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697B1 - 농구공 - Google Patents

농구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697B1
KR880002697B1 KR1019850002016A KR850002016A KR880002697B1 KR 880002697 B1 KR880002697 B1 KR 880002697B1 KR 1019850002016 A KR1019850002016 A KR 1019850002016A KR 850002016 A KR850002016 A KR 850002016A KR 880002697 B1 KR880002697 B1 KR 88000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ngular
basketball
basketball ball
plan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15A (ko
Inventor
앨런 마아틴 로빈
Original Assignee
윌슨 스포오팅 굿즈 캄파니
리처드 알덴 스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슨 스포오팅 굿즈 캄파니, 리처드 알덴 스미드 filed Critical 윌슨 스포오팅 굿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85000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8Ball cover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A63B39/06Special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Paper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농구공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돌기를 가진 농구공의 개략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농구공의 부분확대도.
제 3 도는 평면상에 돌출된 제 1 도의 표면돌기에 대한 부분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일부에 대한 부분확대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5-5선을 따라 절취한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삼각형 돌기중 2개에 대한 확대평면도.
제 7 도는 삼각형돌기를 잡고 있는 손가락에 대한 개략사시도.
제 8 도는 표면돌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농구공 11 : 외주면
12 : 삼각형돌기 13, 14, 15 : 이음매
16 : 평면 17 : 삼각형돌기
18, 19, 20 : 수평행 21 : 상부삼각형
22, 23, 24 : 꼭지점 25, 26, 27 : 모서리
28, 29, 30 : 경사측벽 32, 33, 34 : 수직렬
36, 37, 38 : 바닥선 40 : 돌기
41 : 절두원추형 외면 42 : 환형상부 평면
43 : 역절두원추형 내면 44 : 원형중앙면
본 발명은 농구공, 특히 농구공의 표면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공의 표면에는 운동선수가 잡기 쉽도록 돌기를 형성시킨다. 종래의 표면돌기는 농구공의 외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한 딤플모양의 것이었다.
본 발명자는 표면돌기를 다각형, 특히 삼각형으로 형성시키면 농구공의 파지력이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각각의 삼각형 돌기는 삼각형편면과 3개의 꼭지점으로 이루어진다. 삼각형 돌기는 행으로 배열되며, 각 행의 인접한 삼각형의 꼭지점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게 되므로써 운동선수는 농구공에 대한 손의 방향에 관계없이 손바닥으로 삼각형의 꼭지점을 잡을 수가 있다. 이들 꼭지점은 운동선수가 농구공을 꽉잡음에 따라 손가락으로 파고 들게 되어서 손가락이 농구공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농구공(10)은 외주면(11)과 그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기(12)를 가진다(재 2 도). 제 1 도에 도시된 농구공의 표면은 통상의 매끄러운 이음매(13)(14)(15)와 그 이음매사이의 지역에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돌기가 평면(16)상에 형성된 것으로 가정한 도면이다. 각개의 삼각형 돌기(17)는 수평행(18)(19)(20)으로 배열되며, 3개의 꼭지점(22)(23)(24)과 3개의 모서리(25)(26)(27)를 가진 상부 삼각형(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삼각형(21)의 상부면은 평면(16)과 평행을 이루며, 이 평면(16)과는 3개의 경사측벽(28)(29)(30)에 의해 이격되어있다. 각각의 수평행(18)(19)에 배열된 인접한 각 쌍의 삼각형에 있어서, 삼각형중 하나의 꼭지점은 제 4 도에 도시한 수평행의 상단에 인접하게 놓여있고, 다른 하나는 그 모서리가 수평행의 상단과 정렬된다. 따라서, 각 수평행의 삼각형들은 하나는 꼭지점이 위로 향하고 그 옆의 다른 하나는 꼭지점이 아래로 향하도록 교번하여 정렬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삼각면은 등변삼각형이며, 각 행에서 서로 인접한 삼각형의 측면은 서로 평행하다. 각 행의 상단과 하단은 평행한 직선을 이루고, 각각의 삼각형은 상단과 하단에 놓여진 하나의 꼭지점과 하나의 모서리를 가진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행의 삼각형들은 다른 행의 삼각형들과도 정렬되므로써 이들 삼각형들은 수평행에 대하여 직각인 수직렬(32)(33)(34)로도 정렬되게 된다. 각 수직렬의 삼각형은, 한렬의 삼각형은 꼭지점이 위를 향하고 인접한 다른 렬의 삼각형은 꼭지점이 아래를 향하도록 동일방향으로 정렬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의 평면돌기를 제 2 도에 도시한 것고 같이 농구공의 표면에 형성시키게 되면, 꼭지점이 상방과 하방으로 교번하여 형성된 삼각형의 수평행이 농구공 표면의 위선 또는 경선을 따라 정렬된다. 그러나 수직렬은 농구공의 표면이 구형이기 때문에 다소 뒤틀리거나 어긋난다.
제 2 도에 도시된 농구공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잡으면, 각각의 손가락은 제 7 도에서와 같이 손가락이 뻗어 있는 방향과 관계없이 삼각형들의 꼭지점과 접하게 된다. 운동선수가 공을 손으로 꽉잡음에 따라 상기 꼭지점들은 손가락으로 파고 들게 되고, 따라서 손가락과 농구공간의 상대적인 미끄럼운동은 방지된다.
일례로, 제 2 도에 있어서 손가락을 수직으로 뻗어서 농구공에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 미끄럼력을 가하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꼭지점을 가진 삼각형은 손가락과 맞물리게 된다. 또 손가락을 수직위치에서 약 30°의 각도로 뻗으면, 각각의 손가락은 여러 삼각형의 꼭지점들과 직접 맞물린다. 제 2 도에 있엇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뻗더라도 각각의 손가락은 수직위치에서 경사져있는 다른 삼각형의 꼭지점과 맞물려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각각의 손가락은 농구공을 잡아서 그 표면에 미끄럼력을 가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다수의 꼭지점들은 양분하는 직선으로부터 15°이상 기울어지지 않는다.
제 5 도와 제 6 도를 참조하면, 정삼각형을 이용한 표면돌기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상부 삼각형(21)의 높이(A)는 0.088인치이고, 경사측벽(28)(29)(30)과 평면(16)을 구획하는 바닥선(36)(37)(38)에 의해 형성된 바닥삼각형의 높이(B)는 0.142인치이다. 상부 삼각형(21)의 한변의 길디(C)는 0.090인치이고, 바닥선(36)(37)(38)의 길이(D)는 0.140인치이다. 평면(16)위의 상부 삼각형(21)의 높이(E)는 0.050인치이고, 경사측벽(28)(29)(30)은 2 : 1의 경사도를 갖는다. 절취선5-5를 따라 서로 인접한 바닥삼각형간의 거리(F)는 0.018인치이다. 인접한 바닥삼각형간의 수직거리(G)는 0.074인치이고, 인접한 상부 삼각형(21)간의 수직거리(H)는 0.108인치이다.
삼각형돌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A 내지 H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A 0.088인치
B 0.133인치
C 0.105인치
D 0.134인치
E 0.045인치
F 0.018인치
G 0.065인치
H 0.090인치
경사측벽(28)(29)(30)은 3 : 1의 경사도를 가진다.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면돌기의 모양을 삼각형으로 했지만, 기타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사용하더라도 운동자의 손가락과 접촉하여 농구공과 손가락사이의 미끄럼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꼭지점만 형성시키면 본 발명의 잇접을 제공할 수 있다.
제 8 도 및 제 9 도는 농구공용 표면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돌기(40)는 화산형으로 되어있으며, 절두원추형외면(41)과, 환형상부평면(42)과, 역절두원추형내면(43)과, 원형중앙면(44)으로 구성된다. 제 9 도에는 화산형돌기의 각 부치수를 도시하였다.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구형표면상에 상부 삼각형평면과 3개의 꼭지점을 가진 다수의 삼각형돌기를 형성시켜서 된 농구공.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삼각형돌기는 상부 삼각형평면과 구형표면사이에 형성된 3개의 경사측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측벽을 2 : 1의 경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측벽은 3 : 1의 경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삼각형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은 정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삼각형평면의 한변의 길이는 0.090 내지 0.105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7. 제 1 항에 있어서, 농구공의 구형표면으로부터 각 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까지의 높이가 0.030 내지 0.045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돌기는 다수의 구면행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각 행의 인접한 삼각형돌기의 인접한 변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9. 제 8 항에 있어서, 행으로 배열된 각 삼각형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은 동일한 행에 배열된 인접한 삼각형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과 0.108인치 정도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돌기는 상부 삼각형평면과 농구공의 구형표면사이에 형성된 3개의 경사측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은 정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돌기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상부 경계와 하부 경계를 가진 다수의 구면행내에 정렬되고, 각 행에 정렬된 인접한 돌기의 각 쌍중 한 돌기의 한변은 구면행의 상부 경계에 정렬되고, 다른 각각의 삼각형돌기는 상부 삼각형평면과 구면사이에 형성된 3개의 경사측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삼각형돌기의 상부 삼각형평면은 정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공.
  14. 구면에 다각형모양의 상부 평면을 가진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켜서 된 농구공.
KR1019850002016A 1984-04-03 1985-03-27 농구공 KR88000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6,423 1984-04-03
US06/596,423 US4570931A (en) 1984-04-03 1984-04-03 Basketball
US596423 1984-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15A KR850007215A (ko) 1985-12-02
KR880002697B1 true KR880002697B1 (ko) 1988-12-26

Family

ID=2438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016A KR880002697B1 (ko) 1984-04-03 1985-03-27 농구공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570931A (ko)
EP (1) EP0157083B1 (ko)
JP (1) JPS60225582A (ko)
KR (1) KR880002697B1 (ko)
AR (1) AR240408A1 (ko)
BR (1) BR8500902A (ko)
CA (1) CA1260980A (ko)
DE (1) DE3580686D1 (ko)
GB (1) GB2156689B (ko)
MX (1) MX162729A (ko)
PH (1) PH22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962A (en) * 1989-09-08 1990-05-29 Finley Charles O Grip enhanced football
US4991842A (en) * 1989-09-08 1991-02-12 Finley Charles O Grip enhanced basketball
US5427372A (en) * 1993-07-01 1995-06-27 Kransco Applying patches and impressing patterns on ball
US5354053A (en) * 1993-07-01 1994-10-11 Kransco Play ball
US5431393A (en) * 1994-04-20 1995-07-11 Wang; Fu-Wen Raised surface patterns for basketball leather covers
US5518234A (en) * 1994-05-03 1996-05-21 Palmquist; Marvin E. Game ball
USD384716S (en) * 1996-03-05 1997-10-07 Stevens Kenneth M Rattlesnake skin football
US6422961B1 (en) * 1999-01-25 2002-07-23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Rubber basketball with skived channel look
US6629902B2 (en) * 2001-09-04 2003-10-07 Wilson Sporting Goods Co. Game ball lacing
US7041015B2 (en) * 2002-03-25 2006-05-09 Sowders Troy S Basketball shooting aid
US6612948B1 (en) * 2002-05-06 2003-09-02 Arthur Miller Non-slip inflatable sports ball
DE20220150U1 (de) * 2002-12-28 2004-04-29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Ballhülle, insbesondere für Fußbälle
WO2004082774A1 (ja) * 2003-03-18 2004-09-30 Teijin Cordley Limited ボール用表皮材およびボール
ES2219174B1 (es) * 2003-03-27 2006-02-01 Chemplate Materials, S.L.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placas para circuitos impresos y maquina para el mismo".
JP4060770B2 (ja) * 2003-09-12 2008-03-12 株式会社クラレ 気体充填型スポーツ用ボール
CA2562233C (en) * 2004-04-09 2012-07-03 Kuraray Co., Ltd. Ball
GB2420984A (en) * 2004-12-07 2006-06-14 Grays Of Cambridge Ltd Arrangement of protuberances on a ball
US20070015615A1 (en) * 2005-07-14 2007-01-18 Chuang Yi Enterprise Co., Ltd. Ball surface structure
US20070117662A1 (en) * 2005-11-18 2007-05-24 Hansan Ma Dimpled soccer ball
WO2007099207A1 (fr) * 2006-03-03 2007-09-07 Decathlon Enveloppe externe de ballon, et ballon correspondant, notamment pour le basket
WO2008013177A1 (fr) * 2006-07-26 2008-01-31 Kuraray Co., Ltd. Objet de type feuille pour une balle, et balle
US8684870B2 (en) * 2007-04-12 2014-04-01 Molten Corporation Ball
JP5106931B2 (ja) * 2007-06-28 2012-12-26 株式会社クラレ ボール
US20100184536A1 (en) * 2009-01-20 2010-07-22 Angelo Kuykindoll Method of Modifying a Standard Game and Resulting Modified Game
DE102009016287B3 (de) * 2009-04-03 2010-11-04 Adidas Ag Ball
US10668331B2 (en) * 2010-03-03 2020-06-02 Charlie Henry Bibby Ball with anomalies
US9114286B2 (en) 2011-09-02 2015-08-25 Wilson Sporting Goods Co. Basketball having grooved seams
US9480884B2 (en) * 2013-08-12 2016-11-01 Baden Sports, Inc. Pebble cover for a sports ball
DK3088054T3 (da) * 2013-12-27 2020-10-19 Molten Corp Bold
US20150367183A1 (en) * 2014-06-23 2015-12-24 Tsung Ming Ou Method of Producing Sportsball with Sculptural Ball Surface
US10549168B2 (en) 2015-05-04 2020-02-04 Charles Martin Wallace Sports training aid
US20180169483A1 (en) * 2016-12-19 2018-06-21 Tsung Ming Ou Sportsball with Sculptural Ball Surface
US10207158B2 (en) * 2017-02-28 2019-02-19 Nike, Inc. Sports ball
US10350460B2 (en) * 2017-02-28 2019-07-16 Nike, Inc. Sports ball
JP7072795B2 (ja) * 2018-02-07 2022-05-23 株式会社モルテン 運動用ボール
US11167179B2 (en) * 2018-11-29 2021-11-09 Nike, Inc. Sports ball and method of manufacture
AU2020260169A1 (en) * 2019-04-19 2021-12-16 Fritz VALDEUS System for team ball game having interactive goal barriers
US11660507B2 (en) * 2019-07-03 2023-05-30 Nike, Inc. Sports ball with wickerbill
US11097164B2 (en) * 2019-10-10 2021-08-24 Wilson Sporting Goods Co. Basketball having improved pebbled texture
USD1003377S1 (en) 2019-10-10 2023-10-31 Wilson Sporting Goods Co. Basketball
EP4157472A1 (en) 2020-05-26 2023-04-05 NIKE Innovate C.V. Inflatable sports ball with restriction structure
DE102021202706A1 (de) * 2021-03-19 2022-09-22 Adidas Ag Aufblasbarer Bal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0230U (ko) * 1900-01-01
FR1488920A (ko) * 1967-10-26
CA600722A (en) * 1960-06-28 R. Gow Arthur Football having a securely grippable laceless surface
GB377354A (en) * 1931-05-22 1932-07-28 John Vernon Pug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ls such as golf balls
JPS5111155U (ko) * 1974-07-12 1976-01-27
US4318544A (en) * 1980-10-30 1982-03-09 W. H. Brine Company Game b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5829B2 (ko) 1992-05-01
PH22739A (en) 1988-11-28
BR8500902A (pt) 1985-12-03
AR240408A1 (es) 1990-04-30
CA1260980A (en) 1989-09-26
JPS60225582A (ja) 1985-11-09
EP0157083A3 (en) 1987-06-16
KR850007215A (ko) 1985-12-02
GB2156689A (en) 1985-10-16
GB8507700D0 (en) 1985-05-01
GB2156689B (en) 1988-04-13
EP0157083B1 (en) 1990-11-28
MX162729A (es) 1991-06-20
DE3580686D1 (de) 1991-01-10
US4570931A (en) 1986-02-18
EP0157083A2 (en) 1985-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697B1 (ko) 농구공
SU1416047A3 (ru) Тверда лекарственна форма дл приема внутрь
RU2504416C2 (ru) Игровая доска в комплекте с игровыми фишками
CA97419S (en) Bottle
KR940019331A (ko) 골프공의 딤플패턴(dimple pattern) 및 딤플배열구조
US4753622A (en) Building block kit
US20070182101A1 (en) Game tool for jumping building block-based stepping stones
US5310181A (en) Racquet string aligner
JPH08238336A (ja) ゴルフボール
KR0182100B1 (ko) 골프공의 딤플 배열구조
US1725911A (en) graham
US4603863A (en) Tiltable game pieces for use with board games
US5431400A (en) Puzzle
KR840005604A (ko) 반도체 웨이퍼 지지용 조립장치
KR20090066338A (ko)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SU1674881A1 (ru) Тренировочный м ч дл спортивных игр
JPS5878685A (ja) 盲人用囲碁盤セット
KR100625480B1 (ko) 5각 문양을 갖는 바닥판 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판재
JPS583842Y2 (ja) 滑り止めタイル
SU1314998A1 (ru) Игрушка "Закати шарик
US4007935A (en) Spinning top bowling game
JPS6036088Y2 (ja) デスク等の天板
CA1201734A (en) Flying disk
JPS6314908Y2 (ko)
USD35888S (en) Design for a tool-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