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848Y1 -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848Y1
KR890000848Y1 KR2019860002408U KR860002408U KR890000848Y1 KR 890000848 Y1 KR890000848 Y1 KR 890000848Y1 KR 2019860002408 U KR2019860002408 U KR 2019860002408U KR 860002408 U KR860002408 U KR 860002408U KR 890000848 Y1 KR890000848 Y1 KR 890000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ignal
output
circui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986U (ko
Inventor
김성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2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848Y1/ko
Publication of KR870013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5Computer o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랫치회로 2 : 발진회로
3 : 카운터 4 : 디지탈비교기
5, 6 : 모우터 구동회로 7 : 모우터
IV1∼IV5: 인버터 ND1, ND2: 낸드게이트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모우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의 디지탈신호로써 모우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우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서는 전압레벨의 변화로 모우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는 아날로그 방식과 펄스폭의 변화로 모우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지탈방식이 있게 되는데, 근래 모우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서 여러가지 제어를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모우터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디지탈방식이 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실정에 비추어 안출된 것으로서, 모우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디지탈신호로서 출력되면 이에따라 정확한 제어신호를 모우터에 공급하도록 카운터와 비교기 및 모우터 구동회로로 간단하게 구성된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의 데이터(D0∼D4)를 랫치시키는 랫치회로 (1)의 출력단(Q0∼Q3)과 발진회로(2)의 발진주파를 계수하는 카운터(3)의 출력단(Q0∼Q3)에다 디지탈비교회로(4)를 연결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Q4)과 상기 디지탈비교회로(4)의 출력단(A>B)에는 인버터(IV1)(IV2)와 낸드게이트(ND1) (ND2)를 각각 매개하여 모우터 구동회로(5)(6)의 이네이블단(E)과 신호입력단(IN)을 연결하며, 상기 모우터구동회로(5)(6)의 출력단(OUT)에 모우터(7)를 연결하여서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Co는 랫치제어신호, A0∼A3, B0∼B3는 디지탈 비교회로(4)의 비교신호입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위와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작업내용에 따라 모우터의 속도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D0∼D3)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D4)를 출력시키고, 이에따라 데이터(D4)에 의한 방향과 데이터(D0∼D3)에 의한 속도로 모우터(7)가 구동되게 된다. 이와같이 되는 동작설명을 제2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IV3∼IV5)와 저항(R1)(R2) 및 콘덴서(C1)로 구성되는 공지의 발진회로 (2)에서는 제2도의 (a)도와 같은 클로펄스(CK)가 출력되어 카운터(3)의 클록입력단 (CK)에 공급된다. 카운터(3)는 엎카운트하는 집적회로로서 (a)와 같은 클록펄스가 입력되면 입력클록펄스를 계수하여 그 출력단(Q0∼Q3)에 제2도의 (b)∼(e)와 같은 신호를 각각 출력시켜서 디지탈 비교회로(4)의 입력단(B0∼B3)에 공급하게 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모우터(7)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D0∼D3)와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D4)가 랫치회로(1)에 랫치되면 그 출력단(Q0∼Q3)신호가 디지탈비교회로(4)의 입력단(A0∼A3)에 공급된다.
이에따라 디지탈비교회로(4)에서는 입력단(A0∼A3)의 신호와 입력단(B0∼B3)의 신호를 비교하여 입력단(A0∼A3)신호가 입력단(B0∼B3)신호보다 클 때 출력단 (A>B)에 하이레벨신호를 출력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는 로우레벨신호를 출력시킨다. 예를들어 정방향으로 모우터(7)를 구동시키다가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랫치회로(1)에 데이터(D0∼D4)를 11010으로 랫치시켰다가 00101로 랫치시키면 디지탈비교회로(4)의 출력신호는 제2도의 (f)와 같이되고, 방향제어를 위한 신호는 랫치회로(1)의 출력단(Q4)신호에 따라 (g)와 같이 된다. 이때 제2도의 (f)와 같이 (g)의 신호는 인버터(IV1)(IV2)와 낸드게이트(ND1)(ND2)의 조합에 의하여 모우터구동회로(5)의 이네이블단(E)에 (f)의 신호를 공급시킴과 더불어 입력단(IN )에는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인(h)의 신호를 공급시키고, 모우터구동회로(6)의 이네이블단(E)에는 (g)의 반전신호를 공급시킴과 더불어 입력단(IN)에는 낸드게이트 (ND2)의 출력신호인 (i)의 신호를 공급시킨다.
여기서 모우터구동회로(5)(6)의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이네이블단(E)에 하이레벨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OUT)으로는 항상 하이레벨을 출력시키며, 로우레벨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입력단(IN)에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단(OUT)에 그대로 출력시킨다. 다만 모우터(7)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모우터 구동회로(5)(6)의 출력신호는 (h)(i)와 같이되어 모우터(7)에 공급되게 되고, 모우터(7)는 이와같은 신호를 공급받아서 제2도의 (j)와 같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이때 모우터(7)의 속도를 결정하는 구동토오크는 모우터(7 )에 공급되는 신호의 펄스폭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펄스폭은 랫치회로(1)에 랫치시킨 데이터(D0∼D3)와 카운터(3)의 계수출력을 디지탈비교회로(4)에서 비교하므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랫치회로(1)에 랫치시키는 데이터(D0∼D4)를 변화시킴에 따라 모우터( 7)의 구동토오크를 변화시킴과 더불어 모우터(7)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디지탈신호로 모우터(7)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모우터의 속도 및 방향제어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나 전열기등에 응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모우터 구동회로(5)(6)의 출력단(OUT)에 모우터(7)대신 각 장치를 적절히 연결하므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디지탈신호로써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카운터와 디지탈비교회로를 사용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디지탈신호에 의하여 모우터의 속도와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의 데이터(D0∼D4)를 랫치시키는 랫치회로(1)의 출력단(Q0∼Q3)과 발진회로(2)의 발진주파수를 계수하는 카운터(3)의 출력단(Q0∼Q3)에다 디지탈비교회로(4)를 연결하고, 상기 랫치회로(1)의 출력단(Q4)과 상기 디지탈비교회로(4)의 출력단(A>B)에는 인버터(IV1)(IV2)와 낸드게이트(ND1)(ND2)를 각각 매개하여 모우터 구동회로(5)(6)의 이네이블단(E)과 신호입력단(IN)을 연결하며,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5)(6)의 출력단(OUT)에다 모우터(7)를 연결하여서 된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KR2019860002408U 1986-02-28 1986-02-28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KR890000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408U KR890000848Y1 (ko) 1986-02-28 1986-02-28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408U KR890000848Y1 (ko) 1986-02-28 1986-02-28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986U KR870013986U (ko) 1987-09-11
KR890000848Y1 true KR890000848Y1 (ko) 1989-03-25

Family

ID=1924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408U KR890000848Y1 (ko) 1986-02-28 1986-02-28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8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986U (ko) 198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2016B2 (ko)
KR890000848Y1 (ko)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US5065047A (en) Digital circuit including fail-safe circuit
JPH1075162A (ja) Ecl dラッチ回路及びこれを利用したecl dフリップフロップ
US4409527A (en) Transistor motor control
KR940006510Y1 (ko) 펄스 폭 변조 회로
KR870002213Y1 (ko) 스텝핑 모우터 등속 구동시 입력신호 발생회로
JPS5638988A (en) Driver for dc semiconductor motor
KR940003007B1 (ko) 브러쉬리스 dc모터 제어용 pwm 펄스 발생장치
KR940005143B1 (ko) 디지탈 서보의 pwm 구동장치
KR940000874Y1 (ko) 모터 제어용 pwm 펄스 발생장치
KR100278678B1 (ko) 광결합소자의 스위칭 시간 보상 회로
US4235072A (en) Motor drive circuit in digital type electronic time piece
KR870000724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EP0415047A2 (en) Precision timing circuit
JPS49113671A (ko)
SU493003A1 (ru) Мультивибратор
KR860002287Y1 (ko) 모터의 회전방향 감지회로
KR900008101B1 (ko) 트라이 스테이트 인버터를 이용한 플립플롭
JP3270554B2 (ja) 計測機器
KR950004601B1 (ko) 프로그래머블 카운터(8253)를 이용한 마이크로 직류(dc) 기어드 모터 제어회로
KR900004864B1 (ko) 1비트/4비트 데이타 전송 클럭 발생회로
KR900001471B1 (ko)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KR900001446Y1 (ko) 계단파를 이용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KR940000875Y1 (ko) 인버터의 목표주파수 도달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