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94B1 - 트리펲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트리펲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94B1
KR880002594B1 KR8205004A KR820005004A KR880002594B1 KR 880002594 B1 KR880002594 B1 KR 880002594B1 KR 8205004 A KR8205004 A KR 8205004A KR 820005004 A KR820005004 A KR 820005004A KR 880002594 B1 KR880002594 B1 KR 88000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line
alanyl
compound
ala
prol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372A (ko
Inventor
리차드 파이프 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리차드 도미니크 포기오
스미스 클라인 베크만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도미니크 포기오, 스미스 클라인 베크만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리차드 도미니크 포기오
Publication of KR84000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21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e.g. His, Pro, Trp
    • C07K5/0823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e.g. His, Pro, Trp and Pro-amino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ard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격자 단위체에 의해 분리된 두개의 프롤릴 말단 단위체가 달려있는 트리펩타이드 사슬구조를 가지면서 생물학적 작용을 갖는 일단의 신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프롤릴 단위체들 중의 하나는 필수적인 N-(산기능을 갖인 알킬)-치환체를 갖는다.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작용은 신장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는 것과 이뇨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그런 작용으로 본화합물은 고혈압증세의 치료용이나 신장 기능을 개선하는데에 유용하다. 케이.티.포로신의 수명이, 케미칼에브스트랙트, 53권 21693h에서 L-프롤릴글리실-L-프롤린을 제조키 위한 중간체로서의 카르보벤족시-L-프롤릴글리실-L-프롤린의 용도를 기술하였으나 이 문헌에서는 이들 신규화합물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 필수 N-카르복시알킬 치환체나 중간 임계 단위체 양쪽 어느 것에 관해서도 설명하지 않았다. 포로신은 또한 그가 제조한 몇가지 화합물에 대해 생물학적 작용에 관하여도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합물과는 두개의 매개 변수에 의해 서로 상이하다.
영국 특허출원 제12,401호는 효소 억제작용을 방해하는 혈관 긴장제인 어떤 카르복시알킬 디펩타이드를 설명하고 있다. 이 영국 특허출원 화합물은 화학적 구조에 있어서는 물론 그 작용기구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화합물과는 상이하다. N-카르복시 알킬 치환체는 영국특허출원의 디펩타이드의 프롤릴 단위체에는 치환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같이, 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단의 신규한 화학적 화합물은 프롤릴링의 유리 N-원에 산 기능을 갖는 알킬 치환체가 달려있는 프롤릴-격자-프롤린인 트리펩타이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그래서 그 구조는 두개의 산기로 나누어지는데 그중 하나는 양성적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생성물은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물질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은 카르복시 (-CO2H), 슬포(-SO2OH)나 포스포노(-P(O) (OH)2)와 같은 산기이고 ; alk는 에틸리덴(=CH-CH3)이 아닌 탄수소 1 내지 5의 직선형이나 가지형 알킬렌 사슬이고 ; X는 O나 H,H이고 ; Y는 H나 X가 H,H일때 -OH이고, …은 X와 Y가 각기 H,H이거나 H일때만이 C-C 결합이고, n은 0-3을 포함한 정수이고 ; A는 다음과 같은 결합된 펩타이드 형태의 격자 아미노산 단위체이다.
D-혹은 L-Ala(
Figure kpo00002
) ; D-혹은 L-Phe(
Figure kpo00003
) ; D-혹은 L-β-메틸-β-Ala(
Figure kpo00004
) ; D-혹은 L-β-페닐-β-Ala(
Figure kpo00005
) ; D-혹은 L-β-티에닐-Gly(
Figure kpo00006
) ; D-혹은 L-페닐-Gly-(
Figure kpo00007
) ; D-혹은 8L-β-Ala(-NH-CH2-CH2-CO-) ; γ-아미노 부틸산(-NH-CH2-CH2-CH2-CO-) ; D- 혹은 L-2-아미노부틸산(
Figure kpo00008
) ; D- 혹은 L-nor-Vol(
Figure kpo00009
) ; D- 혹은 L-nor-Leu(
Figure kpo00010
) ; 3-아미노-3-메틸부틸산(
Figure kpo00011
) ; 과 2-메틸-Ala(
Figure kpo00012
; 혹은 상기 격자단위체의 N-메틸 유도체.
본 발명의 아속(亞屬)의 기는 A가 치환되었거나 치환되지 않은 β-Ala인 일반식 I의 화합물로 구성된다. 유용한 종(種)은 R이 카르복시, alk가 메틸렌, X가 H,H,Y가 H,n이 0이고, A가 β-Ala인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바람직스럽기로는 상기 화합물의 각 기들중에 아미노산 단위체의 구조적 배치는 L형 인것이 좋다. N-카르복시메틸-L-프로필-β-알라닐-L-프롤린 슬페이트 종(種)은 본 발명의 유익한 화합물이다.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정의에서, X가 0인 말단 단위체는 피로글루타밀링과 같은 것으로 인정되며, Y가 OH인 단위체로 히드록시 프로릴링과 같은 것으로 인정되고,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단위체는 디히드로프롤릴링으로 인정된다. 이러한 모든 화합물은 필연적으로 프롤릴 유도체들이다.
뒤에 설명된, 병력(病歷)을 검사할 신장이 마취된 개에 있어서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L-리실-L-프롤린과 N-카르복시메틸-프롤릴-글리실-L-프롤린 및 N-(1-카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은 최초의 병력(病歷)검사 기간중에는 신장의 혈관 확장제로서 불활성이었다. 이것은 프롤릴 말단 단위체에 N-알킬의 치환특성은 물론 격자 단위체의 임계적 특성을 설명해 주고 있다.
이들 화합물은 N-카르복시 알킬프롤릴 단편의 염기성 N-원에 비독성 산으로 염을 형성한 것이나 음이온성 산 기들과 결합되어 약제로서 이용 가능한 양이온을 띤 염을 형성한 것과 같은, 여러가지 약제로 이용 가능한 본 발명의 염 형태를 포함한다. 전자는 황산염, 염산, 인산염, 브롬산, 에탄디슬포네이트나 메탄슬포네이트를 포함하고, 후자는 강염기를 띤 나트륨, 칼륨, 칼슘 및 이와 유사한 물질의 염을 포함한다. 이들 알칼리 금속염은 양쪽 방법에 이용될 수 있지만 최종 생성물보다는 거의 중간 물질로서 유용하다. 이 염들은 본 기술분야에 익숙하고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반응 조건을 이용하여 적절한 용매중에서 적합한 산이나 염기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 화합물과 반응된 과다한 무기산이나 염기는 물이나 수용성 에탄올과 같은 적합한 유기용매로 용해하였다. 본 발명 화합물은 가끔 수화물이나 저급 알콜화합물과 같은 용제를 형성한다. 황산염과 같은 산부가염이 본 발명의 트리펩타이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대부분의 유용한 형태의 화합물이다.
더욱이 일반식 I의 이가산(二價酸)은 아미드나 상기 알킬기의 각각에 1 내지 5개 탄소로 유도된 저급 알킬에스테르나 혹은 벤질에스테르와 같은 약제 대용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Figure kpo00013
A,X,Y, … 혹은 n은 순서대로 상기 정의된 바와같다. R1은 이들 물질의 벤질에스테르나 혹은 저급알킬에스테르와 같은 카르복시, 술포, 혹은 포스포노의 보호체이고 R2는 벤질이나 혹은 저급알킬과 같은 카르복시 보호기이며 R3은 격자 아미노산 단위체의 아미노기(-NH2) 혹은 N-메틸아미노기
Figure kpo00014
이다.
측면사슬 산기를 보호할 한가지 형태로서의 N-(산기능을 갖는 알킬) 프롤린(Ⅱ)보호된 말단 산기(Ⅲ)가 붙어 있는 디펩타이드를 함유한 프롤린과 반응시켜서 보호된 디카르복실산(Ⅳ)의 형태로 본 발명의 생성물을 얻는다. 출발물질인 아미노산과 디펩타이드간의 반응중에 일어나는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있어서는 펩타이드 결합 반응의 몇가지 반응조건을 이용한다. 특히 유용한 것은 카르보디이미드 예컨데, 디 씨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아실화 촉진제의 존재하에서 아미노산 단위체(Ⅱ)와 디펩타이드(Ⅲ)와의 반응이다. 이 반응은 반응이 종결될때까지 적절한 온도를 이용하여 유기용매 예컨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혹은 디메틸포름아미드중에서 수행한다.
많은 경우에 1 내지 18시간 동안 실온이 이용된다. 여기에 이용된 다른 결합방법들은 이속사조륨 유도체,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히드로퀴놀린, 포스포늄 유도체, 무수 N-카르복시 유도체 혹은 N-히드록시석신 이미드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결합방법중의 보다 명확하고 상세한 것은 보단스즈키, 윌리저(1976), "펩타이드 합성" 5장에 설명되어 있다. 그 다음에 보호되고 있는 에스테르기를 아미드 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표준 반응에 의해서 제거하는데 그 표준반응은 O-벤질기에 대한 접촉 수소첨가 반응법을 이용하거나 수산화 바륨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제한된 알칼리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 대신, 그 디펩타이드 반응물질은 격자 단위체(A)로서 축합된 N-(산기능을 띈 알킬)프롤린(Ⅱ)으로부터 제조할수 있다. 그 다음에 이 디펩타이드를 벤질 혹은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형태에서와 같이 보호된 카르복시기가 붙은 프롤린과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반응시킨다. 그 다음에 그 보호된 기를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염을 제조한다. 또한 이 화합물들은 펩타이드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된 고상(固相) 형성기술을 이용해서도 제조된다.
본 발명 화합물은 약제성능을 갖고 있으며, 신장에 작용하는 유용한 약제 화합물이다. 보다 특이하게 그 물질들은 신장의 혈액순환을 증가하거나 신장의 혈관 저항을 감소한다. 신장 기능의 개선에 있어 이들 화합물의 효능이 점증되고 있음이 종종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들 화합물은 고혈압 억제제나 신장기능 개선제로서의 작용이 상대적으로 길다. 이상하게도 본 발명 화합물은 경구투여나 비경구투여후에 활성을 띄게 된다.
시험 과정에서 평균 동맥의 혈압과 신장 혈액순환, 신장 혈관저항 및 심박도수를 측정하려는 마취시킨 개에 본 화합물을 주입식으로 투여하여 일반식 I로 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성능을 증명한 내용이 미국특허번호 제4,197,297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화합물은 이 시험 과정에서 도파민 투여량의 1/3 내지 1/1000 범위의 투여량으로 신장혈관 저항의 감소와 신장혈액 순환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 대표적인 특수한 결과가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다.
본 화합물은 우발적으로 고혈압을 나타내는 쥐에서 선택적으로 생물학적 작용을 일으킨다. 이 시험에서 숫놈의 "오카마토-아오키"형 긴장된 우발적 고혈압 쥐들을 16 내지 19주간 단식 사육시킨 다음, 다음날 오후에 시험 화합물의 첫번째 투여량을 보통 식염수 하중으로 25ml/kg과 함께 경구 투여한다. 그 다음 그 동물들을 신진대사 우리에 넣고 분석용 소변을 3시간 동안 수거한다. 간접적인 심장수축 혈압과 심작도수를 테일-커프(tail-cuff)로 측정한다. 동일 방법으로 시험 화합물의 두번째 투여량을 투여한다. 드시간후 혈압과 심박도수를 다시 측정한다. 본 실험 화합물을 보통 0.02% 아스코르빈산이 포함된 경구나 비경구 투여한다. 본 시섬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약제들이 이뇨작용을 하고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예컨데,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 헤미슬페이트 비경구 투여는 25 및 50mg/kg의 비경구 투여로서
Figure kpo00015
또는 소변 배설의 현저한 증가를 입증하였다. 그 물질은 신장이 마취된 개의 병력검사에서 12μ g/kg도파민은 3.5μg/kg이었다)의 RVR-ED15을 가졌었다. 그 물질은 신장에 유효한 량의 10배를 투여했을때 효소억제 작용을 방해하는 혈관 긴장작용도 없었다. 또한 이전 물질 종류는 시험관내에서 도파민-감응성 아데닐레이트 싸이클라제계를 자극하거나 억제하지 않았고, 두꺼비 방광의 반-ADH 시험에서도 작용하지 않았다. 본 화합물은 약한 심동지완적(心動遲緩的) 효과를 나타냈다.
상술한 본 신규 화합물은 신장의 기능개선, 고혈압의 치료나 혹은 이뇨작용에 유용한 것으로, 캡슐, 정제 혹은 주사제제와 같은 일회용 투여단위 형태로 만들어진다. 일회 투여단위에 이용된 약제담체는 예컨데, 고체나 액제 어느 것이든 좋다. 고체 담체의 전형적인 것은 락토스, 테라알바, 슈크로우스, 탈크, 젤라틴, 한천, 팩틴, 아카시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혹은 스테아린산이다. 액체 담체의 전형적인 것은 시럽, 낙화생유, 올리브유 혹은 물이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담체나 희석제로서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단독이나 혹은 왁스나 포함된 것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몇배의 지연 물질이 포함된다.
이와같은 약품의 지지 해체용 투여물질은 점차적으로 원래의 작용물질로 변형되기도 하는 유도체들과 같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본 발명 화합물의 독특한 생물학적 작용을 지연시키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광범위한 각종 약제의 형태가 이용된다. 그래서 이 약품제조에 사용된 경구 투여용 고체 담체는 정제로 할 수도 있고, 분말로 견고한 젤라틴 캡슐에 넣거나 좌약의 형태나 혹은 지지 해제할 수 있는 펠릿형, 트롯치형 혹은 모가난 알약형태로 할 수도 있다. 고체 담체의 량은 광범위하게 변형할 수 있으나 약 25mg 내지 약 1g이 바람직하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그 약품의 조제는 앰플이나 수용성 또는 비 수용성 액체 부유물과 같은 살균된 주사액이나 시럽형, 에멀죤형, 연한 젤라킨 캡슐형태가 될 것이다.
약품의 제조는, 정제형이 필요시에는 혼합하고, 입자화하고 압축하거나 또는 약품 성분을 혼합, 충전, 용해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약화학자의 통상의 기술로 제조되어 필요한 경구 투여용 최종 물질이나 비경구용 최종물질을 알맞게 얻는다.
약제 투여 단위에 있어서의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량은 10 내지 350mg, 더 적합하기는 50 내지 200mg 범위의 활성 트리펩타이드로부터 효과적이고 비독성의 량만큼 선택된다. 그 선택된 1회 복용량은 매일 1 내지 5회, 경구나 주사 또는 주입방법등, 기존의 임상 조건중의 한가지 필요한 처방으로 환자에게 투여한다. 1회 용량의 범위내에서 취택하여 적은 용량을 사용하는 비경구 투여는 개별적으로나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회 용량 이상의 량을 하루 1 내지 5번 경구 투여하는 방법도 또한 환자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이용된다.
본 기술 분야에 노련한 사람은 본 발명 화합물이 광학 이성체나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성체 화합물은 본 발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화학 반응으로 선택된 형태의 아미노산을 치환하거나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이성체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라피 분리에 의해서 제조한다. 다음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의 제법과 용법을 설명해주고 있으나 그 범위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온도는 섭씨 ℃로 표현된다.
[실시예 1]
6.0g(0.025m)의 L-프롤린의 벤질 에스테르와 4.7g(0.025m)의 N-3급-부톡시카르보닐-L-알라닌, 6.75g(0.05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3.2ml(2.82g 0.025m)의 N-에틸모르폴린 및 65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냉각, 여과하고 5.15g(0.025m)의 디시크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10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30분간 0℃에서 교반한 다음 18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증발시켜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되는 잔사물을 얻었다. 그 용액을 1내지 10% 초산과 5%중탄소다 용액 및 함수(짠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9.8g의 N-3급-부톡시카르보닐-L-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이하 3급 부톡시 카르보닐이라함) 조제(粗製)가 남도록 하였다.
2g의 3급 부톡시카르보닐, 3.0g의 삼불화초산 15ml의 염화메틸렌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토록한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제(粗製)의 트리플루오르 아세테이트 염을 얻었다. 그 염을 에테르로 용해하여 에테르성 염산으로 산성화시켜서 융점이 162 내지 164℃인 1.15g의 백색 고체물질 L-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을 얻었다.
물에 젖은 약 500ml의 10%의 팔라듐으로 둘러쌓인 활성탄을 16.5g(0.06m)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벤질 에스테르(알.아담스저, 저널 아메리칸 케미칼 소사이어티, 81면, 5803(1959 년판)와 50ml의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였다. 저압 수소첨가 장치에서 2시간 동안 수소 존재하에서 흔든 후 그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은 증발하였다. 에탄올을 첨가하고 증발시켜 그 시럽형 잔사물을 1 : 1 혼합 톨루엔-에테르에 용해하고 찬 에테르성 염산으로 산성화시켰다. 그 결과 생성된 백색 고체를 분리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여 융점 191 내지 193℃의 조제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염산 13.8g을 얻었다.
2.23g(0.01m)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염산과 3.13g(0.01몰)의 L-알라닐-L-프롤린, 벤질 에스테르 염산, 2.70g(0.02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2.3g(0.02m)의 N-에틸모르폴린 및 40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얼음/물로 냉각한 다음 17시간 동안 실온에서 2.06g(0.01m)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반응시켰다. 그 고체물질은 여과하여 분리하고 여과액은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50ml의 1.5% 초산과 물, 5% 중탄산소다 용액 및 함수로 3번 세척하였다. 건조된 유기층을 증발시켜 4.3g의 황색 시럽을 얻었다. 그 시럽을 실리카겔 컬럼에 옮겨 염화 메틸렌, 1% 메탄올/염화메틸렌 및 1 내지 1/2% 메탄올/염화메틸렌으로 세정하여 필요로하는 약대용의 최종생성물은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릴-L-알라닐-프롤린, 벤질에스테르 2.1g(47%)을 얻었다.
30ml의 메탄올에 이 물질 2.1g을 넣고 이를 40ml의 물과 5.0g의 수산화바륨 수화물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4시간 동안 교반 후, 탄산까스를 그 혼합물에 통과시켜 탄산바륨을 침전시켰다. 무색의 여과액을 증발시켜 원하는 트리펩타이드 생성물로서 백색의 고체 1.25g(78%)을 얻었다. 시료 300mg을 메탄올/초산에틸로 재결정시켜 융점 270℃인 백색 결정의 바륨염을 얻었다.
정제되지 않은 고체 0.9g을 물로 용해하고 그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은 묽은 황산으로 3.5pH로 조정하였다. 황산 바륨을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여과액을 증발시켜 융점 190 내지 196℃의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L-알라닐-L-프롤린슬페이트를 얻었다.
C15H23N3O6·
Figure kpo00016
H2SO4·
Figure kpo00017
H2O에 대한
계산치 : C,48.06 ; H,6.59 ; N,11.20
실측치 : C,48.48,48.21 ; H,6.96,6.78 ; N,10.80,10.74
Figure kpo00018
=(C,1, 1 : 1 CH3OH·H2O)-132.2℃
3마리의 마취시킨 개에 대한 신장의 혈관 확장 성능 시험에서 바륨염이 30μ g/kg/min 일때 21.7%의 신장 혈액순환의 증가와 15%의 신장혈관 저항의 감소를 가져왔다.
[실시예 2]
6.0g(0.025m)의 L-프롤린 염산의 벤질에스테르와 6.75g(0.05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3.2ml(0.025m)의 N-에틸모르폴린, 6.63(0.025m)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및 35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의 혼합물을 0℃에서 가볍게 교반한 다음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모액을 분리하여 증발시켰다. 그 잔류물을 초산에틸로 용해하고 염산으로 희석하였다. 그 상등액을 분리하여 수용성층은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혼합유기층은 묽은염산, 물 5% 중탄산 소다용액 및 함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은 건조, 증발시켜 10.3g(91%)의 N-3급-부톡시 카르보닐-L-페닐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었다.
이 물질 7.0g을 10ml의 삼불화초산 용액과 40ml의 건조 염화메틸렌 및 4ml의 1,3-디메톡시벤젠용액과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업을 진행하여 5.57g의 L-페닐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을 얻었다.
벤질에스테르 2.23g(0.01m)을 3.89g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염산과 2.70g(0.02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4ml의 N-에틸모르폴린, 2.06g(0.01m)의 디시클로 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및 40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과 상술한 방법으로 25℃에서 17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2.9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릴-L-페닐알라닐-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정제하여 얻었다. 이 디에스테르 대용-약제 1.1g(2.1mm)을 30ml의 메탄올에 녹여서 40ml의 물에 용해된 5.0g의 수산화바륨의 따뜻한 용액과 반응시켰다. 그 혼합물을 25℃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과잉의 이산화탄소를 가하였다. 탄산 바륨을 조여과제를 사용하여 여과 제거시켰다. 여과액을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에탄올로 항정비등점(恒定沸騰鮎)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0.72g(82%)의 바륨염을 얻은 다음 0.89g의 반 황산염인 융점 145 내지 148℃의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L-페닐알라닐-L-프롤린의 염을 얻었다.
C21H25N3O6·
Figure kpo00019
·Ba·H2O
계산치 : C,51.15 ; H,5.31 ; N,8.52 ; Ba,13.92.
실측치 : C,51.47,51.64 ; H,5.27,5.50 ; N,5.28,5.28 ; Ba,12.60
Figure kpo00020
=(C,1,H2O)-43.9℃.
C21H27N3O6·
Figure kpo00021
H2SO4
계산치 : C,54.07, H,6.04, N,9.01
실측치 : C,53.71,53.64 ; H,5.90,5.94 ; N,8.82,8.91.
이 황산염은 30과 30μ g/kg/min 일때 신장의 혈액순환을 증가하였다. 바륨염은 마취시킨 개의 검사시험의 매개변수 이내에서는 작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3]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7.6g의 N-3급-부톡시카르보닐-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한 상기한 아실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보호된 기는 삼불화 초산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β-알라닐-L-프롤린, 벤질 에스테르 염산을 얻었다. 이 화합물 6.39g(0.02m)을 2.7g(0.02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과 12ml의 N-에틸모르폴린 및 50ml의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속의 2.06g (0.01m)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서 실온에서 17시간동안 반응시켜서된 2.23g(0.01m)의 N-카르보메톡시메틸프롤린 염산과 축합시킨다. 그 생성물은 필요로 하는 2가 산으로서 약제 대용 선구물질인 1.9g의 시럽형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β-알라닐-L-프롤린, 벤질 에스테르였다. 디에스테르 1.75g(3.9mm)를 수산화바륨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가수분해한 다음 황산으로 처리하여 1.2g의 백색고체인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슬페이트를 얻었다.
C15H23N3O6·
Figure kpo00022
H2SO4
계산치 : C,46.15 ; H,6.20 ; N,10.76.
실측치 : C,45.81,46.14 ; H,6.50,6.52 ; N,9.94,10.22 :
Figure kpo00023
=(0.8, H2O)-70.4℃.
25mg/kg 경구 투여시 우발적인 고혈압 쥐 시험(n=3)에서 본 화합물은 이뇨적 특성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24
676.04(억제 126.76) :
Figure kpo00025
242.53(85.21) : 소변, ml/쥐, 16(3). 그것은 또 3, 30과 30μ g/kg/min 일때 두마리의 마취시킨 개에서 신장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고 신장의 혈관 저항을 감소시켰다. 3마리의 개로 두번째 시험에서 본 화합물은 도파민(iiv)에 대한 3.5μ g/kg과 비교하여 12μ g/kg의 ED15를 가졌었다.
[실시예 4]
상기 설명된 바와같은 동일한 반응을 이용하여 7.23g(0.03)의 에틸 β-브로모프로피오네이트와 7.33(0.4m)의 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으로 N-(2-카르메톡시)-L-에틸-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4.6g(50.2%)을 얻었다. 이 화합물 4.6g(0.015m)을 팔라듐으로 쌓인 탄소로 수소 첨가 반응시켜 융점 169 내지 171℃인 2.96g(78%)의 N-(2-카르메톡시)에틸-L-프롤린, 염산을 얻었다. 이 화합물 2.42g(0.0096m)을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공정으로 2.25g(0.0072m)의 L-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과 축합시켜서 0.8g의 N-(2-카르메톡시)에틸-L-프롤린-L-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었다. 약제 대용의 선구물질을 수용성 메탄올중에서 수산화바륨으로 가수분해시켜서 융점 133 내지 136℃인 0.498g(64%)의 N-(2-카르복시에틸)-L-프롤린-L-알라닐-L-프롤린을 얻었다.
C6H25N3O6·C2H5OH 1H2O
계산치 : C,51.54 ; H,7.93 ; N,10.02.
실측치 : C,51.95,51.72 ; H,7.12,7.32 ; N,10.19,10.04 :
Figure kpo00026
=(1, H2O)-147.3℃.
두마리의 마취시킨 개에서 본 화합물은 300μ g/kg/min량 투여시에 34%의 신장의 혈액순환의 증가와 23%의 신장혈관 저항을 감소시키는 누적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조된 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 5.95g(0.17m)을 4.41g(0.015m)의 L-N-[5-(카르보메톡시)펜틸]프롤린, 염산과 반응시키는데 이 반응물질은 벤질에스테르를 분리시키기 위해 접촉식 수소첨가 반응을 시킨 프롤린, 벤질 에스테르 염산과 에틸-6-브로모카프로에이트를 반응시켜서 제조했었다. 축합물질은 1-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 N-에틸모르폴린 함유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존재하에 있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였다. 그 생성물은 1.5g의 시럽형 N-5-카르보에톡시펜타메틸에닐)-L-프롤릴-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였는데 530에서 m/e는 M+1이다. 0.5g의 에스테르의 수산화바륨 가수분해로 0.2g의 원하는 L-(N-5-카르복시펜타메틸에닐)프로필-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을 얻었다. 융점 80 내지 84℃,
Figure kpo00027
=(C,1,1 : 1 메탄올/물)-90.1℃.
C20H33N3O6·1.25 H2O
계산치 : C,55.35 ; H,8.36 ; N,9.68.
실측치 : C,55.49 ; H,8.78 ; N,9.05.
[실시예 6]
상술한 바와같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12.5g(0.76m)의 D,L-3-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을 9.6g(0.095m)의 트리에틸아민 및 20.7g(0.095m)의 디-3급-부틸디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2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25℃에서 17시간동안 반응시켜서 백색고체인 N-3급-부톡시카르보닐-L-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이하 t-boc 라함) 유도체를 얻는다.
융점 115 내지 117℃, 이물질 7.95g(0.03m)을 7.23g(0.05m)의 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과 축합시켜 13.6g의 디펩타이드를 얻는다. 보호된기를 트리플루오로 초산을 함유한 이염화 메틸렌과 1,3-디메톡시벤젠으로 처리하여 제거하고 무수염산으로 처리 후 백색 고체인 D,L-β-페닐-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을 얻는다. 이물질 10.1g(0.026m)을 5.817.23g(0.026m)의 L-N-카르보메톡시메틸프롤린 염산과 축합시켜 염화메틸렌 성향의 메탄올 함유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처리후 1.8g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릴- D,L-β-페닐-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었다. 수산화 바륨으로 디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고 묽은 황산으로 산성화시켜서 0.99g의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D,L-β-페닐-β-알라닐-L-프롤린, 황산염을 얻는다. 융점 256 내지 260°
Figure kpo00028
=(C,1,1 : 1 메탄올/물)-43.2℃.
C21H27N3O6·0.25 H2SO4H2O
계산치 : C,54.83 ; H,6.46 ; N,9.13.
실측치 : C,54.86 ; H,6.43 ; N,8.24.
[실시예 7]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 반응을 사용하여, 12.5g(0.12m)의 D,L-β-메틸-β-알라닐(D,L-3-아미노부틸산)을 12.12g(0.15m)의 트리에틸아민 및 32.7g(0.15m)의 디-3급-부틸디카보네이트를 함유한 30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반응시켜 18.5g(76%)의 백색고체 t-boc를 얻었다. 융점 90 내지 92℃, 이 물질 4.06g(0.02m)의 상기한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반응을 이용하여 4.82g(0.02m)의 프롤린, 벤질에스테르와 25℃에서 17시간 동안 축합시켜 트리플루오로초산과 무수염산 처리후에 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 염산을 얻었다. 이 물질 3.5g(0.01m)을 상기 거론된 바와같이 1.12g(0.005m)의 N-카르보메톡시메틸프롤린 염산과 축합시켜 N-카르보메톡시에틸-L-프롤릴-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었다. 수산화바륨의 가수분해 다음에 얻어진 황산염은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 헤미슬페이트였다. 융점 135℃
Figure kpo00029
=-63.3℃(C,1,50% 수용성메탄올).
가교입체 이성체 혼합물 (S,S,S 및 S,K,S)을 9 : 1의 물 : 메탄올로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세정액으로서 90 : 10 : 0.1의 물-에탄올- 트리플루오로초산을 사용한 C-18 역상(逆相)의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라피 칼럼에서 분리했다. 베이스라인 분리가 α=1.29일때
Figure kpo00030
=-59.9℃(C,1,1 : 1 CH3OH·H2O)와
Figure kpo00031
=-44.8℃(C,1,1 : 1 CH3OH·H2O)를 각각 광학회전시켜서 S,S,S와 S,R,S-이성체를 분리시켰다.
본 공정에서 N-(2-카르베톡시)에틸-L-프롤린, 염산으로 이 물질의 저급동족체를 치환하여 N-(2-카르복시)에틸-L-프롤릴-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을 얻는다.
N-(2-카르베톡시)-에틸-L-프로린 염산의 위치에 실시예 4의 공정으로 N-(3-카르보메톡시)프로필-D,L-프롤린 염산(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제조한다.)을 치환하여 염기인 N-카르복시프로필-D,L-프롤릴-L-알라닌-L-프롤릴-L-알라닐-L-프롤린을 얻는다.
[실시예 8]
10.0g(0.0529m)의 N-3급-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닌과 12.75g(0.0529 m)의 L-프롤린, 벤질에스테르염산, 14.28g(0.0106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15ml의 N-메틸모르폴린 및 125ml의 건조테트라히드로푸란에 10.9g(0.0529m)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와 15ml의 건조디메틸포름아미드를 합친 혼합물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공정 처리하여 20.4g의 조제(粗製) N-3급-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t-boc 보호기를 제거하여 D-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염산을 얻었다.융점 140 내지 142℃ 이 물질 8.3g(0.0265m)를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5.29g(0.0265m)의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염산으로 축합시켜 3.1g의 시럽형 N-카르보메톡시에틸-L-프롤린-D-알라닐-L-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얻는다. 상기 디에스테르 3.8g을 수산화바륨으로 처리하여 2.1g의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D-알라닐-L-프롤린을 얻었다.
융점 145 내지 148℃
유사한 방법으로 N-2-카르복시에틸-L-프롤릴-D-알라닐-L-프롤린을 제조하였다. 융점 70℃(142 내지 145℃에서 유연해짐)
[실시예 9]
6.28g(0.0332m)의 N-3급-부톡시카르보닐-β-알라닌과 5.0g(0.0332m)의 L-프롤린아미드 염산, 8.96g(0.0664m)의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12ml의 N-메틸모르폴린, 75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4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6.84g(0.0332m)의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의 혼합물을 25℃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용매를 시험관 내에서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용해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적용 용량의 묽은 염산 함유 소금물, 5% 비카보네이트 및 함수로 세척하였다. 건조된 추출믈을 농축하여 3.2g의 시럽형 N-3급·부톡시카르보닐-β-알라닐-L-프롤린 아미드를 얻는다. 메탄의 화학적 이온화 질량 스펙트럼이 디펩타이드구와 일치하였다.
본 생성물은 35ml의 건조 메틸렌 디클로라이드로 용해하고 얼음물로 냉각하여 15ml의 트리풀루오로 초산을 가하였다.
그 용액을 0℃에서 15분간 교반하고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매를 40℃에서 시험관내에서 증발시켜서 β-알라닐-L-프롤린 아미드의 시럽형 트리플루오로 초산염을 얻었다. 이 화합물 ~0.01m을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염산과 축합시켜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 아미드를 얻는다. 수산화바륨으로 처리하여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 아미드를 얻었다.
[실시예 10]
아담스 알킬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N-카르보메톡시메틸-L-디히드로프롤린, 벤질에스테르로 실시예 1에서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에스테르를 치환하여, 황산염인 N-카르복시메틸-L-디히드로프롤릴-L-알라닐-L-프롤린을 얻는다. 실시예 1에서 아담스 알킬화 방법에 의해 제조된 N-카르보메톡시메틸-피로글루타민산, 벤질에스테르를 치환하여 N-카르복시메틸피로글루타밀-L-알라닐-L-프롤린을 얻는다.
실시예 1에서 2-피롤리디닐초산, 벤질에스테르로 L-프롤린의 벤질에스테르를 치환하여 N-카르복시메틸-L-프롤린-L-알라닐-2-피롤리디닐초산을 얻는다. β-(2-티에닐)알라닌-2-(이종환식 화합물 화학 제 3 권, 하르토프저, 262면)의 t-boc 유도체로 실시예 1의 알라린 유도체를 치환하여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D,L-β-(2-티에닐)-알라닐-L-프롤린을 얻는다. 아담스 알킬화 공정에서 잘 알려진 클로로메탄술폰산의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된 N-메틸술포메틸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치환하여 실시예 1에서 N-슬포메틸-L-프롤릴-알라닐-N-프롤린을 얻는다. 아담스 알킬화에서 공지된 클로로메틸포스폰산의 디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고 다음에 N-디메틸포스포노메틸 프롤린 벤질에스테르를 치환하여 실시예 1에서 N-포스포노메틸-L-프롤릴-L-알라닐-N-프롤린을 얻는다.

Claims (14)

1.구조식
Figure kpo00032
인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보호기를 제거하여, 구조식
Figure kpo00033
의 트리펩타이드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하는 방법.
여기에서 R은 카르복시, 술포 혹은 포스포노기이고 Alk는 에틸리덴이 아닌 1 내지 5개의 탄소를 가진 직쇄 또는 가지형 알킬렌 사슬이고, X는 O 나 H,H 이며 ; Y는 H이거나 X가 H,H 일때 OH : 이고 …은 X가 H,H 이고 Y가 H일때 탄소-탄소 결합이며, n은 0 내지 3을 포함하는 정수이고, A는 D-나 L-ALa, D-나 L-Phe, D-나 L-β-메틸-β-ALa, D-나 L-페닐-Gly, D-나 L-β-페닐-β-ALa, D-나 L-β-티에닐-Gly, D-나 L-β-ALa, γ-아미노부틸산이거나 D-나 L-2-아미노부틸산, D-나 L-nor-Val, D-나 L-Leu, 3-아미노-3-메틸부틸산, 2-메틸-ALa나 상기 잔기의 N-메틸유도체이며, R1은 보호된 카르복시, 술포나 포스포노기이고 R2는 카르복시보호기이고, R3는 상기 정의된 바와같은 A의 일부인 아미노기나 N-메틸아미노기이다.
카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방법.
디시클로헥시카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방법.
벤질 에스테르 염산염으로서의 β-알라닐-L-프롤린을 N-카르보메톡시메틸-L-프롤린 염산염과 반응시켜 N-카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을 생성하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방법.
다음 구조식의 화학적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염.
Figure kpo00034
이식에서, R은 카르복시, 술포 혹은 포스포노기이고 ; alk는 에틸리덴이 아닌 1 내지 5개의 탄소를 가진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렌 사슬이고 ; X는 O 또는 H,H이고 ; Y는 H 또는 X가 H,H 일때 OH이고 ; …은 X가 H,H 이고 Y가 H일때 임의의 탄소-탄소 결합이고 ; n은 0 내지 3을 포함하는 정수이고 ; A는 D-나 L-Ala, D-나 L-Phe, D-나 L-β-메틸-β-Ala, D-나 L-페닐-Gly, D-나 L-β-페닐-β-Ala, D-나 L-β-티에닐-Gly, D-나 L-β-Ala, γ-아미노부틸산이거나 ; D-나 L-2-아미노부틸산, D-나 L-nor-Val, D-나 L-Leu, 3-아미노-3-메틸부틸산, 2-메틸-Ala 또는 상기 잔기의 N-메틸유도체임.
제 5 항에서, 아미노산 단위의 원자배열이 L안 화합물.
제 6 항에 있어서, R이 카복시이고, X가 H,H이며, Y가 수소이고, n이 0인 화합물.
제 7 항에서, A가 β-Ala인 화합물.
N-(2-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이거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인 제 5 항의 화합물.
N-(2-카복시메틸)-L-프롤릴-β-알라닐-L-프롤린인 제 5 항의 화합물.
N-(2-카복시메틸)-L-프롤릴-L-알라닐-L-프롤린이거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인 제 5 항의 화합물.
N-카복시메틸-L-프롤릴-L-페닐알라닐-L-프롤린이거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인 제 5 항의 화합물.
N-카복시메틸-L-프롤릴-D,L-β-메틸-β-알라닐-L-프롤린이거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인 제 5 항의 화합물.
담체와 결합된 제5,6,7,8,9,10,11,12 또는 13항 화합물의 독성이 없으며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이루어지는 신장 기능을 증진하기에 효과적인 제약학적 조성물.
KR8205004A 1981-11-06 1982-11-05 트리펲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KR880002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872181A 1981-11-06 1981-11-06
US318721 1981-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372A KR840002372A (ko) 1984-06-25
KR880002594B1 true KR880002594B1 (ko) 1988-12-03

Family

ID=232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004A KR880002594B1 (ko) 1981-11-06 1982-11-05 트리펲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EP (1) EP0080283B1 (ko)
JP (1) JPS5890537A (ko)
KR (1) KR880002594B1 (ko)
AT (1) ATE17736T1 (ko)
AU (1) AU562011B2 (ko)
CA (1) CA1247085A (ko)
CS (1) CS235030B2 (ko)
DD (1) DD206553A5 (ko)
DE (1) DE3268884D1 (ko)
DK (1) DK480682A (ko)
ES (1) ES8401447A1 (ko)
FI (1) FI75175C (ko)
GR (1) GR77368B (ko)
HU (1) HU187808B (ko)
IE (1) IE53982B1 (ko)
IL (1) IL67070A (ko)
NO (1) NO160081C (ko)
NZ (1) NZ202232A (ko)
PH (1) PH18708A (ko)
PL (1) PL136098B1 (ko)
PT (1) PT75769B (ko)
RO (1) RO84706B (ko)
YU (1) YU245582A (ko)
ZA (1) ZA827816B (ko)
ZW (1) ZW23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30605T2 (de) * 1991-02-27 1999-05-20 Lacer Sa Antihypertensive N-(alpha-substituiertes Pyridyl)-carbonyldipeptide
MX9709875A (es) * 1995-06-06 1998-03-31 Pfizer N-(indol-2-carbonil)-glicinamidas substituidas y derivados como inhibidores de glicogeno fosforilasa, composiciones que las contienen y uso de las mismas.
ATE205477T1 (de) 1995-06-06 2001-09-15 Pfizer Substituierte n-(indol-2-carbonyl)-amide und derivate als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en
MY114711A (en) 1995-06-06 2002-12-31 Pfizer Substituted n-(indole-2-carbonyl)-b-alanmamides and derivatives as antidiabetic agents
US6277877B1 (en) 2000-08-15 2001-08-21 Pfizer, Inc. Substituted n-(indole-2-carbonyl)glycinamides and derivates as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s
KR20040013679A (ko) * 2002-08-08 2004-02-14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실내 공기 상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0747A1 (fr) * 1980-04-17 1981-10-23 Roques Bernard Derives d'acides amines et leur application therapeu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77368B (ko) 1984-09-11
YU245582A (en) 1985-03-20
DE3268884D1 (en) 1986-03-13
PT75769A (en) 1982-11-01
PT75769B (en) 1985-07-26
PH18708A (en) 1985-09-05
ZA827816B (en) 1983-08-31
RO84706B (ro) 1984-09-30
JPS5890537A (ja) 1983-05-30
AU9017382A (en) 1983-05-12
FI75175B (fi) 1988-01-29
ES517144A0 (es) 1983-12-16
FI823798A0 (fi) 1982-11-05
ATE17736T1 (de) 1986-02-15
FI75175C (fi) 1988-05-09
IE53982B1 (en) 1989-05-10
FI823798L (fi) 1983-05-07
DD206553A5 (de) 1984-02-01
NO823693L (no) 1983-05-09
RO84706A (ro) 1984-07-17
NO160081B (no) 1988-11-28
IL67070A (en) 1986-01-31
IL67070A0 (en) 1983-02-23
NZ202232A (en) 1985-08-16
HU187808B (en) 1986-02-28
KR840002372A (ko) 1984-06-25
CS235030B2 (en) 1985-04-16
DK480682A (da) 1983-05-07
ZW23282A1 (en) 1983-02-23
ES8401447A1 (es) 1983-12-16
EP0080283A1 (en) 1983-06-01
PL136098B1 (en) 1986-01-31
CA1247085A (en) 1988-12-20
EP0080283B1 (en) 1986-01-29
IE822647L (en) 1983-05-06
PL238893A1 (en) 1983-07-04
NO160081C (no) 1989-03-08
AU562011B2 (en) 198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976B2 (ja) 補体プロテアーゼの低分子インヒビター
JPH07121955B2 (ja) アミノ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法
NZ244985A (en) Peptide compound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JPS61263998A (ja) 新規なn−(アシルジペプチジル)−アミノグリコ−ル化合物
JPH0547538B2 (ko)
FR2460291A1 (fr) Nouveaux tripeptides agissant sur le systeme nerveux central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P0154234A2 (en) Substituted tyrosil alanine dipeptide amides
KR880002594B1 (ko) 트리펲타이드를 함유한 n-카르복시알킬프롤린을 제조하는 방법
HU185022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ologically active tetrapeptide derivatives
FR2460292A1 (fr) Nouveaux tripeptidamides actifs sur le systeme nerveux central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ux-ci
CA1059994A (en) Histidine derivatives
US4456594A (en) N-Carboxyalkylproline-containing tripeptides
EP0485458B1 (en) Thioacylating reagents and intermediates, thiopeptid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same
US4490386A (en) Phosphate salts of 1-[2-[(1-alkoxycarbonyl-3-aralkyl)-amino]-1-oxoalkyl]octahydro-1H-indole-2-carboxylic acids, preparation of, and medical compositions thereof
EP0159396B1 (en) Carboxyalkyl peptide derivatives
FR2532308A1 (fr) Nouveaux polypeptid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JPH0788358B2 (ja) 光学的に活性な二環式イミノ―α―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ラセミ体の分割法で得られた化合物
JPH0448800B2 (ko)
US4247543A (en) Organic compounds
HUT51292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amin-methil-peptides and medical compositions containinh them as active substance
CA1199032A (en) Derivatives of n-(4-phenylcyclohexy)glycines
IE65539B1 (en) Trifluoromethyl mercaptan and mercaptoacyl derivatives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254360B2 (ko)
CA1247086A (en) Renally active tetrapeptides
JPS59137451A (ja) インダン誘導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