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442Y1 -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442Y1
KR880002442Y1 KR2019850015262U KR850015262U KR880002442Y1 KR 880002442 Y1 KR880002442 Y1 KR 880002442Y1 KR 2019850015262 U KR2019850015262 U KR 2019850015262U KR 850015262 U KR850015262 U KR 850015262U KR 880002442 Y1 KR880002442 Y1 KR 880002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tact wire
contact
transf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27U (ko
Inventor
강창구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금성통신주식회사,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442Y1/ko
Publication of KR870008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 접점 용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본고안의 작용을 보인 부분 절결 정면도로서, 제 3 도는 이송레버가 하강작동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4 도는 이송레버가 하강 되어 접점 와이어를 협지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5 도는 이송레버가 전진되어 접점 이송편 및 접점 와이어가 이송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6 도는 종래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가이드레일 3 : 이송편
4 : 받침편 5 : 접동로울러
6 : 이송레버 6a : 지지편
7 : 축핀 8 : 협지편
10 : 구동축 11 : 구동캠
12 : 얍축스프링 15a : 고정간
15 : 받침판 16 : 역전 방지간
17 : 축핀
본 고안은 공급 로울로부터 풀려나오는 접점 와이어를 일정 주기로 소정길이 만큼씩 이송공급 시키고 이를 절단한 후 별도의 소재상에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용접하는 자동 접점 용접기의 접점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이송레버의 회동력으로 접점와이어를 협지 이송시키어 접점 와이어의 이송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게한 캠을 이용한 접점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접점 용접기에 채용되고 있는 접점와이어 이송장치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안내봉(1')에 유착되는 이송블록(2')의 일측에 블록실린더(3')를 설치하고 그 블록실린더(3')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되는 압착간(4')의 일단으로 이송블록(2')의 상면에 놓여지는 접점와이어(W')를 협지하게 하는 한편, 이송블록(2')의 후방에는 또다른 이송 실린더(5')를 설치하여 그 이송실린더(5')의 구동에 따라 이송블록(2')을 전진시키어 그 상부에 압착된 접점와이어(W')를 연동 이송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송장치는 이송 블록(2')의 일측 및 후방에 와이어 압착용 블록 실린더(3')와 이송용 실린더(2')를 각기 조립 설치하여야 하는 복잡한 작동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되고 장치 전체의 규격이 대형화 될 뿐만 아니라, 각 실린더(3')(2')를 별도로 구동시키어 접점 와이어(W')를 협지한 다음 이송블록(2')을 동작시키기 위하여는 상당한 지연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고속 작동에 의한 대량생산이 불가능 하였으며, 또한 일차 전진 이송된 접점 와이어(W')를 잡아주는 역전 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전진 이송된 이송블록(2') 의 후진을 위하여 접점 와이어(W')를 누르고 있는 압착간 (4')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이송블록(2')이 후진됨과 동시에 전진 이송된 접점 와이어(W')가 미소한 거리만큼 함께 후진되는 현상이 유발됨으로써 요구되는 접점 와이어(W')의 이송거리를 정확히 일치 시킬 수 없게 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장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편의 하단에 이송할 접점 와이어가 놓여지는 받침편을 형성하고 이송편의 중간부에 유착한 이송레버의 상단에는 접동로울러를 유착하여 그 접동로울러가 구동축에 축설한 구동캠에 접동되게 함으로써, 구동캠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이송레버로써 받침편상의 접점 와이어를 협지 이송하게 하는 간단한 이송구조를 갖게 하는 한편, 그 이송편의 후방에는 전진 이송되는 접점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역전방지간을 설치하여 이송된 접점 와이어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후진 이송됨을 방지할 수 있게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로울(R)에 권회된 접점 와이어 (W)를 일정주기로 소정길이 만큼씩 이송시키어 요구되는 절단 및 용접을 기할 수 있게하는 전기 저항 용접기의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용접기 기대(1)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설치한 가이드 레일(2)에 장방체상 이송편(3)을 삽입 설치하여 그 이송편(3)의 상ㆍ하변부에 형성한 삽지간 (3a)(3a')이 가이드 레일(2)의 상ㆍ하 슬라이드 요홈(2a)(2a')을 따라 전ㆍ후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전면으로 노출되는 이송편(3)의 외면 하측부에는 공급로울(R)에서 풀려나오는 접점 와이어(W)가 상면에 놓여지는 일정크기의 구형(矩形)받침편(4)을 이송편(3)의 이동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하였으며, 이와 같이된 이송편(3)외면 중앙부에는 접동로울러(5)가 상단부에 구비된 이송레버(6)중간부 일측의 지지편(6a)을 축핀(7)으로 유착하여, 받침편(4)의 상면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게한 이송레버(6)의 하단 외측면에는 상기 받침편(4)상에 놓여지는 접점 와이어(W)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협지편(8)과 그 협지편(8)을 지지하는 고정편(9)을 중첩 고정하고, 그 이송레버(6)상단의 접동로울러(5)에는 기대(1)의 상부에 설치한 구동축(10)선단의 구동캠(11)이 접촉되게 하되, 소정크기를 가지는 원판상 구동캠(11)의 일측 주면에는 그 기준 정원(C)의 접선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일정 길이의 경사주면(11a)과 그 경사주면(11a)의 단부로부터 점차 원호상으로 만곡되는 소정길이 만큼의 만곡주면(11b)을 갖게 하고, 또한 상기 이송레버(6)의 일측 즉, 후방 지지편(6a)의 반대측에는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삽지홈(6b)을 형성함과 더불어 그 삽지홈(6b)에는 압축스프링(12)이 끼워진 삽지간(13)의 일단을 삽입하여 그 삽지간(13) 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편(14)과 이송레버(6)간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12)의 탄성으로 그 이송레버(6)선단의 접동로울러(5)가 구동캠(1)의 주면에 상시 적절한 탄성으로 접동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이송편(3)의 일측에는 일정높이의 고정간(15a)이 수직 입설된 받침판(15)을 그 이송편(6)하측의 받침편(4)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여 그 고정간(15a)의전방에는 소정규격의 장방체상 역전방지간(16)의 중간부를 축핀(17)으로 유착하고, 그 역전방지간(6)의 상단일측에는 스프링(18)을 탄력 설치하여 그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하여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가지는 역전 방지간(16)의 하단이 하부의 받침판(15)상에 놓여지는 접점 와이어(W)를 눌러 그 고정위치를 잡아줄 수 있게 하였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고정간(15a)의 일측에서는 조절보울트(19)를 횡방향으로 끼워넣어 고정간(15a)의 전방으로 관출되는 조절보울트(19)의 선단이 상기 이송편(3)의 후단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전ㆍ후로 이송되는 이송편(3)의 후진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상기 받침편(4)상에 놓여지는 접점 와이어(W)의 두께에 따라 받침편(4)의 상면과 이송레버(6)하단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간격 조절보울트, 21은 그 간격조절 보울트(20)의 선단이 접촉지지되는 걸림핀이고, 22는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 장치로 이송되는 접점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이며, 23은 절단된 접점을 접점편상에 용접하기 위하여 용접기의 용접장치(24)로 밀어내는 푸싱장치를 각기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3 도는 본 고안 이송장치가 구동되기 이전의 상태 즉, 다시말하자면 압축스프링(12)으로 탄지된 이송레버(6)상단의 접동로울러(5)가 구동캠(11)의 정원(C)외주면에 접촉되어 이송레버(6)하단의 협지편(8)이 받침편(4)상에 놓여진 접점 와이어(W)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있고, 그 후방에 설치된 역전방지간(16)의 하단 즉, 스프링(18)으로 탄지된 역전방지간(16)의 하단이 그 하부 받침판(15)상에 놓여진 접점 와이어(W)를 눌러 고정시키고 있는 동시에 그 고정간(15a)의 조절보울트(19)선단에는 가이드 레일(2)에 유동되게 삽입된 이송편(3)의 후단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접기의 가동에 의하여 구동축(10)이 구동되고 그 구동캠 (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캠(11)의 경사주면(11a)이 접동로울러(5)에 접촉하게 되면, 축핀(7)으로 유착된 이송레버(6)가 그 축핀(7)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소폭회전 하게 되어 그 하단의 협지편(8)이 하부의 받침편(4)상면에 놓여진 접점 와이어(W)를 눌러 상기 양편(4)(8)사이에 맞물린 접점와이어(W)를 단단히 협지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캠(11)의 회전이 계속 진행되어 상기의 접동로울러(5) 가 구동캠(11)의 만곡주면(11b)에 접촉하게 되면 이송레버(6)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더욱 증가되는바 이때에는 이미 이송레버(6)의 하단이 상기 접점 와이어(W)의 개재하에 그 하부의 받침편(4)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이송레버(6)의 회전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되므로, 그 이송레버(6)에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이송레버(6)는 구동캠(11)의 외측 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벗어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따라 이송레버(6)와 축핀(7)으로 유착된 이송편(3)이 그 힘을 전달받게 되어 가이드 레일(2)에 유삽된 이송편(3)이 그 받침편(4)및 이송레버(6)와 함께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전진 이동됨으로써,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협지편(8)에 의하여 협지된 접점 와이어(W)를 일정거리(D)만큼 전진 이송시키어 그 이송된 길이만큼을 용접기의 필요한 후속가공 즉, 공지의 절단장치(22)에 의한 절단 작업을 연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에 이와 같은 이송편(2)의 전진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함께 이송되는 접점 와이어(W)는 그 후단이 스프링(18)으로 탄지된 역전방지간(16)에 의하여 눌려 고정되어 있으나, 그 역전 방지간(16)은 역전방지간(16) 의 중간부가 유착된 축핀(17)을 중심으로 전진 방향측에 그 하단이 탄지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전진 이송시에는 이송편(3)의 이동에 의한 전진력이 스프링(18)의 탄성을 능가하게 되므로 접점 와이어(W)는 역전방지간(16)의 하단에 접촉된체로 전진 이송되게 되며 접점 와이어(W)의 전진 이송이 완료됨과 동시에 스프링(18)의 탄성으로 접점 와이어(W)를 다시 눌러 고정하게 되고, 만약 접점 와이어(W)가 후진 이송될 경우에는 역전방지간(16)에 가해진 압착력이 더욱 가중되어 접점와이어(W)가 임으로 후진되거나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5 도에서와 같이 하여 전진 이동된 이송편(3)및 이송레버(6)는계속되는 구동캠(11)의 회전으로 그 접동로울러(5)가 상기 구동캠(11)의 만곡주면 (11b)의 단부를 벗어나게 되면, 그 이송레버(6)를 탄지하는 압축스프링(12)의 탄성으로 접동로울러(5)가 구동캠(11)의 정원(C)부에 다시 접촉됨에 따라 축핀(7)에 유착된 이송레버(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함께 그 하단의 협지편(8)이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점 와이어(W)에 가해진 구속력을 해제하게 됨과 동시에 그 이송레버 (6)와 이송편(3)을 후진시키어 상기 제 3 도와 같은 상태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이송장치는 공급로울(R)에서 풀려나오는 접점 와이어(W)를 구동캠(11)의 구동에 따라 작용되는 이송레버(6)의 회동력으로 협지한 후 이를 다시 전진 이송시키는 간단한 구성을 갖게 되므로, 에어 실린더등 각종 부품의 복잡한 결함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이송장치에 비하여 그 가공 조립 공정을 현저히 단순화 함으로써, 용접기의 전체 규격을 대폭축소시킬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게하고 구동캠의 고속 구동에 의한 연속 작동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접점 와이어(W)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전방지간(16)의 작용으로 전진 이송된 접점 와이어(W)의 임의 유동이나 후진을 방지하여 그 이송거리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수 있게 되는 이점등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전기 저항 용접기의 접점와이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용접기 기대의 일측에 횡설한 가이드 레일(2)에 받침편(4)이 구비된 이송편(3)을 유동되게 삽입 설치하고, 그 이송편(3)의 외측면에는 압축스프링(12)으로 탄지되는 이송레버(6)일측의 지지편(6a) 을 축핀(7)으로 유착하여 그 상단에 유착되는 접동로울러(5)가 구동축(10)에 축설된 구동캠(11)에 접촉되게 하고 그 하단 외측부에는 이송편(3)의 받침편(4)상에 놓여지는 접점 와이어를 협지 고정하는 협지편(8)을 고정 설치하는 한편, 상기 이송편(3)의 일측에 설치한 고정간(15a)에는 스프링(18)으로 탄지되는 역전방지간(16)을 축핀 (17)으로 유착하여 그의 하단이 하부 받침판(15)에 놓여지는 접점와이어에 접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을 이용한 접점와이어 이송장치.
KR2019850015262U 1985-11-20 1985-11-20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KR880002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262U KR880002442Y1 (ko) 1985-11-20 1985-11-20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262U KR880002442Y1 (ko) 1985-11-20 1985-11-20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27U KR870008127U (ko) 1987-06-10
KR880002442Y1 true KR880002442Y1 (ko) 1988-07-05

Family

ID=1924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262U KR880002442Y1 (ko) 1985-11-20 1985-11-20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4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38710B (zh) * 2022-06-27 2023-10-31 新利得(天津)焊接材料有限公司 一种焊丝盘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27U (ko) 1987-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7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rticles
JPH0381245B2 (ko)
KR101820838B1 (ko) 브레이크 슈 어셈블리 자동 용접장치
US4377898A (en) Wire end processing apparatus
US4087034A (en) Automat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880002442Y1 (ko) 캠을 이용한 접점 와이어 이송장치
JPH07201445A (ja) 端子テ−プ送り手段を改良した電気端子 アプリケ−タ
US4894507A (en) Welding device
KR200452402Y1 (ko) 소모성 스트립 전극을 사용하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기헤드
KR100453565B1 (ko) 비닐 시트의 접합 및 절단장치
CN212350636U (zh) 一种棒料切割机
JPS61114920A (ja) パレツト搬送装置
JPH029597Y2 (ko)
JPH025532B2 (ko)
JP2669001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間欠搬送装置
JP2669000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間欠搬送装置
KR930005248B1 (ko) 와이어 가닥과 같은 신장된 공작물을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장치
JPH0435320Y2 (ko)
JPH0683870B2 (ja) 線材送り装置
KR960003539B1 (ko) 파이프 커팅장치
CN109760440B (zh) 一种具有自动对位功能的电子证照缝合设备
KR920009831B1 (ko) 클램핑 및 해머링 장치
JP2711089B2 (ja) 線材の矯正装置
JPS6344435Y2 (ko)
KR0126403B1 (ko) 금속 테이프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