가 많게되는 결점이 있었는바,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개선하여 석유를 1,2차에 걸쳐 기화 연소시키므로서 완전 연소에 가까운 연소효율을 얻을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심지통(1) 상단부를 급기공(2)(2')(2'')(2''')를 갖는 1차 연소장치(A)로 형성하여 심지통(1)에 삽설된 심지(3)에 급유관(4)을 통하여 석유를 공급 연소시키게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1차 연소장치(A) 상방에 분사노즐(5')을 갖는 석유기화관(5)을 설치하여 심지(7)이 삽설된 흡상관(6)으로 급유관(4)에 연통시키고 1차 연소장치(A)와 기화관(5) 상방에 각각 연소가스흡출통(8)과 벤츄리형 기화가스유도관(9) 및 보조가스유도관(9')를 상향 연설하여 가스유도관(9)(9') 상단부에 기화가스분출공(11)(11')을 갖는 연소통(10)을 형성하고 가스흡출통(8) 상단에는 공기유입로(12)를 형성하여 2차 혼합연소장치(B)가 형성되게한 것으로, 도면중 부호 13은 정량급유탱크, 14는 자동점화장치, 15는 심지승강조절간을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자동점화장치(13)에 의하여 심지(3)에 점화하면 1과 연소가 시작되면서 화염이 상승하게 되는바, 기화관(5) 내면으로 흡상된 석유는 가열기화되어 분사노즐(5')을 통해서 상부내외 가스유도관(9)(9')으로 분출되어 연소통(10)의 분출공(11)(11')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공기유입로(12)로 공급되는 공기 및 1차 연소장치(A)에서 미연소 상승된 가스와 혼합되어 2차적으로 연소되면서 완전 연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방 심지통 상주연에 1차 연소장치를 형성함과 함께 그 상방에 석유기화관을 장착하고 그 상방에 닥트형의 연소가스흡출통 및 기화가스유도관을 연설한후 그 상방에 2차 연소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석유가스를 2단계에 걸쳐서 완전 연소시키도록하여 매연이나 악취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연소효율을 높혀 석유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통(1) 상단부에 분사노즐(5')을 갖는 석유기화관(5)을 장착하고 심지(7)가 삽설된 흡상관(6)으로 급유관(4)에 연통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기화관(5) 상방에 연소내외 기화가스유도관(9)(9')을 각각 상향 연설하여 그 상단부에 기화가스분출공(11)(11')과 연소통(10)으로된 2차 혼합가스연소장치(B)를 형성하여서된 석유풍로.
KR2019800000488U 1980-01-26 1980-01-26 석 유 풍 로 KR810000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88U KR810000037Y1 (ko) 1980-01-26 1980-01-26 석 유 풍 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88U KR810000037Y1 (ko) 1980-01-26 1980-01-26 석 유 풍 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037Y1 true KR810000037Y1 (ko) 1981-01-31

Family

ID=1921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488U KR810000037Y1 (ko) 1980-01-26 1980-01-26 석 유 풍 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54302B (zh) 一种燃烧装置
EP1058055A4 (en) CATALYTIC COMBUSTION SYSTEM
CN207963148U (zh) 一种小型低氮燃气锅炉
KR810000037Y1 (ko) 석 유 풍 로
KR101731246B1 (ko) 압력분무식 하이브리드 플레임 석유 버너
JP3088942U (ja) 木質ペレット燃焼用ガンタイプバーナ
CN111981478A (zh) 低氮燃烧器、低氮燃烧系统及其燃烧方法
CN211625232U (zh) 一种高原低压燃烧器
KR200261877Y1 (ko) 연돌의 배출가스 점화용 버너
CN216480982U (zh) 一种油气双燃料燃烧器
KR900001373Y1 (ko) 폐유연소용 온수보일러
CN208475388U (zh) 一种用于醇基燃料炉灶燃烧装置
KR800000238Y1 (ko) 액체연료 연소기
JPS6225928B2 (ko)
JPS6130117Y2 (ko)
GB40792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rners for oil and similar fuels
KR200147543Y1 (ko) 석유,경유 및 폐유 보일러용 완전연소장치
CN205825008U (zh) 一种化工行业燃煤动力锅炉步进式甲醇点火稳燃系统
JPS6034885Y2 (ja) 気化式石油燃焼器
JPH018809Y2 (ko)
KR800001112Y1 (ko) 야외용 개방형 오일난로
SU1204872A1 (ru)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810000098Y1 (ko) 엽연초 건조용 오일버너의 분사관
KR200266788Y1 (ko) 복합연료의 연소 버어너의 구조
JPS6030582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