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2107Y1 -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2107Y1
KR790002107Y1 KR7800921U KR780000921U KR790002107Y1 KR 790002107 Y1 KR790002107 Y1 KR 790002107Y1 KR 7800921 U KR7800921 U KR 7800921U KR 780000921 U KR780000921 U KR 780000921U KR 790002107 Y1 KR790002107 Y1 KR 790002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cylinder
liquid fuel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연승
전상락
Original Assignee
류연승
전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연승, 전상락 filed Critical 류연승
Priority to KR7800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2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2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2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02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the liquid forming a pool, e.g. bowl-type evaporators, dish-type evaporators
    • F23D5/04Pot-type evaporators, i.e. using a partially-enclosed combustion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5/00Burners in which liquid fuel evaporates in the combustion space, with or without chemical conversion of evaporated fuel
    • F23D5/12Details
    • F23D5/18Pre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예비연소상태를 표시한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격적인 연소상태를 표시한 본 고안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액체연료의 연소장치로서 특히 알코올연료를 기화시킴과 동시에 기화된 알코올 가스를 연소공정에서 분출시켜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가열된 경사면으로 흘러 내리면서 기화시킨 기화가스에 연소공기가 혼합되게 하여 혼합기를 연소공으로 분출시키므로서 연소효율을 높이기 위한데 목적이 있다.
종래에는 이중통으로 내부에 기화실이 형성된 액체연료 연소통체의 상단부에 다수의 화염분사공을 천공하고 용출부가 형성된 저면에 수개의 연료 유출공을 천공하여 저면의 유출공에서 유출된 액체연료의 연소열에 의하여 연소통 내주면을 가열시키어 기화실에서 액체연료가 기화되여 연소통 상단부의 화염 분사공으로 기화가스가 유출되면서 연소되게한 것이 있으며, 또 내, 외통체의 기화벽을 파상형으로 형성하여 나사못으로 결착하고 저부의 간격내에 금망을 삽입하고 내 통체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연에 석면심지를 삽입하여서 된 알코올 연고기(실용공보 제355호 공번 77-532호)가 잇으나 이들은 다같이 외통저부에연료가 고인 상태에서 기화가 되므로 기화가스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분출공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연료의 소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화염조절이 어려우며 기화가스가 분출공으로 분출되는 순간에 연소공기와 혼합하면서 연소케되므로 불완전 연소상태로 증발하게 되는 결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통과 내통의 이중통으로 되는 연소통체의 저부는 중앙부에서 외향으로 점차 낮게 경사면을 형성하며 외통 상부내면과 내통상부외면사이에 해면상의 금속다공체의 심지재를 삽설하여 예비연소시에는 심지재에 착화하고 기화가스의 분출로 본격적인 연소가 시작되면 심지재의 다공부로 외부 공기가 통체내로 흡입되여 기화가스와 혼합된 혼합기로 분출되므로써 혼합기의 완전연소를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의 내면에 해면상 금속 다공체의 심지재(3)를 삽입하여 내통(2)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연소통에 있어서, 외통(1)의 저부를 중앙에서 외향으로 점차 낮게 경사면(1a)을 형성하며, 내통(2)의 저부도 외통(1)의 저부와 같은 경사면(2a)을 형성하여 경사면(1a)과 경사면(2a)사이를 간격이 있게하여 연료 유하로 (4)를 형성하되 하부의 간격(H)을 거의 접촉할 정도로 되게하고 내통(2)의 저부중앙에 구멍(5)을 상향으로 뚫어 연소판(6)과의 사이에 기화가스 혼합실(A)을 형성하였다.
한편 외통(1)의 저부 중앙에는 급유관(7)의 선단이 위치하게 착설하며 연소판 주면(8)에는 단이 지게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가스분출공(9)을 뚫어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알코올을 연료로 사용하였을 때의 연소상태를 설명하면 알코올 연료를 급유관(7)에서 외통(1)의 저부로 소량씩 공급시키면 연료는 유하로(4)를 따라 외통(1)의 주연부에 확산되며 심지재(3)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연료를 흡인한다.심지재(3)에 착화가 되면 화염은 제2도에서와 같이 연소판(6)상에서 외통(1)의 상부 중앙에 집중되기 때문에 연소판(6)은 가열된다.
가열된 연소판(6)은 그 하부의 내통(2)에 열을 전도하여 외통(1)의 저부 주연내의 연료를 기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심지재(3)에 의한 연소는 외통(1)의 저부 주연내의 연료를 기화시키기위한 예비연소이며, 이 예비연소에 의하여 충분히 가열되어 연료의 기화가 활발해지면 연료는 유하로(4) 하부에 좁은간격(H)을 통과하기 전에 기화가 된다.
이때에 간격(H)과 심지재(3) 상단부의 간격은 대단히 좁기때문에 기화가스는 내통(2) 저부의 구명(5)을 통하여 가스분출공(9)으로 분출되고 예비연소의 화염에 의하여 알코올 가스에 착화가 된다.
이와 같이 가스분출공(9)에서 연소가 시작되면 심지재(3)의 예비연소는 끝이남과 동시에 심지재(3)의 다공부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외통(1)과 내통 사이로 흡입되면서 기화가스와 혼합되어 가스분출공(9)으로 분출되면서 본격적인 연소가 시작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액체 연료를 충분히 가스화 한후에 연소공기를 보내어 혼합기를 만들어서 연소시키기 때문에 연소효율을 높이며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고, 과다한 기화가스의 발산으로 인한 연료의 낭비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외통(1)과 내통(2) 사이에 금속 다공체의 심지재(3)를 삽설한공지의 것에 있어서, 외통(1)과 내통(2)의 저부 경사면(1a) (2a)하부의 간격(H)을 거의 접촉할 정도로 되게 유하로 (4)를 형성하여 내통(2) 저부 중앙에 뚫린 구명(5)과 연소판(6) 사이에 기화가스 혼합실(A)을 형성하여서 된 액체연료 연소장치.
KR7800921U 1978-02-24 1978-02-24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KR790002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921U KR790002107Y1 (ko) 1978-02-24 1978-02-24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921U KR790002107Y1 (ko) 1978-02-24 1978-02-24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2107Y1 true KR790002107Y1 (ko) 1979-12-26

Family

ID=1920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921U KR790002107Y1 (ko) 1978-02-24 1978-02-24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21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5113A (ja) 蒸発式バーナ
KR790002107Y1 (ko) 액체연료의 연소장치
KR880000699Y1 (ko) 가스버어너의 연소시동장치
JP2808830B2 (ja) 燃焼装置
KR800000721Y1 (ko) 석유 기화연소기
KR800000238Y1 (ko) 액체연료 연소기
RU2008560C1 (ru) Испарительная горелка
JPS5842730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S6034884Y2 (ja) 気化式石油燃焼器
KR900005588Y1 (ko) 액상연료 연소장치
JPS6039639Y2 (ja) 液体燃料燃焼器の点火装置
JPH0942615A (ja) バーナ装置
JPH0229389Y2 (ko)
JP3143282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S6314183Y2 (ko)
JPS5995311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S621572Y2 (ko)
KR100388637B1 (ko) 가스와 액체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타입의보일러
JPS6130016Y2 (ko)
JPH0335944Y2 (ko)
JP2921149B2 (ja) 燃焼装置
JPH0113212Y2 (ko)
JPS6143051Y2 (ko)
JPS5844164B2 (ja) 気化バ−ナ
JPS5924109A (ja) 液体燃料燃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