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85Y1 -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85Y1
KR890000185Y1 KR2019820008511U KR820008511U KR890000185Y1 KR 890000185 Y1 KR890000185 Y1 KR 890000185Y1 KR 2019820008511 U KR2019820008511 U KR 2019820008511U KR 820008511 U KR820008511 U KR 820008511U KR 890000185 Y1 KR890000185 Y1 KR 890000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chuck
selection
supply mechanism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8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508U (ko
Inventor
고우 따로우 하리가네
게이 이찌 이하라
데쓰 로우 이또우
히로가즈 슈우도우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도시 유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17370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758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9518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7439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72155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78700U/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 가부시기 가이샤, 오오도시 유다까 filed Critical 티디케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2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자부품의 선택, 공급장치의 한 실시예를 갖춘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전자부품의 선택, 공급장치, 삽입기구 및 테이블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전자부품 시이퀸스의 측단면도.
제4도는 동평면도.
제5도는 동평단면도.
제6도는 시이퀸스 저부 및 기구를 나타낸 정단면도.
제7도는 각 전자부품 시이퀸스를 구동하는 기구를 나타낸 계략도.
제8도는 제1의 척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제2의 척 및 그 주변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제10도는 제2의 척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11도는 삽입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삽입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트기판 2XY테이블
3 :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4 : 기판로우더
5 : 기란언로우더 10 : 기판매거진
11, 20 : 기판매거진컨베이어 12,21 : 기판엘리베이터
13, 22 : 기판컨베이어 14 : 기판보호유지가이드
30 : 시이퀸스 31 : 삽입기구
32 : 척(chuck)기구 40 : 원통의장케이스
41 : 간결회전축 42 : 간결회전보호유지제
43 : 매거진호울더 44 : 부품매거진
44A : 부품매거진하부개구 45 : 가소성밴드
45A : 일단 45B : 타단
46 : 면화스너(매직테이프) 50 : 전자부품
50A : 본체 50B : 리드
51 : 저판 52 : 기대
53 : 헤드취부프레임 54 : 포켓
54A : 절결부 55 : 개구부
56 : 제1의 척 57 : 부품계지조
57A : 핀 58 : 신장스프링
60 : 제2의 척 61A, 61B, 180A, 180B : 협지레버
61C, 61D : 원호상면 62 : 핀
63, 182 : 척취부블록 64, 69, 91 : 에어실린더
65, 93 : 피스톤로드 66A, 66B, 185A, 185B : 링
67 : 보울푸시 68 : 보울푸시축
70 : DC서오보모우터 71, 77, 81 : 구동축
72 : 크러치 73 : 엔코우더
90 : 인덱스원판 92V : 자형계지흠
94 : 봉 95 : 마이크로스윗치
100 : 에어실린더 101, 112 : 압압봉
102, 191 : 스프링 110 : 외협지편
111 : 내협지편 121 : 구멍
161 : 선단부분 180C : 대형凸부
180D : 대형상 부 186 : 회전구동축
187 : 슬라이더 188, 189 : 지지대
190A, 190B : 스토퍼보울트 540 : 하부개구
580 : 스프링 취부판
본 고안은 전자부품 본체의 직경이 큰 전해 콘덴서 파워트랜지스터 가변저항기등의 태핑(Taping)에 적합치 않은 이형전자부품을 프린트 기판에 자동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주부품의 선택.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저항기, 콘덴서등의 미국특허 번호 제4, 243, 139호에 공시된 바와 같이 태핑을 가지고 전자부품을 프린트기판에 자동으로 삽입하는 전자부품 자동삽입기는 미국특허번호 제4, 054, 988호, 미국특허번호 제4, 263, 708호 등과 같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부품의 본체의 직경이 큰 전해 콘덴서나 피워트랜지스터, 가변저항기등의 이형 전자부품은 상기 미국특허번호 제4, 243, 139호에 공시된 것과 같이 태핑을 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미국특허번호 제4, 054, 988호, 와 미국특허번호 제4, 263, 708호에서는 태핑이 불가능하여서 삽입이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들의 이형 전자부품을 태핑을 하지 않고 전연 새로운 기구로서 자동삽입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의 선택·공급장치를 공급하고자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의 위치에서 소정의 전자부품(50)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전자부품(50)을 제2의 특정위치로 공급키 위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공급장치에 있어서, 이 전자부품 선택. 공급장치가 전자 부품을 일정한 모양으로 겹친상태로 수납한 여러개의 전자부품 매거진(44)을 수직으로 보호유지하는 수단(41, 42, 43)을 가지고 있고, 특정한 전자부품(50)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부품 시이퀸스(30) 수단과, 상기한 전자부품 시이퀸스(30)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한 특정한 전자부품을 받아 제2의 특정위치에 전자부품(50)을 공급키 위한 척(Chuck) 기구(32) 수단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의 전자부품 시이퀸스(30) 수단이 간결회전축(41)과, 속수의 전자부품 매거진(44)을 소정각도 간격으로 보호유지 하여서 간결회전축(44)과 일체로 회전하는 전자부품 매거진 호울더와(43) 복수의 전자부품 매거진의 하부개구(44A)에 연통하는 것과 같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되어 있는 포켓(5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척기구(32) 수단이 전자부품 본체(50A)를 협지하여 상기한 포켓(54)에서 취출한 제1의 척(56)과 이 제1의 척으로 취출된 전자부품 리드(50B)를 협지하여 제2의 특정위치에 공급하는 제2의 척(6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제1의 척(56)은 전자부품 본체(50A)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래버(61A), (61B)를 가지고 있어, 전자부품매거진(44)의 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2의 척(60)은 제1의 척(56)으로서 그 본체(50A)를 협지된 전자부품의 리드(50B)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래버(180A), (180B)를 가지고 있어 전자부품 매거진(44)의 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갖춘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자부품 자동삽입기는, 프린트 기판(1)의 재치된 XY테이블(2)와 이XY테이블(2)의 위쪽에 위치하고 전자부품을 선택하고 공급하는 전자부품 선택. 공급기구(3)와 선택적으로 공급된 각 전자부품을 프린트 기판(1)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기구(31)와 XY테이블(2)에 프린트 기판(1)을 집어 넣은 기판로우더(4)와 XY테이블(2)로부터 배출된 프린트 기판(1)을 이송하는 기판언로우더(5)를 갖추고 있다.
기판 로우더(4)는 기판 매거진(10)을 화살표 A.B.C의 손으로 ㄷ자상으로 이송하는 기판 매거진 컨베이어(11)가 기판엘리베이터(12)와 기판 컨베이어(13)와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 매거진(10)은 내측면에 기판 보호유지 가이드(14)를 가지고 있어서 이 기판 보호유지 가이드(14)의 다수의 홈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지지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을 다수 수납한 기판 매거진(10)은 화살표와 같이 진행한 후 직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서 꼭 기판엘리베이터(12)에 대향한 위치에 정지하고, 퓨셔기구(푸시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기판 매거진(10)안의 다수의 프린트 기판(1)은 한번에 기판엘리베이터(12)안으로 압입된다.
기판엘리베이터(12)는 기판 매거진(10)과 같은 간격으로 프린트 기판(1)을 보호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프린트 기판(1)을 상하로 승강이 가능한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것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송된 프린트 기판의 최상단의 것이 퓨셔기구에 의하여 기판 컨베어어(13)에 이송되고, 이 기판 컨베이어(13)은 프린트 기판(1)을 한장씩 XY테이블(2)의 위헤 송입한다.
XY테이블(2)는 5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에 대응하여서 5개의 프린트 기판을 재치가 가능하며 소요한 기판위치를 정하는 기구와 프린트 기판(1)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한장씩만을 이송하는 기판이송기구를 가지고 있다.
전자부품의 삽입이 전부 완료한 프린트 기판(1)의 XY테이블(2)로부터 기판 언로우더(5)에 송출된다.
기판 언로우더(5)는 기판 로우더(4) 동일기구를 대칭하게 배치한 것이며, 기판 매거진(10)을 화살표 D,E,F의 순으로 ㄷ자상으로 이송하는 기판 매거진 컨베이어(20)와 기판엘리베이터(21)와 기판 컨베이어(2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XY테이블(2)로부터 송출된 프린트 기판(1)은 기판 컨베이어(22)를 개재하여서 기판 엘리베이터(21)에 순차로 보내어져서 이 기판 엘리베이터(21)안에 소정매수의 프린트 기판(1)의 수납되면 화살표 D,E의 경로로 이동해온 빈 기판 매거진(10)에 기판 엘리베이터(21)안에 있는 다수의 프린트 기판(1)이 한번에 퓨셔기구에 의해 압입된다.
다수의 프린트 기판(1)를 보호유지한 기판 매거진(10)은 다시 화살표F와 같이 이동하여 단부에서 정지한다.
그러면 본 고안에 관계되는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는 XY테이블(2)을 지지하는 기대(52)의 위에 설치고정된 헤드 취부 프레임(5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원통상의 시이퀸스(30)과, 이 시이퀸스(30)로부터 전자부품을 끌어내서 삽입기구(31)에 공급. 이송을 하는 척(Chuck)기구(3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는 5개가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XY테이블(2)위에는 5매의 프린트 기판(1)이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기구(31)에 의한 전자부품의 삽입동작은 항상 XY테이블(2)의 이동량이 최소로 되도록 5개중의 어떠한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가 선택되고, 상기한 삽입기구(31)를 개재하여 삽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5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는 다른 종류의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한 시이퀸스(30)는 전해 콘덴서등의 태핑(Taping)에 적합치 않은 이형 전자부품을 여러 종류를 수납하여 두고 이들 중에서 특정종류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시이퀸스(30)의 상세한 것은 제3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내 있으며,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시이퀸스(30)의 원통의장 케이스(40)의 중심에는 간결회전축(41)이 관통되어 있고, 간결회전축(41)의 주위에 단면이 정다각형(도시예에서는 정팔각형)의 간결회전보호유지체(42)가 고착되어 있다.
이 간결회전보호유지체(42)의 각면에는 부품 매거진 호울더(43)가 고착되어 있고, 이 부품 매거진 호울더(43)에 의하여 부품 매거진(44)이 수직하게 또한 동각도 간격(도시예에서는 45도 간격)으로 보호유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품 매거진(44)은 플라스틱등으로 성형된 상하의 방향으로 가늘고 긴 각 통상이며, 전해 콘덴서등의 전자부품(50)을 본체(50A)가 안쪽 리드(50B)가 외측과 겹치도록 일정한 자세(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여러개를 겹쳐서 수납한 것이다.
또한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매거진 호울더(43)에는 부품 매거진(44)의 보호유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가소성밴드(45)의 일단(45A)가 고정되어, 가소성밴드(45)의 타단(45B)은 부품 매거진(44)을 누른 상태에 있어서 면화스너(매직테이프)(46)에 매거진 호울더(43)에 탈착이 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각 부품 매거진 호울더(43)에 설치된 부품 매거진(44)은 호울더(43)마다에 다른 종류의 전자부품(50)을 수납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매거진 호울더(43)은 8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8종류의 전자부품을 1개의 시이퀸스(30)안에 수납되어, 5개의 시이퀸스(30)에서는 총 40품종의 전자부품을 수납하게 된다.
시이퀀스(30)의 원통 의장케이스(40)의 하단에는 저판(51)이 접촉 일체화가 되어 이것들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테이블(2)을 지지하는 기대(52)의 위에 설치 고정된 헤드 취부 프레임(5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51)위에는 부품 매거진 호울더(43)의 아래쪽에 위치하게끔 포켓(54)이 간결회전 보호 유지체(4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간결회전 보호 유지체(42)의 간결회전운동에 따라서 부품 매거진(44)및 이 하부개구(44A)에 연통하는 포켓(54)이 제5도에 나타낸 화사표 G와 같이 45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H점에 위치한 포켓(54)의 하부개구(540)에 대응하여서 저판(51)에도 개구부(55)가 형성되어, 이 위치에 있어서 포켓(54)안의 최하단의 전자부품(50E)이 척기구(32)의 제1의 척(56)으로서 취출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켓(54)의 하부도 상기와 같이 하부개구(540)로 하여 개구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프링 취부판(580)이 포켓(54)에 고정되어 이 스프링 취부판(580)에 부품 계지조(57)가 추착되어, 이 부품 계지조(57)가 신장 스프링(58)에 의하여 포켓(54)의 내측에 진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있게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자부품 1개분의 스페이스를 포켓(54)안에 빈 상태로하여 통상에 전자부품(50)의 낙하를 척(56)이 위치하지 않을 때 방지하고 잇다.
각기의 시이퀸스(30)의 간겸회전축(41)을 구동하기 위한 기구는 제7도에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본체측에는 DC서어보 모우터(70) 및 구동축(71)이 설치되어져 있고 구동축(71)에는 각 시이퀸스(30)에 대응하여서 크러치(72)가 설치됨과 동시에 엔코우더(73)가 설치된다.
DC서어보 모우터(70)와 구동축(71)에는 각각 스프로킷(74)(75)가 고착되어 얌 스프로킷(74)(75) 사이에 체인(76)이 장설되어 있다.
한편 헤드 취부 프레임(53)에는 각 시이퀸스(30)에 따라서 구동축(77)이 축지되어 이 구동축(77)의 상단에 풀리(78)가 하단에는 베벨치차(80)가 고착되어 있다.
또 베벨치차(79)에 서로 맞물린 베벨치차(80)을 구비한 구동축(81)에는 스프로킷(82)이 고착되어, 이 스프로킷(82)과 크러치(72)의 스프로킷(83)과의 사이에 체인(84)이 장설된다.
그리고 풀리(78)와 시이퀸스(30)의 간결회전축(41)에 고착된 풀리(85)와의 사이에 벨트(86)가 감아 걸리게 된다.
이 결과 DC서어보 모우터(70)의 회전은 스프로킷(74) 체인(76), 스프로킷(75)을 개재하여 구동축(71)에 전달되고 또한 선택된 크러(72), 스프로킷(83), 체인(84), 스프로킷(82), 구동축(81), 베벨치차(80)(79), 구동축(77), 풀리(78), 벨트(86), 풀리(85)을 개재하여서 특정의 시이퀸스(30)의 간결회전축(41)에 전달된다.
이 경우 DC서어보 모우터(70)의 1회전동작으로 간결회전축(41)은 15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3회의 회전동작으로 간결회전축(41)은 45도를 회전하고 옆의 부품 매거진(44)이 선택되는 것이 된다.
단 DC서어보 모우터(70)만으로서는 간결회전축(41)의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가 없음으로, 간결회전축(41)의 상부에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인덱스 원판(90)이 고착되어 이것에 대향하도록 에어실린더(91)가 설치된다.
그 인데스 원판(90)은 부품 매거진(44)의 정지위치에 대응한 대략 V자상 계지홈(92)을 가지고 있고, 에어실린더(91)의 피스톤로드(93)의 선단에는 쐐기상의 위치를 정하는 동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윗치(95)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부품 공급용의 척기구(32)는 시이퀸스(30)으로 선택된 전자부품을 취출하여서 프린트 기판에 전자부품의 삽입을 행하는 삽입기구(31)에 이송, 공급을 하는 것이다.
척(Chuck)기구(32)는 전자부품(50)의 본체(50A)를 협지하여서 시이퀸스(30)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제1의 척(56)과 이 제1의 척(56)에서 취출된 전자부품(50)의 리드(50B)를 협지하여서 삽입기구(31)에 이송하는 제2의 척(60)을 갖추고 있다.
상기한 제1의 척 (56)은 제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협지레버 (61A), (61B)를 핀(62)로서 척취부블록(63)에 추착하고, 이 척취부블록(63)에 조입된 에어실린더(64)의 피스톤로드(65)에 협지레버(61A), (61B)의 하단을 링(66A), (66B)을 개재하여서 연결한 것이다.
상기의 척취부블록(63)은 또한 보울푸시(67)(제6도 표시)로 일체로 되어 있고 시이퀸스(30)의 저부(51)에 수직으로 설치된 보울푸시 축(68)에 의하여 상하로 접동이 자재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척취부블록(63)의 승강구동은 저판(51)에 취부된 에어실린더(69)(제6도 표시)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한 시이퀸스(30)축의 포켓 (54)의 하단부에는 협지레버(61A), (61B)가 진입이 가능하도록 절결부(54 A)가 형성되었다.
또 협지레버(61A), (61B)의 선단은 협지할 전자부품(50)의 본체(50A)에 의접하는 것과 같이 원호상면(61C), (61D)되어 있다.
제2의 척(60)은 제9도 및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협지레버(180A), (180B)를 핀(181)에 조입된 에어실린더(183)의 피스턴로드(184)에 협지레버(180A), (180B)을 개재하여 연결을 한 것이다.
이 척 취부블록(182)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구동 축(186)에 고정되고 이 회전구동 축(186)은 슬라이더(187)에 90도 회전구동되는 것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시이퀸스(30)및 헤드 취부프레임(53)축에 고정되는 지지대(188)위에는 평행하게 한쌍의 지지대(189)가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축(189)에 의하여 슬라이어(187)는 화살표 ㄴ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접동이 자재하게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더(187)의 동작하는 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스토퍼 보울트(190A), (190B)가 주어지고 이들의 스토퍼 보울트(190A), (190B)는 스프링(191)에 의하여 쿠션 효과를 가지게 하고 있다.
또한 협지레버(180A)에는 전자부품(50)의 리드(50B)의 간격에 대응한 대형상凸부(180)가 형지레버(180D)에는 그 대형상凸부(180C)가 감입하는 대형상 부(180D)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의凸부(180C)와 부(180D)로서 리드(50B)의 간격이 정확하게 규제된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통상, 부품 매가진(44)내의 전자부품(50)의 중력에 따라 포켓(54)의 안으로 낙하하고 제8도의 부품 계지조(57)에 걸려서 정지하고 있다.
지금 전자부품 시이퀸스(30)의 안의 특정한 종류의 전자부품을 공급하고저 하는 내용의 지령이 내리면 DC서어보 모우터(70)가 작동하고, 이 회전동작에 의하여 간결회전축(41)이 소정각도(45도의 정수배) 회전하여 지정된 전자부품을 수납한 부품 매거진(44)이 저판(51)의 개구부(55)(H점)에 이동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91)의 피스톤로드(94)가 신장하여, 쐐기 상의 위치를 정하는 봉(94)이 인덱스 원판(90)의 계지홈(92)에 진입하고, 간결회전축(41)을 정확한 회전각도의 위치로 한다.
간결회전축(41)이 정지후, 척기구(32)의 제1척(56)이 제8도와 같이 상승하여 포켓(54)의 하부에 형성된 절결부(54A)에 침입하고 다음에 제1의 척(56)의 협지레버(61A), (61B)가 전자부품(50)을 받아들이기 위한 화살표 I와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 작동은 에어실린더(64)의 피스톤로드(65)를 내부의 스프링(64A)의 탄성으로 수축하므로써 실행되고, 협지레버(61A), (61B)가 열림과 동시에 협지레버(61B)의 선단부분(161)이 부품 계지조(57)의 핀(57A)에 당접하여 부품 계지조(57)를 화살표 J와 같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포켓(54)의 최하단의 전자부품 (50)이 해당되어 화살표 K와 같이 협지레버(61A), (61B)의 원호상면(61C), (61D)의 사이에 낙하된다.
그후 에어실린더(64)는 압축 에어의 힘에 의하여 피스턴로드(65)를 신장시킨다.
그리고 협지레버(61A), (61B)의 선단의 원호상면(61C), (61D)으로 전자부품(50)의 본체(50A)를 협지한 상태로서 에어실린더(69)가 신장하고, 척 취부블록(63)은 화살표N과 같이 하강하고, 제1의 척(56)은 제2의 척(60)이 대기하는 위치에까지 하강한다.
제1의 척(56)의 하강위치에서 전자부품(50)의 리드(50B)는 제2의 척(60)에 대하여 꼭 제10도 같은 위치 관계로 된다.
즉, 제1의 척(56)에서 시이퀸스(30)으로부터 취출된 전자부품(50)의 리드(50B)는 제2의 척(60)은 위방향으로 거기다 협지레버(180A), (180B)를를 열린 상태로 받아 들인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6도에서 나타낸 압압봉용의 에어실린더(100)가 신장하고 압압봉(101)으로서 전자부품(50)을 압입하고, 전자부품(50)의 리드(50B)의 기부가 확실하게 제2의 척(60)으로 협지되게금 한다.
이 경우 스프링(102)에 의하여 압압봉(101)에 쿠션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 동작이 있은 후 제2의 척(60)의 에어실린더(183)가 작동을 하여 협지레버(180A), (180B)을 닫고 리드(50B)를 협지한다.
그리고 화살표 M과 같이 회전구동축(186)이 90도 회전하고 제2의 척(60)을 옆으로 돌린 다음, 슬라이더(187)가 화살표 L과 같이 우방향에 수평이동한다.
이 결과 제2의 척(60)으로된 전자부품(50)은 삽입기구(31)의 하단위치에 오게된다.
삽입기구(31)로서는 예를들어 미국특허번호 제4, 054, 988호, 4, 196, 513호, 4, 294,000호, 4, 320, 574호 등에 공지된 기구가 채용된다.
일예로서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50)의 리드 (50B) 의 간격에 같은 간격의 외협지편(110)과 내협지편(111)과의 조를 한쌍구비하고, 또한 전자부품(50)의 본체(50A)를 진공 흡착 가능한 압압봉(11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협지편(110)과 내협지편(111)을 개폐가 가능하고, 닫힌 상태에 있어서 리드(50B)를 협지하는 흠을 하단부에 형성하는 것이며 제12도의 상태로부터 전자부품(50)의 본체(50A)를 압압봉(112)으로 흡착 보호유지하고 또한 외협지편(110)과 내협지편(111)으로서 리드(50B)를 협지하여서 제13도와 같이 하강하여 프린트 기판(1)의 부품삽입을 하는 구멍(121)에 리드(50B)를 자동으로 삽입한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의 전체적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로우더(4)의 부품 삽입하기전의 프린트 기판(1)다수 수납한 기판 매거진(10)은 화살표 A,B의 순으로 진행하고 기판 엘리베이터(12)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이 위치에서 기판 매겨진(10)안의 다수의 프린트 기판(1)이 한번에 기판 엘리베이터(12)에 옮겨서 바꿀 수 있다.
기판 엘리베이터(12)에서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기판 컨베이어(13)에 한장씩 프린트 기판(1)이 공급되고, 또한 기판 컨베이어(13)를 개재하여 XY테이블(2)의 위에 프린트 기판(1)이 이송되어, 여기에서 소정의 위치를 정한후에 전자부품 선택·공급(3)와 삽입기구(31)에 의한 부품 선택. 공급기구 및 삽입이 실행된다.
통상, XY테이블(2)에는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및 삽입구(31)의 갯수에 대응하는 5개의 프린트 기판(1)에 재치되어 각각 대응하는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 및 삽입기구(31)에 의하여 부품이 삽입된다.
삽입할 전자부품(50)의 선택은 시이퀸스(30)의 간결회전 보호 유지체(42)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져 원하는 전자부품(50)을 수납한 부품 매거진(44)이 시이퀸스 우단의 H점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제어된다.
H점에 위치하는 부품 매거진(44)의 아랫쪽의 포켓(54)로 부터 선택된 전자부품(50)이 척기구(32)의 제1의 척(56)에 본체(50A)를 협지되어서 취출되고, 또한 제2의 척(60)으로 리드(50B)를 협지되어서 삽입기구(31)에 이송, 공급된다.
그리고 삽입기구(31)의 작용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1)에 원하는 전자부품(5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삽입동작은 XY테이블(2)의 이동량이 최소로되는 순서로 각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3) 및 삽입기구(31)가 적당하게 선택되어 반복하여 실행된다.
부품 삽입이 완료된 프린트 기판(1)은 XY테이블(2)로부터 배출되어, 기판 언로우더(5)의 기판 컨베이어(22)를 개재하여 기판 엘리베이터(12)에 여러층으로 쌓인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기판 엘리베이터 (21)안의 프린트 기판(1)의 매수가 가득차면 이것에 대향하여서 있는 빈 기판 매거진(10)에 한번에 여러개의 프린트 기판(1)이 옮겨서 바꿀 수 있어, 삽입 끝난 프린트 기판을 보호유지한 기판 매거진(10)은 화살표와 같이 기판 매거진 컨베이어(20)의 단부에 이송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부품(50)을 일정한 자세로 쌓아 겹친 상태로한 부품 매거진(44)을 씀으로서 태핑이 필요치 않게 되어 태핑에 적합치 않은 외경이 큰 전해 콘덴서, 파워트랜지스터등의 이형 전자부품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삽입기구로 공급할 수 가 있으며, 시이퀸스(30)에 의해 부품 매거진(44)을 여러개를 직립시켜서 그안의 어떤것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러품종의 이형전자부품중에서 특정한 종류의 전자부품을 빠른 속도로 선택하고 한개씩 공급할 수가 있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시이퀸스(30)으로부터의 전자부품 (50)의 취출을 그 본체(50A)를 협지하는 제1의 척(56)으로서 행하고 있으므로 취출동작할때 리드(50B)가 휘어지는 일이 없으며, 제2의 척(60)은 일대의 협지레버(180A), (180B)로 전자부품(50)의 리드(50B)를 협지를 할뿐 아니라 협지레버 선단의 대형상凸부(180C)및 대형상 부(180D)에 의하여 리드(50B)의 간격이 정확하게 규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리드(50B)가 2개의 전자부품(50)의 경우로 설명을 하였으나 리드가 3개인 경우에도 제2의 척(60)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므로써 자동적인 전자부품의 선택·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여러종류의 서로 다른 전자부품 중에서 특정한 종류의 전자부품을 빠른 속도로 선택하고 공급할 수 가 있으며 전자부품의 본체가 마모로 인한 파손이 적어 경제적이며 조립이 용이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제 1의 위치에서 소정의 전자부품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자부품을 제2의 특정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이 전자부품 선택·공급장치가 전자부품(50)을 일정한 모양으로 쌓아 겹친상태로 수납한 복수의 전자부품 매거진(44)을 수직으로 보호유지하는 수단인 간결회전축(41)과, 간결회전 보호 유지체축(42) 및 매거진 호울더(43)가 설하여지고 전자부품(50)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부품 시이퀸스 수단(30)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한 전자부품(50)을 수취하고 제2의 특정한 위치에 이 전자부품(50)을 공급하기 위한 척수단(32)으로서 구성하여서 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부품 시이퀸스 수단(30)이 간결회전축(41)과 여러기의 전자부품 매거진(44)를 소정각도 간격으로 보호유지하여 간결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을 하는 전자부품 매거진 호울더(43)과 여러개의 전자부품 매거진(44)의 하부 개구(44A)에 연통하는 것과 같이 소정한 각도의 간격으로 설하여진 포켓(54)을 포함하여 구성하여서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척수단(32)이 전자부품(50)의 본체 (50A)를 협지하여서 포켓(54)으로부터 취출하는 제1의 척(56)과, 이 제1의 척(56)으로 취출된 전자부품(50)의 리드(50B)를 협지하여서 제2의 특정한 위치로 공급하는 제2의 척(60)을 포함하여 구성하여서 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척(56)이 전자부품(50)의 리드(50A)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레버(61A, 61B)를 가지고 있어, 전자부품 매거진(44)의 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제2의 척(60)이 상기한 제1의 척(56)으로 그 본체(50A)를 협지한 전자부품(5)의 리드(50B)를 협지하는 한쌍의 협지레버(180A, 180B)를 설하여 전자부품 매거진(44)의 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서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5. 제2하에 잇어서, 상기 간결회전축(41)에 단면이 정다각형의 간결회전 보호유지체(42)가 고착되어, 이 간결회전 보호 유지체(42)의 각 측면에 상기 전자부품 매거진 호울더(43)가 고착되게 구성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부품 매거진 호울더(43)에 전자부품 매거진(44)의 보호유지를 확실하게 하기위한 보호 유지 가소성 밴드(45)를 설하여서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켓(54)이 간결회전 보호유지체(42)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간결회전 보호유지체(42)에 고착된 전자부품 매고진 호울더(43)의 아래쪽이어서, 매거진 호울더(4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설하여서 된 전자제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켓(54)에 특히 부품 계지조(57)와 신장스프링(58) 및 스프링 취부판(580)을 설치하여 전자부품(50) 한개분의 스페이스를 이 포켓(54) 안에 공간이 된 상태에서 전자부품(50)의 포켓(54)으로 부터의 탁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된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단(57,58,580)이 포켓(54)에 고정된 스프링 취부판(580)과 이 스프링 취부판(580)에 걸어 물림된 부품 계지조(57)와 이 부품 게지조(57)를 포켓(54)의 안쪽에 진입하는 방향에 스프링(58)을 탄력성 있게 설치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간결회전축(41)의 위치를 정하는 수단(90,91)을 설치하여 이 위치를 하는 수단(90,91)이 간결회전축(41)에 고착되어 주면에 V자형 계지홈(92)있는 인덱스원판(90)과, 인덱스원판(90)에 대향하여서 설치되고 선단의 위치를 정하는 봉(94)을 구비한 피스톤 로드(93)를 가진 에어실린더(91)로서 구성하여서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척(56)의 한쌍의 협지레버(61A, 61B)에 핀(62)을 개재하여 척 취부블록(63)에 걸어 물려 협지레버 (61A, 61B)의 후단은 링 (66A, 66B)를 개재하여서 척 취부블록 (63)에 비치된 에어실린더(64)의 피스톤 로드 (65)에 연결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척(60)의 한쌍의 협지레버 (180A, 180B)는, 핀(181)를 개재하여서 척 취부블록(182)에 걸어물려, 이 한쌍의 협지레버(180A, 180B)의 후단은, 링(185A, 185B)를 개재하여 척 취부블록(182)에 비치된 에어실린더(183)의 피스톤 로드(184)에 연결하여서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척 취부블록(182)이 회전구동축(186)에 고정이 되어 이 회전구동축(186) 이 슬라이더(187)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척(56)의 한쌍의 협지레버(61A, 61B)가 전자부품(50)의 본체(50A)에 외접하는 원호상면(61A, 61B)의 각각 선단부에 설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의 척(60)의 한쌍의 협지레버(180A, 180B)의 일측선단부에 전자부품(50)의, 리드(50B)의 간격을 규제하는 대형상t-1부(180C)와 대형 부(180D)를 설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의 척(56)의 일측 협지레버(61B)의 계합부(161)에 부품 계지조(57)를 설하여 계합부(161)가 부품 계지조(57)와 계합함에 따라 전자부품(50)의 계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전자부품 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공급기구.
KR2019820008511U 1981-10-31 1982-10-28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 공급장치 KR8900001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73702 1981-10-31
JP56173702A JPS5875887A (ja) 1981-10-31 1981-10-31 電子部品自動挿入機
JP56-169518 1981-11-16
JP16951881U JPS5874398U (ja) 1981-11-16 1981-11-16 電子部品シ−ケンサ
JP56-172155 1981-11-20
JP17215581U JPS5878700U (ja) 1981-11-20 1981-11-20 電子部品移送用チヤツ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508U KR840002508U (ko) 1984-06-27
KR890000185Y1 true KR890000185Y1 (ko) 1989-03-06

Family

ID=2732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8511U KR890000185Y1 (ko) 1981-10-31 1982-10-28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 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78010A (ko)
KR (1) KR890000185Y1 (ko)
CA (1) CA1192666A (ko)
DE (1) DE8230547U1 (ko)
FR (1) FR2515918B1 (ko)
GB (1) GB2111033B (ko)
IT (1) IT1191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10A (en) * 1985-09-04 1989-04-25 Kosmowski Wojciech B Automated work-piece handling system for machine tool
FR2611341B1 (fr) * 1987-02-19 1989-05-05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automatique d'embouts pour cables conducteurs electriques
JPH07120871B2 (ja) * 1988-02-16 1995-12-20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チップ装着装置
JPH0618219B2 (ja) * 1988-09-27 1994-03-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樹脂封止用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
EP0497129B1 (de) * 1991-01-28 1995-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stücken von Leiterplatten
US6666644B1 (en) * 2000-01-13 2003-12-23 Labcon, North America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units of platform-loaded goods
KR100467981B1 (ko) * 2002-07-30 2005-01-24 하아나반도체장비 주식회사 반도체 와이어 본딩용 캐필러리 자동지급기
CN106028784B (zh) * 2016-05-26 2017-03-22 东莞市正向智能科技有限公司 使用棒状直线电机的模块化异形件插件机及其插件头
CN108082925B (zh) * 2017-12-13 2023-12-26 恩纳基智能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叠层上下料装置
CN113540885B (zh) * 2021-07-06 2023-06-09 绍兴新辉照明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自动插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0165B (ko) * 1955-02-15 1960-04-21
US2914843A (en) * 1955-10-31 1959-12-01 Gen Mills Inc Machine for attaching electrolytic condensers
JPS51120485A (en) * 1975-04-15 1976-10-21 Citizen Watch Co Ltd Conveyance unit in transfer machine
US4063347A (en) * 1976-10-01 1977-12-20 Usm Corporation Machine for inserting multi-lead components sequentially
JPS54144974A (en) * 1978-05-02 1979-11-12 Tdk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electronic component insertion apparatus
DE2846262A1 (de) * 1978-10-24 1980-05-08 Alfred Lemmer Bestueckungstisch fuer leiterplatten
JPS55108796A (en) * 1979-02-14 1980-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inserting component
US4327483A (en) * 1979-06-07 1982-05-04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Apparatus for selecting, transporting, and inserting single in-line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15918B1 (fr) 1987-01-09
IT1191060B (it) 1988-02-24
CA1192666A (en) 1985-08-27
DE8230547U1 (de) 1983-04-21
US4578010A (en) 1986-03-25
KR840002508U (ko) 1984-06-27
FR2515918A1 (fr) 1983-05-06
GB2111033A (en) 1983-06-29
GB2111033B (en) 1985-09-11
IT8224004A0 (it) 198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3030B1 (en) Test tube gripper,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4327482A (en)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KR890000185Y1 (ko)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에 있어서의 전자부품 선택 · 공급장치
KR920000970B1 (ko) 전자 부품 취부 장치
JPH11135985A (ja) 電気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部品装着装置
JP4268315B2 (ja)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KR100273837B1 (ko) 웨이퍼링의공급장치
US3878026A (en) Electrical component sequencer and taper
JPH0213839B2 (ko)
US6152283A (en) Circuit-component supplying method and circuit-component feeder
US4068373A (en) Component insertion machine
US4677745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unting special-type chips on substrate
JPS62251026A (ja) 止め輪の自動插入装置
JPH0736895Y2 (ja) 物品の方向転換装置
US5967365A (en) Feeder for separating parts molded to a continuous carrier tape
JPS61287640A (ja) リ−ドフレ−ム用搬送装置
JPS62116422A (ja) マガジンストツカ
KR970008358B1 (ko) 반도체 튜브의 순차정렬 공급장치
JPS62130982A (ja) 巻かれているボビンを選別する装置
JPS6138222Y2 (ko)
JPS62146821A (ja) マガジン供給方法
SU12667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штучной выдачи плоских деталей
JPS5884500A (ja) 電子部品のテ−ピング装置
JPS6090690A (ja) 電子部品の把持装置
JPS60204474A (ja) 瓶蓋内へのシ−ル用デイスクの装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