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541B1 - 프레임 - Google Patents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41B1
KR890000541B1 KR1019810003466A KR810003466A KR890000541B1 KR 890000541 B1 KR890000541 B1 KR 890000541B1 KR 1019810003466 A KR1019810003466 A KR 1019810003466A KR 810003466 A KR810003466 A KR 810003466A KR 890000541 B1 KR890000541 B1 KR 89000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cavity
fram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092A (ko
Inventor
잉그바 대비드손 맷츠
Original Assignee
잉그바 대비드손 맷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그바 대비드손 맷츠 filed Critical 잉그바 대비드손 맷츠
Publication of KR83000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30Dovetail-lik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임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구 요소(coupling node)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연결구 요소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연결구 요소의 평면도.
제4도는 3개의 연결구로 연결된 3개의 관부재들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3개의 연결구로 결합된 4개의 관부재 들의 사시도.
제6도와 7도는 제1실시예의 연결구 요소의 사시도.
제8도와 9도는 제2실시예의 연결구 요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2 : 연결구 요소
3 : 나사볼트 4 : 너트
5 : 돌출부 6 : 외측부
7 : 내측부 8 : 내측면
22 : 관부재 11, 16, 21 : 접촉면
23 : 외측벽 25 : (접혀진)벽
본 발명은 결합용 연결구 및 관부재를 포함하는 조립가능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이나 프레임 같은 장치를 관형부재와 연결구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버팀 대응 관부재와, 하나의 관부재를 다른 관부재에 그측면을 따라 그 세로축에 직각으로 그리고 몇개의 회전위치에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부재의 단부에서 삽입되는 형태로된 연결구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장치는 스웨덴 특허 제7312307-7호로 부터 이미 공지되었다. 여기서 관부재들은 4변형으로 되며 그 변을 따라 몇개의 홈을 가진다. U자형 결합 부재의 각 단부는 2개의 이같은 홈안으로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홈들의 맞은편 벽들을 나사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단단히 조여질 수 있다. 연결구는 이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관부재에 제위치에 고정되고 연결구가 또하나의 관부재의 단부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볼트가 그 관부재에 있는 구멍을 관통하기 때문에 그 관부재에 단단히 고정되므로 하나의 관부재를 또하나의 관부재와 직각으로 결합시킨다.
이와같은 장치로는 연결구의 각부가 충분히 강하게 만들어 진다면 첫번째 관부재를 제외하고는 고정효과가 비교적 좋으나, 두번째 관부재에의 결합은 아무런 고정의 용이함 없이 다만 관부재의 구멍이 볼트의 단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그 결과, 결합은 어떠한 큰 힘도 감당하지 못하고 진동이나 유사한 주기적 힘을 받을 경우 결합점에서 부재들의 유동이 켜지는 상당한 위험이 생기기 쉽다.
이와같은 문제는 연결구가 2개의 관부재에 동일 고정작업으로 고정되는 연결구 요소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동역학적 및 정역학적인 힘을 감당하도록 지극히 안정된 방식의 연결구로 동일한 관부재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합리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감소된 비용으로 수행될수 있는 연결구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다음에 설명되는 장치의 두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의하면 연결구(1)는 2개의 연결구 요소(2)들(제1-3도에서 하나의 반쪽은 실선으로 그리고 나머지 반쪽은 일점쇄선으로 도신된다) 내에 6각형 소켓을 지닌 나사볼트(3), 그리고 너트(4)(제5도에는 3과 4가 도시됨)으로 이루어진다. 연결구 요소 각각은 외측부(6)와 내측부(7)를 갖는다. 외측부(6)는 2개의 연결구 요소가 함께 배치되어 완전한 연결구를 이룰때 다른 연결구 요소와 대향하는 형태로된 내측면(8)을 포함한다.
이미 언급되었듯이 연결구 요소는 2개의 관부재를 결합시키도록 만들어지며 이같은 요소의 하나가 제4도에 하부 우측으로 횡단면으로 도시된다. 관부재는 22로 도시되며 가상의 장방형에 내접될 수 있는 얇은 측벽으로 구성된다. 외측벽(23)은 장방형의 변을 따라 나아가며, 한편 가상의 장방형의 모서리 부분에는 홈들이 각 홈의 하부가 외측벽(23)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는 벽(24)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벽을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홈들의 변들은 변(23, 24)를 잇고 각 외측벽(23)에 대해 60
Figure kpo00001
의 각도를 접혀진 벽(25)에 의하여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되어서 외측벽(23)은 벽(25)와 함께 4개의 비둘기 꼬리 같은 부분들을 관부재에 형성한다.
결합된 연결구 요소의 내측부(7)가 관부재들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편, 동시에 외측부(6)가 관부재 측면을 따라 결합될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있어서 관부재들이 연결구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연결구와 관부재의 표면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 관 부재들은 그 전체길이를 따라 동일한 측면을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만일 다른 부재가 어느 지점에 결합될 경우에, 이 형상이 연결구의 목적하는 결합에 하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길이방향의 부분에 도시된 측면과 다른 형상의 측면을 가져도 된다.
연결구(1)에 있어서, 2개의 연결구 요소들 각각의 외측부(6)는 관부재(22)의 비둘기 꼬리 형상의 부분 둘레를 크램프하고 2개의 관부재의 대향 벽(25)의 표면에 대향되게 놓여야 한다. 외측부(6)는, 그로부터 내측부(7)가 형성되는 벽(13)을 갖는 평행 육면체 블럭을 이루는 것으로 간주된다. 표면(14)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면(8)을 향해 경사진 접촉면(16)을 갖는 돌출부(15)는 외측단부 표면(14)으로부터 연장된다. 표면(14)는 내측면(8)에 대해 직각으로 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제6도 및 7도)접촉면(16)은 표면(14)에 대해 60
Figure kpo00002
각도를 이룬다. 완전한 연결구로써, 2개의 연결구 요소의 접촉면(16)들은, 상기한 방식으로 접혀진 벽돌(25)의 두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관부재의 비둘기 꼬리 형상의 부분을 둘러싸는 클램프면을 형성한다. 벽(13)에서 외측부(6)는 모서리 경사면(17)을 갖는다.
중앙 평면에, 외측부(6)를 관통하여 나사볼트(3)의 구멍(18)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은 나사볼트(3)의 원형헤드, 혹은 6가 너트(4)를 위해 요부(19)가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연결구 요소를 형성하도록 함께 배치되는 2개의 요소들의 내측부(7)들이 관부재의 단부에 삽입되고, 외측부(6)의 표면이 또하나의 관부재를 클램프할때 동시에 클램프한다. 이러한 수단으로 그단부에 내측부(7)가 삽입된 관부재는 다른 관부재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될수 있으며, 연결구 요소의 외측부가 그 위에 클램프되며 이와같은 것은 이관부재의 전길이의 어느 곳에서라도 행해질수 있다.
내측부(7)는 4개의 선반형상의 돌출부(10)를 갖는다. 이들 돌출부의 외측 단부는 접촉면(11)을 형성하며 그 각각은 내측면(8)과 근본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향해져있으나 내측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접촉면(11)은 내측면(8)에 놓인다(내측면(8)의 방향으로 관측될때). 내측면(8)위에서 교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0)와 접촉면(11)은 연결구 요소(2)의 맞은편을 향하고 있다. 그리하여 접촉면(11)은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돌출부(10)는 또한 각 접촉면(11)에 관해 돌출부의 맞은편 측에 놓이는 (내측면(8)에 대해 직각으로 되는 방향으로 관측될때) 경사진 접촉면(21)을 갖는다. 접촉면(21)은 작은 견부(12)위에 형성된다. 접촉면(11, 21)들은, 요소들이 결합되어 형성하는 사각형을 사분했을때, 각각 대각선 방향의 사분면에 위치한다. 돌출부(10)는 중심부(9)에 의하여 연결된다.
전기한 바와같이, 돌출부(10)는 연결구 요소(2)의 세로축을 따라 차례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따라서 4개의 적층을 형성한다고 말할수 있다. 이 결합에서, 연결구 요소들의 길이 방향의 결합은, 내측면(8)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외측부(6)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고 외측부(6)에 대해 대칭면을 포함하고 또한 내측부(7)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가상 평면의 방향으로 된다고 간주된다.
돌출부(10)의 접촉면(11)사이의 각도는 벽(25)의 각도와 같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120℃이다. 돌출부(10)의 나머지 표면들은 제4도에 명백히 도시되어지며, 여기서 내측부가 놓이는 단부로부터 하부 우측에 연결구 요소의 단부도가 주어진다. 이 도면에 도시되었듯이 각 접촉면(11)에 대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30℃를 이루는 견부(12)들이 있다. 나머지 표면들은 접촉되지 않게 만들어진 것으로 자유표면이며 따라서 다음에 나타나듯이 자유로운 형태로 될수 있다.
제1-3도는 연결구 요소(2)를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한편 일점쇄선은 동일형상의 또하나의 연결구 요소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중심에서 첫번째 연결구 요소에 대향되게 놓여서 2개의 내측면(8)이 서로 마주보며 그 부분들 사이의 중심면을 둘러싸는 연결구를 형성한다. 돌출부(10)의 변위의 결과로, 연결구 요소들이 서로 마주볼때 이들은 서로 고정되어 제4도의 우측단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접촉면(11)은 서로 대향된다. 돌출부(10)은 제4도의 중앙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얇은 판자 형태로 결속되고, 이 경우 이들 돌출부들 사이를 적절히 움직이도록 조심해야 한다. 연결구 요소들은 나사볼트(3)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형태로 만들어지며, 나사볼트는 구멍(18)을 관통하고, 그 헤드가 하나의 연결구 요소에 있는 요부(19)에 놓이는 한편, 너트(4)는 다른 연결구 요소에 있는 요부(19)에 놓인다. 핀(5)은 연결구의 위치를 조립중에 조절할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핀의 구멍은 2개의 연결구 요소에서 직경이 서로 다르게되어 핀이 한쪽 연결구 요소에서는 고정되고 또 하나의 연결구 요소에서는 약간 움직일수 있게 되도록 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연결구 요소들에서는 2가지 연속적인 직경을 갖는 핀을 사용하여 이것이 조절될수 있다.
이 2개의 연결구 요소(2)는 동일할수도 있으나 서로 결속되는 돌출부(10)의 상기 변위에 의해 내측면(8)이 서로 대향되어 함께 짝지어지는 쌍으로 될수도 있다. 동시에 연결구 요소는 내측면(8)과 평행한 분리 평면에서 볼때 하부 절단부를 전혀 갖지 않도록되는 형태로 만들어 진다. 이것은 연결구 요소들이 주조, 예를 들어 주형 주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그 복잡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완전한 연결구를 만들기 위해 하나의 연결구 요소에 단하나의 주형이 필요하게 된다.
제8도와 9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연결구 요소에서도 동일한 특성이 나타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연결구 요소와 같이, 이것도 동일한 접촉면(11, 16, 21)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교적 얇고 균일한 두께의 재료로되는 요부를 보여주므로 한층더 높은 등급의 주형주조에 적합하다. 접촉면들이 언급된 바와같이 근본적으로 같으므로, 기능도 역시 동일하다.
2개의 관부재들(22)를 함께 연결할때, 2개의 연결구 요소가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함께 놓여지고 그들의 내측부(7)의 관부재의 일단부에 삽입된다. 외측부(6)의 접촉면(16)은 또 하나의 관부재의 한 비둘기 꼬리 형상 부분에 걸린다. 이 부분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벽들(23, 25)에 의해 이루어진다. 나사 볼트(3)를 조임으로써 접촉면(16)이 벽(25)의 둘레를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로인해 그들의 경사진 위치에 의하여 표면(14)은 벽(23)으로 밀려지고 단단히 고정된다. 조이는 동안 2개의 연결구 요소(2)들이 내측부(7)은 동시에 서로 압축된다. 이 과정중에 먼저 돌출견부(12)상의 접촉면(21)은 전체 4개의 벽(25)의 내측벽으로 눌려진다. 접촉면(11)은 그 맞은편 벽(25)에 대해 어느정도 움직이는 것이 좋다. 고정 작업이 진행될때 관측면에는 어느정도의 양의 탄성이 얻어지고 이것은 또 한 접촉면(11)이 접촉되게 한다. 접촉은 두 연결구 요소들 모두와 각 돌출부(10)의 두위치에서 이루어지고 그리하여 연결구에는 총 16개의 장소에 걸쳐서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이들 접촉지점은 여러 돌출부(10)의 서로들 사이의 회전으로 인하여 중심평면 주위에 대칭으로 분포된다. 제4도는 상기 고정작업이 수행되는 방법을 가장 잘 도시하고 있다.
외측부(6)의 관측면에 대한 고정은 접촉면(16)이 서로 함께 모여서 관부재 주위를 단단히 고정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접촉면(21)도 역시 함께 근접하게 모여져서 그결과 관부재의 외측을 향한 내측 표면에 대해 누른다. 반면에 돌출부(10)의 접촉면(11)은 중심 평면의 다른쪽에 놓이고, 서로 깍지끼워진 형상으로 되어 연결구 요소가 함께 당겨질때 관부재의 내측을 향한 (중심면을 향한)벽들의 표면들과 접촉된다. 이같은 복잡한 원리 때문에, 상기 관부재 형상은 잘분포된 접촉을 이룬다.
도시되고 설명된 장치의 부품들에 관해, 단순히 나사볼트를 강하게 조임으로써 관부재들의 고정은 확산된, 잘 분포된 접촉면이 제공된 연결구 요소에 의하여 그리고 특히 부품들 사이의 이동을 방지하는 클램프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리하여 변형이나 유동의 위험을 제거한다. 이 장치는 관부재와 단부가, 교차하는 관부재의 길이를 따라 어느곳에서라도 그리고 서로 직각으로되는 4방향으로 연결될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연결구에 의하여 변화무쌍한 구조로 프레임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계, 콘베이어, 혹은 진열대의 프레임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 관부재(26)(제5도)와 수평관부재(27)들로 조립된다. 가로 비팀대(28)는 관부재(26, 27)들을 따라 어느지점에서도 결합될수 있다. 관부재들에 형성된 비둘기 꼬리 형상 부분은 연결구 요소의 외측부(6)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유사하게 클램핑 장치로써 여러 부품들을 부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연결구 요소의 내측부(7)의 원리는 또한 예를 들어 바닥으로 부터 수직 관부재로 삽입되는 각부등과 같은 특수한 부품에, 그리고 또한 2개의 관부재들을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고 2개의 내부 부품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결합편들에도 이용될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구 요소(2)는 주형 주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하여 연결구 요소들이 동일하다는 사실은 공구 및 제조의 관점에서, 그리고 또한 적재 및 조립에 있어서 유리하다. 물론 다른 제조 방법도 역시 가능하며, 이와 관련되어, 연결구 요소들이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위치들을 단지 관부재들에 대한 저비촉면들(11, 21 및 16)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관부재들은 돌출된 측면의 형태로 만들어질수 있으나 돌출될 수 없는 강철의 경우 그들을 로울 벤딩머신으로 벤딩하여 쉽게 제조할수 있다. 이것은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와 제조방법의 범위가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9)

  1. 조립용 관부재들과 이들을 연결구(1)의 형태로 함께 고정하는 고정장치들로 구성되며, 고정 장치들 각각은 관부재들(22)중의 하나의 공동(空洞)에 고정되도록 배열되는 하나의 내부측(7)와 또 하나의 관부재를 연결구의 외측 접촉면(16)으로 그 주위를 단단히 고정하므로써 조이도록 배열되는 또하나의 외부측(6)을 포함하고, 연결구(1)는 두개의 연결구 요소들(2, 2)을 포함하며, 이두 요소들에는 그 사이의 중심 평면의 양측에 헤드부분이 배치되고, 그 헤드부분은 상기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요소들을 상호 변위시켜서 접촉면(16)을 중심 평면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나사볼트(3)와 함께 상기 접촉면(16)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중심 평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서로 멀어지게 향한 표면들의 쌍들이 관부재의 공동에 제공되며, 공동에서 서로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관부재의 내측 표면들의 쌍들과 접촉하게 되는 내측 접촉면(21)들이 연결구 요소(2)의 내측부(7)에 제공되고, 나사볼트(3)에 의한 연결구 요소(2)의 이동으로 내측 및 외측 접촉면(16, 21)들이 관부재 공동의 대응 접촉면과 접촉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레임.
    제1항에 있어서, 공동의 상기 접촉표면이 공동의 접촉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재료로 되는 관부재(22)의 접혀진 벽(25)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공동의 상기 접촉표면이 공동의 접촉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재료로 되는 관부재(22)의 접혀진 벽(25)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연결구(1)의 외측부(6)가 상기 접촉면(16)과 함께, 외측 벽(23) 및 그와 인접한 내측으로 굴곡된 벽(25)에 의해 형성되는 관부재(22)을 클램프 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관부재(22)의 외측벽(23)들이 직선으로되며, 이들 모두가 정방형에 내접되는 다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공동이 또한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을 가지며, 이 표면들은 상기 접촉면(16, 21)들에 대해 중심 평면의 반대쪽에 놓이는 연결구 요소들(2, 2)의 접촉면(11)의 접촉을 위해 배치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접촉면(16, 21)의 서로를 향한 이동시에 접촉면(11)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어서 공동 내측면의 서로 마주대하는 표면들과 접촉되고, 그에 의하여 모든 내측 접촉면(11, 21)들이 동시에 접촉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연결구(1)의 두요소들(2, 2)이 돌출부들(10)상에 위치하는 내측 접촉면(11, 21)을 가지며, 이들은 과부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어지며, 연결구 요소들이 함께 배치될때 서로 박판에 대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연결구 요소(2, 2)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10)를 가지며, 그 각각은 만일 그요소들이, 가상적인 상기 중심 평면과 그리고 그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또하나의 평면에 의해 사분면으로 분할된다면 한 사분면에서 먼저 언급한 형태의 접촉면(21)이 나타나고 그 대각선 방향의 사분면에서 제2형태의 접촉면(11)이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구 요소(2, 2)의 돌출부(10)가 쌍으로 분할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대각선으로 맞은편 사분면의 첫번째 쌍에 접촉면(11, 21)을 가지며 적어도 또하나의 돌출부는 맞은편 사분면의 다른 쌍에 접촉면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구 요소(2, 2)들이 동일하고, 돌출부(10)는 2개의 동일한 상기 요소들이 서로를 향해 회전될때 한요소의 각 돌출부가 다른 요소의 돌출부들 사이에 있는 공동에 끼워지고 또 그역으로도 되는 방식으로 어긋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KR1019810003466A 1980-09-17 1981-09-17 프레임 KR89000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006509-7 1980-09-17
SE80-06509-7 1980-09-17
SE8006509A SE420342B (sv) 1980-09-17 1980-09-17 Anordning vid stati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092A KR830008092A (ko) 1983-11-09
KR890000541B1 true KR890000541B1 (ko) 1989-03-20

Family

ID=2034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466A KR890000541B1 (ko) 1980-09-17 1981-09-17 프레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4461596A (ko)
EP (1) EP0067820A1 (ko)
JP (1) JPH0218442B2 (ko)
KR (1) KR890000541B1 (ko)
AU (1) AU549180B2 (ko)
CA (1) CA1164621A (ko)
CH (1) CH649365A5 (ko)
CS (1) CS222200B2 (ko)
DE (1) DE3152347C2 (ko)
DK (1) DK150917C (ko)
ES (1) ES274359Y (ko)
FI (1) FI79399C (ko)
FR (1) FR2490316B1 (ko)
GB (1) GB2104994B (ko)
IT (1) IT1139434B (ko)
NL (1) NL187367C (ko)
PT (1) PT73687B (ko)
SE (1) SE420342B (ko)
SU (1) SU1269741A3 (ko)
WO (1) WO1982001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5203B (de) * 1986-08-20 1992-10-27 Kreusel Ulrich Verbindungselement fuer den stirnseitigen anschluss eines rohres an ein kugelfoermiges bauteil
JPH0468034U (ko) * 1990-10-25 1992-06-16
DE9202301U1 (de) * 1992-02-20 1993-06-17 Geisen, Johannes, Dipl.-Ing., 2800 Bremen Konstruktionssystem
US5716155A (en) * 1993-09-16 1998-02-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shaped connection frame
DE4406208C2 (de) * 1994-02-25 2001-10-11 P & S Plan & Scan Ingenieur Gm Anordnung mit einem Profilverbinder
DE19617653C2 (de) * 1996-05-03 1998-11-05 Friatec Keramik Kunststoff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Profil
DE19855928A1 (de) * 1998-12-04 2000-06-08 Wolfgang Rixen Verbindung zweier Profilstäbe
DE19952403A1 (de) * 1999-10-29 2001-05-03 Wemefa Horst Christopeit Gmbh Halterungschiene mit Halterungselementen
DE20219397U1 (de) * 2002-12-13 2004-04-22 Rixen, Wolfgang, Dipl.-Ing. Verbinder
FR2853343B1 (fr) * 2003-04-04 2005-05-20 Jean Pierre Genries Dispositif de fixation d'une lisse de rambarde sur des poteaux ou analogues
WO2023079613A1 (ja) * 2021-11-04 2023-05-11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9796A (fr) * 1963-03-18 1964-04-30 Installations Generales Et D A Pince d'assemblage de profilés, notamment de profilés tubulaires
FR1418868A (fr) * 1964-07-03 1965-11-26 Vallourec Dispositif d'assemblage de tubes ou organes analogues
CH442870A (de) * 1966-01-24 1967-08-31 Mueller Hermann Profilschienen-Verbindung
JPS5131307B1 (ko) * 1971-05-28 1976-09-06
US3966342A (en) * 1974-10-25 1976-06-29 Seiki Hanbai Co., Ltd. Interior structure frame assembly
US3969031A (en) * 1974-11-15 1976-07-13 Kroopp Karl Gunnar Assembly of structural members
US4142343A (en) * 1977-09-20 1979-03-06 Trafton Ronald H Post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DE8025609U1 (de) * 1980-09-25 1981-01-15 Mero-Raumstruktur Gmbh & Co Wuerzburg, 8700 Wuerzburg Befestigungselement fuer platten an stab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120347A (nl) 1983-01-03
IT8124014A0 (it) 1981-09-17
WO1982001054A1 (en) 1982-04-01
FR2490316A1 (fr) 1982-03-19
FI79399B (fi) 1989-08-31
DK218982A (da) 1982-05-14
GB2104994B (en) 1984-08-08
NL187367C (nl) 1991-09-02
CA1164621A (en) 1984-04-03
US4461596A (en) 1984-07-24
CS222200B2 (en) 1983-05-27
ES274359U (es) 1984-04-01
PT73687A (en) 1981-10-01
JPH0218442B2 (ko) 1990-04-25
DK150917C (da) 1988-02-08
DE3152347C2 (de) 1995-04-20
CH649365A5 (fr) 1985-05-15
PT73687B (en) 1982-11-23
DE3152347T1 (de) 1984-09-20
NL187367B (nl) 1991-04-02
FI823404L (fi) 1982-10-07
GB2104994A (en) 1983-03-16
AU549180B2 (en) 1986-01-16
ES274359Y (es) 1984-11-16
AU7640381A (en) 1982-04-14
IT1139434B (it) 1986-09-24
FI79399C (fi) 1989-12-11
JPS57501490A (ko) 1982-08-19
EP0067820A1 (en) 1982-12-29
DK150917B (da) 1987-07-13
FI823404A0 (fi) 1982-10-07
KR830008092A (ko) 1983-11-09
SE420342B (sv) 1981-09-28
SU1269741A3 (ru) 1986-11-07
FR2490316B1 (fr) 1986-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7486A (en) Multi-planar connector element for construction toy
KR890000541B1 (ko) 프레임
US3356394A (en) Means for tube assemblage and analogous apparatus
US5078537A (en) Connecting device
GB2187254A (en) A crosswise connector for two intersecting pipes
US4090798A (en) Device for joining hollow sections
EP0320176A1 (en) Connector
EP0987484A2 (en) Pipe coupler
US4867596A (en) Connector for elongate elements
US4624090A (en) Node element and framework bar for tridimensional frameworks
US4289417A (en) Clamp
JP6778953B2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GB1602031A (en) System for building a framework for supporting a machine or mechanism having a rotatable shaft
US5094562A (en) Three-way clamp for structural assemblies
US4032246A (en) Clamp
US4719695A (en)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 fixture for connector wire wrap pins
US4420651A (en) Proximity switch operable without physical contact
US4236846A (en) Tube joint
US4815887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and connector box therefor
EP0168544A1 (en) A corner joint for connecting bar elements
JP4167947B2 (ja) ローパーテーションの連結装置
JPH0746027Y2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S6165602A (ja) 導波管クランパ
JPH0237949Y2 (ko)
JPH06505444A (ja) 加工材を緊締するための構成エレメント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