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724Y1 -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724Y1
KR870000724Y1 KR2019840014324U KR840014324U KR870000724Y1 KR 870000724 Y1 KR870000724 Y1 KR 870000724Y1 KR 2019840014324 U KR2019840014324 U KR 2019840014324U KR 840014324 U KR840014324 U KR 840014324U KR 870000724 Y1 KR870000724 Y1 KR 870000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signal
gate
microprocess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981U (ko
Inventor
김근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724Y1/ko
Publication of KR860008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신호 처리장치의 상세 회로도.
제2도는제1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호기 2 : 타코메터의 펄스 발생기
3 : 시간지연회로 4 : 마이크로 프로세서
ExOR1,ExOR2: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 AND1: 앤드게이트
A : 방향신호 입력단자
본 고안의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어함에 있어서, 시간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모우터의 부호기(Encoder) 신호를 그 신호의 주기당 펄스 신호로 변환시켜 처리함으로써, 하아드 웨어(Hard ware)와 소프트 웨어(soft ware)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게 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호기의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부호가의 신호를 직접 처리하거나 또는 플립플롭 등을 사용하여 부호기의 신호 주기당 펄스신호를 발생시킨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처리하게 구성하였으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직접 처리하는 경우에는 소프트웨어가 복잡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점유시간이 길어져 몇개의 구동원의 동시에 제어하게 되면 빠른 속도로 제어할 수 없는 결함이 있었고, 플립플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아드 웨어가 복잡하여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결함을 감안하여, 간단한 하아드 웨어로 부호기의 신호를 주기당 펄스신호로 변활시킬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기(1)의 신호가 입력되는 타로메터의 펄스발생기(2)의 출력단자(CHA)를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xOR1)의 일측 입력단자에는 직접 접속하고, 타측 입력단자에는 저항(R1) 및 콘덴서(C1)로 구성되는 시간지연회로(3)를 통해 입력시켜 그의 출력측을 앤드 게이트(AND1)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하며, 타코메터의 펄스 발생기(2)의 출력단자(CHA)는 타측 입력단자에 직류 모우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의 방향신호가 입력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xOR12)의 일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을 앤드 게이트(AND1)의 타측 입력 단자에 접속하고,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측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내장되는 타이머 또는 입력 포오트(input port)에 접속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류 모우터의 부호기(1) 신호가 타코메타의 펄스발생기(2)에 입력되면 그의 출력단자(CHA,CHB)에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출력되어 출력단자(CHA)에서 출력된 신호가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xOR1)의 일측 입력단자에는 직접 입력되고, 타측 입력단자에는 시간지연 회로(3)를 통해 입력되어 그의 출력측에는 제3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되며, 또한 출력단자(CHB)에서 출력된 신호는 방향신호 입력단자(A)에서 입력된 방향 신호가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터(ExOR2)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그의 출력측에는 제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여기서, 제2(d)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파형은 방향신호가 저전위일 때의 출력파형이고, 점선으로 도시한 파형은 방향신호가 고전위일 때의 출력 파형으로, 그 출력된 파형은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ExOR1)의 출력측에서 출력된 제2(c)도의 펄스파형과 함께 앤드 게이트(AND1)의 입력단자에 각각 입력되므로, 그의 출력측에는 제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신호가 출력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타이머 또는 입력 포오트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4)는 그 펄스신호로 직류 모우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소프트 웨어로 직류모우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하아드웨어의 구성으로 부호기(1)의 신호를 처리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직류 모우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소프트 웨어가 매우 간단하게 됨은 물론 하아드 웨어로 간단하여 사무기기 특히 타이프 타이터나 프린터 등에 내장되는 직류 모우터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호기(1)의 신호가 입력되는 타코메터의 펄스 발생기(2)의 출력단자(CHA)는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ExOR1)의 타측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시간 지연회로(3) 및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ExOR1)의 일측입력단자에 공통 접속하고, 출력단자(CHB)는 타측 입력단자에 방향신호 입력단자(A)가 접속되는 익수클루시브 오아 게이트(ExOR2)의 익측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측과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 게이트(ExOR1)의 출력측을 출력측이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접속되는 앤드 게이트(AND1)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KR2019840014324U 1984-12-28 1984-12-28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KR870000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324U KR870000724Y1 (ko) 1984-12-28 1984-12-28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324U KR870000724Y1 (ko) 1984-12-28 1984-12-28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81U KR860008981U (ko) 1986-07-31
KR870000724Y1 true KR870000724Y1 (ko) 1987-02-25

Family

ID=7016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324U KR870000724Y1 (ko) 1984-12-28 1984-12-28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7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81U (ko) 198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423074A (en) Signal generating circuit
KR920010392A (ko) 전류제어회로
KR870000724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한 직류 모우터의 속도 및 위치 제어시 부호기 신호 처리장치
KR910002093A (ko) 인버터 출력전압오차의 보정장치
KR880014452A (ko) 마이크로프로세서용 입.출력 회로장치
KR850000838A (ko) 디지탈(digital) 제어방식의 전동기 구동용 정류장치
KR870002213Y1 (ko) 스텝핑 모우터 등속 구동시 입력신호 발생회로
KR940001047Y1 (ko) 디지탈 모듈의 입출력 듀티 감시장치
KR900005307Y1 (ko) 주파수 변화 감지회로
KR890000848Y1 (ko) 모우터의 구동제어회로
KR880000581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럭신호 제어회로
KR910000589Y1 (ko) 정지보턴을 이용한 노이즈 제거회로
KR900003342Y1 (ko) 전자식 데이지휠 타자기의 인자해머제어회로
KR900002295Y1 (ko) 일시정지 화면의 노이즈 바 제거회로
SU13726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с гальваническим разделением
SU9726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частот импульсных сигналов
SU9591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движени объекта
JPS57160657A (en) Printing control system in dot printer
SU6296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выпадений свч-импульсов
KR890001480Y1 (ko) 직류모우터의 속도 제어회로
SU1534750A1 (ru) Устройство тактов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KR910001301Y1 (ko) Vtr의 스위칭 노이즈 제거회로
TW338204B (en) The DC motor rotating speed digital control apparatus
KR940005337Y1 (ko) 문턱전압 조정 가능한 파형 정형회로
KR880002760Y1 (ko) 리모콘수신기의 데이타 신호 전달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