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68Y1 - 식생대 - Google Patents

식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68Y1
KR890000068Y1 KR2019840009844U KR840009844U KR890000068Y1 KR 890000068 Y1 KR890000068 Y1 KR 890000068Y1 KR 2019840009844 U KR2019840009844 U KR 2019840009844U KR 840009844 U KR840009844 U KR 840009844U KR 890000068 Y1 KR890000068 Y1 KR 89000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oil
seed
vegetation zone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173U (ko
Inventor
다로오 나까가와
다까스께 이마무라
나오도 후꾸다
Original Assignee
론다이 가부시기 가이샤
다로오 나까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론다이 가부시기 가이샤, 다로오 나까가와 filed Critical 론다이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9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068Y1/ko
Publication of KR860004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6Carrier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생대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식생대의 사시도.
제2도는 하부시이트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시이트 (2) : 펄프
(3) : 식물성 유기토양개량재 (5) : 종자
(6) : 비료 (7) : 히이트세트선
(8) : 피복재
본 고안의 경사면등을 녹화함에 사용되는 식생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식생대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으나, 이 대표적인 것의 하나로서, 일본국 실공소 51-37282호 공보에 공개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장의 수분해성 시이트 사이에 종자, 비료등을 구획 수납하고, 그위에 볏짚 등을 방석 모양으로 한 피복재를 마련한 것이다. 이 식생대는 볏짚 등의 방석을 장치하였음에 따라 운반이나 취급할때에 파손하는 일도 없고, 또 그물맥등에 의한 경사면에의 고정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간단히 경사면등에 부설하면 좋으므로 시공성은 좋다.
그리고 부설한 다음에 있어서는 토양수분의 증발, 동결하는 것을 방지하여 종자의 발아에 좋은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풍우에 의한 종자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한다. 나아가서, 부식한 다음에는 비료, 토양개량재로 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원으로 된다. 그렇지만 이 볏짚은 부식하여 토양개량재, 비료로 되는 것이지만 흙이 깎인 경사면 등 아직 통화하지 않은 토양에서는 미생물이 부족하고 있기 때문에 부식하려면 오랜 세월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부식하여 식물의 생육에 효과를 발휘할때까지 시간이 소요함과 동시에 부식과정에서 주위로 부터 식물의 생육에 필요로 하는 질소분을 흡수한다. 그 때문에 특히 비료성분이 적은 흙이 깎인 면 등에 전술한 식생대를 시공하면 식생대속의 질소비료의 대부분이 흡수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로 하는 질소분이 부족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려면 식생대 속에 질소비료를 넣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발아시에 질소비료에 의하여 농도장해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피이트모스나 바아크등의 식물성 유기토양개량재는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할뿐 아니라 비료성분을 다량으로 보존할 수 있고, 비료에 의한 농도장해를 완화함과 동시에 부식함에 질소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볏짚에 비하여 조기에 부식한다고 하는 뛰어난 기능을 지닌 토양개량재이다.
따라서, 이 피이트모스등으로 식생대를 형성하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 식물성 유기토양량재는 함수율이 40-80%의 습윤상태가 아니면 안되며 그대로의 상태에서 건조하면 섬유가 위축하여 흡수성을 잃게되어 전술한 효과를 거둘수 없다.
그래서, 본 고안자등은 여러가지로 검토하였던 결과 피이트모스, 마아크등의 섬유를 비이팅하면 표면적이 커지고, 건조하여도 충분한 흡수성을 지니게 되어 본래의 기능을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식견에 기초하여 이룩한 것으로서, 종래의 식생대에 있어서의 하부시이트를 펄프에 비이팅한 식물성유기토양개량재를 혼합한 다음 떠내어 수분해성을 지닌 식생용 시이트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경사면에 시공하면 강우등의 수분으로 인하여 식물성 유기토양개량재는 수분을 흡수하여 보수함과 동시에 비료분 특히 농도장해의 원인으로 되는 질소를 흡수하여 농도장해를 방지하여 나아가서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볏짚을 부식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토양개량재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다음에 본 고안을 한 실시예인 제1도,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1)은 하부 수분해성 시이트로서, 펄프(2)에, 30-60중량%의 피이트모스 혹은 바아크 등을 비이팅한 식물성유기토양개량재(3)를 수분해성 접착제를 첨가 혼합한 원료를 떠내어 시이트로 하여 건조한 것이다. (4)는 잘 알려진 수분해성 시이트로서, 예를 들면 펄프에 적당한 량의 열가소성수지로 되는 긴섬유를 섞어 넣은 것이다.
또(8)은 볏짚을 잘 알려진 수단으로 방석 모양으로 구성한 피복제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관한 식생대 A는 전술한 2장의 수분 해성시이트(1), (4)사이에 종자(5)혹은 그 종자에 비료(6)등을 산포상태로 개재시키고 그위에 피복재(8)를 배치하여 격자상의 철부를 지닌 히이트로울러로 열가소성수지를 히이트세트선(7)에서 히이트세트하고, 이2장의 수분해성시이트(1), (4)사이에 종자(5)등을 구획 수납한 것이다. 더우기 피복재(8)는 히이트세트할때에 볏짚을 배치하여 열접착하여도 좋다. 또 식생대는 히이트세트하지 않고 풀 등으로 접착 구획하여도 좋다.
전술한 구성으로 되는 식생대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경사면 등에 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2장의 시이트는 어느 것이나 수분해성의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종자는 시이트를 부수고 발아, 발근한다. 그뿐 아니라 하부시이트는 식물성유기토양개량재이며, 또한 피브릴화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흡수성을 지님과 동시에 본래의 유기토량개량재로서도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것보다 다량의 비료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료가 소진되어 식물이 시들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질소비료를 약간 많게 수납함에 따라 볏짚이 부패과정에서 주위의 질소성분을 흡수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질소가 부족하다고 하는 장해도 해소할 수 있다. 또 토양개량재는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시키기 위하여 볏짚의 부식은 조장되며 종래 보다도 빨리 비료, 토양개량재로 되어 식물의 생육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식생대를 경사면에 시공하면 토양개량재를 산포한 것과 마찬가지 결과로 되기 때문에 그만큼 양생하는 노고를 덮게 된다고 하는 여러가지 호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2장의 수분해성 시이트(4)와 (1)사이에 종자(5), 비료(6)등을 구획지게 수납하여, 그위에 볏짚등을 방석모양으로 한 피복재(8)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하부의 시이트는 펄프(2)에 피이트모스 혹은 바아크등을 비이팅한 식물성 유기토양개량재(3)를 넣은 다음 떠내어 시이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대.
KR2019840009844U 1984-10-08 1984-10-08 식생대 KR89000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844U KR890000068Y1 (ko) 1984-10-08 1984-10-08 식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844U KR890000068Y1 (ko) 1984-10-08 1984-10-08 식생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73U KR860004173U (ko) 1986-05-01
KR890000068Y1 true KR890000068Y1 (ko) 1989-03-06

Family

ID=1923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844U KR890000068Y1 (ko) 1984-10-08 1984-10-08 식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0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144A1 (en) * 2000-02-16 2001-08-23 National Agro Industrial Co., Ltd Organic top soil composition useful for growing of seeding and top soil mat made of th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173U (ko) 198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846B2 (en) Artificial soil and method for growing vegetation on sloped surface using the same
US2571491A (en) Seed tape
US4170842A (en) Synthetic casing for mushroom beds
KR890000068Y1 (ko) 식생대
US1870110A (en) Protective paper for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uses
CA1151427A (en) Preseeded carpe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8934796A (zh) 利用草绳网的边坡绿化方法
KR890000067Y1 (ko) 식생대
JPH045565Y2 (ko)
KR890000066Y1 (ko) 식생대 (植生帶)
US3099897A (en) Process for mulching with mica
JPH045564Y2 (ko)
US4471569A (en) Germinator and the use of textile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 germinator
JP3121267B2 (ja) 植生帯
JPS62262918A (ja) 植生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1501Y1 (ko) 네트형 식생대
JPH047235Y2 (ko)
JPS60207517A (ja) 軟白野菜栽培用茎葉部被覆材,および軟白野菜栽培方法
JPH045563Y2 (ko)
KR200194255Y1 (ko) 식생대
KR200194254Y1 (ko) 식생대
KR200251500Y1 (ko) 리핑네트형 식생대
JPH0226995Y2 (ko)
JPH0349143Y2 (ko)
KR200192011Y1 (ko) 식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